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727A -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727A
KR20170027727A KR1020167036070A KR20167036070A KR20170027727A KR 20170027727 A KR20170027727 A KR 20170027727A KR 1020167036070 A KR1020167036070 A KR 1020167036070A KR 20167036070 A KR20167036070 A KR 20167036070A KR 20170027727 A KR20170027727 A KR 2017002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wing gum
bulking agent
gum composition
preferentially
su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459B1 (ko
Inventor
앙드레 뷔솔랭
앙투안 바르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5706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277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17002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f the chewing gum b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61K9/0058Chewing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2Replacer
    • A23V2200/132Sugar repla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행 기술 생성물에 비해, 관능 특성에 부정적인 효과 없이,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가지며 또한 감소한 양의 검 기제를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3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또는 약제학적 생성물의 신규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상기 생성물 내의 검 기제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의 생산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NOVEL COMPOSITION OF A CONFECTIONERY PRODUCT}
본 발명은, 선행 기술 생성물과 비교하여, 관능 특성(organoleptic property)에 부정적인 효과 없이,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가지고 또한 감소한 양의 검 기제를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3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또는 약제학적 생성물의 신규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생성물의 검 기제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의 생산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츄잉 검의 도입 오래전부터 매우 긴 기간 동안 저작하는 것에 대해 알고 있었다. 실제로, 선사시대 인간은 침엽수(conifer) 수액, 잎, 식물 분비물 및 뿌리를 이미 저작하곤 했다. 멕시코에서, 마야인들은 3000년 더 전에 "치클(chicle)"로 공지된 라텍스의 일종인 사포딜라(sapodilla) 수액을 저작하곤 했다. 기원전 400년에, 그리스인들은 수지를 저작하곤 했고, 아마존 인디언들은 콜라 나무인 작은 페루비안(Peruvian) 관목으로부터 추출된 코카 뭉치 또는 담배 덩이를 저작하곤 했다.
그러나, 19세기가 되어서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츄잉 검이 나타났다.
1869년에, 치아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확신한 치과의사인 윌리암 핀레이 셈플(William Finley Semple)이 츄잉 검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였지만, 그는 그의 발명을 판매하지는 않았다. 약 1870년에야 뉴욕의 토마스 아담스(Thomas Adams)가 츄잉 검을 생산하는 기계를 개발하는 아이디어를 가졌다. 치클, 수지 및 시럽을 혼합함으로써, 그는 1872년에 최초의 츄잉 검을 생산하고 판매하였다.
오늘날, 프랑스는 미국 다음으로 츄잉 검의 제2의 세계적인 소비자가 되었다. 츄잉 검은 하루 중 어느 때에도 소비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이 기분 좋은 것을 소비하거나 달콤한 것을 먹기를 원할 때 이상적인 제품이다. 더욱이, 이의 향과 무관하게, 츄잉 검은 입김을 상쾌하게 하고, 위생 및 사회적 역할을 한다. 53%의 사람은 입김을 상쾌하게 하기 위해 츄잉 검을 저작한다. 츄잉 검은 점점 더 치약에 대한 대체물로서 나타난다. 39%의 사람은 양치할 수 없을 때 치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츄잉 검을 저작한다. 츄잉 검이 타액의 분비 및 위의 작업을 수월하게 함으로써 소화를 촉진하므로, 츄잉 검은 특히 식사 후에 소비된다. 많은 소비자는 스트레스방지 물질로서 또는 신경 긴장의 감소 및 완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츄잉 검을 사용한다. 개인 중 30%는 이들이 짜증날 때 츄잉 검을 좋아하고, 27%는 츄잉 검을 저작할 때 진정된다. 츄잉 검은 흡연에 대한 효과적인 대체물로 또한 고려된다. 담배 소비의 감소에 관한 법적 수단이 강하게 증가하는 시대에, 츄잉 검은 여전히 개발을 위한 무르익은 관점을 갖는다.
츄잉 검(또는 츄잉 검 페이스트, 치클레트(chiclette))은 저작하도록 의도되는 향료 및 식품 프래그런스(fragrance)가 첨가되는 검이다. 모든 츄잉 검은 맛을 제공하도록 향료 및 당 및/또는 감미료가 첨가되는 검 기제로부터 생산된다. 츄잉 검은 액상(시럽, 희석 당 및/또는 감미료), 및 검 기제 및 과립 당 및/또는 감미료로 이루어진 고상의 2개 상의 혼합물이다.
현재에, 사포딜라 나무의 몸통으로부터 유래되었지만, 나무의 희귀성 및 과도하게 높은 생산 및 운송 비용으로 인해 너무 비싸진, 천연 검 기제인 치클은 하기로 이루어진 합성 생성물(검 기제)에 의해 대체된다:
- 탄성을 결정하는 1종 또는 2종의 엘라스토머,
- 연화점을 낮추고 점착방지 및 가소화 분말을 갖는 왁스,
- 기계적 품질을 개선하는 광물 벌크화제,
- 생산 동안 검의 품질을 보호하고 이것이 시효되는 것을 방지하는 항산화제,
- 검의 원료와 함께 결합하는 수지.
이들 5종의 성분의 용량은 검의 유형(츄잉 검 또는 버블 검)을 결정한다. 레시피는 대개 비밀로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원료의 가격에 따라 변한다. 검 기제의 구성 성분은 수불용성이다. 반면에, 검 기제를 제외하고, 츄잉 검의 구성 성분의 대부분은 물(즉, 이 경우에는 타액) 중에 가용성이다. 3분 내지 4분의 저작 시간 후, 화합물은 타액에 의해 추출(용해)되고, 그러므로 츄잉 검의 맛이 소실된다. 수용성이 아닌 약간의 향료 및 검 기제가 입속에 남는다.
검 기제는 생산하기에 복잡한 생성물이다: 성분은 다소 탄성인 검을 얻기 위해 엄격히 계량된다. 성분들은 제과점 혼련기와 같이 동작되는 혼련기에서 1시간 반 내지 2시간 동안 블렌딩된다. 블렌딩은 검을 가열한다. 이것은 마지막으로 95℃ 내지 98℃의 온도에 도달한다. (치클 대신에) 사용된 엘라스토머는 식품 품질의 이소부틸렌-이소프렌 (부틸) 공중합체이다.
향료, 감미료 또는 당 및 또한 다양한 첨가제 및 제조 조제(착색제, 젤라틴, 유화제, 안정화제, 겔화제, 중탄산염, 카르나우바 왁스)가 이 기제에 첨가된다. 성분 및 검 기제는 15분 내지 20분 동안 혼련기에서 혼합된다. 블렌딩의 종료 시, 페이스트는 대략 50℃의 온도에 도달한다. 츄잉 검 페이스트는 압출기내에 배치된다. 정확히 압축되면, 이것은 이후 다소 두꺼운 스트립을 형성한다. 스트립은 이후 롤러를 통과하고 절단되어 센터(center)로 또한 공지된 스틱 또는 코어가 된다. 냉각 후, 스틱 또는 센터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제어 온도 및 습도에서 유지된다. 츄잉 검의 품질이 이 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단계는 조심스럽게 제어된다.
스틱은 이들 모두의 맛을 보전하기 위해 알루미늄 랩핑에 둘러싸인다. 이것은 이후 패킷(packet)에 배치된다. 센터는 판지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되기 전에 단맛 코팅된다.
소비자의 연령과 무관하게, 고급품을 가지고자 하는 영구적인 바람이 존재한다. 츄잉 검의 품질은 츄잉 검의 질감(다소 경질 또는, 반대로, 다소 연질, 저작 동안 단맛 코팅 정제의 지속적인 씹는감(crunchiness)) 및 맛(단맛, 청량 효과 또는 달리 저작 동안 향의 지속성)을 포함하는 여러 매개변수에 의해 측정된다. 실제로, 소비자는 씹는감 및 맛 모두가 저작 동안 너무 빨리 사라지는 것을 매우 자주 불평한다.
더욱이,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영구적인 바람으로, 제조사는 최종 생성물의 관능성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들의 이미 기존의 레시피의 개선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추구되는 이 비용 감소는 예를 들어 검 기제와 같은 고가의 성분의 감소 및/또는 사용된 향료의 양의 감소를 포함한다.
