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977A -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977A
KR20180030977A KR1020180031835A KR20180031835A KR20180030977A KR 20180030977 A KR20180030977 A KR 20180030977A KR 1020180031835 A KR1020180031835 A KR 1020180031835A KR 20180031835 A KR20180031835 A KR 20180031835A KR 20180030977 A KR20180030977 A KR 20180030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display device
layer
adhesive composition
fil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515B9 (ko
KR101938515B1 (ko
Inventor
박찬현
윤인수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914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874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18003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15B1/ko
Publication of KR1019385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1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6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to produce glass through wet route
    • C03C1/008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to produce glass through wet route for the production of films o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Abstract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이 개시된다.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곡면 커버 보호필름 및 이의 부착방법{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화면터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므로, 이들 장치의 표시 영역이 찍힘, 눌림, 스크래치 등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높다.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휴대용 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보호필름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높은 경도를 갖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우수한 강화 글라스 보호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기기의 외형이 변화되면서,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가지는 휴대용 표시장치 등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종래 평면 표시영역만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필름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강화 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곡면에 따라 성형하여 제조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하고자 하더라도, 제조 공정상의 한계에 의해 휴대용 표시장치 자체의 곡률도 각 제품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보호 필름의 곡률 역시 각 제품마다 달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곡면 보호 필름을 상기 휴대용 곡면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한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도록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구비하고, 평면 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영역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보호필름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평면 영역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및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약 50 내지 80 wt%이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약 14 내지 49 wt%이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5 w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돌출부들은 도트(dot) 패턴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패턴들 또는 격자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은 약 0.1 내지 10 ㎛의 표면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기재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및 PPE(Polypenylene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10 내지 50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중 가장 자리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필름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노출된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은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를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적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적하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상에 보호필름 부재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로딩 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 부재와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유동성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켜 점착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므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중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곡면 영역의 곡률이 서로 다르더라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터치 감도 저하나 표시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유동성 점착 조성물의 셀프레벨링(Self Leveling) 효과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영역 중 가장자리 부근에 공기층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부착강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 중 상기 점착 조성물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수/발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에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 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도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1000)은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10),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체 표시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100)은 보호필름 부재(110) 및 점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부(F) 및 상기 평면 영역부(F)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곡면 영역부(C1, 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평면 영역부(F)와 곡면 영역부(C1, C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 영역부(F)는 한 쌍의 마주보는 장변들 및 이들 장변을 연결하는 한쌍의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중 평면 표시영역 상부에 배치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영역부(C1, C2)는 상기 평면 영역부(F)의 장변들 각각으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곡면 영역부(C1) 및 제2 곡면 영역부(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 영역부(C1)와 상기 제2 곡면 영역부(C2) 각각은 상기 평면 영역부(F)와의 경계에서 불연속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중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곡면 표시영역들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평면 영역(F)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곡면 표시영역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C1, C2)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또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된다는 것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부착된 다른 필름 또는 코팅막(미도시)에 부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점착층(120)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의 일부 영역만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사이의 영역 중 상기 점착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감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층과 상기 점착층(120)의 광학특성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를 보는 사용자 측면에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점착층(120)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므로, 상기와 같은 터치 감도의 저하나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20)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 상에 도포한 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부에 로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게 하고, 이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 중합 또는 열 중합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 상의 한계로 인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 및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은 개별 제품마다 허용 마진 안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되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과 이에 적용되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게 된다. 그 결과, 유동성이 없는 점착 필름 등의 공지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 부재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할 수 없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표시영역 사이에는 의도하지 않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키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앞에서 설명한 사용자 터치에 대한 감도 및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점착층(120)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이들 사이의 간격 차이를 보상하도록 그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1 cps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너무 약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영역을 넘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로 퍼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5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유동성이 낮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자중만으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는 약 10 내지 25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희석제는 점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후 상기 점착층(120)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증감제, 착색제, 증점제, 중합 금지제 등의 첨가제들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 조성물이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상기 희석제, 상기 광중합 개시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약 50 내지 80 wt%일 수 있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약 14 내지 49 wt%일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5 wt%일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1 wt%일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A)는 보호필름층 (111A), 기재층 (112A) 및 접착층(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10A)은 공지의 글라스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 영역(F) 및 곡면 영역(C1, 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2A)은 투명 고분자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 영역(F) 및 곡면 