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360A -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360A
KR20180109360A KR1020170038982A KR20170038982A KR20180109360A KR 20180109360 A KR20180109360 A KR 20180109360A KR 1020170038982 A KR1020170038982 A KR 1020170038982A KR 20170038982 A KR20170038982 A KR 20170038982A KR 20180109360 A KR20180109360 A KR 2018010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dation
color
form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711B1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3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 상에 금속을 포함하는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전자제품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빛 반사도가 달라져 심미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Gradation deco-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냉장고, 전자레인지, 정수기, 텔레비전 등의 전자제품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전자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제품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전자제품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어 경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긁힘 자국 등의 흠집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제품의 보호뿐만 아니라, 심미성 향상을 위한 휴대폰 필름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폰 필름은 다양한 개성을 가진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도록 필름의 색상, 광택, 그리고 문양(즉, 패턴) 등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52430호는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은 휴대폰의 통상의 투명필름으로 이용되는 투명 스티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스티커 원단에 통상의 UV옵셋 인쇄후 통상의 UV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의 일측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투명필름을 열건조기로 이동하여 30 내지 45℃로 8 내지 12시간 열처리하여 투명필름에 에폭시 수지를 접합하여 에폭시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보호필름을 상온에서 4 내지 6시간 식힌 후 건조기에서 꺼내 에폭시 보호필름을 완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폭시 보호필름을 개별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UV옵셋 인쇄 후 UV코팅을 수행함에 따라 인쇄판 면에서 잉크 화상을 블랭킷에 전사하여 다시 피착물에 인쇄를 해야하고, 별도의 UV 조사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별도의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을 포함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은 심미성 및 시인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524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고, 심미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 상에 금속을 포함하는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에서 상기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일정하게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0.1 ~ 0.2 mm씩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롤투롤(roll-to-rll) 열전사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열전사 공정은 0 ~ 260 kgf/mm2의 압력 및 60 ~ 110 ℃의 온도 하에서 0.1 ~ 2.0 inch/sec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1 ~ 5 층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 상에 배치되는 빛반사층,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차폐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은 전자제품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빛 반사도가 달라져 심미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전자제품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빛 반사도가 달라져 심미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중 다층 그라데이션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에 사용되는 롤투롤(roll to roll) 열전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휴대폰 백커버에 적용했을 때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 도 1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 상에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을 형성하여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 상에 금속을 포함하는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a를 참고하면 베이스 필름(100)을 준비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0)은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컬러층, 빛반사층, 및 컬러차폐층이 열전사되어 형성되는 피전사체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0)은 열전사에 적합한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일예로, 상기 베이스 필름(100)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마이드(PA),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마이드-이미드(PAI), 및 폴리에틸렌이민(PE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PET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그라데이션층의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필름(100) 상에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210,220,230)을 적층하여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은 후술되는 빛반사층(400)에 의한 빛반사가 데코필름의 가장자리에서 각도 또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변화될 수 있도록 가장 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에서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210,220,230)은 상기 기설정된 거리(D)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빛반사층에 의한 빛반사가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며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일정하게 줄어들 수 있다(D1>D2>D3).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100) 상에 가장 먼저 배치되는 제1그라데이션층(210)은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에서 광투과율이 0%인 상태이고, 가장자리에서 광투과율이 100%인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광투과율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그라데이션층(210)에서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은 1mm ~ 5 mm일 수 있다. 상기 제1그라데이션층(210)에서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가 1 mm 미만일 경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에 의한 빛반사 효과가 떨어져 시인성 및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고, 5 mm를 초과할 경우 그라데이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그라데이션층(220)은 상기 제1그라데이션층(210)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보다 줄어든 거리(D2)에서 광투과율이 0%인 상태이고,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2)에서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100%로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그라데이션층(230)은 상기 제2그라데이션층(220)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2)보다 줄어든 거리(D3)에서 광투과율이 0%인 상태이고,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3)에서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100%로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데이션층들(210,220,230)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0.1 ~ 0.2 mm씩 줄어들 수있다.