수많은 회사에 의해 맛의 지속성에 대해 수많은 조사 연구가 이미 수행되었다. 출원인은 또한 이 과제에 착수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특허 EP 0 664 960 B를 언급할 수 있고, 여기서 출원인은, 분체 상으로서, 95% 초과의 말티톨 순도 및 츄잉 검 내의 말티톨 입자의 50%가 90_마이크론 미만의 크기인 입자 크기를 갖는 말티톨을 내부에 혼입함으로써, 츄잉 검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고, 특히 영향(impact) 및 기간의 면에서 맛 및 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선행 기술을 추가로 개선하고, 특히 소비자의 영원한 요구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바람으로, 출원인은, 관능적 특성 및 특히 저작 용적 및/또는 소비자에 의해 저작 동안 인지되는 아로마틱 노트(aromatic note)에 대한 영향 없이, 최종 생성물 내의 감소한 양의 검 기제를 갖는, 모든 원하는 특징을 갖는, 신규한 츄잉 검을 얻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수많은 조사 연구 후, 출원인은 특정한 비표면적 및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다공도를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선행 기술 츄잉 검의 모든 관능 특징을 갖는 츄잉 검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놀랍게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상당히 특정한 벌크화제의 사용은 그 중에서 츄잉 검 조성물의 프로세싱에서 사용된 검 기제의 양을 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3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츄잉 검 조성물은 또한 벌크화제가 바람직하게는 0.008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80 ㎖/g 미만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0.0070 ㎖/g 미만의 다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벌크화제는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 내에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45% 내지 55% 존재하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중량으로 표현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또한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가 비우식원성(non-cariogenic) 탄수화물, 및/또는 섬유 및/또는 단당류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비우식원성 탄수화물,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폴리올 및/또는 알룰로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분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이소말트, 이소말티톨, 락티톨,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6-소르비톨(= 1,6-GPS),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1-말티톨(= 1,1-GPM),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1-소르비톨(= 1,1-GPS)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특히 선택된 벌크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벌크화제는 소르비톨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더 우선적으로는 95% 초과의 순도를 갖는 소르비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 10% 내지 28%, 우선적으로는 15% 내지 25%,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20%의, 적어도 1종의 검 기제,
-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45% 내지 55%의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될 때 낮은 비표면적, 즉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
- 0.1% 내지 5%, 우선적으로 0.5% 내지 3%,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1% 내지 1.8% 적어도 1종의 향료를 포함하고,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또는 식품 용도를 위한, 츄잉 검의 생산에서의 및/또는 정제의 제조에서의,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때,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이,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될 때,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3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츄잉 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에 걸쳐, 표현된 모든 백분율은, 달리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 한,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생 간주될 것이다.
분말의 비표면적은 질량의 단위당 전개된 표면에 상응하고, 개방 다공도가 포함된다. 이것은 입자의 형상 및 이의 표면의 조도를 고려한다. 비표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참고 업무에 널리 기록되어 있다. 고체, 이 경우에 벌크화제의 비면적은 탈기 후 각각의 입자 주위에서 그리고 샘플의 각각의 개방 기공 내에서,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결합에 의해, 가스의 단층의 흡착에 의해 결정된다. 얻어진 결과는 브루나우어(Brunauer), 에메트(Emmet) 및 텔러(Teller)에 의해 확립된 식에 따라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의 비표면적은, 에스. 브루나우어 등에 의한 논문 [BET Surface Area by Nitrogen Absorption(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60, 309, 1938)]에 기재된 기법을 따라, 분석된 생성물의 표면으로의 질소의 흡착에 대한 시험에 기초하여, SA3100 타입 벡커만-코울터(Beckman-Coulter) 비표면적 분석기에 의해 결정된다.
BET 분석은 3가지 점에서 수행된다.
정의에 의하면, 또한 "비면적"이으로도 불리는 비표면적(Ss)은 질량(M)의 단위당 전체 표면적(As)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는 ㎡/g 단위로 표현된다.
비표면적은 이의 겉보기 표면적과 반대로 물체의 실제 표면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우선적 방식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벌크화제가,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때,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다.
이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벌크화제는, 이의 비표면적의 분석을 거치기 전에, 입자 크기가 250 ㎛ 내지 841 ㎛인 체에서 체질을 겪는다. 이것은 직경이 250 ㎛ 미만인 입자 및 또한 직경이 841 ㎛ 초과인 입자를 모두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벌크화제의 분말의 주요 분포에 관한 입자 크기 분획에 집중할 수 있게 하고, 분석을 왜곡시킬 수 있는, 지나치게 조악한 미세물질 및 입자를 필요 없게 할 수 있다.
츄잉 검 조성물의 또 다른 특징적인 매개변수는 이것이 바람직하게는 0.008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80 ㎖/g 미만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0.0070 ㎖/g 미만의 다공도를 갖는 벌크화제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원에서, 용어 "다공도"는 분체 벌크화제를 구성하는 모든 갭(기공)을 의미하도록 의도되고, 이 갭은 유체(액체 또는 가스)에 의해 충전된다. 이것은 기재의 흐름 및 보유 능력을 좌우하는 물리적 매개변수이다.
다공도는 또한 다공성 매질의 전체 용적에 대한 갭의 용적의 비율로서 정의된 숫자 값이다.
Figure pct00001
식에서,
- ψ: 다공도,
- V pores : 기공 용적, 및
- V total : 벌크화제의 전체 용적, 즉 고체의 용적과 기공 용적의 합.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벌크화제가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45%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중량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벌크화제"는 말티톨 이외의 비우식원성 탄수화물, 및/또는 섬유 및/또는 단당류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분체 조성물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벌크화제가 말티톨 이외의 비우식원성 탄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동일한 우선적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비우식원성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우식원성"은 이것이 소비될 때 충치를 생성하지 않는 츄잉 검 조성물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종래의 당, 예컨대 수크로스, 글루코스 또는 프럭토스를 함유하는 츄잉 검 조성물보다 입의 박테리아에 의한 산화를 덜 발생시킨다.
비우식원성 효과는 사실, 치태(또는 덴탈 필름(dental film))를 콜로니화하고 식품 내의 당을 대사시키고 발효시켜서, 산, 특히 락트산을 생성시키는, 구강에서의, 다수의 매우 다양한 박테리아, 특히 우식원성 박테리아(특히 돌연변이체 스트렙토코커스)의 존재로부터 기인한다. 상기 산은 5.7의 치명적인 pH 아래로 치아의 말초 pH를 감소시키고, 이의 결과는 법랑질의 수산화 인회석을 용해시키고 내부에서 우식을 생성한다. 높은 산도가 법랑질의 탈회(분해)를 발생시키므로 치아는 이후 약해진다. 충치는 이후 치아 내부에 진행하고 치수(pulp)에 도달하여 통증을 야기한다.
실제로, 발효성 탄수화물(당 또는 수크로스, 프럭토스, 전분 등 함유)이 농후한 식품의 반복 소비, 및 또한 입에서의 오랜 잔류 시간은 충치의 발생에 적합한 환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우식원성 탄수화물"은 모든 비발효성 탄수화물 또는 비산생성 탄수화물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비우식원성 탄수화물이 폴리올, 그러나 또한 이소말투로스, 자일로스, 자일룰로스, 알룰로스, 아라비노스, 류크로스, 타가토스, 트레할루로스 및 라피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비발효성 단당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이 탄수화물은 발효에 의해 산으로 전환될 수 없고, 따라서 충치의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이 비발효성 탄수화물은 구강의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되지 않고 산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5.7의 임계 값 아래에서 입속에서의 pH 감소가 없고, 우식원성 및 부식성 위험이 생기지 않는다.
하나의 우선적 방식에 따르면, 비우식원성 탄수화물은 폴리올 및/또는 알룰로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심패던트(Sympadent)[치아보호성] 라벨을 충족시킨다.
