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700A -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700A
KR20160146700A KR1020167028359A KR20167028359A KR20160146700A KR 20160146700 A KR20160146700 A KR 20160146700A KR 1020167028359 A KR1020167028359 A KR 1020167028359A KR 20167028359 A KR20167028359 A KR 20167028359A KR 20160146700 A KR20160146700 A KR 2016014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substrate
resin composition
support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451B1 (ko
Inventor
토시마사 나고시
시게오 타나카
시즈 후쿠즈미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3326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467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0832A/ko
Publication of KR2016014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29Inorganic compounds; Onium compounds; Organic compounds having hetero atoms other than oxygen, nitrogen or sulf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4Contact or film exposure of light sensitive plates such as lithographic plates or circuit boards, e.g. in a vacuum frame
    • G03F7/2016Contact mask being integral part of the photosensitive element and subject to destructive removal during post-exposure proces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4Imagewise removal by selective transfer, e.g. peeling aw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8Treatment before imagewise removal, e.g. pre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42Sealing arrangements between parts, e.g. adhesion pro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94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or co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42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wire connectors, e.g. wirebond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via metallisation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ing area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01L2224/48229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the bond pad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80 - H01L2224/90
    • H01L22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921Connecting a surface with connectors of different types
    • H01L2224/921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 H01L2224/9212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92125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bump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3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land array, e.g. L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5Permanent coating compositions
    • H05K3/287Photosensitive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지지필름과, 그 지지필름 위에 설치되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감광층을 구비하는 감광성 엘리먼트로서, 지지필름은,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인, 감광성 엘리먼트.

Description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PHOTOSENSITIVE ELEMENT, LAMINATE, PERMANENT MASK RESIS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PACKAGE}
본 개시(開示)는,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반도체 패키지용으로 사용되는 감광성 절연 재료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감광성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의 고성능화에 따라 반도체의 고집적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프린트 배선판, 반도체 패키지 기판 등에 형성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솔더 레지스트)에는,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무기충전재에 나노 사이즈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에 의해, 고해상성과 저열팽창화의 양립을 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2011-013622호 공보
그런데, 반도체의 고집적화에 따라,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위에 또 다른 재료가 적층되는 예가 증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로서 사용되는 재료는, 적층되는 다른 재료, 예를 들면, 봉지재(封止材), 언더필(under-fill), 구리 등과의 밀착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등의 종래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해서는, 다른 재료와의 밀착성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종(異種) 재료와의 밀착성이 뛰어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적층체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지지필름과, 그 지지필름 위에 설치되어,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감광층을 구비하는 감광성 엘리먼트로서, 지지필름은,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인, 감광성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감광성 엘리먼트에 의하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형성했을 때의 이종 재료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상기 지지필름은, 헤이즈가 6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에폭시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지지필름 위의 표면거칠기에 기인한 요철(凹凸)이 그대로 남기 쉬워져,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나타내기 쉬워진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평균 입경 1㎛ 이하의 무기충전재를 10∼90질량% 함유해도 된다. 소경(小徑)의 무기충전재를 고충전한 경우에는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지만, 본 개시의 지지필름과 조합하면, 밀착성의 저하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광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해도 되고, 아실포스핀계 화합물을 더 함유해도 된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광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실포스핀계 화합물은, 저부(底部) 경화성이 뛰어나고, 또한, 산소 저해를 받기 어렵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 후, 또한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지지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산소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받기 쉬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저부 경화성이 뛰어난 점에서, 안료 등에 의해, 색을 들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도 유효하고,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의 최외층에 사용되는 솔더 레지스트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상술한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기판 위에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광층의 소정 부분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광경화부 이외의 영역을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형성 방법에 의하면, 본 개시의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종 재료와의 밀착성이 뛰어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 후, 또한 상기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지지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직접 묘화 방식, 투영 노광 방식 또는 감광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네가티브 마스크를 배치하는 노광 방식을 사용하여 활성 광선을 조사해도 된다.
본 개시의 감광성 엘리먼트는, 이와 같이 노광 전에 지지필름이 박리되어 있고, 또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노광 방식 또는 마스크가 감광층에 접하지 않는 노광 방식으로 노광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광경화부 이외의 영역을 제거하는 공정 후에, 가열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상술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의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위에, 다른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성 방법에 의하면, 본 개시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부재(이종 재료)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본 개시는, 기판과, 그 기판 위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을 구비하는 적층체로서,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경화물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인, 적층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적층체는, 다른 부재(이종 재료)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본 개시에 의하면, 이종 재료, 특히 봉지재, 언더필, 구리 스퍼터(sputter) 등과의 밀착성이 뛰어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엘리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또한, 이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적층체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플립칩형 패키지 기판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감도·해상성의 평가에 사용하는 노광 패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밀착성을 다이본딩 테스터로 평가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또는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타)아크릴산」 등의 유사한 표현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층」이라는 용어는, 평면도로서 관찰했을 때에, 전면(全面)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조에 더하여,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조도 포함된다. 또한, 「∼」를 이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엘리먼트는, 지지필름과, 그 지지필름 위에 설치된 감광층을 구비한다. 감광성 엘리먼트는, 감광층의 지지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필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지지필름은,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이며, 200∼2000nm이어도 되고, 250∼1000nm이어도 된다. Ra가 200nm미만이면,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Ra가 4000nm보다 크면, 지지필름을 박리할 때의 택(tack)이 커져, 박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지지필름은,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Ra로 500nm보다 크고, 4000nm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표면거칠기」이란, 산술평균거칠기 Ra를 가리킨다. 산술평균거칠기 Ra는,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L)만큼을 빼내고, 이 빼낸 부분의 평균선의 방향으로 X축을, 세로 배율의 방향으로 Y축을 취하고, 거칠기 곡선을 y=f(x)로 표시했을 때에,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해지지는 값을 나노미터(nm)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즉, Ra는 하기 식(1)로 표시되는 값이다.
Figure pct00001
지지필름의 표면거칠기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반죽 매트(kneading mat)식(지지필름 중에 활재(滑材)를 반죽하여 넣는 방법), 샌드블라스트식 또는 금속 엠보싱가공식에 의해 조정해도 된다.
