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873A -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873A
KR20170018873A KR1020170018972A KR20170018972A KR20170018873A KR 20170018873 A KR20170018873 A KR 20170018873A KR 1020170018972 A KR1020170018972 A KR 1020170018972A KR 20170018972 A KR20170018972 A KR 20170018972A KR 20170018873 A KR20170018873 A KR 2017001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lue
electronic control
secondary batter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982B1 (ko
Inventor
료 가나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7001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28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using current integ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전지 관리 단말(10)은, 차량(100)에 탑재된 배터리(400)를 관리하는 전지 관리 시스템이다. 차량(100)은, 배터리(40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 (602)와, 전류 센서(602)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배터리(400)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고, 추정한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배터리(400)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 D를 산출하는 제어부(651)와, 평가값 D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652)를 포함한다. 전지 관리 단말(10)은, 배터리(400)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배터리(400)의 평가값 D의 이력 정보를 기억부(652)로부터 취득하고, 평가값 D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배터리(400)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는 전지 관리 ECU(14)와,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TERMINAL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특히, 이차 전지를 교환할 때에,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는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차량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전지는, 차량이 폐차된 경우나, 수리에 의해 전지를 교환한 경우에 회수된다. 회수된 전지는 리사이클, 재사용 및 리빌드 등의 처리에 의해서 재이용된다.
리사이클은 전지를 분해하여 재자원화하는 처리이다. 재사용은 조(組) 전지를 그대로 재이용하는 처리이다. 리빌드는 조 전지를 분해하고 나서 재이용 가능한 전지 셀을 모아 새롭게 조 전지로서 재생하는 처리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55981호는, 축전지를 재이용할 때에, 1차 이용시의 사용 상황에 의해서 생긴 축전지 성능의 불균일에 관한 정보를, 재이용 전지를 사용하는 기기에 송신하여 충방전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재이용 전지의 특성에 맞추어 성능을 끌어낼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55981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재이용 전지를 사용하는 기기의 특성을 재이용 전지의 특성에 맞추는 것이었지만, 기기의 사용자의 사용 방법이 사용자의 기호 등에 의해 표준적인 사용 방법이 아닌 경우에는, 교환 후의 전지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대전류에서의 전지의 방전(이하, 「하이 레이트 방전」이라고도 함)이 계속되면, 전지의 내부 저항이 일시적(가역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용 상태가 계속되면, 전지의 열화를 초래한다. 하이 레이트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의 사용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교환 후의 전지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인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류에서의 전지의 충전(이하, 「하이 레이트 충전」이라고도 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55981호에서는, 재이용 전지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이나, 재이용 전지를 사용하는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사용법의 이력을 판독하는 것은 검토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기기의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적합한 교환용 전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지 관리 단말은 기기에 탑재된 이차 전지용이다. 상기 기기는, 제 1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전류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추정한 상기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지 관리 단말은 제 2 전자 제어 장치와 통지부를 포함한다.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지부는,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서 판정된 상기 요구 특성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기기의 사용 방법에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는 것과 같은 경향이 있는 경우에, 교환 시기에 있어서 그와 같은 경향을 고려한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이차 전지를 탑재한 기기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지의 사용 이력이 기록되고, 그 사용 이력을 전지 교환시에 판독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있었던 교환용 전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에 있어서의 충전과 방전의 발생 빈도의 불균형을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불균형에 적합한 이차 전지의 특성을 요구 특성으로서 통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기기에 있어서 하이 레이트 충전 또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치우친 사용이 행해지는 경향이 많은 경우에, 거기에 적합한 이차 전지의 특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상기 이차 전지로부터 출력을 수령하는 부하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적산값이 허용값을 초과하면, 상기 평가값의 적산값이 허용값 이하일 때보다,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부하에의 출력의 상한을 낮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허용값을 기억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는 이차 전지가 상기 기기에 교환용 전지로서 들어가는 경우에는, 기억한 상기 허용값을 보다 큰 값으로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제 2 전자 제어 장치가 전지 교환 후의 기기의 출력 제한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도록 허용값을 재설정하기 때문에, 기기가 보다 더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지부는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본건에 관련된 전지 관리 시스템은, 기기와 전지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이차 전지와 제 1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전류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추정한 상기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전지 관리 단말은 제 2 전자 제어 장치와 통지부를 포함한다.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지부는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서 판정된 상기 요구 특성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기기의 사용 방법에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는 것과 같은 경향이 있는 경우에, 교환 시기에 있어서 그와 같은 경향을 고려한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이차 전지를 탑재한 기기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지의 사용 이력이 기록되고, 그 사용 이력을 전지 교환시에 판독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있었던 교환용 전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방전 과다의 충방전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충전 과다의 충방전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충방전의 불균형이 작은 경우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충방전의 불균형이 큰 경우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ECU(600)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7은 전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교환 전지의 선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재사용시에 그레이드로 분류하는 공장에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방전 전력 상한값 WOUT, 배터리 열화 평가값 D, 목표값 E,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하는 전지에 따라 연비가 향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지 관리 시스템은 차량(100)과 단말(10)에 의해서 실현된다. 단말(10)은 차량(100)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지 재고 데이터베이스(22)가 전지 재생 공장(20) 등에 배치되어도 되고, 전지 재고 데이터베이스(22)는 단말(10)과 통신 가능하다.
