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20A -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20A
KR20200022620A KR1020180098437A KR20180098437A KR20200022620A KR 20200022620 A KR20200022620 A KR 20200022620A KR 1020180098437 A KR1020180098437 A KR 1020180098437A KR 20180098437 A KR20180098437 A KR 20180098437A KR 20200022620 A KR20200022620 A KR 20200022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display device
portable display
film structure
cura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74B1 (ko
Inventor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to KR102018009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09J2205/31

Abstract

보호필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측변과 상기 측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1라운드로부터 연장되는 상변과 하변을 각각 포함하며, 제1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필름부의 상면에 접착되며 제2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강화유리부; 및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변 하면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측변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상변 하면과 상기 제1라운드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착부 및 상기 제1스피커 홀의 외주를 감싸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테이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PROTECTION FILM STRUCTURE AND METHOD FOR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본 발명은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표시장치는 액정화면 안에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 및 각종센서 등이 배치된다. 액정화면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기게 되면, 액정화면의 투시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화면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액정화면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액정화면은 LCD 패널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교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액정보호필름은 스크래치에 강하고 투시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액정화면을 흠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보호필름에 흠집이 많이 생긴 경우에는 액정보호필름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액정화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부착할 때에는 스피커 등과 대응되는 타공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부착하여야 하나, 정확한 위치를 찾아 한 번에 제대로 부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정보호필름을 붙이고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액정보호필름의 점착면에 정전기가 발생해 먼지가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로 침투하여 부착면이 지저분해져 미려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폐기 및 반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액정보호필름을 붙이고 떼어내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점착제를 손으로 만지게 되어 지문이 남으며,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여 실패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한편, 휴대용 표시장치를 충격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이 개시된 바 있다. 나아가,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을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점착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점착하는 경우 지문이 액정보호필름에 묻는 것이 최소화 되나, 액정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으며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3284호(미공개)를 통해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및 보호필름 부착방법을 출원한 바 있다. 본 특허출원의 경우,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나, 휴대용 표시장치의 라운드부에서 가끔 기포가 형성되어 완벽하게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3097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95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1790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은,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보호필름을 접착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게 접착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측변과 상기 측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1라운드로부터 연장되는 상변과 하변을 각각 포함하며, 제1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필름부의 상면에 접착되며 제2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강화유리부; 및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변 하면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측변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상변 하면과 상기 제1라운드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착부 및 상기 제1스피커 홀의 외주를 감싸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테이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의 폭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베젤의 폭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보호필름 구조체의 접착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를 정렬한 뒤 상기 테이프부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상단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거치부에 거치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 하부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주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부로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보호필름 구조체의 접착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놓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를 정렬한 뒤 상기 테이프부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보호필름 구조체를 우선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부착한 뒤 그 사이로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착부와 보호부에 의해 자외선 경화물질이 휴대용 표시장치의 측면 버튼이나 스피커에 흘러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접착부에 의해 자외선 경화물질이 휴대용 표시장치의 상면 틈으로 새어나가지 않으며, 보호필름과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공기는 반대방향인 하면 측으로 배출되므로 기포의 형성이 방지된다.
또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상단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거치부에 거치한 뒤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 하부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주입부를 삽입하여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므로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여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이 위를 향하게 놓고 자외선 경화물질을 뿌린 뒤 보호필름을 부착하여도, 자외선 경화물질이 자연스럽게 퍼지면서 휴대용 표시장치의 하변과 보호필름 사이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므로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생산과정에서 공차가 있어도 정밀한 접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부착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거치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삽입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주입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안착 단계 및 뿌림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부착 단계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관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1000)는,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름부(100)와 강화유리부(200) 및 테이프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1000)는 평면 표시영역(A1) 및 곡면 표시영역(A2)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을 보호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표시장치(10)는 평면 표시영역(A1)과, 평면 표시영역(A1)을 확장하되 해당 영역에서 평면 표시영역(A1)과 별도로 정보제공을 하거나 이벤트 발생이 되며 곡면으로 형성한 곡면 표시영역(A2)을 가지며, 최소화된 베젤을 갖는다. 이른바 엣지 타입의 스마트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1000)는 평면 표시영역(A1)과, 곡면 표시영역(A2) 및 베젤을 충격,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즉,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前面)을 보호하는 것을 그 대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1000)는 하면에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점착되는 것이 아니라,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경화되어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에 접착되는 것을 그 대상으로 한다.