과자류 제조사의 관점으로부터, 매우 명확한 바람이 또한 생긴다. 그것은 비우식원성 과자류 제품, 즉 과자류 제품이 함유하는 생성물이 산을 생성하지 않고 박테리아 구강 세균총에 의해 대사되지 않으므로, 치아 부패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제조사는 이들의 과자류에서 모두가 알고 있고 인지하는 라벨을 나타낼 수 있도록 Association Sympadent Suisse[스위스 치아보호 협회]의 매우 엄격한 사양을 만족시키는 과자류 제품을 얻도록 추구하고 있다. 우산을 갖는 치아 형태의 작은 인간인 이 라벨은 생치보호성 제품(dentition-friendly product)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생치를 보존하는 행동의 서비스에서 표시자로서 작용하도록 Action Sympadent에 의해 생성되었다. 이들 제품은 우식원성도 아니어야 하고 부식성도 아니어야 한다. 다양한 유형의 당은 우식원성이어서, 이것이 충치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해로운 부식성 가능성은 제품의 산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심패던트[치아보호성] 라벨을 보유하는 제품은 "원격측정에 의한 pH의 측정"으로 공지된 과학 시험을 통과해야만 한다. 이 시험은 독립 시험 센터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치간 강에서 치태로 덮인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실험 대상에서 치태의 pH가 측정되는 일반화된 절차이다. 측정은 시험하고자 하는 과자류 제품의 소비 동안에 그리고 이의 소비 30분 후에 발생한다. 과자류 제품은 pH가 5.7의 임계치 아래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비우식원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부식성 가능성은 타액에 배치된 치태 없이 전극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이의 소비 동안에 40 μmol 미만의 산으로 치아를 노출시키는 제품은 비부식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우산 아래에서 웃고 있는 치아는 세계에 걸쳐 이해할 수 있는 상징이다. 이것은 추가의 설명 없이 이해된다. 이것을 보유하는 제품은 치아보호성이다. 이 픽토그램 및 영양가의 일반화된 표시는 생치 보호성인 건강한 식품에 기여한다. 소비자는 오히려 이 로고를 갖는 과자류 제품을 구매하려는 유혹을 받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우선적 방식에서, 비우식원성 탄수화물은 또한 무가당이다.
하나의 훨씬 더 우선적인 방식에서, 비우식원성 및 무가당 탄수화물은 폴리올, 및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훨씬 더 우선적 방식에서, 탄수화물은 소르비톨이다.
출원인은 과거에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에서 또한 적합할 수 있는 낮은 비표면적을 갖는 신규한 소르비톨의 개발에 자신의 노력을 집중하였다.
출원인은 사실, 출원서 FR 14 56288호에서, 결정질 분체 소르비톨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5%, 기껏해야 150 J/g의 엔탈피, 및 200 내지 350 ㎛의 용적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보호하였다. 감미료 조성물은 또한, 이것이 BET 방법에 따라 결정된, 0.6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4 ㎡/g,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0.20 내지 0.35 ㎡/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르비톨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95% 미만의 순도를 갖는,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서 FR 14 56288호에서 보호된 이 감미료 조성물은 이의 낮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완전히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벌크화제가 소르비톨일 때,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95% 초과의 순도를 갖는다.
벌크화제가 소르비톨 이외의 폴리올일 때, 순도는 폴리올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9%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에 함유된 벌크화제가 폴리올일 때, 이것은 또한 이의 특정한 평균 입자 크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평균 입자 크기"는 낮고 350마이크로미터 미만인 평균 입자 직경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이 값은 제조사의 동작 가이드 및 사양에 따라 이의 (건조 공정) 분말 분산 모듈이 장착된 회사 벡크만-코울터사제의 LS 230 타입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호퍼 스크류 속도 및 분산 슈트(chute)의 진동 강도의 동작 조건은 광학 농도가 4° 내지 12°, 이상적으로는 8°인 방식으로 결정된다. LS 230 타입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의 측정 범위는 0.04 ㎛ 내지 2000 ㎛이다. 결과는 용적%로 계산되고, ㎛로 표현된다. 입자 크기 분포 곡선은 또한 용적 평균 직경 (산술 평균) D4,3의 값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출원인은 사실, 츄잉 검 조성물이 높은 비표면적, 특히 적어도 1 ㎡/g 초과의 비표면적을 갖는 폴리올 유형의 벌크화제를 함유할 때, 100마이크론 초과, 그러나 350마이크론 미만의 용적 평균 직경 (산술 평균) D4,3을 갖는 폴리올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권고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높은 비표면적 및 높은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올의 사용이, 이것이 츄잉 검 조성물에서 사용될 때, 모래 질감 및 이에 따라 불쾌한 질감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출원인은, BET 방법에 따라 낮고 이에 따라 0.5 ㎡/g 미만인 비표면적의 경우, 폴리올 유형의 벌크화제, 및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의 용적 평균 직경 (산술 평균) D4,3이 200 내지 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또한 주목하였다.
하나의 우선적 방식에서, 소르비톨 유형의 벌크화제의 용적 평균 직경 (산술 평균) D4,3은 250 내지 350 ㎛ 또는 더 우선적으로는 280 내지 330 ㎛이다.
폴리올 분말, 특히 소르비톨 분말의 입자 크기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소르비톨 입자는 수지상 미시적 구조, 즉 바늘의 꼬임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특정한 구조 때문에, 정제, 스틱 및/또는 츄잉 검의 생산 시 200마이크로미터 초과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소르비톨 분말의 사용이 상기 생성물에서 (특히 저작 동안) 특히 츄잉 검에서 "모래" 질감을 부여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생산에서의 소르비톨 유형의 벌크화제의 사용은, 이것이 더 큰 입자 크기(200 ㎛ 초과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더라도, 츄잉 검의 관능 특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다. 실제로, 하기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이 벌크화제를 사용하여 생산된 츄잉 검은 입에서 불쾌한 모래 질감을 나타내지 않는다.
무가당 츄잉 검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90%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면서 오늘날 판매 1위이다. 폴리올 덕분에, 츄잉 검은 비우식원성이고, 칼로리를 덜 함유하고, 훌륭한 맛을 갖는다.
더 건강한 식이(diet)에 대한 경향은 계속해서 더 강력해지고, 소비 및 구매 습관의 방식을 상당히 변경하고 있다. 마음껏 먹으면서 당을 덜 섭취하는 것은 수많은 영양 권고에 반응하여 더욱 더 증가하는 수의 소비자의 바람이다. 당에 대한 대체물로서의 당 치환체의 사용은 감소된 에너지가의 식품 제품, 비우식원성 식재료 및 무가당 식품의 생산을 위해, 그리고 또한 다이어트 제품의 생산을 위해 정당화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올"은 따라서 1의 DP(DP = 중합도)를 갖는 단순 환원 당, 그러나 또한 2 이상의 DP를 갖는 이 단순 당의 더 고차의 동족체, 예컨대 이당류, 올리고당 및 다당류로 이루어진 더 복잡한 환원 당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의 촉매 수소화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이들의 유형의 폴리올의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촉매 수소화를 위해 의도되는 단순 환원 당은 글루코스, 자일로스, 프럭토스 및 만노스이다. 얻어진 폴리올은 이때 소르비톨, 자일리톨 및 만니톨이다. 이당류는, 가장 흔히, 수소화에 의해 이소말트, 이소말티톨 및 락티톨을 생성하는, 말토스, 말툴로스, 이소말투로스 및 락토스이다. 더 높은 분자량의 생성물인 올리고당 및 다당류는 보통 전분 및/또는 감자 가루, 자일란 또는 프럭탄, 예컨대 이눌린의 산 및/또는 효소 가수분해로부터 생기지만, 단당류 또는 이당류, 예컨대 상기 언급된 것의 산 및/또는 효소 재조합에 의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어 폴리올은 본 발명에서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이소말트, 이소말티톨, 락티톨,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6-소르비톨(= 1,6-GPS),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1-만니톨(= 1,1-GPM), 알파-D-글리코피라노실-1,1-소르비톨(= 1,1-GPS)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특히 선택된 폴리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2차 실시예에서, 벌크화제는 이소말투로스, 자일로스, 자일룰로스, 알룰로스, 아라비노스, 류크로스, 타가토스, 트레할루로스 및 라피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비발효성 단당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벌크화제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말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및 말토트리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발효성 단당류로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벌크화제는 또한 가용성 섬유, 불용성 섬유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우선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는 가용성이고, 프럭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FOS), 올리고프럭토스 및 이눌린을 포함하는 프럭탄, 글루코올리고당(glucooligosaccharide: GOS),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Gal-OS),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IMO),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 (trans-galactooligosaccharide: TOS), 자일로올리고당, 락토수크로스, 피로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스, 분지된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덱스트린, 섬유 농후 덱스트린, 및 수소화 올리고당 및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가용성 섬유"는 수용성 섬유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섬유는 다양한 AOAC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예로서, 프럭탄, FOS 및 이눌린에 대한 AOAC 방법 997.08 및 999.03, 폴리덱스트로스에 대한 AOAC 방법 2000.11, 분지된 말토덱스트린 및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함유된 섬유를 평가하기 위한 AOAC 방법 2001.03, 또는 GOS에 대한 AOAC 방법 2001.02를 언급할 수 있다.