차량(100)은 PCU(Power Control Unit)(300)와 배터리(400)와 주행용 모터(500)와 이들에 접속된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6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차량(100)은, 주행용 모터(500)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이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주행용 모터(500)에 부가하여 추가로 엔진을 탑재한 하이브리드 차량 등, 전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 전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배터리(400)는, 복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셀을 일체화한 모듈을, 추가로 복수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 조 전지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셀의 정극(正極)은, 리튬 이온(이하, 「Li염」이라고도 함)을 가역적으로 흡장/방출 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리튬 함유 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정극은, 충전 과정에 있어서 Li염을 전해액에 방출하고, 방전 과정에 있어서 전해액 중의 Li염을 흡장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셀의 부극(負極)은, Li염을 가역적으로 흡장/방출 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탄소)로 이루어진다. 부극은, 충전 과정에 있어서 전해액 중의 Li염을 흡장하고, 방전 과정에 있어서 Li염을 전해액에 방출한다.
모터(500)는 삼상 교류 모터이고, 배터리(400)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모터(500)의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차륜에 전해진다.
ECU(600)는, 제어부(651) 및 기억부(652)를 내장하고, 기억부(652)에 기억된 맵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400)에는 전압 센서(601)와 전류 센서(602)와 온도 센서(603)가 설치된다. 전압 센서(601)는 배터리(400)의 양단(兩端) 전압(이하, 「배터리 전압 VB」)을 검출한다. 전류 센서(602)는, 배터리(400)를 흐르는 전류(이하, 「충방전 전류 I」라고도 함)를 검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방전시에는 충방전 전류 I가 양의 값이 되고, 충전시에는 충방전 전류 I가 음의 값이 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온도 센서(603)는 배터리(400)의 온도(이하, 「배터리 온도 TB」라고도 함)를 검출한다. 이들 각 센서는 검출 결과를 ECU(600)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배터리(400)의 하이 레이트 방전이 계속되면, 배터리(400)의 내부 저항이 일시적(가역적)으로 상승하고, 배터리(400)의 출력 전압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하이 레이트 방전의 계속에 의한 전해액 중의 Li염의 불균형이, 출력 전압의 저하의 요인 중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 하이 레이트 방전의 계속에 의해서 배터리(400)의 내부 저항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상태가 계속되면, 배터리(400)의 불가역적인 열화를 초래해 버린다.
하이 레이트 방전이 계속될지 여부는, 사용자가 어떻게 차량을 운전하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배터리(400)가 열화하여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 배터리(400)를 교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이 레이트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의 사용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대한 내성이 높은 전지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류에서의 전지의 충전(이하, 「하이 레이트 충전」이라고도 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관리 시스템에서는, 전지 교환시에, 사용자의 사용법에 적합한 전지의 요구 특성을 통지하여, 적절한 전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수법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평가값을 차량(100)에 의해 산출하고,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차량(100)에 기억해 둔다. 그리고, 딜러 단말 또는 공장 단말의 전지 관리 ECU(14)는, 사용자로부터 전지 교환의 의뢰가 있었을 때에, 차량으로부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전지 관리 ECU(14)는, 판독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법에 적합한 교환용의 전지를 선택하고, 표시부(12)를 이용하여 교환용 전지에 대한 요구 특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통지의 형태로서는 표시에 한정하지 않고, 음성 가이드 등이어도 된다. 표시부나 음성 가이드가 통지부(12)의 예이다.
ECU(600)의 제어부(651)는, 전류 센서(602)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배터리(400)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기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배터리(400)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을 산출한다. 기억부(652)는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산출 및 기억된 평가값의 이력 정보는, 단말(10)에서 사용된다. 단말(10)은 딜러 또는 전지 재생 공장에 배치된다. 단말(10)은 전지 관리 ECU(14)와 표시부(12)를 포함한다. 전지 관리 ECU(14)는, 배터리(400)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배터리(400)의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부(652)로부터 취득하고,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배터리의 요구 특성을 판정한다. 표시부(12)는, 전지 관리 ECU(14)의 판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교환전 배터리란, 이미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전지이고, 교환용 배터리란, 새롭게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이다. 즉, 「배터리(400)의 교환」이란, 교환 전 배터리와 교환용 배터리가 교체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차량(100)의 사용 방법에 하이 레이트 방전이나 하이 레이트 충전 등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과 같은 경향, 또는 배터리(400)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는 것과 같은 경향이 있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교환 시기에 있어서 그와 같은 경향을 고려한 교환용의 배터리(400)의 요구 특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의 평가값의 일례로서, 일본 특허 제4494453호, 일본 특허 2013-051115호, 일본 특허 2013-2143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를 이용할 수 있다.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해서 생기는 이온 농도의 불균형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원래로 돌아간다. 간단히 말하면,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는, 이 이온의 불균형의 잔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고, 이하의 식 (1)에 의해 산출된다.