필름부(100)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평면부(110)와 곡면부(120)를 포함한다. 평면부(110)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평면 표시영역(A1) 및 베젤의 일부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변(111과 하변(112)을 포함하며, 곡면부(120)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곡면 표시영역(A2) 및 베젤의 일부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측벽(121)과, 측벽(121)과 상변(111)/하변(112)을 서로 연결하는 제1라운드(122)를 포함한다.
또한, 필름부(100)의 상부에는 휴대용 표시장치(10)에 형성된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스피커 홀(130)이 형성된다.
필름부(100)의 상면에는 강화유리부(200)가 접착된다. 강화유리부(200)에 충격이 가해져 깨지는 경우에도 필름부(100)에 의해 깨진 강화유리부(200)의 조각들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액정보호필름이 강화유리로만 마련되어 직접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되는 경우, 충격이 가해져 강화유리가 깨지게 되면 깨진 강화유리 조각들이 비산되어 사용자가 다칠 위험이 있으며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강화유리부(200)는 직접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필름부(100)의 상면에 접착되어 강화유리부(200)가 깨진 경우에도 필름부(100)에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필름부(100)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름부(100)가 열가소성폴리우레탄으로 마련되는 경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의 형상과 관계없이 부착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강한 효과가 있다.
강화유리부(200)는 필름부(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필름부(100)의 상면에 접착된다. 강화유리부(200)는 휴대용 표시장치(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강화유리부(200)에도 필름부(100)와 같이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스피커 홀(210)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테이프부(300)는 필름부(100)가 자외선 경화물질에 의해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자외선 경화물질이 필름부(100)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테이프부(300)는 제1접착부(310)와 제2접착부(320) 및 보호부(330)를 포함한다. 테이프부(300)는 양면 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착부(3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필름부(100)의 양 측변의 하면에 각각 접착된다. 여기서, 제1접착부(310)의 길이는 필름부(100)의 측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접착부(310)의 폭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곡면 표시영역(A2) 측방의 베젤의 폭 이하로 마련되어 필름부(1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붙이는 경우 제1접착부(310)가 표시영역에 침범되지 않는다.
제2접착부(320)는 상변(111) 하면과, 제1접착부(3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라운드(122)의 하면에 접착된다. 제2접착부(320)는 필름부(100)가 자외선 경화물질에 의해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자외선 경화물질이 필름부(100)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제1접착부(310)와 제2접착부(320)에 의해 필름부(100)의 상변과 제1라운드(122), 측변과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다.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액정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할 때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강화유리로 마련된 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하는 기술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하였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제2접착부(320)를 제1라운드(122)에만 형성하는 경우, 라운드부에 기포가 형성되며 이를 제거하기 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2접착부(330)의 길이를 제1라운드(122)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하는 경우에는 라운드부에 기포가 잘 형성되지 않으나, 다수 회 반복한 결과 가끔씩 기포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접착부(320)가 제1라운드(122) 뿐만 아니라, 상변(111) 하면에도 형성되어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라운드부에서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테이프부(300)는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표시장치(10)와 필름부(100) 사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면, 테이프부(300)의 두께에 따라 주입되는 양이 달라진다. 또한, 동일한 점도의 경우 테이프부(300)의 두께 즉, 휴대용 표시장치(10)와 필름부(100) 사이 간격의 높이에 따라 자외선 경화물질의 이동 속도가 달라진다. 또한, 테이프부(300)의 두께가 얇아지면 자외선 경화물질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테이프부(300)는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부(300)는 0.05mm ~ 0.2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mm의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기 전에 테이프부를 이용하여 필름부를 먼저 휴대용 표시장치에 접착할 수 있으며, 테이프부에 의해 자외선 경화물질이 스피커나 필름부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고,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방법(S1000)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부착 단계(S100)와, 거치 단계(S200)와, 삽입 단계(S300)와 주입 단계(S400) 및 조사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부착 단계의 설명도이다.
부착단계(S100)는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보호필름 구조체(10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하기에 앞서 가접착하는 단계이다.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을 클리너를 이용하여 세정하고, 이형지를 제거하여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보호필름 구조체(1000)를 정렬한 뒤 테이프부(3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한다.
테이프부(300)는 필름부(100)의 양 측변의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접착부(310)와, 필름부(100)의 상변(111) 하면과 제1접착부(3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라운드(122)의 하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320) 및 제1스피커 홀(1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보호부(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착 단계(S100)에서 보호필름 구조체(1000)가 휴대용 표시장치(10)에 가접착되면, 제1접착부(310)에 의해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측변(121), 상변(111), 제1라운드(122) 사이에는 공간이 없으나,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하변(112) 사이에는 미세한 이격공간(S)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거치 단계의 설명도이다.