즉, 상기 D1과 D2 및 D2와 D3의 거리 차가 0.1 ~ 0.2 mm일 수 있다. 상기 거리 차가 0.1 mm 미만일 경우 후술되는 빛반사층(400)에 의한 미러링 효과가 떨어져 시인성 및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차가 0.2 mm를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시선 각도 또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이 적용되는 제품의 각도에 따라 빛반사 차이가 크기 않기 때문에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층들(210,220,230)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0.14 mm씩 줄어들 때 빛반사층(400)에 의한 점층적 빛반사 효과, 시인성, 및 심미성이 가장 우수하다.
한편,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은 도 2와 같이 3층 구조가 아닌 다층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이 1 ~ 5층 구조일 경우 빛반사층(400)에 의한 점층적 빛반사 효과, 시인성, 및 심미성이 가장 우수하다.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이 1층 미만의 구조를 가질 경우 그라데이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5층을 초과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 후술되는 빛반사층에 의한 빛반사 효과가 떨어져 시인성 및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름 상에 필름의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D2,D3)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잉크 농도 구배를 두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필름의 양측 선분에 대한 가장자리로부터 광투과율이 구배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을 이루는 선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선분에 대한 가장자리로부터의 광투과율 구배가 가능하며, 나아가 모든 선분에 대한 가장자리로부터 광투과율이 구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에 의해 후술되는 빛반사층(400)으로 인한 빛반사 효과가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가장 자리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그라데이션층(210)에서 설정된 거리(D1)까지 빛반사가 점층적으로 약해진다. 이에, 사용자의 시선 각도 또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이 적용되는 제품의 각도에 따라 빛반사가 다르게 나타나 가장자리의 시인성이 우수하며, 심미적인 효과 또한 향상된다.
다시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 상에 컬러 잉크리본을 열전사하여 컬러층(300)을 형성한다. 상기 컬러층(300)은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에 다양한 색상을 주어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 필름에 사용될 수 있는 염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도 1c에는 컬러층(300)이 단일층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컬러층(300)에 포함되는 염료는 Magenta VP, MS Red G, Macrolex Red Violet R, 및 MS Magenta HM-1450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계통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고, Waxoline Yellow GFW, Kayaset Yellow GN, 및 Foron Brillinat Yellow 6G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황색계통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Kayaset Blue 714, Waxoline Blue AP-FW, 및 MS Cyan HM-12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계열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컬러 잉크리본은 상기 염료와 더불어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는 소정의 접착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 및 컬러층(3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d를 참고하면, 상기 컬러층(300) 상에 빛반사 잉크리본을 열전사하여 빛반사층(400)을 형성한다. 상기 빛반사층(400)은 빛반사 효과를 나타내는 금속을 포함하는 층이다. 상기 빛반사층(400)에 주석(Sn)을 포함할 경우 빛반사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e를 참고하면, 상기 빛반사층(400) 상에 컬러차폐 잉크리본을 열전사하여 컬러차폐층(500)을 형성한다. 상기 색 차폐층은 유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광을 공급할 경우에만 상기 빛반사층(400)에 포함된 금속 입자에 의해 광투과 효과가 발현되게 하여 시인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컬러차폐층(500)은 컬러차폐 효과가 있는 유색 안료 또는 염료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에 사용되는 롤투롤(roll-to-roll) 열전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은 도 3과 같은 롤투롤 열전사 장치에 의해 수행되므로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사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열전사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로(1),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순차적으로 각 단계에 적합한 잉크리본들을 열전사하는 복수개의 열전사단(2),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잉크리본들이 열전사된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압착시키는 압착롤(3), 및 상기 압착롤(3)에 의해 압착된 일면에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롤(4)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각 단계별로 각 층을 이루는 잉크가 도포된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열정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든 단계의 열전사 공정은 0 ~ 260 kgf/mm2의 압력 및 60 ~ 110 ℃의 온도 하에서 0.1 ~ 2.0 inch/sec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전사 시 압력이 260 kgf/mm2를 초과할 경우, 반응 안정성이 떨어져 단면이 울퉁불퉁한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전사 시 온도가 60℃ 미만일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잉크리본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고, 110℃를 초과할 단면이 울퉁불퉁한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 공정의 속도가 0.1 inch/sec 미만일 경우 공정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2.0 inch/sec를 초과할 경우 단면이 울퉁불퉁한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은 베이스 필름(100) 상에 배치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200),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 상에 배치되는 컬러층(300), 상기 컬러층(300) 상에 배치되는 빛반사층(400), 및 상기 빛반사층(400) 상에 배치되는 컬러차폐층(5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200)은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에서 상기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일정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빛반사층(400)에 의한 빛반사가 데코필름의 가장자리에서 점층적으로 이루어져 시인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휴대폰, 텔레비전, 전자레인지, 냉장고,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휴대폰 백커버에 적용했을 때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을 휴대폰 백커버에 적용했을 때 가장자리에 빛반사 및 컬러감이 구형됨에 따라 시인성 및 심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이송로 2 : 열전사단
3 : 압착롤 4 : 권취롤
100 : 베이스 필름 200 : 다층 그라데이션층
300 : 컬러층 400 : 빛반사층