D(N) = (1-A×ΔT)×D(N-1)+(B/C)×I×ΔT … (1)
여기서, D(N), D(N-1)은 각각 평가값 D의 금회 값과 1 연산 사이클 전에 산출된 전회 값을 나타내고, A는 망각 계수를 나타내고, ΔT는 평가값 D의 연산 사이클 타임을 나타낸다. 또한, B는 전류 계수를 나타내고, C는 전류의 한계 역치를 나타내고, I는 배터리 전류를 나타낸다. 망각 계수 A는, 배터리 중의 리튬 이온의 확산 속도가 클수록, 또한 사이클 타임 ΔT가 클수록, 큰 값이 된다. 망각 계수 A, 전류 계수 B, 한계 역치 C는 배터리 온도 TB 및 배터리의 SOC를 입력하면 값이 얻어지는 맵으로 해 두어도 된다.
식 (1)의 제 1 항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평가값 D가 제로에 근접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항은, 방전에 의해 평가값 D가 증가하고, 충전에 의해 평가값 D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충전시는 I < 0이므로, 충전 과다인 경우에는 평가값 D는 음의 값이 된다.
도 2는 방전 과다의 충방전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충전 과다의 충방전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방전 과다 패턴이 계속되면 평가값 D는 양의 값이 되고, 도 3에 나타낸 충전 과다 패턴이 계속되면 평가값 D는 음의 값이 된다.
또, 배터리(400)에 축적된 데미지량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사용한다. 여기서, 평가값 D로부터 어떻게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산출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충방전의 불균형이 작은 경우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충방전의 불균형이 큰 경우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에 있어서는, 일정 시간마다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값을 기억하고, 소정 기간 내에 기억한 값이 어떤 분포가 되었는지의 이력이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값 D가 소정값 D0와 소정값 D1 사이에 분포하고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와 배터리(400)에 축적된 데미지량과의 상관이 낮아, 불균형이 작다. 소정값 D0와 소정값 D1 사이에 분포하는 평가값 D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적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증감하지 않고 동일한 값의 상태가 된다. 도 4가, 최근의 소정 기간분(分)(예를 들면, 14일분)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면, 이 소정 기간의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제로가 되고, 하이 레이트 충전, 하이 레이트 방전의 불균형이 적다는 것이 나타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값 D가 소정값 D0와 소정값 D1 사이로부터 외측에 분포하고 있는 경우에는, 불균형이 크다고 판단된다. 소정값 D0와 소정값 D1 사이의 외측에 분포하는 평가값 D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적산에 사용된다. 도 5가, 최근의 소정 기간분(예를 들면, 14일분)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면, 이 소정 기간의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양의 값이 되고, 하이 레이트 방전에 치우친 사용 방법이 되었음이 나타난다. 한편, 도 5와 다른 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음의 값이 될 때에는, 하이 레이트 충전에 치우친 사용 방법이 되었음이 나타난다.
배터리가 사용 개시되고 나서 교환 직전까지의 소정 시간마다,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어떤 값이었는지를 차량의 기억부에 기억해 두고, 이것을 판독하여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이력을 조사하면, 차량의 사용자가 어떤 방전 패턴의 사용법을 선호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지역의 특징(예를 들면, 언덕길의 유무나 급속 충전 스탠드의 유무 등)에 따라서도, 충전 패턴이 다르므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이력을 조사하면, 차량이 주로 사용되는 지역에 특징적인 사용법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이력은,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이력 정보이기도 하다.
여기서, 차량에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산출되는 것에 대하여 블럭도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해 둔다.
도 6은 ECU(600)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ECU(600)는 산출부(610)와 설정부(620)와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산출부(610)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를 Li염의 불균형의 변화에 따라서 산출한다. 설정부(620)는, 배터리의 출력을 제한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목표값 E를,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따라서 가변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목표값 E에 따라서 배터리(400)의 입출력 전력의 제한을 행하는 부분이다. 제어부(630)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입출력 전력의 제한에 관련된 변형례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산출을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산출부(610) 및 설정부(6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출부(610)는 산출부(611)와 기억부(612)와 산출부(613)를 포함한다. 산출부(611)는 충방전 전류 I로부터 배터리(400)의 SOC를 산출한다. 산출부(613)는, 1 연산 사이클 타임마다, 상기의 식 (1)에 의해서, 방전 전류값 I, 배터리 온도 TB, 기억부(612)에 기억된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전회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금회 값)를 산출한다. 기억부(612)는, 산출부(613)에서 산출된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를 기억한다.