영역(C1, C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필름층(111A)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13A)은 상기 보호필름층(111A)과 상기 기재층(112A)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113A)의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접착 또는 점착 물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보호필름 부재(110)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3A)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층(111A)과 접착된 상기 기재층(112A)은 앞에서 설명한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층(111A)의 파손 시 상기 보호필름층(111A)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는 부착력 향상 패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들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도트(dot) 패턴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패턴들, 격자형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샌드 블라스팅 공정, 건식 습각 공정, 습식 식각 공정 등을 형성되거나, 성형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점착층(120)과 접촉하는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점착층(120)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향상시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 전체 영역이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되므로,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거나 광투과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표시특성 저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은 약 0.1 내지 10 ㎛의 표면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 거칠기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기술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 거칠기가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재층(112A)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부착력 향상 패턴들 사이의 높이차가 지나치게 커져서 점착 조성물이 균일하게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오히려 부분적으로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는 상기 기재층(112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11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이라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재료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등의 불소계 고분자 물질 또는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PPE(Polypenylene ether) 등의 비불소계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을 상기 기재층(112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폭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을 형성하는 공정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폭이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므로 이 부분에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탈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약 100 내지 300㎛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B)는 보호필름층(111B) 및 발수/발유 패턴(114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A)의 기재층(112A) 및 접착층(113A)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보호필름층(111B)이 상기 점착층(120)을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층(111B)은 하부면에 앞에서 설명한 부착력 향상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110)의 보호필름층(11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B)은 상기 보호필름층(111B)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110)의 발수/발유 패턴(11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C)는 보호필름층(111C), 기재층(112C), 접착층(113C) 및 발수/발유 패턴(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C)는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의 하부면 가장 자리를 일정한 폭만큼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C)이 상기 보호필름층(114C)의 노출된 하부면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호필름 부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은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면의 가장 자리를 약 10 내지 500㎛의 폭만큼,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300㎛의 폭만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C)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상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층(120) 형성을 위한 점착 조성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를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되는데, 이 때 외부 물체가 상기 점착 조성물의 노출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깨져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을 상기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면의 가장 자리를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의 노출된 볼록한 부분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의 외부까지 돌출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점착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 및 도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는 하부 케이스(1100), 상부 케이스(1200) 및 도포 플레이트(1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0)는 제1 지지부(1110) 및 제1 격벽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110)는 가운데 부분에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1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1111)을 둘러싸는 편평한 제1 상부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11)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11)에 삽입된 휴대용 표시장치(10)는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평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하부면의 형상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격벽부(1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고정홈(11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1120)는 상기 고정홈(1111) 및 상기 고정홈(1111)으로부터 일정 폭만큼의 상기 제1 상부 평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0)는 제2 지지부(1210) 및 제2 격벽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210)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 중 상기 제1 격벽부(1120)에 의해 노출된 영역에 지지되는 제2 하부 평면 및 상기 제2 하부 평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상부 평면을 구비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고정홈(1111) 및 이에 삽입된 휴대용 표시장치(10) 전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지지부(1210)는 상기 제1 격벽부(1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하부 평면이 상기 제1 격벽부(11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하부 평면과 상기 제2 상부 측면을 연결하는 외부 측면이 상기 제1 격벽부(1120)의 내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는 상기 고정홈(1111)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에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두께는 상기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부(1220)는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제2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개구부(12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부(1220)는 상기 개구부(1211) 및 상기 개구부(1211)로부터 일정 폭만큼의 상기 제2 상부 평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는 상기 고정홈(1111)보다 큰 면적을 갖는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격벽부(12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격벽부(1220)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 상부 평면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될 수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2개의 주입홀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에는 2개를 초과하는 주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두께가 상기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크므로,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서 이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격벽부(122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의 측면은 상기 제2 격벽부(1220)의 내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를 이용하여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먼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를 상기 하부 케이스(1100)의 고정홈(1111)에 고정시킨 후 상기 상부 케이스(1200)를 상기 하부 케이스(1100)의 제1 격벽부(1120)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를 상기 상부 케이스(1200)의 제2 격벽부(1220) 내에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상부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점착 조성물을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의 주입홀(1301)을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먼저,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를 상기 상부 케이스(1200)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상부 케이스(1200)의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를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로딩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하게 되어 상기 점착 조성물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에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점착 조성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영역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경화 또는 열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의 광경화 방법 및 열경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조성물이 광경화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은 태양광, 형광등, LED 광원, UV 램프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 부재와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유동성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켜 점착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므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중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곡면 영역의 곡률이 서로 다르더라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터치 감도 저하나 표시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 중 상기 점착 조성물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수/발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에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110: 보호필름 부재
111: 보호필름층 112: 기재층
113: 접착층 114: 발수/발유 패턴
120: 점착층
1000: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
1100: 하부 케이스 1110: 제1 지지부
1120: 제1 격벽부 1200: 상부 케이스
1210: 제2 지지부 1220: 제2 격벽부
1300: 도포 플레이트

