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511A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511A
KR20160146511A KR1020160033453A KR20160033453A KR20160146511A KR 20160146511 A KR20160146511 A KR 20160146511A KR 1020160033453 A KR1020160033453 A KR 1020160033453A KR 20160033453 A KR20160033453 A KR 20160033453A KR 20160146511 A KR20160146511 A KR 2016014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discharge surface
container body
dischar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834B1 (ko
Inventor
차민지
강성수
박상욱
정수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14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인접한 내면에 상기 내용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모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저점도 액상의 내용물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서 늘어나는 토출면을 통해 적정량 배출되도록 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고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 화장품은 특정한 용기 내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되는데, 일례로 액상 화장품은 펌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펌프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화장품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바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와 피스톤을 갖는 펌프를 마련하여야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며, 전체적인 용기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것은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증대되면, 소비자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른 예로 함침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등으로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구멍들에 화장품이 흡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의 상면을 눌러서 함침재 내에 함침되어 있던 화장품이 함침재의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함침재는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의 크기로 회복될 수 있다.
그런데 함침재를 이용할 경우, 함침재의 일면에는 퍼프가 지속적으로 닿게 되어 세균의 투입이 우려되고, 함침재의 적어도 일면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액상 화장품이 경화될 우려 또한 존재한다.
그리고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화장품의 함침량이 감소하면, 화장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퍼프로 함침재를 누르는 압력이 커져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함침재의 탄성력이 떨어지면 함침재의 형상이 변화해 미감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들은, 제조 원가가 높거나 위생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미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바, 액상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용기를 컴팩트화 및 고급화할 수 있는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측에 토출면을 덮어 내용물을 보호하고, 퍼프에 의해 토출면이 눌리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위생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에 분리 가능한 박막 또는 탈착커버를 마련하여 항상 깔끔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고정부에 탈착되는 커버부를 마련해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형상을 변형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거나, 토출면에 엠보 또는 기모를 마련하여 내용물의 사용 시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인접한 내면에 상기 내용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모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모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용물에 잠겨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모는, 상기 내용물과 이격되되, 상기 토출면이 가압에 의해 처질 때 상기 내용물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모는, 기모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상기 돌출모를 통해 상기 내용물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모의 돌출 길이는, 상기 토출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저점도 액상 내용물을 용기 본체에 수용하고,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토출면을 마련하여 내용물을 덮어 보호하여 위생성을 확보하며, 탄성력을 갖는 토출면을 퍼프 등으로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고정부를 이용해 토출면의 둘레를 용기 본체에 고정하되, 고정부의 외면에 벗겨지는 박막 또는 분리되는 탈착커버를 마련하거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버망을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고급스럽고 깔끔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용기 본체의 형상을 개선하여 용기 본체가 슬림해지도록 해 휴대성을 높이고, 토출면에 엠보를 형성하거나 기모를 마련하여 내용물의 보관, 토출 및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극대화 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각 실시예들의 조합도 실시예로서 포괄하는 것임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한다. 이때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으며,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일측이 개방되어, 일측을 통해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용기 본체(2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놓일 경우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P)이 누출될 위험이 있는바, 용기 본체(20)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출면(1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에는, 내뚜껑(21)이 마련될 수 있다. 