설정부(620)는 적산부(621), 기억부(622), 목표값 설정부(623)를 포함한다. 적산부(621)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산출한다. 적산부(621)는, 최근의 소정 기간분(예를 들면, 14일분)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합계값을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로서 산출한다. 또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산출 수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산부(621)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소정값 D0(< 0)로부터 소정값 D1(> 0)까지 포함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와 배터리(400)에 축적된 데미지량과의 상관이 낮기 때문에,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를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더하지 않는다. 한편,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소정값 D0(< 0)로부터 소정값 D1(> 0)의 외측의 값인 경우에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를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더한다.
기억부(622)는, 적산부(621)가 산출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612, 622)는, 도 1에서는 기억부(652)로서 집합적으로 나타나고, 연산 처리를 행하는 나머지 부분은, 도 1에서는 제어부(651)로서 집합적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측에서 산출, 기억된 평가값 D의 이력에 관한 정보는, 차량의 전지 교환시에 사용 방법에 적합한 교환용 전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전지 관리 시스템이 판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전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교환용 전지의 선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예를 들면 전지를 교환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차량을 딜러에게 가지고 가서, 딜러의 단말을 차량 ECU(600)에 접속하였을 때에, 도 1의 전지 관리 ECU(14)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1, 도 7을 참조하여, S301에 있어서, 전지 관리 ECU(14)는 차량 ECU(600)와 통신을 행하고,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취득한다.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의 이력 정보의 일종이다. 평가값 D가 양 또는 음에 치우친 경우에는 배터리(400)가 데미지를 받지만,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그 데미지가 축적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계속해서, S302에 있어서, 전지 관리 ECU(14)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의 불균형이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최근의 소정 기간분(예를 들면, 14일분)의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에 기초하여 산출된 값이라고 하면, 소정 기간마다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기록해 둔다. 그리고, S302에서는 소정 기간마다 기록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합계를 계산하고, 그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를 넘으면 불균형이 크다고 판정하면 된다.
S302에 있어서, 불균형이 크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S302에서 NO), S30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일반 그레이드의 전지를 교환용 전지로 하도록 판정되고, S304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교환용 전지의 그레이드가 표시부(12)에 표시된다. S302에 있어서, 불균형이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302에서 YES), S305로 처리가 진행된다.
S305에서는, 전지 관리 ECU(14)는, 하이 레이트 충방전의 극성이 충전 과다인 것인지 방전 과다인 것인지를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부호의 양/음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S305에 있어서, 방전 과다(부호가 +)였을 경우 S30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충전 과다(부호가 -)였을 경우 S307로 처리가 진행된다.
S306에서는, 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의 전지를 교환용 전지로 하도록 판정되고, S308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교환용 전지의 그레이드가 표시부(12)에 표시된다. 한편, S307에서는, 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의 전지를 교환용 전지로 하도록 판정되고, S309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교환용 전지의 그레이드가 표시부(12)에 표시된다. 또한, 일반 그레이드, 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 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의 전지에 대하여 기재했지만, 배터리의 설계에서 부극 밀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그와 같은 그레이드의 전지를 제조해 두는 것은 가능하다.
S304, S308, S309 중 어느 것인가의 처리가 종료되면 이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S310∼S313의 처리는 옵션이고, 변형례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 관리 ECU(14)는 평가값 D의 이력 정보의 일종인 적산값 ΣD의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에 있어서의 하이 레이트 충전과 하이 레이트 방전의 발생 빈도의 불균형을 판정하고(S302), 발생 빈도의 불균형에 적합한 배터리(400)의 특성(예를 들면, 전지의 그레이드)을 요구 특성으로서 표시부(12)에 통지시킨다(S304, S308, S309).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차량(100)에서 하이 레이트 충전 또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치우친 사용이 행해지는 경향이 많은 경우에, 거기에 적합한 배터리(400)의 특성을 사용자 또는 판매점이나 공장의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7의 S303, S306, S307에서는, 일반 그레이드, 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 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의 전지에 대하여 기재하고, 배터리의 설계에서 부극 밀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그와 같은 그레이드의 전지를 제조해 두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을 서술하였다. 그레이드별 전지를 준비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재사용품 등에서는 전지를 그레이드로 나누어 둘 수도 있다.
도 1에 있어서, 단말(10)이 공장 단말인 경우에는, 전지 관리 ECU(14)는, 폐기 차량 또는 전지를 교환하기 전의 차량으로부터 평가값 D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들 차량의 배터리가 재사용품인 경우에, 배터리 특정 정보와 함께, 평가값 D에 대한 정보나 하이 레이트 충방전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지 재생 공장(20)의 전지 재고 데이터베이스(22)에 기록한다. 배터리 특정 정보란, 예를 들면 ID 택 등의 값이다. 하이 레이트 충방전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로서 하이 레이트 저항 증가율을 전지 전류와 전지 전압으로부터 산출하여 차량측에서 기록해 두어도 된다. 하이 레이트 저항 증가율이란, 하이 레이트 충방전 발생시의 전지 저항의 증가율이다.