또한, 사용하는 지지필름의 두께에 제한은 없지만, 10㎛에서 200㎛의 범위, 또한, 12㎛에서 100㎛의 범위이어도 된다. 10㎛이상인 것으로, 도공할 때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200㎛이하이면, 경제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지지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지는 중합체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나타내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지지필름의 헤이즈는 60% 이상, 광택도는 10% 이상이어도 되고, 헤이즈는 70% 이상, 광택도는 20% 이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감광층에 관하여 설명한다. 감광층을 형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광라디칼 중합, 광양이온 중합, 그 밖의 방식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전반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소 저해가 적은, 광양이온 중합계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수지 조성물로서는, 광양이온 중합개시제, 에폭시 수지 또는 옥세탄 수지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밀착성 및 내열성의 점에서 유효하고, 반도체 패키지 용도에 있어서의 각종 신뢰성을 만족시키는데 적합하다.
또한, 광라디칼 중합계의 수지 조성물에도 유효하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감광성 프리폴리머, (b) 광중합개시제, (c) 광반응성 화합물, (d) 다관능 에폭시 수지, (e) 무기충전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a)의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감광성 프리폴리머(이하, 「(a) 감광성 프리폴리머」라고도 한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a) 감광성 프리폴리머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수지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a1)와 불포화 모노카복실산(a2)의 에스테르화물에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a3)을 부가한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다음의 2단계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최초의 반응(이하, 편의적으로 「제1의 반응」이라고 한다.)에서는, 에폭시 수지(a1)와 불포화 모노카복실산(a2)이 반응한다. 다음의 반응(이하, 편의적으로 「제2의 반응」이라고 한다.)에서는, 제1의 반응에서 생성된 에스테르화물과, 포화 또는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a3)이 반응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a1)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비스페놀 S형과 에피클로르하이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 적합하고, BASF사제 GY-260, GY-255, XB-2615, 미쓰비시가가쿠사제 에피코트 828, 1007, 807 등의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아미노기 함유, 지환식 또는 폴리부타디엔 변성 등의 에폭시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불포화 모노카복실산(a2)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포화 혹은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과 1분자 중에 1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또는 포화 혹은 불포화 이염기산과 불포화 모노글리시딜 화합물과의 반에스테르 화합물류와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이 반응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말레산, 숙신산 등과,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상법(常法)에 의해 등몰비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을 사용해도 된다.
포화 혹은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숙신산, 무수말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에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메틸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에틸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감광성 프리폴리머로서는, CCR-1218H, CCR-1159H, CCR-1222H, PCR-1050, TCR-1335H, ZAR-1035, ZAR-2001H, ZFR-1185 및 ZCR-1569H, UXE-3024(이상, 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EXP-2810(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a) 감광성 프리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수지의 굴절률은, 사용하는 수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지만, 상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경우, 1.4∼1.7이며, 많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굴절률인 1.57 부근이며, 1.5∼1.6의 것을 사용했을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효과가 가장 발휘된다.
(a) 감광성 프리폴리머의 산가(酸價)는, 20∼180mgKOH/g이어도 되고, 30∼150mgKOH/g이어도 되고, 40∼120mgKOH/g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알칼리 수용액에 의한 현상성이 양호하게 되고, 뛰어난 해상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산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측정 수지 용액 약 1g을 정칭(精秤)한 후, 그 수지 용액에 아세톤을 30g첨가하여, 수지 용액을 균일하게 용해한다. 이어서, 지시약인 페놀프탈레인을 그 용액에 적당량 첨가하고, 0.1N의 KOH 수용액을 사용하여 적정(滴定)을 실시한다. 그리고, 다음 식에 의해 산가를 산출한다. A=10×Vf×56.1/(Wp×1)
또한, 식 중, A는 산가(mgKOH/g)를 나타내고, Vf는 페놀프탈레인의 적정량(mL)을 나타내고, Wp는 측정 수지 용액 중량(g)을 나타내고, I는 측정 수지 용액의 불휘발분의 비율(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a) 감광성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도막성의 관점에서, 3000∼30000이어도 되고, 5000∼20000이어도 되고, 7000∼15000이어도 된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b)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N,N,N',N'-테트라알킬-4,4'-디아미노벤조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온-1,4,4'-비스(디메틸아미노) 벤조페논(미히라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방향족 케톤류, 알킬안트라퀴논, 페난트렌퀴논 등의 퀴논류, 벤조인, 알킬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인알킬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질 유도체, 2-(o-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르 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4-디(p-메톡시페닐)-5-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2,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등의 2,4,5-트리아릴이미다졸 이량체, N-페닐글리신, N-페닐글리신 유도체, 9-페닐아크리딘 등의 아크리딘 유도체,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 2-(O-벤조일옥심)] 등의 옥심 에스테르류,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계 화합물, 9-페닐아크리딘, 9-아미노아크리딘, 9-펜틸아미노아크리딘, 1,2-비스(9-아크리디닐)에탄, 1,3-비스(9-아크리디닐)프로판, 1,4-비스(9-아크리디닐)부탄, 1,5-비스(9-아크리디닐)펜탄, 1,6-비스(9-아크리디닐)헥산,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1,8-비스(9-아크리디닐)옥탄, 1,9-비스(9-아크리디닐)노난, 1,10-비스(9-아크리디닐)데칸, 1,11-비스(9-아크리디닐)운데칸, 1,12-비스(9-아크리디닐)도데칸 등의 비스(9-아크리디닐) 알칸, 9-페닐아크리딘, 9-피리질아크리딘, 9-피라지니르아크리진, 9-모노펜틸아미노아크리딘, 1,3-비스(9-아크리디닐)-2-옥사프로판, 1,3-비스(9-아크리디닐)-2-티아프로판, 1,5-비스(9-아크리디닐)-3-티아펜탄 등의 아크리딘환을 가지는 화합물, (2-(아세틸옥시이미노메틸)티옥산텐-9-온), N-[1-[4-(페닐티오)벤조일]헵틸덴]-O-벤조일하이드록실아민, O-아세틸-1-[6-(2-메틸벤조일)-9-에틸-9H-카바졸-3-일]에탄온옥심 등의 옥심에스테르를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아실포스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b)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IRGACURE 651,IRGACURE 184, IRGACURE 1173, IRGACURE 2959, IRGACURE 127, IRGACURE 907, IRGACURE 369, IRGACURE 379 EG, IRGACURE 819, LUCIRIN TPO(모두 BASF사제), DAROCURE-TPO(BASF사제, 상품명), 카큐어 DETX-S(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로서 시판품을 입수 가능하다.