Claims (21)

  1.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평면 영역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및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50 내지 80 wt%이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14 내지 49 wt%이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0.5 내지 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도트(dot) 패턴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패턴들 또는 격자형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은 0.1 내지 10 ㎛의 표면 거칠기(R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기재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및 PPE(Polypenylene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곡면 커버 보호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10 내지 500㎛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중 가장 자리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필름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노출된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9.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를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적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적하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상에 보호필름 부재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로딩 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1020180031835A 2016-07-19 2018-03-20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KR101938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ko) 2016-07-19 2018-03-20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91A KR102038740B1 (ko) 2016-07-19 2016-07-19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ko) 2016-07-19 2018-03-20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91A Division KR102038740B1 (ko) 2016-07-19 2016-07-19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977A true KR20180030977A (ko) 2018-03-27
KR101938515B1 KR101938515B1 (ko) 2019-01-15
KR101938515B9 KR101938515B9 (ko) 2023-12-20

Family

ID=8931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ko) 2016-07-19 2018-03-20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5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67A (ko) * 2018-04-10 2019-10-18 (주)화이트스톤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90119793A (ko) * 2018-04-13 2019-10-23 전자부품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KR102049770B1 (ko) * 2018-06-22 2020-01-08 도우성 자외선 경화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곡면 점착 방법
KR20200022620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더하기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CN111100572A (zh) * 2019-12-16 2020-05-05 苏州久鋐电子有限公司 仿形曲面复合保护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523B1 (ko) 2019-08-22 2021-10-21 주식회사 영우 곡면부착 성능이 개선된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7903A (ja) * 2008-11-13 2010-05-27 Unon Giken:Kk 透明タッチパネル入力側透明樹脂基板の製造方法
CN101724374A (zh) * 2009-11-30 2010-06-09 北京海斯迪克新材料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紫外线固化封装胶粘剂
KR101422827B1 (ko) * 2012-09-11 2014-07-24 정종환 굴곡진 화면용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149B1 (ko) * 2013-04-01 2013-12-26 (주)아팩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KR101602103B1 (ko)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곡면 형상을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의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67A (ko) * 2018-04-10 2019-10-18 (주)화이트스톤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90119793A (ko) * 2018-04-13 2019-10-23 전자부품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KR102049770B1 (ko) * 2018-06-22 2020-01-08 도우성 자외선 경화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곡면 점착 방법
KR20200022620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더하기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CN111100572A (zh) * 2019-12-16 2020-05-05 苏州久鋐电子有限公司 仿形曲面复合保护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515B9 (ko) 2023-12-20
KR101938515B1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740B1 (ko)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KR101938515B1 (ko)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KR20180109292A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보호 및 재생 기능을 갖는 프로텍터, 이의 부착기재 및 부착방법
US814224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11469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962024B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20090024133A (ko) 가요성 도광체
US2022008135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glass and carrier film used for the same
KR102159642B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US9791689B1 (en) Joining of pixel wall and photospacers in an electrowetting display
KR102279613B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20190041694A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WO2019142950A1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KR102179174B1 (ko) 보호필름 구조체 접착 방법
TWI838346B (zh) 透明面板之製造方法、光學裝置之製造方法
KR20160052972A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US11675225B2 (en)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device
KR20180051813A (ko) 곡면 형상의 표면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4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118

Effective date: 2021071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8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1014

Effective date: 202302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5010774;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3500000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1013

Effective date: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