도 8은, 재사용시에 각 그레이드로 분류하는 공장에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먼저, S401에 있어서, 작업자가 통신 케이블 등을 차량에 접속하여, 전지 재생 공장에 폐기 전지 팩을 탑재하는 차량으로부터 전지 정보를 취득한다.
S402에 있어서, 전지의 내부 저항이나 만충전 용량 등이 측정되고, 재사용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S402에 있어서, 재사용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S405에 있어서 전지가 리사이클되고,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S402에 있어서 재사용 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S40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S403에서는, 하이 레이트 방전시의 저항 증가율에 기초하여 전지의 분류가 행해진다. 하이 레이트 방전시의 저항 증가율은 차량 탑재시에 데이터로서 축적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새롭게 공장에서 하이 레이트 충방전을 실행하여 그 때의 저항 증가율을 계측해도 된다. 하이 레이트 방전시에 저항 증가율이 소정의 판정값보다 작은 배터리는 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로 분류한다. 하이 레이트 충전시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분류는, 전지의 설계값에 의해 분류해도 되고, 셀을 빼내어 시험을 실시하여 실측값에 기초하여 분류해도 된다.
S403에 있어서 분류가 끝나면, S404에 있어서 배터리를 재사용품으로서 재생하고, 처리가 종료로 된다.
이하에, 변형례를 설명한다. 하이 레이트 방전의 계속에 의해서 배터리(400)의 내부 저항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상태가 계속되면, 배터리(400)의 불가역적인 열화를 초래해 버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이 레이트 방전의 계속을 억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ECU(600)는, 배터리(400)의 상태에 따라서, 충전 전력 상한값 WIN 및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단위는 모두 와트)를 설정하고, 배터리(400)의 실제의 충전 전력 및 방전 전력이 각각 충전 전력 상한값 WIN 및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으로, 하이 레이트 방전의 계속을 지나치게 억제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차량 동력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변형례에서는, 교환용 배터리로서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적합한 배터리가 선택된 것에 맞추어, 충전 전력 상한값 WIN 및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를 끌어올리도록 차량의 제어 데이터를 갱신하여, 교환용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차량 동력 성능을 가능한 한 발휘시킨다.
먼저, 차량측에서 실행되는 충전 전력 및 방전 전력의 제한에 대하여,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제어부(630)에 있어서, 충전 전력 및 방전 전력의 제한이 실행된다. 이 제한을 실행하기 위하여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와 비교하는 파라미터로서 목표값 E가 결정된다. 목표값 설정부(623)는, 기억부(622)에 기억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를 판독하고,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따라서 목표값 E를 가변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와 목표값 E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배터리(400)의 실제의 방전 전력(이하, 「실 방전 전력 P」라고 함)을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목표값 E를 초과하였다는 조건(이하, 「제한 조건」이라고도 함)이 성립한 경우에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를 저하시켜 배터리(400)의 방전을 제한한다(이하, 이 제한을 「WOUT 제한」이라고도 함). 이 WOUT 제한에 의해, 하이 레이트 방전에 의한 배터리(400)의 열화를 억제한다.
제어부(630)는 판정부(631), 제한부(632)를 포함한다. 판정부(631)는, 상술한 제한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정한다. 제한부(632)는, 제한 조건이 성립한 경우, 제한 조건이 불성립인 경우보다,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를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한부(632)는, 실 방전 전력 P가 방전 전력 상한값 WOUT를 초과하지 않도록 PCU(30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한 조건의 성립시는 불성립시보다 실 방전 전력 P가 제한되게 된다.
도 9는, 방전 전력 상한값 WOUT, 배터리 열화 평가값 D, 목표값 E,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도 9를 참조하여, 시각 t1보다 전의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미만의 범위에서는, 목표값 E는 기준값 Ebase보다 소정값 α만큼 큰 최대값 Emax로 설정된다. 한편, 시각 t1보다 후의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목표값 E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따라서 최대값 Emax로부터 기준값 Ebase까지 점차(단계적으로) 저하된다.
여기서, 기준값 Ebase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기인하는 배터리(400)의 불가역적인 열화 그 자체를 억제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정되는 값이다. 이에 대하여, 최대값 Emax는, 배터리 요구 수명(배터리(400)에 요구되는 사용 가능 기간, 예를 들면 10년)을 확보 가능한 범위에서, 하이 레이트 방전에 기인하는 배터리(400)의 불가역적인 열화를 허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정되는 값이다.
시각 t1보다 전은,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는 허용값 K 미만이기 때문에, 목표값 E는 최대값 Emax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열화 평가값 D는 목표값 E 미만이 되고, WOUT 제한은 행해지지 않는다.