(c) 광반응성 화합물로서는, 감도, 해상성의 점에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메타)아크릴로일기이어도 된다)를 가지는 광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지만, 특히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분자 내에 3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광중합 모노머를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분자 내에 6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광중합 모노머가 리플로우 실장(實裝)시의 크랙 내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그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와 그 유사 구조체의 것이 있고, 상업적으로는, KAYARAD DPHA, KAYARAD D-310, KAYARAD D-330, KAYARAD DPCA-20, 30, KAYARAD DPCA-60, 120(모두 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분자 내에 3개 이상 가지는 다관능 광중합 모노머로서는,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에톡시트리아크릴레이트(SR-454, 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그 밖의 (c) 광반응성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이하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다가 알코올에 α,β-불포화카복실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에 α,β-불포화 카복실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분자 내에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우레탄 모노머, 우레탄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노닐페녹시폴리옥시에틸렌아크릴레이트, γ-클로로-β-하이드록시프로필-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o-프탈레이트, β-하이드록시알킬-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o-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계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EO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현상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비스페놀 A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비스페놀 A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폴리프로폭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폴리부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폴리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비스페놀 A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2,2-비스(4-(메타크릴옥시펜타에톡시)페닐)프로판은, FA-321M(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또는 BPE-500(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2,2-비스(4-(메타크릴옥시펜타데카에톡시)페닐)는, BPE-1300(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d)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비페놀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페놀형 에폭시 수지, 비크시레놀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크시레놀형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그들의 이염기산 변성 디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아랄킬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들의 화합물로서는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에피코트 828, 에피코트 1001, 에피코트 1002(모두 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에피코트 807(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YSLV-80(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고,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EBPS-200(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에피클론 EXA-1514(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페놀디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YL6121(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고, 비크시레놀디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YX4000H(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ST-2004, ST-2007(모두 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고, 상술한 이염기산 변성 디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ST-5100 및 ST-5080(모두 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페닐아랄킬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NC-3000, NC-3000H(모두 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눌레이트로서는, TEPIC-S, TEPIC-VL, TEPIC-PASB26(닛산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아랄다이드 PT810(BASF사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JER157S(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 테트라페닐롤에탄형 에폭시 수지의 JERYL-931(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아랄다이드 163(BASF사제) 등, 테트라글리시딜크시레노일에탄 수지의 ZX-1063(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등, 나프탈렌기 함유 에폭시 수지의 ESN-190, ESN-360(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HP-4032, EXA-4750, EXA-4700(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 디사이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의 HP-7200, HP-7200H(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계 에폭시 수지의 CP-50S, CP-50M(닛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등, 에폭시변성의 폴리부타디엔 고무 유도체의 PB-3600, PB-4700(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제, 상품명) 등, CTBN 변성 에폭시 수지의 YR-102, YR-450(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에폭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 무기충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바륨, 티탄산바륨, 분상(粉狀) 산화 규소, 무정형(無定形) 실리카,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운모분(雲母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황산바륨 또는 실리카 필러를 함유해도 된다.
(e) 무기충전재의 평균 입경은, 1㎛ 이하이어도 되고, 30nm∼800nm이어도 되고, 50nm∼600nm이어도 된다. 또한, (e) 무기충전재의 최대 입경은, 10㎛이하이어도 되고, 5㎛ 이하이어도 된다. 무기충전재의 평균 입경 및 최대 입경은,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 분산된 상태에서, 레이저 회절법 또는 동적 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e) 무기충전재의 함유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서, 10∼90질량%이어도 되고, 20∼80질량%이어도 되고, 30∼70질량%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료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아이오딘 그린, 디스아조이에로, 말라카이트 그린, 크리스탈 바이올렛, 산화티탄, 카본블랙, 나프탈렌 블랙, 아조계의 유기안료 등의 착색제,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tert-부틸카테콜, 피로가롤, 페노티아진, 니트로소 화합물 등의 중합금지제, 벤톤, 몬몰리로나이트, 에어로질, 아미드 왁스 등의 틱성 부여제, 실리콘계, 불소계, 고분자계 등의 소포제, 레벨링제, 멜라민 등의 밀착성 향상제, 디시안디아미드 등의 경화촉진제 등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원하는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엘라스토머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톨루엔, 석유 나프타 등의 일반적인 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의 함유량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액상인 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全) 중량 중의 5∼60질량%이어도 된다.
보호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지는 중합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제품명 「아르판 MA-410」, 「E-200 C」, 신에츠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제품명 「PS-25」 등의 PS시리즈 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1∼100㎛이어도 되고, 5∼50㎛이어도 되고, 5∼30㎛이어도 되고, 15∼30㎛이어도 된다. 이 두께가 1㎛ 미만 이상인 것으로, 라미네이트시에 보호필름이 찢어지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고, 100㎛ 이하이면 염가성이 뛰어난 경향이 있다. 또한, 보호필름은, 감광층 및 지지필름의 접착력보다도, 감광층 및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작은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저(低)피쉬아이(fish eye)의 필름이어도 된다. 피쉬아이란, 재료를 열용융하고, 반죽, 압출, 2축연신, 캐스팅법 등에 의해 필름을 제조할 때에, 재료의 이물질, 미용해물, 산화 열화물(劣化物) 등이 필름 중에 혼입된 것이다.