500 : 컬러차폐층

Claims (7)

  1.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 상에 금속을 포함하는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에서 상기 가장자리까지 광투과율이 일정하게 점층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일정하게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순서대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가 0.1 ~ 0.2 mm씩 줄어드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빛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차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롤투롤(roll-to-rll) 열전사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열전사 공정은 0 ~ 260 kgf/mm2의 압력 및 60 ~ 110 ℃의 온도 하에서 0.1 ~ 2.0 inch/sec의 속도로 수행되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은 1 ~ 5 층 구조인 그라데이션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7.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그라데이션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기 다층 그라데이션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 상에 배치되는 빛반사층; 및
    상기 빛반사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차폐층;을 포함하는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KR1020170038982A 2017-03-28 2017-03-28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7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82A KR102007711B1 (ko) 2017-03-28 2017-03-28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982A KR102007711B1 (ko) 2017-03-28 2017-03-28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60A true KR20180109360A (ko) 2018-10-08
KR102007711B1 KR102007711B1 (ko) 2019-08-06

Family

ID=6386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982A KR102007711B1 (ko) 2017-03-28 2017-03-28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1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07B1 (ko) * 2019-08-01 2020-04-08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5018A (ko) 2019-01-31 2020-08-1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그라데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5035A (ko) 2019-01-31 2020-08-1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그라데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9145A (ko) * 2019-04-09 2020-10-1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21277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6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5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필름용 칼라 반사층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8783B1 (ko) * 2009-12-2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코팅부재 및 이를 이용한 캐비닛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JP2016074120A (ja) * 2014-10-06 2016-05-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装飾パネル及び装飾パネルを用い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83B1 (ko) * 2009-12-2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코팅부재 및 이를 이용한 캐비닛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6074120A (ja) * 2014-10-06 2016-05-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装飾パネル及び装飾パネルを用いた冷蔵庫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18A (ko) 2019-01-31 2020-08-1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그라데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5035A (ko) 2019-01-31 2020-08-10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그라데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9145A (ko) * 2019-04-09 2020-10-1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98707B1 (ko) * 2019-08-01 2020-04-08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1277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6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5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필름용 칼라 반사층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11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360A (ko)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2306B1 (ko) 적층 필름 및 성형체, 반사체
KR101973521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2032644A1 (fr) Article forme antireflex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et moule a cet effet
KR102163362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2390687B1 (en) 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ure and use thereof
JP2011131597A (ja) 立体感形成外装材
KR20200119144A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11660A1 (en) Textured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tructure
CN110978832A (zh) 壳体的制作方法、壳体以及电子设备
KR101973518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101559793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5894A (ja) ヘアライン調加飾シート
JP7074436B2 (ja) 装飾シート、装飾シートを含む構造体及び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EP3706995A1 (en) Light-transmissive decorative film, molded article containing light-transmissive decorative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ghting display device
CN110901255B (zh) 一种非对称结构的防伪证卡与制作方法
JP2007271896A (ja) 着色フィルム
WO2019092582A1 (en) Light-transmissive decorative film, molded article containing light-transmissive decorative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ghting display device
KR100960841B1 (ko) 반사 광선의 흔들림이 방지 가능한 명판 제작용 적층체
KR102163360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433B1 (ko)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4595A (ko)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3108A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1936885B1 (ko)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CN108751740B (zh) 一种具有龟裂效果的盖板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