시각 t1에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에 도달하면 목표값 E가 저하되기 시작하고, 시각 t2에서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목표값 E를 초과하면 WOUT 제한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하이 레이트 방전이 억제되어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저하한다. 시각 t3에서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목표값 E(기준값 Ebase) 미만이 되면 WOUT 제한이 해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각 t4에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 미만이 되면, 목표값 E는 다시 최대값 Emax까지 점차 증가된다.
목표값 E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 열화 평가값 D가 이 고정값을 1도라도 초과하면 제한 조건이 성립하여 WOUT 제한이 개입되어 버린다. 이 경우에는, 하이 레이트 방전에 의한 배터리(400)의 불가역적인 열화 그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차량 동력 성능이 손상되어 버린다. 그래서, 설정부(620)는, 배터리(400)에 축적된 데미지량에 상당하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를 초과할 때까지는, 목표값 E를 기준값 Ebase보다 큰 최대값 Emax로 끌어올려 두어 배터리 요구 수명을 확보 가능한 범위에서 배터리의 열화를 허용하여 차량 동력 성능을 확보한다.
한편, 설정부(620)는,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를 초과하는 경우, 목표값 E를 최대값 Emax로부터 기준값 Ebase로 저하시킴으로써 WOUT 제한의 개입을 촉구한다. 이에 의해, 하이 레이트 방전에 의한 배터리(400)의 열화를 억제하여 배터리 요구 수명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허용값 K를 초과한 것을 계기로 하여 WOUT 제한이 개입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도 9에서는, WOUT 제한에 대한 파형을 나타냈지만, 충전시의 WIN 제한에 대해서도,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가 음이 되고, 허용값 L(음의 값)보다 저하한 경우를 계기로 하여 개입이 행해진다.
본 변형례에서는, 배터리를 하이 레이트 방전 또는 하이 레이트 충전에 강한 그레이드의 배터리로 교환하였을 때에, 허용값 K, 허용값 L을 끌어올리도록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WOUT 제한이나 WIN 제한이 개입되기 어렵게 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살리도록 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서는, 전지 관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도 7의 처리에 대하여 파선으로 나타낸 S310∼S313의 처리가 추가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여, S308에 있어서, 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가 교환용 전지의 요구 특성으로서 통지된 후에, S310에 있어서 전지의 교환이 완료 대기의 처리가 실행되고, 교환이 완료되면 S312의 처리가 실행된다. S312에서는, 전지 관리 ECU(14)는, 기억부(652)에 기억되어 있는 방전측 허용값 K를 확대(인상)한 값 K1으로 갱신하도록, 차량 ECU(600)에 지시를 낸다. 이에 의해, 전지 교환 후에는, 차량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WOUT 제한을 받기 어려워지므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충전시에 있어서도, 방전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열화 적산값 ΣD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허용값 L이 정해져 있어, 허용값 L을 밑돌면 WIN 제한이 실행된다. S309에 있어서, 충전 과다에 강한 그레이드가 교환용 전지의 요구 특성으로서 통지된 후에, S311에 있어서 전지의 교환이 완료 대기의 처리가 실행되고, 교환이 완료되면 S313의 처리가 실행된다. S313에서는, 전지 관리 ECU(14)는, 기억부(652)에 기억되어 있는 충전측 허용값 L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올린 값 L1으로 갱신하도록, 차량 ECU(600)에 지시를 낸다. 이에 의해, 전지 교환 후에는, 차량은, WIN 제한을 받기 어려워지므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회생이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전지 관리 ECU(14)가 전지 교환 후의 차량(100)의 출력 제한을 일어나기 어렵게 하도록 허용값을 끌어올린 값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차량(100)이 보다 더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이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일례로서, 연비가 향상하는 모델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10은, 사용하는 전지에 따라 연비가 향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에 공통적인 사용자의 사용 방법은, 충전 과다에 불균형이 큰 사용 방법이다. 이 때 실시예에서는 충전 과다 내성이 높은 그레이드의 배터리가 사용되고, 비교예 1에서는 일반 그레이드의 배터리가 사용되고, 비교예 2에서는 충전 과다 내성이 낮은 그레이드의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 변형례에 있어서는, 사용 배터리에 맞추어 허용값 L이 설정된 결과, 최적의 배터리로 교환이 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출력 제한(WIN 제한) 개입 빈도를 1이라고 하면, 최적이 아닌 배터리가 사용되는 비교예 1에서는 1.5배, 비교예 2에서는 2배의 빈도로 입출력 제한이 발생한다. 이것은, 실시예 쪽이 비교예 1, 2보다 모터의 회생시의 전력을 회수하기 쉽다는 것을 나타내고, 연비가 향상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방법의 불균형을 간단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입출력 제한을, 충전시에 발생한 빈도와, 방전시에 발생한 빈도를 각각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값 중 어느 것이 큰 지에 의해 충전 과다, 방전 과다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도 1에서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기가 차량인 예를 나타냈지만, 기기는 차량이 아니어도 되고, 배터리를 교환하는 기기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5)

  1. 기기(100)에 탑재된 이차 전지(400)용 전지 관리 단말(10)로서,
    상기 기기(100)는,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전류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추정한 상기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지 관리 단말은 제 2 전자 제어 장치(14)와 통지부(12)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이차 전지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지부(12)는,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에 의해서 판정된 상기 요구 특성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전지 관리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에 있어서의 충전과 방전의 발생 빈도의 불균형을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불균형에 적합한 이차 전지의 특성을 요구 특성으로서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전지 관리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이차 전지로부터 출력을 수령하는 부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평가값의 적산값이 허용값을 초과하면, 상기 평가값의 적산값이 허용값 이하인 때보다,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부하에의 출력의 상한을 낮추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허용값을 기억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는 이차 전지가 상기 기기에 교환용 전지로서 들어가는 경우에는, 기억한 상기 허용값을 보다 큰 값으로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지 관리 단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12)는 디스플레이인 전지 관리 단말(10).