하나의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섬유의 유일한 공급원은 분지된 말토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다.
용어 "분지된 말토덱스트린"(branched maltodextrin: BMD)은 출원인이 소유자인 특허 EP 1 006 128 B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특정한 말토덱스트린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이 BMD는 대사 및 장 평형에 유리한 난소화성 섬유의 공급원을 나타내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이것은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D를 사용할 수 있다:
- 15% 내지 50%, 우선적으로는 22% 내지 45%, 더 우선적으로는 20% 내지 4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25% 내지 35%의 1,6-글루코시드 결합,
- 20% 미만, 우선적으로는 2% 내지 20%, 더 우선적으로는 2.5% 내지 15%, 및 훨씬 더 우선적으는로 3.5% 내지 10%의 환원 당 함량,
- 5 미만, 우선적으로는 1 내지 4, 더 우선적으로는 1.5 내지 3의 다분산도, 및
- 4500 g/㏖ 미만, 우선적으로는 400 내지 4500 g/㏖, 더 우선적으로는 500 내지 3000 g/㏖, 더 우선적으로는 700 내지 2800 g/㏖,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1000 내지 2600 g/㏖의 수 평균 분자량 Mn.
특히, 용도는 15% 내지 35%의 1,6-글루코시드 결합, 20% 미만의 환원 당 함량, 4000 내지 6000 g/㏖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250 내지 4500 g/㏖의 수 평균 분자량 Mn을 함유하는 BM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분야에 기재된 BMD의 여러 하위 패밀리도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껏해야 5의 환원 당 함량 및 2000 내지 4500 g/㏖의 Mn을 갖는 고분자량 BMD이다. 5% 내지 20%의 환원 당 함량 및 2000 g/㏖ 미만의 분자량 Mn을 갖는 저분자량 BMD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벌크화제는 발효성인 단당류와 폴리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원인은 영광스럽게도,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 낮은 비표면적, 즉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의 사용이 미미하지 않은 검 기제의 감소를 갖는 츄잉 검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출원인 회사는 본 발명에 따른 낮은 비표면적을 갖는 벌크화제의 사용이 츄잉 검 레시피에서의 조제 비용의 감소의 면에서 특정한 이점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 낮은 비표면적은 사실 소비자가 인지하는 입속에서의 용적이 종래의 츄잉 검과 비슷한 것으로 판단되는 츄잉 검을 생산할 수 있게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은 자체 레시피에서 30중량% 미만의 검 기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검 기제의 양이, 최종 생성물의 최종 관능성 품질, 및 특히 저작 동안 인지되는 용적 및 방향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선행 기술 또는 종래의 츄잉 검 조성물과 비교하여 검 기제의 양에 대해 60%, 바람직하게는 50%, 및 더 바람직하게는 40% 감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향료의 양의 감소가 미미하지 않다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이는 레시피에서 더 적은 검 기제를 넣는 것이 첨가되는 향료의 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츄잉 검 조성물은 향료의 양이 선행 기술의 향료 또는 종래의 츄잉 검 조성물의 양에 대해 50%, 바람직하게는 40%, 및 더 바람직하게는 25%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료 또는 향료 물질은 천연 및/또는 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민트, 계피, 오렌지, 레몬 또는 라임 또는 다른 과일 또는 식물, 예를 들어 사과, 딸기, 바나나, 체리 등에 상응하는 향료 또는 과일 혼합물 향료일 수 있다. 향료 물질은 단일 생성물의 형태 또는 동일한 향료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상이한 물리적 형태일 수 있다. 상이한 성질, 및 동일한 또는 상이한 물리적 상태의 몇몇 향료 물질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산은 특히 과일 향료가 사용될 때 낮은 함량으로 예를 들어 맛 증대제로서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에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츄잉 검"은 츄잉 검 및 버블 검을 나타내도록 함축된 구별 없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2개 유형 사이의 차이는 게다가 상당히 모호하다. 츄잉 검은 저작되지만, 버블 검은 버블을 만들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종래에는 오히려 어린 소비자에 의해 소비된 것이 관례적이다.
대부분의 츄잉 검은, 이것이 당을 갖든지 가지지 않든지, 그리고 단맛 코팅되든지 안되든지, 본질적으로 수불용성 검 기제, 액체 및/또는 분체 형태로 제공된 수용성 감미료 및 향료를 포함한다. 이들은 대개 다른 성분, 예컨대 착색제, 유화제, 가소제, 강한 감미료, 물 등을 포함한다.
검 기제는 다른 과자류 제품으로부터 츄잉 검을 구별시키는 성분이다. 이 탄성 물질은 유도된 이의 질감에 어떠한 실질적인 변화 없이 수 시간 동안 저작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것은 저작 동안 역시 붕괴되지 않는다. 검 기제는 센터의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이것은, 당을 갖거나 당이 없는, 스틱 또는 탭(tab) 형태 등의, 츄잉 검 또는 버블 검인 최종 제품의 기능으로서 변한다. 검 기제는 요즈음 실제로 과거에 사용된 것과 매우 다르다. 이것은 합성 엘라스토머, 가소제, 연화제 또는 연화 물질, 텍스쳐링 물질 및 유화제 및 또한 최종 분야의 기능으로서 이의 특정한 특징을 생성물에 제공하는 다양한 특정한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을 구성하는 검 기제는 바람직하게는 일상적이고, 흔히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것은 합성 및/또는 천연 엘라스토머, 예컨대 폴리이소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라텍스, 수지, 예컨대 테르펜 수지, 폴리비닐 알콜 및 에스터, 지방 또는 왁스, 예를 들어 라놀린, 부분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식물성 오일, 지방산, 부분 글리세롤 에스터, 파라핀, 미결정질 왁스, 벌크화제, 예컨대 활석, 탄산칼슘, 엘라스토머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로진 유도체, 유화제, 예컨대 레시틴, 소르비톨 에스터, 착색제 또는 화이트닝제, 항산화제, 및 비점착 물질, 예컨대 만니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 회사는 츄잉 검 제제 내의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제, 즉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될 때, 낮은 비표면적,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의 사용이 동일한 레시피에 따라, 그러나 더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벌크화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츄잉 검보다 더 가요성인 최종 질감을 츄잉 검에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입증하는 데 특히 성공하였다.
이것이 높은 정도로 츄잉 검에 질감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검 기제라는 것을 고려할 때, 출원인 회사는 따라서 츄잉 검의 최종 질감을 변경하지 않는 방식으로 검 기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아이디어를 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제의 사용은 또한 종래에 사용된 향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그 이유는, 향료의 일부가 저작 동안 검 기제에 포획된 채 있고, 이 향료가 따라서 타액으로 결코 방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 때, 낮은 비면적, 즉 0.5 ㎡/g 미만의 비면적을 갖는 벌크화제의 사용의 이점은 따라서 이중적인 이점인데, 왜냐하면 이것이 이것이 한편으로는 검 기제 함량을 감소시키게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다른 한 편으로는 사용된 향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검 및 향료의 양의 이러한 감소는 생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따라서 제조사에 매우 유리하다.
사용된 벌크화제의 특정한 특성은 검 기제 및 이에 따라 결국에는 츄잉 검을 연화시키는 능력을 부여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이 레시피에서 더 적은 양의 향료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에서 강도의 측면 및 지속성의 측면 둘 다에서 향료의 인지는 선행 기술에 따른 츄잉 검과 적어도 동일하다.
출원인 회사는 특히, 검 기제를 감소시킴으로써, 질감의 면에서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츄잉 검을 전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다양한 구성성분의 비율이 일반적으로 고정되고, 생성물의 최종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들을 변형시킬 수 없으므로, 이것은 전혀 명확하지 않다.