내뚜껑(2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뚜껑(21)을 열고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을 취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외용기(22)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외측을 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용기(22)에 용기 본체(20)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하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구멍을 통해 용기 본체(20)를 밀어내면 용기 본체(20)가 외용기(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외용기(22)에는 외뚜껑(23)이 마련된다. 외뚜껑(23)은 외용기(22)를 개폐 가능하게 외용기(2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뚜껑(23)의 내면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화장을 보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컴팩트화 될 수 있으며, 일례로 용기 본체(20)에서 평단면의 최대 폭 대비 높이는 40% 이하(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20)의 높이와 대비되는 폭은 용기 본체(20)가 갖는 평단면 상의 최대 폭이며, 다만 토출면(10)의 최대 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20)의 최대 폭은, 용기 본체(20)의 평단면이 사각형일 경우 대각선 길이이고, 또는 용기 본체(20)의 평단면이 원형일 경우 직경(타원형일 경우 최대직경)일 수 있다. 토출면(10)의 최대 폭 역시 토출면(10)의 형태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토출면(10)의 상층부에서 내용물(P)이 들어있는 용기 본체(20)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다만 이는 토출면(10)의 처짐과 무관하게 고정된 값일 수 있다. 즉 토출면(10)이 처져 있어도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토출면(10)의 제일 높은 부분에서부터 용기 본체(20)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의 높이가 높으면 토출면(10)을 눌러 내용물(P)을 계속 배출시키더라도 용기 본체(20)에 다량의 내용물(P)의 잔류할 위험이 있다. 다만 용기 본체(20)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내용물(P)의 수용능력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20)의 높이를 폭 대비 30% 이하로 하여, 적정한 양의 내용물(P)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토출면(10)에 의해 거의 대부분의 내용물(P)이 용기 본체(2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토출면(10)의 재질에 연계되어 결정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의 인장이 얼마나 쉽게 일어나는지, 토출면(10)의 처짐이 얼마나 깊이 일어나는지 등을 고려하여, 용기 본체(2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토출면(10)의 처짐이 깊게 일어난다면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폭 대비 30% 가까운 수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토출면(10)의 처짐이 깊게 일어나지 못한다면 용기 본체(20)의 높이는 폭 대비 10% 내외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퍼프, 브러시 등의 화장도구(2)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통해 가해지는 가압에 의해 저점도 액상 내용물(P)을 배출한다.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형이 액상, 겔상, 고형상 등의 조성물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및 내용물(P)이 저점도 액상인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P)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토출면(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와 토출면(10)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토출면(10)을 퍼프 등의 화장도구(2)로 누르게 되면, 토출면(10)은 늘어나면서 도면 기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토출면(10)에 의해 눌리는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정도의 압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의 상방으로 토출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P)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면(10)에서 날실과 씨실의 교차 틈새로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는데, 토출면(10)의 짜여진 밀집도는 일반적인 대기압에서 내용물(P)이 틈새를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서 토출면(10)이 늘어나게 되면, 상기 틈새가 벌어질 수 있고 동시에 내용물(P)은 토출면(1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갖는 내용물(P)은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적정량이 빠져나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토출면(10)에 의하여 내용물(P)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만 토출면(10)이 손 혹은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만 내용물(P)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해, 위생성과 편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즉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눌리면서 늘어나게 되지만, 퍼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토출면(10)은 원래의 팽팽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은 탄성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퍼프의 지속적인 가압 및 내용물(P)의 잔량 감소 등에 따라 처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토출면(10)은 액상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젖게 되는데, 토출면(10)이 부분적으로만 내용물(P)에 의해 젖을 경우 얼룩이 생겨서 미감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1회도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을 수 있다.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는 위치나 압력에 따라 토출면(10)에 내용물(P)이 부분적으로만 젖게 되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에 닿아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젖게 되기 이전에, 이미 내용물(P)에 의하여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을 적시는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에 수용될 내용물(P)과 동일한 것이지만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아니거나, 또는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일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면(10)은, 틈새 등에 내용물(P)이 채워지면서 표면장력을 갖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내용물(P)의 불필요한 누액을 방지하는 막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이 젖어있게 되면, 토출면(10)은 표면장력을 갖는 실링(sealing) 막이 되면서, 용기 본체(20)가 흔들려 내용물(P)이 유동하더라도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후술할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은 제외될 수 있다.