  5. 전지 관리 시스템은 기기(100)와 전지 관리 단말(10)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100)는 이차 전지와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이차 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전류의 검출값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질 중에 있어서의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를 추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추정한 상기 이온 농도의 불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에 의한 상기 이차 전지의 열화에 관한 평가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지 관리 단말(10)은 제 2 전자 제어 장치(14)와 통지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이차 전지를 교환할 때에, 교환 전의 상기 이차 전지의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제어 장치(600)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는 상기 평가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용의 이차 전지의 요구 특성을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지부(12)는, 상기 제 2 전자 제어 장치(14)에 의해서 판정된 상기 요구 특성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전지 관리 시스템.
KR1020170018972A 2014-06-24 2017-02-10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KR101852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9088A JP6128066B2 (ja) 2014-06-24 2014-06-24 電池管理システム
JPJP-P-2014-129088 2014-06-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52A Division KR101948181B1 (ko) 2014-06-24 2015-06-22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73A true KR20170018873A (ko) 2017-02-20
KR101852982B1 KR101852982B1 (ko) 2018-04-30

Family

ID=547681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52A KR101948181B1 (ko) 2014-06-24 2015-06-22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KR1020170018972A KR101852982B1 (ko) 2014-06-24 2017-02-10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52A KR101948181B1 (ko) 2014-06-24 2015-06-22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3526B2 (ko)
JP (1) JP6128066B2 (ko)
KR (2) KR101948181B1 (ko)
CN (1) CN105206887B (ko)
DE (1) DE102015109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3569A1 (en) * 2014-07-28 2016-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ower capability estimation based on reduced order electrochemical models
CN108140906B (zh) * 2015-12-31 2022-01-1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智能电池和方法
US9714012B1 (en) * 2016-01-22 2017-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ource element replacement during vehicle operation
ES2640749B1 (es) * 2016-05-02 2018-08-23 Torrot Electric Europa, S.L. Sistema de gestión, diagnosis e interconexión de varias baterías de propulsión de un vehículo eléctrico
JP6481661B2 (ja) * 2016-06-10 2019-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CN108263222B (zh) 2016-12-30 2021-10-15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确定电动汽车电池包更换的效用的方法和装置
US20180217210A1 (en) * 2017-01-31 2018-08-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Battery check device and battery check system
DE112018001398T5 (de) * 2017-03-14 2019-12-05 Gs Yuasa International Ltd. Schutzvorrichtung
JP6780593B2 (ja) * 2017-07-07 2020-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874666B2 (ja) * 2017-12-14 2021-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情報処理装置、電池製造支援装置、組電池、電池情報処理方法、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6911747B2 (ja) * 2017-12-25 2021-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情報処理装置、電池製造支援装置、組電池、電池情報処理方法、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6911746B2 (ja) * 2017-12-25 2021-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情報処理装置、電池製造支援装置、組電池、電池情報処理方法、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CN108321446B (zh) * 2018-01-30 2020-02-18 上海交通大学 基于条件折旧均衡算法的多电池储能优化管理方法及系统
JP6933176B2 (ja) * 2018-03-28 2021-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及び電池管理システム
DE102018204924A1 (de) * 2018-03-29 2019-10-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Überwachung eines Energiespeichers
JP7063255B2 (ja) * 2018-12-06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情報処理システム
GB2579607B (en) * 2018-12-06 2021-06-23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Srl Preventing automatic leveling during battery replacement
US11113906B2 (en) 2018-12-10 2021-09-07 Gm Cruise Holdings Llc Predictive maintenance and diagnostics using modular condition monitoring
JP7015800B2 (ja) * 2019-03-05 2022-02-03 株式会社東芝 充電装置、充電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池提供システム
JP2020149679A (ja) * 2019-03-11 2020-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貸出システム、車両、サーバおよび電池貸出方法
JP7243425B2 (ja) * 2019-05-14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情報管理方法
CN110126673B (zh) * 2019-05-17 2020-12-08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梯次利用管理系统、电动汽车和通信基站
JP7108579B2 (ja) 2019-06-03 2022-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49226B2 (ja) * 2019-06-04 2022-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製造管理装置、製造方法、製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74903A (zh) 2019-06-17 2021-12-3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及程序