상기 감광층은, 상술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용제에 용해하여 고형분 30∼70질량% 정도의 용액(도포액)으로 한 후에, 이러한 용액(도포액)을 지지필름 위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상기 도포는, 예를 들면, 롤코터, 콤마코터, 그라비아코터, 에어나이프코터, 다이코터, 바코터 등을 이용한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70∼150℃, 5∼30분간 정도로 실시할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잔존 유기용제량은, 후(後) 공정에서의 유기용제의 확산을 방지하는 점에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3질량% 이하로 해도 된다. 상기 감광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건조 후의 두께로 10∼100㎛이어도 되고, 15∼60㎛이어도 되고, 20∼50㎛이어도 된다. 이 두께가 10㎛ 이상에서는, 공업적으로 도공이 용이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100㎛이하이면 감광층 내부의 감도 및 해상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사용한 레지스터 패턴(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레지스터 패턴을 형성해야 할 기판 위에, 상술한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감광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광성 필름의 보호필름을 감광층으로부터 박리시켜, 노출한 면을 라미네이트 등에 의해, 기판 위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가지는 도체층을 덮도록 밀착시킨다. 밀착성, 추종성 향상의 관점에서 감압하에서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감광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감광성 필름으로부터 지지필름을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실시하고, 감광층의 소정 부분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조사부의 감광층을 광경화시키는 노광 공정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은, 노광 전에 지지필름을 제거하는 태양(態樣)에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광층의 소정 부분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직접 묘화 방식, 투영 노광 방식 등의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 또는 감광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네가티브 마스크를 배치하는 노광 방식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광층 위에 지지필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지지필름을 제거한 후, 웨트 현상 또는 드라이 현상으로 광경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미노광부)을 제거하여 현상함으로써, 레지스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웨트 현상의 경우, 현상액으로서는, 알칼리성 수용액, 유기용제 현상액 등의 안전하고 또한 안정하며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사용된다. 또한, 현상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 요동(搖動) 침지, 브러싱, 스크래핑 등의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상기 알칼리성 수용액의 염기로서는, 알칼리 금속, 예를 들면, 리튬, 나트륨, 칼륨의 수산화물인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알칼리 금속, 암모늄 등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인 탄산 알칼리 또는 중탄산 알칼리, 알칼리 금속의 인산염인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등, 알칼리 금속의 피로인산염인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등, 붕사(硼砂), 메타규산나트륨,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1,3-디아미노프로판올-2, 모르폴린 등, 안전하고 또한 안정하며,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알칼리성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0.1∼5질량% 탄산나트륨의 희박용액, 0.1∼5질량% 탄산칼륨의 희박용액, 0.1∼5질량% 수산화나트륨의 희박용액, 0.1∼5질량% 사붕산나트륨의 희박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그 pH는 9∼11의 범위로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알칼리성 수용액의 온도는 감광층의 현상성에 맞추어 조절되며, 20∼50℃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수용액 중에는, 현상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 소포제 등의 소량의 유기용제를 혼입시켜도 된다.
상기 유기용제 현상액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알콕시에탄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의 농도는, 통상, 2∼90질량%이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유기용제의 온도는, 현상성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유기용제 현상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1,1,1-트리클로로에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γ-부티로락톤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레지스터 패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2종 이상의 현상 방법을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현상의 방식에는, 딥 방식, 배틀 방식, 스프레이 방식, 고압 스프레이 방식, 브러싱, 슬랩핑 등이 있고, 고압 스프레이 방식이 해상도 향상을 위해서는 가장 적합하다. 현상 후에 실시되는 금속면의 에칭에는, 예를 들면, 염화제2구리 용액, 염화제2철 용액, 알칼리 에칭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사용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현상 공정 종료 후, 땜납 내열성, 내약품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압 수은 램프에 의한 자외선 조사 또는 가열을 실시해도 된다.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그 조사량을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05∼10J/cm2 정도의 조사량으로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 패턴을 가열하는 경우는, 130∼200℃정도의 범위에서 15∼90분 정도 실시해도 된다.
자외선 조사 및 가열은, 양쪽 모두를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양쪽 모두를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어느 한쪽을 실시한 후에 다른 한쪽을 실시해도 된다. 자외선 조사와 가열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는, 땜납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보다 양호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60∼150℃로 가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경화막)의 표면거칠기는 Ra로 200∼4000nm이어도 되고, 250∼3000nm이어도 되고, 300∼2000nm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경화막)의 표면거칠기는 Ra로 500nm보다 크고 4000nm 이하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는, 기판에 땜납부를 실시한 후의 배선의 보호막을 겸하고, 솔더 레지스트의 제(諸)특성을 가져 프린트 배선판용, 반도체 패키지 기판용, 또는 플렉서블 배선판용의 솔더 레지스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솔더 레지스트는, 예를 들면, 기판에 대하여, 도금 또는 에칭을 실시하는 경우에, 도금 레지스터 또는 에칭 레지스터로서 사용되는 것 이외, 그대로 기판 위에 남겨져, 배선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노광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체층의 소정 부분이 미노광이 되는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 또는 묘화 데이터를 사용하여 노광을 실시한 경우, 이것을 현상함으로써, 미노광 부분이 제거되어, 기판 위에 형성된 도체층의 일부가 노출된, 개구(開口) 패턴을 가지는 레지스터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술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위에, 다른 부재, 예를 들면 봉지재, 언더필, 구리 등을 형성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위에,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구리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에칭 처리함으로써, 구리(도체) 패턴을 형성, 즉 빌드업으로 재배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에 의하면, 밀착성이 뛰어난 구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로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엘리먼트를 적용한 경우에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 위에 반도체 칩을 플립칩 접속한 후, 솔더 레지스트 위에 봉지재 또는 언더필을 형성하지만, 상술한 효과에 의해, 양쪽에서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엘리먼트는, 반도체 패키지용 프린트 배선판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영구 레지스터층)의 형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반도체 패키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반도체 패키지(10)는,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과,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에 탑재된 반도체 칩(120)을 구비한다.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과 반도체 칩(120)은, 다이 본드 필름 또는 다이 본드 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접착제(117)로 접착되어 있다.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은, 절연기판(100)을 구비하고, 절연기판(100)의 한쪽 면 위에는, 와이어 본딩용 배선 단자(110)와, 배선 단자(110)의 일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영구 레지스터층(90)이 설치되며, 반대측의 면 위에는, 영구 레지스터층(90)과 납땜 접속용 접속단자(111)가 설치되어 있다. 영구 레지스터층(90)은, 상기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땜납 접속용 접속단자(111)는, 프린트 배선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기 위해서, 땜납볼(114)을 탑재하고 있다. 반도체 칩(120)과 와이어 본딩용 배선 단자(110)는, 금 와이어(115)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반도체 칩(120)은, 반도체용 봉지 수지(116)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혹은 그 제조 방법 또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이종 재료(즉, 반도체용 봉지 수지(116))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그 경화물의, 「기판과 반대측의 면」이란, 이종 재료와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엘리먼트는, 플립칩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플립칩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플립칩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20)은,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과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에 탑재된 반도체 칩(120)을 구비한다.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과 반도체 칩(120) 사이에는, 언더필제(118)가 충전되어 있다.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은, 절연기판(100b)과, 절연기판(100a)과, 영구레지스터층(90)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가진다. 영구 레지스터층(90)은, 상기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절연기판(100b)은, 절연기판(100a)측의 표면에 패턴화된 구리배선(80)을 가지며, 절연기판(100a)은, 영구 레지스터층(90)측의 표면에 패턴화된 구리배선(80)을 가진다. 절연기판(100b) 위의 구리배선(80)과, 절연기판(100a) 위의 구리배선(80)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기판(100a) 및 절연기판(10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땜납 접속용 접속단자(1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구 레지스터층(90)은, 절연기판(100a) 위의 구리배선(80)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땜납 접속용 접속단자(111)에 대응하는 구리배선(80) 위에는, 구리배선(80)이 노출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기판(100a) 위의 구리배선(80)은, 반도체 칩(120)의 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5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구리배선(80)과, 상기 개구부(112)에 설치된 땜납 볼(11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혹은 그 제조 방법 또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이종 재료(즉, 언더필제(118))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구비한 기판은, 그 후, 반도체소자 등의 실장(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 C4 땜납 접속)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PC 등의 전자기기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화물은, 층간 절연막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다른 재료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개시를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중량부)으로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감광성 수지 A∼F의 용액을 얻었다.
