KR102159642B1 -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642B1
KR102159642B1 KR1020190102659A KR20190102659A KR102159642B1 KR 102159642 B1 KR102159642 B1 KR 102159642B1 KR 1020190102659 A KR1020190102659 A KR 1020190102659A KR 20190102659 A KR20190102659 A KR 20190102659A KR 102159642 B1 KR102159642 B1 KR 10215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smart device
display area
adhesiv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344A (ko
Inventor
박찬현
윤인수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19010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6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344A/ko
Priority to KR1020200107190A priority patent/KR102279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스마트 기기의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프로 텍터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과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을 평면 표시영역과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키는 점착층; 및 프로 텍터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프로 텍터부와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DISPLAY PART PROTECTOR FOR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와 액정화면 보호부재의 사이에 점착제를 주입, 경화하는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점착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기기 전면 강화 글래스(glass)는 2D에서 2.5D 또는 3D 성형 글래스로 채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액정 보호용 제품은 통상적으로 필름(film) 또는 2D 글래스 소재가 이용되었으며, 대부분 평면 부분만을 보호하거나 곡면부분이 부착되지 않는 형태이다.
일부 곡면을 보호하는 제품군의 경우 TPU(Temperature polyurethane)를 적용하여 내구성이 약하거나 베젤(bezel)을 인쇄한 테두리만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에어 캡(air gap)이 있는 구조로 강도 저하 및 터치 성능이 저하되고,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줄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일부 제품에서는 글래스 가장자리 부분에서 비산 방지가 이루어 지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6002호(강미애) 2015. 12.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기기와 액정화면 보호부재의 사이에 점착제를 주입, 경화하는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점착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스마트 기기의 상기 평면 표시영역 및 상기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프로 텍터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키는 점착층; 및 상기 프로 텍터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 텍터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갭 형성부는 상기 프로 텍터부의 모서리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갭 형성부재는 일자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갭 형성부재는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 및 SI 필름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및 우레탄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 텍터부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평면 영역부에 마련되는 곡면 영역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 텍터부는 글래스, 고분자 필름 또는 고분자 수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 텍터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 형성부는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베이스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스마트 기기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되는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된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될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리프팅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지지부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하면 액상 점착 부재가 놓여진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으로 상기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떨어져 상기 표시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스마트 기기의 상기 평면 표시영역 및 상기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프로 텍터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키는 점착층; 및 상기 프로 텍터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 텍터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 텍터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프로 텍터부와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에 의해 프로 텍터부와 스마트 기기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일부 프로 텍터부의 불안정한 형상을 보완하여 프로 텍터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며, 얼라인(align) 보정, 퍼짐 형상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갭 형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갭 형성부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층이 다양하게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일자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가 프로 텍터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서 원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가 프로 텍터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를 스마트 기기에 부착시키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리프팅 지지부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 액정화면 보호부재를 리프팅 지지부에 지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 액정화면 보호부재의 일측부를 리프팅 지지부에 지지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리프팅 지지부를 분리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애정 화면부 프로텍터가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갭 형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4는 갭 형성부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층이 다양하게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일자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가 프로 텍터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서 원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가 프로 텍터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스마트 기기(S)의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프로 텍터부(10)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과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을 평면 표시영역과 곡면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키는 점착층(20)과, 프로 텍터부(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30)와,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재층(40)을 구비한다.
프로 텍터부(10)는,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S),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스마트 기기(S)의 전체 표시영역을 보호함과 아울러 파손되거나 손상된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을 복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곡면 표시영역이 없는 평면 표시영역만 있는 스마트 기기(S)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 텍터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부(11)와, 평면 영역부(11)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곡면 영역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평면 영역부(11)와 곡면 영역부(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곡면 영역부(12)는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부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마련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게 프로 텍터부(1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프로 텍터부(10)의 평면 영역부(11)는 한 쌍의 마주보는 장변들 및 이들 장변을 연결하는 한쌍의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 중 평면 표시영역 상부에 배치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다.