하나의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이것이
- 10% 내지 28%, 우선적으로 15% 내지 25%,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 20%의, 적어도 1종의 검 기제,
-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45% 내지 55%의,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 낮은 비표면적, 즉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
- 0.1% 내지 5%, 우선적으로는 0.5% 내지 3%,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1% 내지 1.8%의, 적어도 1종의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출원인은 바람직하게는 재킷을 갖는 Z-암 혼합기에서 또는 연속식 혼합기에서 45℃ 내지 80℃의 온도에서 이 혼합을 수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하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에 의해 4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의 온도로 검 기제를 미리 가열하는 것이 권고된다. 예로서, 마이크로파 오븐 또는 오븐에서 이것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의 혼합은 분말 또는 액체 형태의 감미료로서의 또 다른 폴리올, 예를 들어 만니톨, 말티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락티톨, 이소말트, 말티톨 시럽, 소르비톨 시럽 또는 수소화 글루코스 시럽 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의 혼합은 착색제, 강한 감미료, 예컨대 아스파탐, 아세술팜-K, 알리탐, 네오탐, 수크랄로스,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DC, 스테비오사이드, 브라제인 등, 약제학적 활성 물질, 광물, 식물 추출물, 항산화제, 및 난소화성 섬유, 예를 들어 올리고당, 예컨대 프럭토올리고당, 난소화성 섬유, 예컨대 회사 Matsutani사에 의해 판매되는 FibersolTM, 또는 그 외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는 Nutriose®, 유화제, 예컨대 레시틴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구성성분을 츄잉 검의 전체 중량에 대해 기껏해야 5중량%의 양으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된 검 기제는 생산된 츄잉 검의 유형에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합성 및/또는 천연 엘라스토머, 예컨대 폴리이소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라텍스, 수지, 예컨대 테르펜 수지, 폴리비닐 알콜 및 에스터, 지방 또는 왁스, 예를 들어 라놀린, 부분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식물성 오일, 지방산, 부분 글리세롤 에스터, 파라핀 또는 미결정질 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츄잉 검 조성물의 생산 시, 상기 언급된 성분의 혼합의 단계에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따라 수행되는 압출, 압연, 절단, 냉각 및 이어서 패키징이 후행한다. 마지막에, 츄잉 검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형태, 예컨대 스틱, 볼, 단맛 코팅 정제, 큐브 또는 그 외 정제 중 하나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 및 검 기제는 15분 내지 20분 동안 혼련기 내에서 혼합된다. 블렌딩의 종료 시, 페이스트는 대략 50℃의 온도에 도달한다. 이후, 츄잉 검 페이스트는 압출기로 부어진다. 정확히 압축되면, 이것은 이후 다소 두꺼운 스트립을 형성한다. 이후, 스트립은 롤러를 통과하고, 절단되어 스틱 또는 코어가 된다. 냉각 후, 단맛 코팅 정제의 스틱 또는 코어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정확한 온도 및 습도에서 유지된다. 츄잉 검의 품질이 이 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단계는 조심스럽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츄잉 검 조성물은 필름 코팅될 수 있다. 필름 코팅은 필름 형성 액체 조성물의 도포로 이루어지고, 이 조성물은 건조 후 보호성 필름이 된다. 이 필름 코팅은 예를 들어 과자류 제품에 함유된 활성 성분을 보호하고, 습도, 충격 및 취성(friability)으로부터 과자류 제품 자체를 보호하고, 또한 과자류 제품에서 매력적인 시각 특성: 광택, 균일한 색상, 평활한 표면 등을 부여하도록 작용한다.
더 우선적인 변형예에 따르면, 필름 코팅에 사용된 조성물은 출원인이 소유주인 특허 출원서 WO 2005/060944호에 기재된 것이다.
또 다른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의 츄잉 검 조성물은 또한, 가능한 경우, 액체, 페이스트, 고체, 분말화 등의 충전재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초콜릿에 의해 코팅되거나, 단맛 코팅, 캔디 맛 코팅, 당의 코팅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또한 임의로 단맛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맛 코팅 단계는 연질 단맛 코팅 또는 "경질" 단맛 코팅일 수 있다.
경질 단맛 코팅은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그 중에 과자류 산업 및 약제학적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합 동작이다. 이것은 또한 첨가제 산업, 즉 향료, 감미료, 비타민, 효소, 산 및 식물 기반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다양한 이유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그 외 이들을 시각 또는 맛 관점으로부터 매력적이게 만들기 위해 고체 또는 분체 생성물의 표면에서 경질 결정질 코팅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매우 일반적으로, 이 통합 동작은 이러한 생성물을 단맛 코팅 팬에 코팅하고자 하는 코어로써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경질 단맛 코팅은 과자류 제품 또는 츄잉 검의 경우에 항상 매우 인기 있는 아삭하고 달콤한 층을 얻는 것이 목표이다. 이것은 결정화 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시럽 및/또는 현탁액의 사용을 항상 요한다. 경질 및 결정질 코팅은 이후 이 시럽 또는 이 현탁액을 코어에 도포하고, 뜨거운 건조 공기에 의한 건조에 의해 이로써 도입된 물을 증발시켜서, 결정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사이클은 원하는 정도의 확대를 얻기 위해 매우 여러 회, 약 10회 내지 24회 반복되어야 한다. 용어 "확대의 정도"는, 생성물의 최종 중량에 관한, 초기와 비교된 동작의 종료 시 고려되는, 생성물의 중량의 증가를 의미하도록 흔히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경질 단맛 코팅은 다른 코팅 기법에 선행하거나 후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맛 코팅 팬을 사용하여 대개 수행되는 하기 기법이 유지될 수 있다:
- 아라비아 검, 변형 셀룰로스 및 전분, 및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결정화 불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비흡습성인 재료의 시럽이 사용되는 기법인 검화(gumming). 이 기법은 코팅하고자 하는 생성물에 검화 시럽의 1회 또는 2회의 도포 후 산소, 물 및 지방의 이동에 대해 장벽으로서 작용하는 유리질 필름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 공정에서, 다양한 성질의 분말은 시럽에 의해 도입된 물을 고정하기 위해 이 결정화 불가능 시럽과 함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용매에 의해 용융되거나 액화된 당 또는 폴리올을 사용한다. 경질, 취성, 유리질 코팅은 이후 용매의 냉각 또는 증발에 의해 얻어진다;
- 생성물의 표면에서 매우 가요성이고 연질인 코팅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연질 단맛 코팅. 이 코팅은, 한편으로는 결정화 불가능한 시럽, 예컨대 일반적으로 전분 가수분해물, 및 반면에는 분말, 일반적으로 결정질 수크로스의 반복 도포에 의해 얻어진다. 코팅은 보통 두껍다. 이 기법에 대한 확대의 정도는 약 10% 내지 80%, 또는 훨씬 이보다 초과이다. 시럽의 구성성분 재료가 보통 분말의 재료와 다르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 플레이크로서의 결정질 형태 또는 알콜 용액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도입된 지방 물질 또는 왁스를 사용함으로써, 코팅된 생성물 내외로의 물 전달을 감소시키고, 그러나 또한 이의 표면이 더 매력적이게 만들도록, 매우 미세한 지방 필름 코팅에 의해 생성물을 코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브라이트닝.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경질 단맛 코팅"은 또한 매우 유사한 기법, 즉 글레이징 및 프로스팅(frosting)을 포함한다. 글레이징은 경질 단맛 코팅에서 사용되는 것과 비교하여 희석된 결정화 가능한 시럽의 1회 또는 2회의 도포 또는 충전으로 이루어진다. 목표는 대개 단맛 코팅된 생성물의 표면 외관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다. 프로스팅은, 그 일부에 있어서, 또한 생성물의 외관의 개선, 그러나 또한 대기 수분으로부터 이의 격리에 대한 것이다. 이 기법은 결정화 가능한 시럽이 사용된다는 의미에서 경질 단맛 코팅을 닮았다. 본질적인 차이는 수행된 사이클의 수가 오직 1회, 2회 또는 3회라는 사실에 있다.