(감광성 수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감광성 프리폴리머로서, 산변성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EXP-2810」(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사용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이고 산가는 70mgKOH/g였다.
광반응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KAYARAD DPHA」(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사용했다.
또한, 광중합개시제로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DAROCURE-TPO」(BASF사제, 상품명), 2,4-디에틸티옥산톤 「카큐어 DETX-S」(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사용했다.
에폭시 수지로서, 비페닐아랄킬형 에폭시 수지인 「NC-3000 H」(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인 「YSLV-80」(신닛테츠스미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사용했다.
무기충전재에는, 황산바륨인 「B30」(사카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실리카인 「MEK슬러리(1)」(가부시키가이샤 아드마텍스제, 샘플명)을 사용했다. 무기충전재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 분산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입경 및 최대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마이크로트랙 입도 분포계 「MT-3100」(닛키소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B30의 평균 입경이 0.3㎛, MEK슬러리(1)의 평균 입경이 0.5㎛였다. 또한, B30 및 MEK슬러리를 포함하는 무기충전재의 최대 입경은 3㎛ 이하였다.
또한, 필름화 후의 무기충전재의 입경은 필름을 경화 후에 단면을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확인했다. 필름 중에 분산되어 있는 무기충전재의 최대 입경이 5㎛ 이하인 것을 확인했다.
그 외 성분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인 「에폴리드 PB3600」(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제, 상품명), 중합금지제로서 「안테이지 500」(카와구치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경화촉진제, 및 밀착성 향상제로서, 멜라민과 디시안디아미드, 안료에 프탈로시아닌 블루를 사용했다. 용제에는, 메틸에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사용했다.
(감광성 수지 B)
광중합개시제로서, 「DAROCURE-TPO」(BASF사제, 상품명)를 대신하여 「이르가큐아 907」(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BASF사제, 상품명)를 이용한 이외는, 감광성 수지 A와 동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B를 얻었다.
(감광성 수지 C)
무기충전재로서, 「샘플 2-N」(가부시키가이샤 아드마텍스제, 샘플명, 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한 나노 실리카를 메틸에틸케톤 중에 분산시킨 슬러리)을 사용했다. 샘플 2-N 중의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분산 상태는, 동적(動的) 광산란식 나노트랙 입도 분포계 「UPA-EX150」(닛키소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평균 입경이 0.05㎛, 최대 입경은 1㎛ 이하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 외는, 감광성 수지 A와 동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C를 얻었다.
(감광성 수지 D)
무기충전재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감광성 수지 A와 동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D를 얻었다.
(감광성 수지 E)
광반응성 화합물로서, 「KAYARAD DPHA」(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대신하여 「FA-321 M」(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사용한 것 이외는, 감광성 수지 A와 동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E를 얻었다.
(감광성 수지 F)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감광성 프리폴리머로서,「EXP-2810」(DI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대신하여 UXE-3024(니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사용한 것 이외는, 감광성 수지 A와 동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F를 얻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12, 비교예 1∼3)
상기의 감광성 수지 A∼F의 용액을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상이한 이하의 지지필름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감광층을 형성했다.
지지필름 A: PET X42-26(반죽 매트 타입) 토레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26㎛, 표면거칠기 Ra: 370nm, 헤이즈: 80%
지지필름 B: PET X44-26(반죽 매트 타입) 토레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26㎛, 표면거칠기 Ra: 265nm, 헤이즈: 77%
지지필름 C: PET 타입 A가공(샌드블라스트 가공) 카이세이공업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50㎛, 표면거칠기 Ra: 572nm, 헤이즈: 72%
지지필름 D: PE T-5 N(엠보싱 가공 타입) 오쿠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34㎛, 표면거칠기 Ra: 3500nm, 헤이즈: 88%
지지필름 E: OPP MA-420 오지토쿠슈시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35㎛, 표면거칠기 Ra: 100nm, 헤이즈: 7.5%
지지필름 F: PET HPE(고투명 타입) 데이진듀퐁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25㎛, 표면거칠기 Ra: <50nm, 헤이즈: 0.9%
지지필름 G: PET 타입 B 가공(샌드블라스트 가공) 카이세이공업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50㎛, 표면거칠기 Ra: 1022nm, 헤이즈: 76%
지지필름 H: PET 타입 C가공(샌드블라스트 가공) 카이세이공업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50㎛, 표면거칠기 Ra: 2339nm, 헤이즈 84%
지지필름 I: PE 시작품(試作品)(엠보싱 가공) 오쿠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막 두께: 34㎛, 표면거칠기 Ra: 4875nm, 헤이즈 92%
감광층을 형성 후, 그것을, 열풍 대류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약 10분간 건조했다. 감광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25㎛였다. 계속하여, 감광층의 지지필름과 접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위에 보호필름으로서, OPP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MA-411,오지토쿠슈시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첩합하여 감광성 필름을 얻었다.
표 2에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사용한 감광성 수지와 지지필름의 조합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감광성 수지와 지지필름의 조합이지만, 평가 기판의 제작에 있어서, 노광 전에 지지필름을 벗기지 않고 일반적인 감광성 필름의 사용법과 동일하게, 노광 후에 지지필름을 박리한 예이다. 또한, 표 3에 실시예 9∼12, 및 비교예 3에서 사용한 감광성 수지와 지지필름의 조합을 나타낸다.
[감도·해상성의 평가]
12㎛ 두께의 구리박을 유리 에폭시 기재(基材)에 적층한 프린트 배선판용 기판(MCL-E-679, 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의 구리 표면을 조화(粗化) 전(前)처리액 CZ-8100(맥크 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처리하고, 수세 후, 건조했다. 이 프린트 배선판용 기판 위에 프레스식 진공 라미네이타(MVLP-500,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제, 상품명)를 이용하여, 프레스 열판 온도 70℃, 진공흡입 시간 20초, 라미네이트 프레스 시간 30초, 기압 4kPa 이하, 및 압착 압력 0.4MPa의 조건 하, 감광성 필름의 보호필름을 박리하고 적층하여, 평가용 적층체를 얻었다.