프로 텍터부(10)의 곡면 영역부(12)는 평면 영역부(11)의 장변들 각각으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도 1을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곡면 영역부(12)는 평면 영역부(11)와의 경계에서 불연속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 중 평면 표시영역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곡면 표시영역들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점착층(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40)과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영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 텍터부(10)와 기재층(4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재층(4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층(20)은 점착층(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프로 텍터부(10) 또는 기재층(40)을 점착층(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착 대상물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층(20)은 스마트 기기(S)의 평면 표시영역과 프로 텍터부(10)(10)의 평면 영역부(11) 사이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S)의 곡면 표시영역과 프로 텍터부(10)의 곡면 영역부(12)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서, 프로 텍터부(10)가 점착층(20)에 의해 스마트 기기(S) 또는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된다는 것은 프로 텍터부(10)가 스마트 기기(S)의 표시 영역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프로 텍터부(10)가 스마트 기기(S)의 표시 영역에 부착된 다른 필름 또는 코팅막(미도시)에 부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층(20)이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의 일부 영역만을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경우,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 사이 영역 중 점착층(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스마트 기기(S)의 감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층과 점착층(20)의 광학특성 차이로 인하여 프로 텍터부(10)를 통해 스마트 기기(S)를 보는 사용자 측면에서 스마트 기기(S)의 표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점착층(20)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터치 감도의 저하나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층(20)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스마트 기기(S)의 표시 영역 상에 도포한 후 프로 텍터부(10)를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 상부에 로딩하여 프로 텍터부(10)의 무게에 의해 점착 조성물을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게 하고, 이어서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착 조성물은 광 중합 또는 열 중합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 상의 한계로 인하여, 프로 텍터부(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 및 스마트 기기(S)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은 개별 제품마다 허용 마진 안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되어 스마트 기기(S)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과 이에 적용되는 프로 텍터부(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게 된다. 그 결과, 유동성이 없는 점착 필름 등의 공지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프로 텍터부(10)를 스마트 기기(S)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접착 부재가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스마트 기기(S)에 부착할 수 없어서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 표시영역 사이에는 의도하지 않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프로 텍터부(10)를 스마트 기기(S)에 부착시키므로, 프로 텍터부(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스마트 기기(S)에 부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앞에서 설명한 사용자 터치에 대한 감도 및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점착층(20)은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차이를 보상하도록 그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프로 텍터부(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스마트 기기(S)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 조성물은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1 cps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너무 약하여 점착 조성물이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 사이의 영역을 넘어 프로 텍터부(10) 외부로 퍼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5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유동성이 낮아 프로 텍터부(10)의 자중만으로는 프로 텍터부(10)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점착 조성물의 점도는 약 10 내지 25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oxide)계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희석제는 점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후 점착층(20)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착 조성물은 광증감제, 착색제, 증점제, 중합 금지제 등의 첨가제들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합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약 50 내지 80 wt%일 수 있고, 희석제의 함량은 약 14 내지 49 wt%일 수 있고,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5 wt%일 수 있으며, 첨가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1 wt%일 수 있다.
갭 형성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40)이 마련되는 경우 기재층(4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기재층(40)과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일부 프로 텍터부(10)의 불안정한 형상을 보완하여 프로 텍터부(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며, 얼라인(align) 보정, 퍼짐 형상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갭 형성부(30)는 기재층(40)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프로 텍터부(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갭 형성부(30)는 프로 텍터부(10)의 모서리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31)를 포함하고, 복수의 갭 형성부재(31)는 일자 형상(도 5 참고) 또는 원형 형상(도 6 참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갭 형성부재(31)는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 및 SI 필름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접착제는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및 우레탄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갭 형성부재(31)는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재층(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 텍터부(10)의 저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 텍터부(10)의 저면부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재층(40)은 투명 고분자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 텍터부(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기재층(40)은 접착제에 의해 프로 텍터부(10)의 저면부나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접착제는 투명 재질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프로 텍터부(10)와 접착된 기재층(40)은 전술한 점착층(20)에 의해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프로 텍터부(10)의 파손 시 프로 텍터부(10)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전술한 갭 형성부(30)와 별도로 프로 텍터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발수/발유 