단맛 코팅은 다수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오래 걸리고 수고스러운 공정이다. 단맛 코팅 사이클로 또한 공지된 이들 단계의 각각은 통상적으로 일반적으로 단맛 코팅 시럽(1종 이상의 폴리올, 그러나 또한 때때로 결합제, 예컨대 아라비아 검 또는 젤라틴, 착색제 예컨대 TiO2, 강한 감미료 등을 함유)을 코어에 분무함으로써 도포하는 단계, 대기 시간으로 또한 공지된 코어에 대한 상기 시럽의 분배를 위한 회전 단계 및 뜨거운 건조 공기를 취입함으로써 수행되는 시럽의 각각의 새로운 층의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이 사이클의 연속은 원하는 정도의 확대를 얻기 위해 매우 여러 회, 약 10회 내지 24회 반복되어야 한다. 쉘(shell)의 두께 또는 확대의 정도는 특히 단맛 코팅하고자 하는 코어에 따라서 또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서 선택된다. 요즈음, 츄잉 검 제조사의 주요 관심사는 매우 바삭한 경질 층을 가지지만, 단맛 코팅 횟수를 줄인 츄잉 검을 얻는 것이다.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조성물에 포함된 모든 성분을 혼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츄잉 검 센터의 생산의 제1 단계 동안, 액상 및 검 기제는 결정질 감미료를 코팅하고, 이들을 액상의 포화점까지 용해시킨다. 그러나, 온도가 냉각 공정 동안 감소하면서, 폴리올의 용해도는 또한 감소하고, 용해된 결정질 상은 부분적으로 재결정화되어서, 츄잉 검을 경화시킨다. 따라서, 액상의 역할은 생산 동안, 그러나 또한 저장 동안 츄잉 검의 과도한 취성 또는 경화를 막도록 결정질 감미료의 재결정화를 제어하는 것이다. 결정화방지 시럽이 결정질 상과 유사한 상당한 양의 용해된 폴리올을 함유하는 경우, 생산 공정 동안 또는 저장 동안 결정화가 발생하고 너무 취성이거나 경질인 츄잉 검을 생성시킬 것이다.
츄잉 검의 물은 유리수의 형태로 또는 다른 구성성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은 0.1% 내지 30%의 농도로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물, 글리세롤,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시럽, 및 저칼로리 벌크화제의 시럽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시럽은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투로스, 수소화 이소말투로스, 에리쓰로스 또는 에리쓰리톨 시럽,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되고, 전분 또는 이눌린의 가수분해로부터 유도되고, 올리고당 및/또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시럽일 수 있다. 저칼로리 벌크화제의 시럽과 관련하여, 폴리덱스트로스, 폴리글루코스 또는 덱스트린 시럽을 선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의 우선적 실시예에 따르면, 츄잉 검 조성물은 20% 이하의 말티톨 시럽을 함유할 수 있다.
예로서, 상표명 Lycasin®, 예컨대 Lycasin® 80/55(75%의 건조물 및 50-55%의 말티톨 건조물) 또는 Lycasin® 85/55(85%의 건조물 및 50-55%의 말티톨 건조물) 하에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는 말티톨 시럽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사용 준비된 결정화방지 시럽 또는 물질은 하기 언급된 모든 결정질 폴리올과의 조합 사용에 특히 적합하고, 따라서 츄잉 검에 개선된 가소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또는 식품 용도를 위한 정제의 생산에서의, 츄잉 검 조성물 또는 츄잉 검 이외에, 특정한 벌크화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또는 식품 용도를 위한, 츄잉 검의 생산에서의 및/또는 정제의 생산에서의,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다.
정제의 벌크화제 함량은 상기 정제의 원하는 사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제의 벌크화제 함량은 1중량%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예를 읽을 때 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고, 이 예는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할 수 없다.
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벌크화제의 비표면적의 측정
본 발명에 따르면, 비표면적은 상기 벌크화제를 구성하는 전체 분말에서, 또는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얻어진 분말의 샘플에서 측정된다.
샘플 생산
샘플을 생산하기 위해, 841 마이크론 내지 250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 분획의 대략 3 그램을 회수하기 위해 841 ㎛ 및 250 ㎛의 체에서 충분한 양의 샘플을 체질하는 것이 필요하다.
셀의 저장소의 ¾ 충전에 충분한 시험 시편을, 이전에 건조되고 0.001 g 내로 측량된, 기구의 측정 셀로 도입한다.
탈기
샘플을 함유하는 셀을 탈기 스테이션에 배치한다.
상기 탈기를 기구의 사용을 위한 설명서를 참조함으로써 수행한다.
분말의 분석
탈기가 수행되면, 셀을 0.001 g 내로 재칭량하고, 측정 스테이션에 배치한다. 분석을 기구의 사용을 위한 설명서를 참조함으로써 수행한다.
기구는 수집된 결과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결과는 ㎡/g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02
예 2:
본 발명에 따른 소르비톨 유형의 벌크화제의 특징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소르비톨 유형의 벌크화제의 특징을 재현한다.
상기 벌크화제를 상표명 Neosorb® 하에 출원인 회사에 의해 판매되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소르비톨 분말과 비교한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3
상기 예 2에 기재된 소르비톨 유형의 벌크화제를 사용하여 생산된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
대조군은 Neosorb® P60W 유형의 상표명 Neosorb® 하에 출원인 회사에 의해 판매되는 소르비톨 분말에 의해 생산된다.
표현된 모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해 표현된다.
1. 츄잉 검 조성물의 생산
츄잉 검 조성물에서 사용된 성분, 하기 표 3:
Figure pct00004
Solsona T 검 기제는 회사 Cafosa에 의해 판매된다.
Neosorb® P60W 소르비톨은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는 결정질 소르비톨 분말이다. 만니톨 60, 자일리톨 90 및 Lycasin® 85/55 말티톨 시럽은 또한 출원인에 의해 판매된다.
모든 향료는 회사 Mane et Fils에 의해 공급된다.
대조군 츄잉 검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절차
- 혼합: 분 단위의 절차 - 45℃에서 Z-암 혼련기에서 수행됨 - 50 ㎏의 센터의 뱃취 제조
0분: 용융된 검 기제(50℃에서 밤새 스토빙) 및 만니톨을 도입한다.
3분: Lycasin® 85/55를 첨가한다.
5분: 벌크화제, 따라서 Neosorb® 소르비톨 또는 LabA 유형의 소르비톨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한다.
9분: 글리세롤을 첨가한다.
10분: 민트 분말 향료 및 멘톨 결정 유형의 향료를 첨가한다.
12분: 민트 액체 향료를 첨가한다.
15분: 혼련기(페이스트는 대략 50℃임)를 비운다. 대략 2 ㎏의 케이크를 형성하고, 50% RH에서 및 20℃에서 1시간 동안 이들을 저장한다. 케이크는 압출을 위해 대략 48℃에 있어야 한다.
- 압출(Togum TO - E82 기계)
- 바디 설정 온도 = 36℃
- 헤드 설정 온도 = 39℃
- 4-스테이션 압연 - 2-스테이션 예비 절단(Togum TO - W191 기계).
- 90/10 만니톨/활석 혼합물에 의한 츄잉 검 스트립의 스프링클링.
- 성숙
- 대략 24시간 동안 대략 15℃-50% RH에서 탭의 예비 절단된 플라크를 저장한다.
2. 츄잉 검의 관능성 품질의 평가
상기 얻어진 츄잉 검을 츄잉 검의 시식 및 등급 매김에 훈련된 15명의 개인의 패널들이 시식하였다.
패널들은 1초 저작 동안에, 그러나 또한 3분 저작 후에 츄잉 검의 가변성을 0으로부터 4로 등급 매기도록 요청받았다.
4는 최대 가변성이고, 0은 매우 경질의 또는 심지어 취성의 츄잉 검에 상응한다.
패널들은 저작 동안 향의 인지를 등급 매기도록 또한 요청받았다. 이 맛은 향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1초 저작 동안에 그리고 3분 저작 후에 또한 수행되었다,
4는 매우 강한 향에 제공된 등급이고, 0은 결코 어떠한 향도 가지지 않는 츄잉 검에 상응한다.
생성물은 무작위 순서로 제시되고, 3 숫자 번호에 의해 코딩되어서, 패널들은 생성물의 지식 또는 이의 코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식은 감각 분석 실험실에서 수행되었다.