그 후,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지지필름을 박리, 제거하고, 41단(段) 스텝 타블렛을 설치하고, 초고압 수은 램프를 광원으로 한 다이렉트 이메징 노광장치 DXP-3512(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제)를 이용하여 노광을 실시했다. 노광 패턴으로서는, φ30㎛에서 100㎛까지의 도트(dot)를 10㎛ 조각으로 가지는 패턴을 사용했다. 해당 노광 패턴은, 도 3에 나타내는 소정의 직경(도면 중의 X㎛)의 도트를 격자상(格子狀)으로 배열한 블록을, 각각의 직경(30㎛에서 100㎛까지의 10㎛ 조각의 직경)마다 가진다.
노광 후부터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30℃의 1질량%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미노광부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60초간 스프레이 현상했다. 현상 후, 41단 스텝 타블렛의 광택 잔존 스텝 단수가 10.0이 되는 노광 에너지량을 감광층의 감도(단위; mJ/cm2)로 했다. 이 감도로 노광한 패턴을 사용하여, 감광층의 평가를 실시했다.
감도의 평가는 스텝 단수가 10.0이 되는 노광 에너지량으로, 200mJ/cm2 이하를 「A」라고 하고, 200mJ/cm2 초과 300mJ/cm2 이하를 「B」, 300mJ/cm2 초과의 경우를 「C」라고 했다. 또한, 노광 에너지량이 작을수록, 고감도로 노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특히 다이렉트 이메징 노광에 있어서의 스루풋(throughput)이 좋아진다.
또한, 해상성의 평가는, 스텝 단수가 10.0이 되는 노광 에너지량으로 노광, 스프레이 현상하고, 현상 처리 후에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레지스터 패턴을 관찰하여 평가했다. 도트 패턴이 잔사(殘渣) 없이 개구되어 있는 가장 작은 구멍 직경(㎛)을 최소의 해상성으로 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냈다.
[지지필름 박리성의 평가]
감도·해상성 평가의 항목 기재의 조건에서, 감광성 필름을 기판에 라미네이트한 후,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했다. 그 후, 노광을 실시하지 않고, 지지필름을 박리, 제거했을 때, 감광층이 지지필름 측에 첩부(貼付)되어, 기판 위로부터 박리되어 버린 것을 「C」, 기판 위에서 일부 박리되어 버린 것을 「B」, 기판 위로부터의 박리가 없는 것을 「A」로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낸다.
[CTE의 평가]
상기 평가용 적층체의 전면(全面)을 노광하고, 현상, 자외선 조사, 가열 처리까지 실시함으로써, 16㎛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G2-1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지지필름) 위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형성하고, 이어서, 커터 나이프로, 폭 3mm, 길이 30mm로 잘라낸 후, 경화물 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박리하여, 열팽창 계수 평가용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를 얻었다.
TMA 장치 SS6000(세이코·인스트루먼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인장모드에서의 열팽창 계수의 측정을 실시했다. 인장 하중은 2g, 스팬(척간 거리)은 15mm, 승온 속도는 10℃/분이다. 우선, 샘플을 장치에 장착하고, 실온(25℃)에서부터 160℃까지 가열하고, 15분간 방치했다. 그 후, -60℃까지 냉각하고, -60℃에서 250℃까지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25℃에서 200℃까지의 범위에서 볼 수 있는 변곡점을 Tg로 했다. CTE는 Tg이하의 온도에서 얻을 수 있는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를 사용했다. CTE의 값을 30ppm/이하의 것을 「3」이라고 하고, 30ppm 초과 60ppm 이하의 것을 「2」, 60ppm 초과의 것을 「1」이라고 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낸다.
[봉지재, 언더필, 구리배선 밀착성의 평가]]
감도·해상성 평가의 항목 기재의 평가용 적층체에 오크세이사쿠쇼사제 자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1J/cm2의 에너지량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또한 160℃에서 60분간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감광성 절연막이 표면에 형성된 평가용 기판을 얻었다.
이 기판의 감광성 절연막 위에, 봉지재 CEL-C-9700 시리즈(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원주 필라상(狀)으로 형성하여 봉지재 밀착성 평가용의 시험 샘플을 얻었다.
또한, 이 기판의 감광성 절연막 위에, 언더필 CEL-C-3730S(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원주 필라상으로 형성하여 언더필 밀착성 평가용의 시험 샘플을 얻었다.
또한, 이 기판 위에 스퍼터 구리를 실시하고 또한 그 위에, 언더필 CEL-C-3730S(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원주 필라상으로 형성하여, 스퍼터 구리 밀착성 평가용의 시험 샘플을 얻었다.
밀착성은, 각각의 시험 샘플의 접착 강도를 다이본딩 테스터(레스카 가부시키가이샤제)로 측정 높이 50㎛, 측정 속도 50㎛/초, 실온에서 측정했다. 밀착성을 다이본딩 테스터로 평가한 방법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 중, 부호 1은 필라상으로 형성된 봉지재 또는 언더필(이하, 「밀착체(1)」이라고도 한다.)을 나타내고, 부호 3은 감광성 절연막을 나타내고, 부호 5는 기판을 나타낸다. 기판을 다이본딩 테스터의 지지대 7에 고정하고, 툴 9에 의해 밀착체를 방향 a로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시험 샘플을 파괴한다.
봉지재 및 언더필의 밀착성 평가에 관해서는, 다이본딩 테스터로 시험 샘플을 파괴했을 때에, 구리와 감광성 절연막(3)의 계면에서 파괴된 것, 또는 기판(5)의 응집 파괴로 파괴된 것을 「A」, 밀착체(1)과 감광성 절연막(3)의 계면에서 파괴된 것을 「C」, 양쪽 모두에서 파괴된 것을 「B」로 하여 평가했다.
스퍼터 구리 밀착성에 관해서는, 필(peel)강도로 1MPa 이상의 값이 나온 것을 「A」, 0.5 이상 1MPa 미만의 것을 「B」, 0.5MPa 미만의 것을 「C」로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낸다.
[HAST 내성의 평가]
코어재에 12㎛ 두께의 구리박을 유리 에폭시 기재에 적층한 프린트 배선판용 기판(MCL-E-679FG, 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세미 애더티브 배선 형성용 빌드업재(AS-ZII, 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를 이용하여, 라인/스페이스가 8㎛/8㎛인 꼬치형 전극을 제작하고, 이것을 평가 기판으로 했다.