거치 단계(S200)는 테이프부(300)에 의해 보호필름 구조체(1000)가 접착된 휴대용 표시장치(10)를 거치부(미도시)에 거치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휴대용 표시장치(10)는 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거치된다. 이는 거치부(미도시)의 형상에 의해 거치부(미도시)에 휴대용 표시장치(10)를 놓으면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삽입 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주입 단계의 설명도이다.
삽입 단계(S300) 및 주입 단계(S400)는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로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하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거치되며,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하변(112) 사이에는 미세한 이격공간(S)이 형성되므로, 주입부(I)를 이 이격공간(S)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주입부(I)는 단부에 경사가 형성된 빨대나 주사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격공간(S) 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격공간(S) 사이로 주입부(I)를 삽입하더라도 테이프부(300)에 의해 보호필름 구조체(1000)가 휴대용 표시장치(10)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주입부(I)로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면 주입된 자외선 경화물질은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서 퍼지게 되며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자외선 경화물질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공기는 자외선 경화물질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자외선 경화물질이 휴대용 표시장치(10)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의 공간을 모두 메우게 되면, 휴대용 표시장치(10)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의 공기는 이격공간(S)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자외선 경화물질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휴대용 표시장치(10)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의 공간을 모두 메우게 되며, 공기는 모두 밀려나가 기포가 형성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주입부(I)를 통해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면 공기는 외부로 모두 밀려나가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며, 자외선 경화물질은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전체적으로 퍼져 있게 된다.
조사 단계(S500)는 주입 단계(S400) 후 보호필름 구조체(10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물질이 경화됨으로써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상호 견고하게 접착되는 단계이다.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생산과정에서 공차가 있을 수 있는데,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액정보호필름의 경우 공차에 의해 정밀하게 부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자외선 경화물질이 주입되어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전체적으로 퍼짐으로써, 휴대용 표시장치(10)에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휴대용 표시장치(10)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가 자외선 경화물질로 메워지므로 정밀한 부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방법(S2000)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안착 단계(S100`)와, 뿌림 단계(S200`)와, 부착 단계(S300`) 및 조사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안착 단계 및 뿌림 단계의 설명도이다.
안착 단계(S100`)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평평한 물체 상에 놓는 단계이다. 뿌림 단계(S200`)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뿌리는 단계이다. 여기서 뿌리다는 의미는 소정의 물체 내에 담겨진 자외선 경화물질을 짜서 휴대용 표시장치(10) 전면에 놓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단계에서는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면을 클리너를 이용하여 세정한 뒤 자외선 경화물질을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뿌린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구조체 부착방법의 부착 단계의 설명도이다
부착단계(S300`)는 자외선 경화물질이 휴대용 표시장치에 뿌려진 상황에서 보호필름 구조체(10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하기에 앞서 가접착하는 단계이다. 이형지를 제거하여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보호필름 구조체(1000)를 정렬한 뒤 테이프부(3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한다.
테이프부(300)는 필름부(100)의 양 측변의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접착부(310)와, 필름부(100)의 상변(111) 하면과 제1접착부(3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라운드(122)의 하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320) 및 제1스피커 홀(1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보호부(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착 단계(S100)에서 보호필름 구조체(1000)가 휴대용 표시장치(10)에 가접착되면, 제1접착부(310)에 의해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측변(121), 상변(111), 제1라운드(122) 사이에는 공간이 없으나,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하변(112) 사이에는 미세한 이격공간(S)이 있다.