패턴은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이라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의 재료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등의 불소계 고분자 물질 또는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PPE(Polypenylene ether) 등의 비불소계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가지므로, 발수/발유 패턴을 기재층(4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경우, 프로 텍터부(10)를 스마트 기기(S)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점착 조성물이 프로 텍터부(10)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수/발유 패턴은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수/발유 패턴의 폭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발수/발유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ㄴ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발수/발유 패턴의 폭이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수/발유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 사이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므로 이 부분에서 프로 텍터부(10)와 스마트 기기(S)의 탈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수/발유 패턴은 약 100 내지 300㎛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 텍터부(10)가 스마트 기기(S)의 터치 버턴이나 카메라 렌즈 등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는 경우, 즉, 발수/발유 패턴은 개구를 둘러싸도록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폭, 예를 들면,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를 스마트 기기에 부착시키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리프팅 지지부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 액정화면 보호부재를 리프팅 지지부에 지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로 액정화면 보호부재의 일측부를 리프팅 지지부에 지지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리프팅 지지부를 분리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1000)는, 스마트 기기(S)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이 마련된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에 결합 되는 커버부(200)와,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결합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스마트 기기(S)에 부착될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리프팅 지지부(300)와, 베이스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수용홈(111)에 수용된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으로 점착 조성물을 주입시키는 점착부재 주입부(40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S)가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장소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1)이 마련된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측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양각부(120)와, 베이스 바디(1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리프팅 지지부(30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장자리를 제외한 영역에는 스마트 기기(S)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홈(112)과 결합 양각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차홈(11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210)가 수용될 수 있고, 결합 양각부(113)에는 결합홀(211)이 마련된 커버 바디(210)가 결합 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한 쌍의 양각부(1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420)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양각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돌출된 형태가 아닌 베이스 바디(110)의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음각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00)의 결합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리프팅 지지부(30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홈(112)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중앙부가 절개된 결합 바디(131)와, 결합 바디(131)의 절개된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홈(13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지지부(300)는 결합홈(13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110)의 단차홈(112)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10)의 상부 영역을 덮는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가 개구된 커버 바디(210)와, 커버 바디(210)의 개구된 중앙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테두리부(220)와, 결합부(130)가 배치된 영역의 테두리부(220)에 마련되어 리프팅 지지바디(310)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절개부(230)를 포함한다.
커버부(200)의 커버 바디(2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홀(211)과, 결합부 통과홀(212)과 복수의 양각부 통과홀(2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 바디(210)는 복수의 결합홀(211)이 복수의 결합 양각부(113)에 결합 되고, 결합부 통과홀(212)에 결합부(130)가 통과되고, 복수의 양각부 통과홀(213)에 복수의 양각부(120)가 통과되어 지지되므로 결합 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리프팅 지지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0)에 결합 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 텍터부(10)의 일측부가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상면부로부터 리프팅 되도록 프로 텍터부(10)의 일측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프팅 지지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가 결합홈(132)에 끼워 맞춤 결합 되는 리프팅 지지바디(310)와, 리프팅 지지바디(3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지지바디(310)의 이동 거리 즉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320)와, 리프팅 지지바디(310)에 마련되는 손잡이(330)를 포함한다.
점착부재 주입부(400)는, 베이스 바디(110)의 수용홈(111)에 수용된 스마트 기기(S)의 액정 화면으로 점착 조성물을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부재 주입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10)와, 상측부에는 용기(410)가 결합 되고 하측부는 한 쌍의 양각부(120)에 맞춤 결합 되는 부싱(420)을 포함한다.
점착부재 주입부(400)의 용기(410)에는,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를 스마트 기기(S)의 액정 화면에 부착시키는 점착 조성물 예를 들어 공지된 액상 점착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410)는 부싱(420)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점착부재 주입부(400)의 부싱(420)은, 한 쌍의 양각부(120)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고, 부싱(420)의 중앙부에는 홀이 마련되어 용기(410)에 저장된 점착 조성물은 부싱(420)의 홀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으로 떨어져 점착층(20)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미 도시되었지만 본 실시 예는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에 부착된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를 경화시키는 경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경화부는 스마트 기기(S)에 부착된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를 공지된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거나 공지된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스마트 기기(S)를 수용한 후 결합부(130)에 리프팅 지지부(30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 기기(S)의 액정화면에 도 7에 도시된 점착부재 주입부(400)를 이용하여 점착 조성물을 떨어트린다.