이 평가 기판에 있어서의 꼬치형 전극 위에, 상기 「감도·해상성의 평가」및 「밀착성」과 동일하게 하여 레지스터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감광성 절연막을 형성하고(꼬치형 전극 부분에 솔더 레지스트가 남도록 노광하고 현상, 자외선 조사,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형성), 그 후, 130℃, 85%RH, 6V 조건 하에 200시간 쬐었다. 그 후, 저항값의 측정과 미그레이션(migration)의 발생의 정도를 100배의 금속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즉, 저항값이 1.0×1010Ω 이상이 유지되어 있고, 감광성 절연막에 미그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은 「A」라고 하고, 저항값이 1.0×1010Ω 이상이 유지되고 있었지만, 약간 미그레이션이 발생한 것은 「B」, 저항값이 1.0×1010Ω 미만이 되어, 미그레이션이 크게 발생한 것은 「C」라고 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냈다.
[크랙 내성의 평가]
상기 「평가 기판의 제작」과 동일하게 감광성 절연막을 형성한 평가용 적층체를, -65℃의 대기 중에 15분간 쬔 후, 180℃/분의 승온속도로 승온하고, 이어서, 150℃의 대기 중에 15분간 쬔 후, 180℃/분의 강온속도로 강온하는 열사이클을 1000회 반복했다. 이러한 환경하에 쬔 후, 평가용 적층체의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크랙 및 박리 정도를 100배의 금속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즉, 2mm각(角)의 개구부의 10개소(箇所)를 확인하여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크랙 및 박리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던 것은 「A」라고 하고, 10개소 중 2개소 이하로 크랙 및 박리가 관찰된 것을 「B」, 10개소 중 3개소 이상으로 크랙 및 박리가 관찰된 것을 「C」라고 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냈다.
[경화물의 표면거칠기의 평가]
상술한 방법에서 얻어진 경화물의 표면거칠기 Ra를, 현미경(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제, 상품명 「레이저 스캔 현미경 VK-8500」)을 이용하여, 측정 범위 100㎛×100㎛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3의 시험 결과로부터, 감광층과 접촉하는 면의 표면거칠기(Ra)가 200∼4000nm의 범위 내인 지지필름에 감광성 절연층을 도포함으로써, 지지필름의 거칠기를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지지필름의 거칠기가 감광층에 전사되면, 감광층의 표면거칠기가 증대된다. 즉, 양호한 앵커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언더필이나 봉지재라고 하는 반도체 재료와의 밀착성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1…밀착체, 3…감광성 절연막, 5…기판, 7…지지대, 9…툴, 10…반도체 패키지, 20…반도체 패키지 기판, 50…반도체 칩 탑재용 기판, 80…구리배선, 90…영구 레지스터층, 100, 100a, 100b…절연기판, 110…와이어 본딩용 배선 단자, 111…땜납 접속용 접속단자, 112…개구부, 114…땜납볼, 115…금 와이어, 116…반도체용 봉지 수지, 117…접착제, 118…언더필제, 120…반도체 칩.

Claims (13)

  1. 지지필름과, 그 지지필름 위에 설치되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감광층을 구비하는 감광성 엘리먼트로서,
    상기 지지필름은, 감광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인, 감광성 엘리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헤이즈가 60% 이상인, 감광성 엘리먼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감광성 엘리먼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평균 입경 1㎛ 이하의 무기충전재를 10∼90질량% 함유하는, 감광성 엘리먼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광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광성 엘리먼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아실포스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광성 엘리먼트.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기판 위에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감광층의 소정 부분에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광경화부 이외의 영역을 제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 후, 또한 상기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지지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직접 묘화 방식, 투영 노광 방식 또는 감광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네가티브 마스크를 배치하는 노광 방식을 사용하여 활성 광선을 조사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경화부 이외의 영역을 제거하는 공정 후에, 가열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12.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의 형성 방법에 의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위에, 다른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3. 기판과, 그 기판 위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을 구비하는 적층체로서,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그 경화물의 표면거칠기가 Ra로 200∼4000nm인, 적층체.
KR1020167028359A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44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1692A KR20220130832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1284 2014-04-25
JP2014091284 2014-04-25
PCT/JP2015/062550 WO2015163455A1 (ja) 2014-04-25 2015-04-24 感光性エレメント、積層体、永久マスクレジ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692A Division KR20220130832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700A true KR20160146700A (ko) 2016-12-21
KR102444451B1 KR102444451B1 (ko) 2022-09-19

Family

ID=543326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692A KR20220130832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0247020962A KR20240100483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0167028359A KR102444451B1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692A KR20220130832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0247020962A KR20240100483A (ko) 2014-04-25 2015-04-24 감광성 엘리먼트, 적층체, 영구 마스크 레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4744B2 (ko)
JP (2) JP6683125B2 (ko)
KR (3) KR20220130832A (ko)
CN (1) CN106233205B (ko)
TW (4) TW202413119A (ko)
WO (1) WO20151634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34A (ko) * 2017-01-17 2020-01-03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필름, 감광성 필름 적층체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2510B2 (ja) 2014-06-30 2016-03-09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227617B2 (ja) * 2014-06-30 2017-11-08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927664B2 (ja) * 2015-11-02 2021-09-01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プリント配線板及び感光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6748478B2 (ja) * 2016-04-25 2020-09-02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DE102016109352B4 (de) * 2016-05-20 2022-03-24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gehäuse und verfahren zum bilden eines chipgehäuses
CN106226996A (zh) * 2016-09-20 2016-12-14 深圳市容大感光科技股份有限公司 光致抗蚀抗电镀剂组合物、其应用及包括其膜层的基材
JP6175205B1 (ja) * 2017-02-01 2017-08-02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感光性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れらを用いて形成された硬化物
JP6199524B1 (ja) * 2017-07-03 2017-09-20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感光性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れらを用いて形成された硬化物
JP6199525B1 (ja) * 2017-07-03 2017-09-20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感光性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れらを用いて形成された硬化物
KR102216172B1 (ko) 2017-07-14 2021-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층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JP7104776B2 (ja) * 2017-08-14 2022-07-21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イメージング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及びモールド金型、撮像モジュールとスマート端末
WO2019124307A1 (ja) * 2017-12-20 2019-06-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JP6825580B2 (ja) * 2018-01-12 2021-02-03 味の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9178305A (ja) * 2018-03-30 2019-10-17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該硬化物を有するプリント配線板
JP7113644B2 (ja) * 2018-03-30 2022-08-05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WO2019221012A1 (ja) * 2018-05-16 2019-11-21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及び永久マスクレジストの形成方法