토출면(10)은 퍼프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향하도록 늘어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내용물(P)에 적셔질 수 있는데, 이때 토출면(10)은 틈새로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으로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토출면(10)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은 모두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내용물(P)이 묻지 않은 부분과 내용물(P)이 묻은 부분이 구분되면서 얼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면(10)이 젖는다는 것은 토출면(10)이 직물로 이루어질 때 토출면(10)을 구성하는 날실과 씨실에 내용물(P)이 흡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 자체에 흡수된 내용물(P)과 달리 날실과 씨실 사이의 틈새에 유입된 내용물(P)은,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용물(P)과 이격되더라도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사용에 따라 잔량이 줄어들 수 있는데,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토출면(10)과 내용물(P)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내용물(P)이 용기 본체(20)에서 배출됨에 따라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의 간격은 점차 커질 수 있다. 그러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접촉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퍼프와의 접촉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이 경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본체(20)에 내뚜껑(21)이 덮이거나 외용기(22)에 외뚜껑(23)이 덮여 밀폐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내뚜껑(21) 등의 덮임에 의하여 외부와 격리되므로 경화가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내뚜껑(21)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내용물(P)의 투과를 차단하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oil-in-water)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water-in-oil)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의 타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에 의해,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외부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면서 토출면(10)을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은, 타면에 발수 또는 발유 코팅하여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의 방출을 억제하여,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이 늘어날 때 토출면(10)에서 벌어지는 틈새에는 코팅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토출면(10)에 젖은 모든 내용물(P)(특히 틈새에 존재하는 내용물(P))을 코팅으로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지는 못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서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도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토출면(10)의 타면 코팅과 함께 또는 별도로, 토출면(10)에서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되는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의 일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은,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일 수 있다.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일 경우 토출면(10)의 일면은 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일면에 친수 또는 친유 코팅하여 내용물(P)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충분히 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얼룩덜룩해지는 것을 방지해 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고정한다.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고정된다.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돌기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 고정링(31)은 단순한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토출면(10)이 감싸질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을 감싸는 토출면(10)은 외측 고정링(32)에 의하여 내측 고정링(31)에 강하게 결속된다.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의 사이에 토출면(10)을 두고 내측 고정링(31)에 결합된다. 외측 고정링(32)은 단면이 'ㄱ'자 형태일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에 놓인 토출면(10)을 압박하여 토출면(10)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 및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압착되는 토출면(10)의 일부분은, 토출면(10)의 테두리일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면(10)을 강하게 압착하기 위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의 간격(내측 고정링(31)의 직경과 외측 고정링(32)의 직경의 차이)은, 토출면(10)의 두께(일례로 고정부(30)에 고정되는 토출면(10) 테두리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일례로 50% 내지 95%). 따라서 토출면(10)은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이 결합될 때 그 사이에서 눌려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 토출면(10)이 두 겹 이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에 인입되는 구성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이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 억지끼움, 돌기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는 토출면(10)이 놓이게 되므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은 간접적인 접촉으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방식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토출면(10)은 평면 형태로 내측 고정링(31)의 상측에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은 토출면(10)의 둘레를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내리누르면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 토출면(10)의 테두리가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30)와 토출면(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30)는 용기 본체(20)에 결합되어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토출면(10)이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이 토출면(10)의 둘레를 내리누르면서 용기 본체(20)의 둘레와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토출면(10)이 압착되도록 할 경우,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을 생략할 수 있다.
다만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고정부(30)에 토출면(10)이 팽팽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반면,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에서 분리하면 토출면(10)이 따로 분리될 수 있는바, 토출면(10)의 재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고정부(30)를 사용하는 물리적 결합 구조 외에도 융착(열, 고주파 등),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통해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토출면(10) 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야 하는 모든 구성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런데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는 과정에서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에도 내용물(P)이 묻어 미감을 해칠 수 있는바, 외측 고정링(32)은 내용물(P)이 묻는 것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측 고정링(32)의 상면 폭(W)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면 폭(W)이 1mm 미만일 경우에는 토출면(10)을 고정하는 기능이 저하되고,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퍼프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내용물(P)이 쉽게 묻어 미감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외측 고정링(32)의 상면과 토출면(10)의 상면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단차의 높이(T)는, 0.5 내지 5mm 일 수 있다. 단차의 높이(T)가 0.5mm 미만일 경우에는 퍼프로 토출면(10)을 문지를 때 내용물(P)이 쉽게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으로 전달되어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는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외측 고정링(32)의 상면 폭(W) 및 외측 고정링(32)과 토출면(10) 사이 단차의 높이(T)를 최적화하여, 토출면(10)을 퍼프로 누를 때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고정부(30)의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고정링(32)의 상면 등에는, 발수 오염 방지 기능을 갖도록 다양한 코팅(일례로 불소코팅)이 되어 있어서, 내용물(P)이 묻더라도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P)이 토출면(10)에 부분적으로 묻어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토출면(10)이 비교적 깔끔한 모습을 갖도록 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고정부(30)의 형태를 수치적으로 한정하여 내용물(P)이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의 (A)를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박막(4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내용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이 누락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이격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젖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퍼프에 의해 눌릴 때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젖을 수 있음을 알려둔다.