그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프로 텍터부(10)를 스마트 기기(S)의 액정 화면에 부착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프로 텍터부(10)의 일측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지지바디(310)에 의해 스마트 기기(S)의 표시영역의 상면부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 된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지지부(300)를 결합부(130)로부터 분리시키면 리프팅 된 프로 텍터부(10)의 일측부가 표시영역으로 떨어지면서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1)는 스마트 기기(S)의 액정 화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표시영역의 상면부에 있는 점착 조성물은 일측부가 지지 된 리프팅 지지부(300)의 떨어짐으로 인해 표시영역의 상면부로 번지면서 또는 흐르면서 이동되므로 프로 텍터부(10)와 점착 조성물이 접촉 중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부착 작업 전에 프로 텍터부(10)에는 갭 형성부(30)와 기재층(40)이 선택적으로 먼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10 : 프로 텍터부
11 : 평면 영역부
12 : 곡면 영역부
20 : 점착층
30 : 갭 형성부
31 : 갭 형성부재
40 : 기재층
100 : 베이스부
200 : 커버부
300 : 리프팅 지지부
400 : 점착부재 주입부

Claims (9)

  1.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갖는 스마트 기기의 상기 평면 표시영역 및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프로 텍터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프로 텍터부의 하부면을 상기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 및
    상기 프로 텍터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 텍터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갭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 형성부는 상기 프로 텍터부의 일부 형상을 보완하여 상기 프로 텍터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갭 형성부는 일자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갭 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10 내지 250cps의 점도를 갖고,
    유동성을 갖는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 상부로 로딩되는 상기 프로 텍터부의 무게에 의해 퍼지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는
    상기 프로 텍터부의 모서리에 각각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갭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갭 형성부재는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및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및 우레탄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 텍터부는,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평면 영역부에 마련되는 곡면 영역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 텍터부는 글래스, 고분자 필름 또는 고분자 수지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 텍터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표시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는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0190102659A 2019-08-21 2019-08-21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15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9A KR102159642B1 (ko) 2019-08-21 2019-08-21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0200107190A KR102279613B1 (ko) 2019-08-21 2020-08-25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9A KR102159642B1 (ko) 2019-08-21 2019-08-21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19A Division KR20190041694A (ko) 2017-10-13 2017-10-13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90A Division KR102279613B1 (ko) 2019-08-21 2020-08-25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344A KR20190101344A (ko) 2019-08-30
KR102159642B1 true KR102159642B1 (ko) 2020-09-25

Family

ID=6777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659A KR102159642B1 (ko) 2019-08-21 2019-08-21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420B1 (ko) * 2021-04-06 2022-10-17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59B1 (ko) * 2016-10-13 2017-06-12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3857B1 (ko) * 2017-04-12 2017-07-04 주식회사 씨엠에스 유브이 조사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베젤이 형성된 핸드폰 제조 작업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002B1 (ko) 2015-03-30 2015-12-09 강미애 유색 점착면 보호필름과 절취선을 이용한 휴대폰 액정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59B1 (ko) * 2016-10-13 2017-06-12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3857B1 (ko) * 2017-04-12 2017-07-04 주식회사 씨엠에스 유브이 조사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베젤이 형성된 핸드폰 제조 작업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344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740B1 (ko)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20180109292A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보호 및 재생 기능을 갖는 프로텍터, 이의 부착기재 및 부착방법
KR20180030977A (ko)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KR102159642B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US10317041B2 (en) Optical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79613B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US1185136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glass and carrier film used for the same
US20120092580A1 (en) Controlling spacing between display and reinforcement layer
KR20190041694A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KR101680823B1 (ko) 점착 테이프
CN107111183A (zh) 显示装置
WO2019142950A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CN110715793B (zh) 载物台、物性测定装置及测定方法
US20110176313A1 (en) Optical unit and light guide plate and ink thereof
KR20200022620A (ko)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US20220145117A1 (en) Protective film, tray assembly and coating composition
EP403689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evice
KR20140027898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를 위한 플레이트의 접합 방법
KR20200144608A (ko) 표시장치
KR101249684B1 (ko) 컬러필터 픽셀의 색 예측방법
KR20150079348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를 위한 플레이트의 접합 방법
JP2013047762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