TW202102938A (zh) * 2019-03-29 2021-01-16 日商太陽油墨製造股份有限公司 光阻組成物及其硬化物
JPWO2020241596A1 (ko) * 2019-05-31 2020-12-03
WO2022138246A1 (ja) * 2020-12-25 2022-06-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材料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500A (ja) * 2005-12-27 2007-07-12 Fujifilm Corp 感光性フイルム、並びに、永久パターン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0085513A (ja) * 2008-09-30 2010-04-15 Toyo Ink Mfg Co Ltd 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
JP2011013622A (ja) 2009-07-06 2011-01-20 Hitachi Chem Co Ltd アルカリ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KR20110117714A (ko) * 2009-03-03 2011-10-27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2027368A (ja) * 2010-07-27 2012-02-09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フィルム
KR20120019430A (ko) * 2009-03-31 2012-03-0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필름용 부재, 그것을 이용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 및 감광성 수지 인쇄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544B2 (ja) 1999-03-18 2003-05-1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これを用いた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法、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法
EP1205802A4 (en) * 1999-06-24 2009-07-15 Hitachi Chemical Co Ltd PHOTOSENSITIVE ELEMENT, PHOTOSENSITIVE ELEMENT ROLL, RESIN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RESIN PATTERN, SUBSTRATE WITH RESILIENT RESIN PATTERN, WIRING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AND WIRING PATTERN THEREFOR
JP4666754B2 (ja) 2000-12-12 2011-04-06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ドラ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5221842A (ja) * 2004-02-06 2005-08-18 Lintec Corp マスクフィルム用部材、それを用いたマス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感光性樹脂印刷版の製造方法
JP4485239B2 (ja) * 2004-04-01 2010-06-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US7449280B2 (en) * 2004-05-26 2008-11-11 Microchem Corp. Photoimageable coating composition and composite article thereof
KR20070031403A (ko) * 2004-06-21 2007-03-1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무기 분체 함유 수지 조성물, 전사 필름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용 부재의 제조 방법
JP2007041493A (ja) 2004-10-20 2007-02-15 Mitsubishi Chemicals Corp 感光性組成物、及び青紫色レーザー用感光性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材料、画像形成材、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6154622A (ja) * 2004-12-01 2006-06-15 Fuji Photo Film Co Ltd パターン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6201546A (ja) 2005-01-21 2006-08-03 Showa Denko Kk フォトレジストフィルム
JP2006220886A (ja) * 2005-02-10 2006-08-24 Showa Denko Kk プリント配線板保護膜用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9014745A (ja) * 2006-03-16 2009-01-22 Fujifilm Holdings Corp 感光性組成物、感光性フィルム、感光性積層体、永久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基板
TW200745631A (en) * 2006-05-09 2007-12-16 Fujifilm Corp Photosensitive thermal transferable material, image forming method, display device, color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JP2007322485A (ja) * 2006-05-30 2007-12-13 Nippon Sheet Glass Co Ltd 遮光隔壁形成用のアルカリ現像型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5257648B2 (ja) * 2007-11-27 2013-08-07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23928B1 (ko) * 2008-09-04 2013-10-31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패키지용 프린트 배선판의 보호막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5573961B2 (ja) * 2010-12-16 2014-08-20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WO2013022068A1 (ja) * 2011-08-10 2013-02-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フィルム、永久レジスト及び永久レジストの製造方法
JP6229256B2 (ja) * 2011-10-31 2017-11-15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130047656A (ko) * 2011-10-31 2013-05-0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엘리먼트,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인쇄 배선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500A (ja) * 2005-12-27 2007-07-12 Fujifilm Corp 感光性フイルム、並びに、永久パターン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0085513A (ja) * 2008-09-30 2010-04-15 Toyo Ink Mfg Co Ltd 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
KR20110117714A (ko) * 2009-03-03 2011-10-27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20019430A (ko) * 2009-03-31 2012-03-0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필름용 부재, 그것을 이용한 마스크 필름의 제조방법 및 감광성 수지 인쇄판의 제조방법
JP2011013622A (ja) 2009-07-06 2011-01-20 Hitachi Chem Co Ltd アルカリ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2012027368A (ja) * 2010-07-27 2012-02-09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34A (ko) * 2017-01-17 2020-01-03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필름, 감광성 필름 적층체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물
KR20200000835A (ko) * 2017-01-17 2020-01-03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필름, 감광성 필름 적층체 및 그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화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3125B2 (ja) 2020-04-15
TW202413119A (zh) 2024-04-01
TW202241712A (zh) 2022-11-01
US20170045817A1 (en) 2017-02-16
KR102444451B1 (ko) 2022-09-19
CN106233205A (zh) 2016-12-14
JP6879348B2 (ja) 2021-06-02
CN106233205B (zh) 2020-06-23
JPWO2015163455A1 (ja) 2017-04-20
US11054744B2 (en) 2021-07-06
KR20220130832A (ko) 2022-09-27
KR20240100483A (ko) 2024-07-01
TWI769637B (zh) 2022-07-01
WO2015163455A1 (ja) 2015-10-29
TWI829181B (zh) 2024-01-11
TWI716347B (zh) 2021-01-21
TW201604655A (zh) 2016-02-01
JP2020076961A (ja) 2020-05-21
TW202116568A (zh) 202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9348B2 (ja) 感光性エレメント、積層体、永久マスクレジ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TWI584070B (zh)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膜、永久遮罩抗蝕劑及永久遮罩抗蝕劑的製造方法
KR10200357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필름, 영구 레지스터 및 영구 레지스터의 제조 방법
JP5472692B2 (ja) アルカリ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5263603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フィルム、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永久レジスト。
JP5447939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
JP5218828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永久レジスト
JP6143090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永久レジスト及び永久レジストの製造方法
JP5582348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
JP2009198710A (ja) 感光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永久レジスト
JP5768495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永久レジスト
JP5641293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永久レジスト
KR20080066845A (ko) 감광성 조성물, 감광성 필름, 영구 패턴 및 그 형성 방법
JP5804336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永久レジスト
JP2013115170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感光性樹脂組成物
JP5938869B2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6208835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