T+0에서, 츄잉 검은 타이머가 시작되는 동시에 구강에 배치되었다. 이후, 저작이 시작되었다.
데이터는 통계 처리(Anova 및 평균 비교 시험은 각각의 시간 간격에서 얻어진 평균에서 수행됨)에 의해 처리되었다.
Figure pct00005
하기임이 밝혀진다:
- 2개의 츄잉 검의 가변성은 동일한 방식으로 변한다. 대조군 츄잉 검보다 적은 양의 검 기제를 함유하지만, 질감의 면에서 및 더 특히 2개의 샘플 사이의 가변성의 면에서 시식자들의 패널들이 차이를 알 수 없었다.
- 향의 인지 및 지속성의 면에서, 여기서 다시 대조군 츄잉 검과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사이에 T = 10초에 차이가 없었다. 레시피에서 더 적은 양의 향료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츄잉 검에서의 상기 향료의 인지는 대조군 츄잉 검과 동일하다. 더 적은 검 기제 및 더 적은 향료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츄잉 검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3분의 저작 후 대조군 츄잉 검보다 약간 더 우수하게 등급 매겨지므로, 향 지속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된다는 것이 더욱 명확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에 따라 제조되고, 중량에 대해 8% 더 적은 검 기제, 즉 상기 검 기제의 27%의 감소를 함유하고, 중량에 대해 0.44% 더 적은 향료, 즉 향료의 양의 23%의 감소를 함유하는, 츄잉 검은 질감의 면에서 동일하고, 향 지속성의 면에서 약간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이점은 이 실시예에 의해 완벽하게 입증된다.
예 4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벌크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
표현된 모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표현된다.
다양한 조성물 레시피가 이하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대조군은 상표명 Neosorb® 하에 출원인 회사에 의해 판매되지만, 0.5 ㎡/g의 비표면적을 가지고, 선행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소르비톨인,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소르비톨 분말에 의해 제조된 츄잉 검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6
츄잉 검 센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예컨대 이전의 예에 기재된 것이다.
상기 얻어진 츄잉 검을 츄잉 검의 시식 및 등급 매김에 훈련된 15명의 개인의 패널들이 시식하였다.
가변성 및 방향 인지는 이전의 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등급 매겨진다.
시식된 모든 츄잉 검은 만족스러운 가변성 및 동일한 방향 인지를 나타냈다.
따라서, 얻어진 생성물의 최종 관능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감소한 양의 검 기제 및 감소한 양의 향료를 가지되, 낮은 비표면적을 갖는 벌크화제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을 전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4개의 조성물은 중량에 대해 8%의 검 기제의 감소, 즉 후자의 27%의 감소, 및 중량에 대해 0.45%의 향료의 감소, 즉 향료의 양의 24%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것은 생성물에 대한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 없이 상당한 경제적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츄잉 검 제조사가 현재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검 조성물의 이점은 이 실시예에 의해 완벽하게 입증된다.

Claims (10)

  1.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를 3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로서,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되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중량으로 표현되는, 츄잉 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벌크화제는,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되는, 츄잉 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츄잉 검 조성물은 0.008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80 ㎖/g 미만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0.0070 ㎖/g 미만의 다공도를 갖는 벌크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츄잉 검 조성물은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45% 내지 55%의 벌크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백분율은 사용된 츄잉 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중량으로 표현되는, 츄잉 검 조성물.
  5. 제5항에 있어서, 벌크화제는 비우식원성(non-cariogenic) 탄수화물, 및/또는 섬유 및/또는 단당류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분체(pulverulent)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벌크화제는 비우식원성 탄수화물,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및/또는 알룰로스(allulose)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벌크화제는 특히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이소말트, 이소말티톨, 락티톨,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6-소르비톨(= 1,6-GPS),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1-만니톨(= 1,1-GPM), 알파-D-글루코-피라노실-1,1-소르비톨(= 1,1-GPS)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벌크화제는 소르비톨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95% 초과의 순도를 갖는 소르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 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츄잉 검 조성물은
    - 10% 내지 28%, 우선적으로는 15% 내지 25%,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20%의, 적어도 1종의 검 기제,
    -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45% 내지 55%의,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된, 낮은 비표면적, 즉 0.5 ㎡/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
    - 0.1% 내지 5%, 우선적으로는 0.5% 내지 3%, 및 훨씬 더 우선적으로는 1% 내지 1.8%의 적어도 1종의 향료(flavorin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한 상대적인 건조 중량으로 표현되는, 츄잉 검 조성물.
  10. 약제학적 또는 식품 용도를 위한, 츄잉 검의 제조에서의 및/또는 정제의 생산에서의, BET 방법에 의해 결정된, 0.5 ㎡/g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5 ㎡/g,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g의 비표면적을 갖는, 말티톨 이외의 벌크화제의 용도로서, 상기 비표면적은 250 ㎛ 내지 841 ㎛의 분획에서 측정되는, 용도.
KR1020167036070A 2014-07-01 2015-07-01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KR102501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6288A FR3023128B1 (fr) 2014-07-01 2014-07-01 Nouvelle composition edulcorante
FR1456288 2014-07-01
PCT/FR2015/051817 WO2016001586A1 (fr) 2014-07-01 2015-07-01 Nouvelle composition de produit de confis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727A true KR20170027727A (ko) 2017-03-10
KR102501459B1 KR102501459B1 (ko) 2023-02-20

Family

ID=515706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069A KR102511424B1 (ko) 2014-07-01 2015-07-01 신규한 감미료 조성물
KR1020167036070A KR102501459B1 (ko) 2014-07-01 2015-07-01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069A KR102511424B1 (ko) 2014-07-01 2015-07-01 신규한 감미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170135371A1 (ko)
EP (2) EP3164013B1 (ko)
JP (2) JP6578307B2 (ko)
KR (2) KR102511424B1 (ko)
CN (2) CN106659186B (ko)
BR (2) BR112016030741B1 (ko)
CA (2) CA2953037A1 (ko)
ES (2) ES2711299T3 (ko)
FR (1) FR3023128B1 (ko)
MX (2) MX2016017131A (ko)
PL (2) PL3164013T3 (ko)
RU (2) RU2670875C2 (ko)
SG (2) SG11201610959PA (ko)
TR (2) TR201901791T4 (ko)
WO (2) WO20160015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41A (ko) * 2017-06-30 2019-01-29 주식회사 삼양사 기능성 감미료를 포함하는 츄잉껌
WO2020032301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삼양사 기능성 감미료를 포함하는 츄잉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2316B2 (ja) * 2015-03-31 2020-09-30 ロケット フレールRoquette Freres 結晶アルロース粒子を含有する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MX2018003585A (es) * 2015-10-02 2018-07-06 Wrigley W M Jun Co Gomas de mascar que contienen alulosa.
CN107087702A (zh) * 2016-02-17 2017-08-25 罗盖特公司 增强的风味释放口香糖组合物
JP7214755B2 (ja) * 2018-05-17 2023-01-30 フェルティン ファルマ アー/エス 医薬品活性成分に適した錠剤化チューインガ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121B1 (en) * 1988-06-16 1996-03-27 SPI POLYOLS, Inc. Mannitol having gamma sorbitol polymorph
JP3145759B2 (ja) * 1991-01-02 2001-03-12 セレスタール・ホルデイング・ベー・フアウ エリスリト−ル組成物
KR100416475B1 (ko) * 1994-12-09 2004-03-19 캐드베리 아담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멘톨및n-치환된p-멘탄카르복스아미드를포함하는호흡을신선하게하는식용조성물및이의제조방법
KR20110085976A (ko) * 2008-09-04 2011-07-27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에리쓰리톨 정제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40595A1 (de) 1964-11-26 1970-02-12 Antonio Scarpetta Elektrische Leitung aus vorgefertigten,zusammensetzbaren Elementen
FR1506334A (fr) 1965-05-28 1967-12-22 Miles Lab Nouvel excipient pour pastilles à mâcher,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telles pastilles
FR2202867B1 (ko) 1972-10-13 1978-02-10 Roquette Freres
FR2202862A1 (en) 1972-10-18 1974-05-10 Poudres & Explosifs Ste Nale Catalyst system for propergols - contg. organometal compds. and tert. amine
DE3245170A1 (de) * 1982-12-07 1984-06-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besserter sorbi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FR2571045B1 (fr) * 1984-10-03 1987-12-11 Roquette Freres Mannitol granulaire directement compress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575038B1 (fr) 1984-12-21 1990-03-16 Roquette Freres Chewing-gum sans sucre mouche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582707A (en) 1984-12-26 1986-04-15 Nabisco Brands, Inc. Non-sticking chewing gum
DD252003B1 (de) 1986-08-01 1990-06-20 Hydrierwerk Rodleben Veb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ockensorbitols mit verbesserten anwendungstechnischen eigenschaften
US4806364A (en) 1987-04-22 1989-02-21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of making chewing gum
FR2629822B1 (fr) * 1988-04-08 1993-02-19 Roquette Freres Composition solide de sorbitol et de phosphates
JP2734642B2 (ja) * 1988-06-16 1998-04-02 エスピーアイ・ポリオー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共晶マンニトール/ソルビトール多形体
DE69022861T2 (de) * 1989-01-24 1996-04-04 Spi Polyols Inc Kryoschützende kristalline Sorbitolkügelchen.