JP7258702B2 (ja) 2019-09-17 2023-04-17 株式会社東芝 再製品化支援サーバ、電池回収支援サーバ、電池データベース管理サーバ、ベンダコンピュータ、及びユーザコンピュータ
JP6862010B1 (ja) * 2019-12-17 2021-04-21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状態出力システム
JP7012701B2 (ja) * 2019-12-23 2022-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組合せ判定装置、組合せ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4637B2 (ja) 2020-05-19 2024-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15325B2 (en) * 2021-06-09 2024-02-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Quantum enabled resource activity investigation and response tool
WO2024058309A1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부명 이력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604A (ja) 2004-12-17 2005-06-23 Hitachi Battery Hanbai Service Kk 蓄電池の監視装置
JP5039980B2 (ja) * 2005-11-14 2012-10-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5019571B2 (ja) 2006-09-29 2012-09-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JP4494453B2 (ja) 2007-11-13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803482B2 (en) * 2009-01-08 2014-08-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aqueous electrolyte type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vehicle
JP5341823B2 (ja) * 2010-06-07 2013-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劣化判定システムおよび劣化判定方法
KR101195875B1 (ko) 2010-06-15 2012-10-30 정영재 배터리 컨트롤러 및 그 배터리 제어방법
CN102114788B (zh) * 2010-12-28 2013-03-06 吴江合美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动车动力集成数字管理系统
CN102064586A (zh) * 2011-01-14 2011-05-1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均衡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2155981A (ja) 2011-01-26 2012-08-16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蓄電池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再利用機器と管理サーバ
US9069046B2 (en) * 2011-08-03 2015-06-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terioration state estimation apparatus and deterioration state estimation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JP5733112B2 (ja) 2011-08-31 2015-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KR101605491B1 (ko) 2011-09-28 2016-03-22 도요타 지도샤(주) 비수 이차 전지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799732B2 (ja) * 2011-10-12 2015-10-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検索装置およびバッテリ検索方法
JP5747856B2 (ja) 2012-03-30 2015-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および充放電制御方法
JP5910879B2 (ja) * 2012-06-19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5641024B2 (ja) * 2012-08-07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交換方法
JP5849897B2 (ja) * 2012-08-22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交換方法
US9056556B1 (en) * 2014-02-25 2015-06-16 Elwha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9878631B2 (en) * 2014-02-25 2018-01-30 Elwh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06887B (zh) 2019-02-19
US10663526B2 (en) 2020-05-26
JP2016008873A (ja) 2016-01-18
CN105206887A (zh) 2015-12-30
KR101948181B1 (ko) 2019-02-14
KR20160000429A (ko) 2016-01-04
US20150369867A1 (en) 2015-12-24
JP6128066B2 (ja) 2017-05-17
KR101852982B1 (ko) 2018-04-30
DE102015109962A1 (de)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982B1 (ko) 전지 관리 단말 및 전지 관리 시스템
KR10199806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열화 발생을 저감하면서 고속충전과 최대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JP5614456B2 (ja) 蓄電装置の診断装置、診断方法、および蓄電装置
JP4001708B2 (ja) 二次電池の交換方法
JP4923116B2 (ja) 二次電池システム
EP33523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switchover between working states of multi-battery packs of electric vehicles
JP5733275B2 (ja) 組電池の制御装置及び組電池の再利用判定方法
EP2460060B1 (en) Monitoring battery health in an hvac system
EP324509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value of the state of energy of a battery in a vehicle
JP2005238969A (ja) 車載用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交換スタンド
JP2005051921A (ja) 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電池制御システム
JP2010104175A (ja) 故障診断回路、電源装置、及び故障診断方法
JP2020065424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2018156768A (ja) 二次電池の再利用判定システム
CN104347897A (zh) 用于调整蓄电池电压限值的方法和系统
JP6911747B2 (ja) 電池情報処理装置、電池製造支援装置、組電池、電池情報処理方法、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CN115427256A (zh) 用于监测电池单元老化的方法
JP2022179015A (ja) 蓄電池システム、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及び異常電池検知方法
WO2016200319A1 (en) A method and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battery system
CN110780225B (zh) 一种电池包内短路检测方法、装置和电动汽车
JP5839093B2 (ja) 組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3296324A (zh) 车用动力电池组充电方法
CN206313466U (zh) 汽车锂离子电池启动系统及汽车
CN108649637A (zh) 电动汽车的电池保护参数确定系统及电池管理系统
JP2014053173A (ja) 電池劣化予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