박막(40a)은, 고정부(30)의 외면에 적어도 한 겹 이상 마련된다. 박막(40a)은 필요에 따라 고정부(30)로부터 벗겨질 수 있도록 스티커와 같이 마련된다. 이때 박막(40a)은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를 때 내용물(P)이 묻을 확률이 가장 높은 부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을 박막(40a)으로 덮어두고, 외측 고정링(32)이 아닌 박막(40a)에 내용물(P)이 묻도록 하며, 박막(40a)에 내용물(P)이 묻어 지저분해졌을 때, 박막(40a)을 벗겨내어 토출면(10) 주변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박막(40a)은, 두 겹 이상 적층되며 개별로 벗겨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각 박막(40a)은 서로 다른 문자, 문양, 색상 등이 표시되어 외측 고정링(32)에 아직 붙어있는 박막(40a)의 개수 등을 안내하여 줄 수 있다.
박막(40a)은 접착제에 의해 외측 고정링(32)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박막(40a) 자체의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외측 고정링(3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박막(40a)은 고무 등 합성수지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외측 고정링(32)에 자연스럽게 붙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박막(40a)을 벗겨낼 수 있다.
박막(40a)은, 외측 고정링(32)으로부터 분리된 후 버려지는 일회용으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분리되어 세척 후 다시 외측 고정링(32)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박막(40a)을 대신하여 또는 박막(40a)과 함께 탈착커버(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커버(40b)는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을 덮어 청결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는 박막(40a)과 유사하나,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에서 벗겨져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결합의 해제에 의해 외측 고정링(32)으로부터 분리된다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탈착커버(40b)와 박막(40a)이 함께 구비될 경우 박막(40a)은 탈착커버(40b)의 상면에 벗겨질 수 있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탈착커버(40b)는, 고정부(30)의 외면을 덮도록 고정부(30)에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3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탈착커버(40b)는 외측 고정링(32)의 상면과 측면 둘레를 덮도록 외측 고정링(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탈착커버(40b)의 테두리를 들어올려서 탈착커버(40b)를 외측 고정링(3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탈착커버(40b)가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 내용물(P)을 사용할 때 내용물(P)은 외측 고정링(32)의 상면 대신 탈착커버(40b)의 상면에 묻을 수 있다.
탈착커버(40b)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외측 고정링(32)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고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탈착커버(40b)를 세척하여 탈착커버(40b)에 묻은 내용물(P)을 씻어낸 후, 깨끗해진 탈착커버(40b)를 외측 고정링(32)에 다시 끼워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박막(40a) 및/또는 탈착커버(40b)를 외측 고정링(32)에 마련하여, 내용물(P)이 외측 고정링(32)에 직접 묻는 것을 방지하고 박막(40a)을 벗겨내거나 탈착커버(40b)를 분리 세척함으로써, 위생과 청결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하며, 중앙저장부(24)와 주변저장부(25)를 포함한다.
중앙저장부(24)는, 토출면(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내용물(P)을 수용한다. 중앙저장부(24)의 상방에는 토출면(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닿아 있을 수 있다.
주변저장부(25)는, 중앙저장부(24)와 연통되며 중앙저장부(24)의 둘레에 마련된다. 주변저장부(25)는, 중앙저장부(24)에 수용된 내용물(P)이 토출면(10)을 통해 배출될 때 중앙저장부(24)로 내용물(P)을 보충할 수 있다.