US5139795A (en) * 1991-08-09 1992-08-18 Ici Americas Inc. Melt crystallized xylitol
US6264999B1 (en) 1993-09-30 2001-07-24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erythritol and method of making
WO1995008926A1 (en) 1993-09-30 1995-04-06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hydrogenated isomaltulose
FR2715538B1 (fr) 1994-02-01 1996-04-26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chewing-gum présentant une qualité organoleptique améliorée et procédé permettant de préparer un tel chewing-gum.
NL1003606C2 (nl) 1996-07-16 1998-01-21 Holland Sweetener Co Dipeptide-zoetstof bevattende kauwgums met verlengde en verbeterde smaak.
US5958472A (en) * 1997-02-26 1999-09-28 Warner-Lambert Company Crunchy chewing gum and process for making
FR2778066B1 (fr) 1998-04-29 2000-07-07 Roquette Freres Composition edulcorante et produits alimentaires la contenant
FR2786775B1 (fr) 1998-12-04 2001-02-16 Roquette Freres Maltodextrines branche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FR2787110B1 (fr) 1998-12-11 2001-02-16 Roquette Freres Sorbitol pulverulent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FR2862654B1 (fr) 2003-11-20 2006-02-10 Roquette Freres Composition amylacee filmogene
KR101279762B1 (ko) 2004-06-17 2013-07-04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폴리올의 스팀 응집화
FR2890315A1 (fr) * 2005-09-07 2007-03-09 Roquette Freres Sorbitol granu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FR2904224B1 (fr) * 2006-07-28 2008-10-10 Roquette Freres Sorbitol granu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1970053A1 (en) 2007-03-14 2008-09-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09016133A1 (en) 2007-07-27 2009-02-05 Cargill, Incorporated Micronization of polyols
BRPI0907601A2 (pt) 2008-02-27 2019-09-24 Cadbury Adams Usa Llc artigo de doce com multi-região
WO2009124067A1 (en) * 2008-03-31 2009-10-08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bulking agents
EP2293774B1 (de) 2008-06-20 2019-01-16 Merck Patent GmbH Direkt verpressbare polyolkombination
FR2949462B1 (fr) * 2009-09-01 2011-12-16 Roquette Freres Poudre de cristaux de mannitol define,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49296B1 (fr) * 2009-09-01 2011-11-18 Roquette Freres Procede de remplacement total ou partiel du talc dans les chewing-gums
CA2788892C (en) * 2010-03-01 2015-06-16 Wm. Wrigley Jr. Company Amorphous chewing gum bulk material
RU2013115388A (ru) * 2010-09-07 2014-10-20 Карджилл,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месь отвержденных сахарных спиртов
FR2965819B1 (fr) * 2010-10-08 2013-02-22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sirops de sorbitol de haute purete a partir de saccharose et utilisations
EP2680707A4 (en) * 2011-03-04 2016-03-09 Wrigley W M Jun Co ALTERNATIVE SMOKING FILLERS
US20130078193A1 (en) * 2011-09-22 2013-03-28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Same and Consumables Containing Same
WO2013171164A1 (en) * 2012-05-14 2013-11-21 EJP Pharmaceutical ApS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halitosis
FR2999058B1 (fr) 2012-12-12 2015-03-27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un chewing-gum a durete amelioree par mise en oeuvre d'un agent anti-mottant et chewing-gum ainsi obtenu
BE1021954B1 (nl) 2014-06-05 2016-01-28 Syral Belgium Nv Samenstelling van sorbitol met lage friabilite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121B1 (en) * 1988-06-16 1996-03-27 SPI POLYOLS, Inc. Mannitol having gamma sorbitol polymorph
JP3145759B2 (ja) * 1991-01-02 2001-03-12 セレスタール・ホルデイング・ベー・フアウ エリスリト−ル組成物
KR100416475B1 (ko) * 1994-12-09 2004-03-19 캐드베리 아담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멘톨및n-치환된p-멘탄카르복스아미드를포함하는호흡을신선하게하는식용조성물및이의제조방법
KR20110085976A (ko) * 2008-09-04 2011-07-27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에리쓰리톨 정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we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7th edn. London: Pharmaceutical Press, 201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41A (ko) * 2017-06-30 2019-01-29 주식회사 삼양사 기능성 감미료를 포함하는 츄잉껌
WO2020032301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삼양사 기능성 감미료를 포함하는 츄잉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4012A1 (fr) 2017-05-10
JP6578307B2 (ja) 2019-09-18
SG11201610978SA (en) 2017-02-27
RU2017101603A (ru) 2018-07-18
US20170135371A1 (en) 2017-05-18
CA2953041C (fr) 2022-07-12
EP3164013B1 (fr) 2018-11-21
US10420354B2 (en) 2019-09-24
TR201900749T4 (tr) 2019-02-21
SG11201610959PA (en) 2017-02-27
FR3023128B1 (fr) 2017-11-10
BR112016030891A2 (pt) 2017-08-22
BR112016030741B1 (pt) 2020-12-08
MX2016017131A (es) 2017-05-10
BR112016030891B1 (pt) 2021-10-05
EP3164012B1 (fr) 2018-10-31
KR102501459B1 (ko) 2023-02-20
RU2670875C2 (ru) 2018-10-25
PL3164013T3 (pl) 2019-04-30
RU2670144C1 (ru) 2018-10-18
PL3164012T3 (pl) 2019-04-30
JP2017526343A (ja) 2017-09-14
US20170135370A1 (en) 2017-05-18
ES2711299T3 (es) 2019-05-03
KR102511424B1 (ko) 2023-03-17
MX2016017123A (es) 2017-05-10
ES2707530T3 (es) 2019-04-03
CN106659186B (zh) 2021-03-12
JP7165488B2 (ja) 2022-11-04
WO2016001589A1 (fr) 2016-01-07
WO2016001586A1 (fr) 2016-01-07
KR20170021259A (ko) 2017-02-27
CA2953041A1 (fr) 2016-01-07
EP3164013A1 (fr) 2017-05-10
CN106659187A (zh) 2017-05-10
FR3023128A1 (fr) 2016-01-08
MX369524B (es) 2019-11-11
TR201901791T4 (tr) 2019-03-21
CA2953037A1 (fr) 2016-01-07
JP2017522019A (ja) 2017-08-10
CN106659186A (zh) 2017-05-10
RU2017101603A3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892A (en) Chewing gum and other comestibles containing indigestible dextrin
KR102501459B1 (ko) 과자류 제품의 신규한 조성물
RU2492695C2 (ru) Многозональн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RU2662783C2 (ru) Нов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ой хрусткостью
US5547689A (en) Chewing-gum composition of improved organoleptic quality and process enabling such a chewing-gum to be prepared
AU2010336955B2 (en) Hard and crunchy confectionary coating
CA2860430C (en) Gelled confection with reduced sugar comprising erythritol and a doctoring agent
MX2012015106A (es) Productos de goma de mascar que contienen ester etilico de n-[[5-metil-2-(1-metiletil)-ciclohexil] carbonil] glicina.
AU2015264877B2 (en) Gelled confection with reduced sug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