보호필름 구조체(1000)를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접착하면 보호필름 구조체(1000)에 의한 압력에 의해 자외선 경화물질이 휴대용 표시장치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퍼지게 된다. 자외선 경화물질이 전체적으로 퍼지면서 공기는 밀려나가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하부 사이의 이격공간(S)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평면 영역에는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조사 단계(S500)는 주입 단계(S400) 후 보호필름 구조체(10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물질이 경화됨으로써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상호 견고하게 접착되는 단계이다.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생산과정에서 공차가 있을 수 있는데,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액정보호필름의 경우 공차에 의해 정밀하게 부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자외선 경화물질이 주입되어 보호필름 구조체(1000)와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전체적으로 퍼짐으로써, 휴대용 표시장치(10)에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휴대용 표시장치(10)와 보호필름 구조체(1000) 사이가 자외선 경화물질로 메워지므로 정밀한 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되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보호필름 구조체의 접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보호필름 구조체 100 : 필름부
200 : 강화유리부 300 : 테이프부
S1000 :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S100 : 접착 단계
S200 : 거치 단계 S300 : 삽입 단계
S400 : 주입 단계 S500 : 조사 단계
S100` : 안착 단계 S200` : 뿌림 단계
S300` : 접착 단계

Claims (5)

  1.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접착되는 보호필름 구조체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평면부와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측변과 상기 측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1라운드로부터 연장되는 상변과 하변을 각각 포함하며, 제1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필름부의 상면에 접착되며 제2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강화유리부; 및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변 하면에 각각 접착되며 상기 측변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상변 하면과 상기 제1라운드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착부 및 상기 제1스피커 홀의 외주를 감싸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테이프부;
    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의 폭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베젤의 폭 이하로 마련되는 보호필름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보호필름 구조체의 접착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를 정렬한 뒤 상기 테이프부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상단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거치부에 거치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 하부와 상기 필름부 사이로 주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부로 자외선 경화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보호필름 구조체의 접착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는 단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면에 자외선 경화물질을 놓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상기 보호필름 구조체를 정렬한 뒤 상기 테이프부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KR1020180098437A 2018-08-23 2018-08-23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KR10217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37A KR102179174B1 (ko) 2018-08-23 2018-08-23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37A KR102179174B1 (ko) 2018-08-23 2018-08-23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20A true KR20200022620A (ko) 2020-03-04
KR102179174B1 KR102179174B1 (ko) 2020-11-16

Family

ID=6978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37A KR102179174B1 (ko) 2018-08-23 2018-08-23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0144A (zh) * 2020-09-25 2021-01-05 蕲春广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钢化膜划伤的喷油雾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7903A (ja) 2008-11-13 2010-05-27 Unon Giken:Kk 透明タッチパネル入力側透明樹脂基板の製造方法
KR20120133823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20140111771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KR20160015806A (ko) * 2014-07-31 2016-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성 보호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부
KR20180009586A (ko) 2016-07-19 2018-01-29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20180030977A (ko) 2016-07-19 2018-03-27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KR101849875B1 (ko) * 2017-04-17 2018-04-17 김양규 테두리가 곡면인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27697A1 (en) * 2017-01-09 2018-07-12 Trade Fabrication Systems Ltd Film applic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pane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7903A (ja) 2008-11-13 2010-05-27 Unon Giken:Kk 透明タッチパネル入力側透明樹脂基板の製造方法
KR20120133823A (ko) * 2011-06-01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20140111771A (ko) * 2013-03-12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KR20160015806A (ko) * 2014-07-31 2016-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성 보호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부
KR20180009586A (ko) 2016-07-19 2018-01-29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20180030977A (ko) 2016-07-19 2018-03-27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WO2018127697A1 (en) * 2017-01-09 2018-07-12 Trade Fabrication Systems Ltd Film applic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panel
KR101849875B1 (ko) * 2017-04-17 2018-04-17 김양규 테두리가 곡면인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0144A (zh) * 2020-09-25 2021-01-05 蕲春广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钢化膜划伤的喷油雾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74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292B2 (en) Panel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24362B2 (en) Bezelless display system having a display assembly with an overlay including a transparent section optically bonded to a display region with an optical layer that includes a pre-cured adhesive preform
US20150169089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on Film for a Touch Screen
KR20100027108A (ko) 압력 스프레딩 수단을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39292A (ko)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KR20140142633A (ko)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63325A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のディスプレイ部の保護及び再生機能を有するプロテクター及び付着方法
JP6894589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3324250B (zh) 具触控屏的电子装置及其组装方法
EP2631748A2 (en)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271928A1 (en) A method for bonding first and second panels and a display device
KR20180079096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70086912A (ko) 휴대용단말기 보호필름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장치
KR20130097048A (ko)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WO2018079017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752874B (zh) 面板模块及显示装置
KR101931481B1 (ko)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
JP200923777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22620A (ko)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US100579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duced dead border
KR20190059009A (ko) 유연성 기능층을 갖는 디스플레이면 보호필름
KR1020327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자동 접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접착방법
KR2017008826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커버 글라스 윈도우 구조
KR10165642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
TWI389797B (zh) With anti-glare and self-repair of the surface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