주변저장부(25)는 중앙저장부(24)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주변저장부(25)가 수용하는 내용물(P)의 레벨은, 중앙저장부(24)가 수용하는 내용물(P)의 레벨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중앙저장부(24)에 수용된 내용물(P)은, 사용자가 토출면(10)을 퍼프로 누름에 따라 토출면(10)의 상부로 배출되는데, 이 경우 중앙저장부(24)의 내용물(P)의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런데 중앙저장부(24)에 연통된 주변저장부(25)에도 내용물(P)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중앙저장부(24)의 내용물(P)이 외부로 빠져나가면, 주변저장부(25)의 내용물(P)이 자연스럽게 중앙저장부(24)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저장부(24)에 저장된 내용물(P)의 레벨은, 주변저장부(25)에 저장된 내용물(P)의 레벨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일정한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중앙저장부(24)에 저장된 내용물(P)의 레벨이 주변저장부(25)에 저장된 내용물(P)의 레벨과 같아질 정도로 내용물(P)의 배출이 이루어지면, 이후부터 토출면(10)은 중앙저장부(24)의 내용물(P)과 이격될 수 있다. 다만 토출면(10)은 충분히 늘어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서 남아있는 내용물(P)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변저장부(25)에 내용물(P)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저장부(24)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기 본체(20)를 기울임에 따라 주변저장부(25)에 잔류된 내용물(P)은 중앙저장부(24)로 유동하여 토출면(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면(10)은, 퍼프 등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의 상단 레벨(주변저장부(25)에 수용된 내용물(P)의 레벨)보다 낮은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20)의 상단과 토출면(1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단차로 인해 토출면(10)의 가압에 불편함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의 높이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고정부(30)가 주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진 깔때기 형태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를 때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토출면(10)은 주변저장부(25)에 수용된 내용물(P)의 레벨이 중앙저장부(24)에 수용된 내용물(P)의 레벨보다 높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내용물(P)과 접촉해 있을 수 있다. 다만 주변저장부(25)에 수용된 내용물(P)은 중력에 의해 중앙저장부(24)로 유동하려고 할 것이므로, 토출면(10)은 주변저장부(25)의 내용물(P)이 중앙저장부(24)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밀폐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이 중앙저장부(24)에 수용된 내용물(P)과 닿아 젖어 있게되면 토출면(10)은 실링막 역할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주변저장부(25)와 중앙저장부(24)의 내용물(P) 레벨 차이가 유지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토출면(10)의 둘레를 용기 본체(20)에 결합한다. 고정부(30)는 중앙저장부(24)와 주변저장부(25) 사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20)에 결합되는 부분이 토출면(10)의 둘레를 고정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즉 고정부(30)는, 용기 본체(20)에 결합되는 일단과 토출면(10)을 고정하는 타단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토출면(10)의 가압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30)는 단차를 대신하여 경사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30)에 토출면(10)이 고정되는 원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30)에 틈새가 마련되고 틈새를 통해 토출면(10)이 압착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 등에 의하여 토출면(10)이 고정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가 용기 본체(20)에 결합되는 방법 역시 한정되지 않으며, 억지끼움, 돌기와 홈의 맞물림 같은 기계적 결합이나 접착제나 초음파 융착을 사용하는 화학적 결합 등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20)에서 토출면(10)이 마련되는 부분의 높이를 축소하고, 대신 내용물(P)의 수용량이 줄어드는 것을 대비하여 주변저장부(25)를 마련하여, 용기 본체(20)의 단면적을 넓히면서 전체 높이를 줄여서 화장품(1)의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기존의 화장품(1) 대비 더욱 납작한 형태를 가지므로, 가방이나 얇은 파우치 등에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엠보(11)가 형성된 토출면(10)을 포함한다.
토출면(10)은, 적어도 일면에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및/또는 오목하게 함몰된 복수 개의 엠보(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엠보(11)는 토출면(10)의 적어도 일면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는 엠보싱(embossing)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엠보(11)는, 내용물(P)에 인접한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외부로 노출된 외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면에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11) 사이에는 함몰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함몰된 공간은, 내용물(P)을 임시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함몰된 공간에는, 내용물(P)과 다른 화장액이 투하될 수 있고, 화장액은 함몰된 공간 내에 갇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액을 토출면(10)에서 일정한 위치에 공급하고 화장액과 내용물(P)을 혼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엠보(11)는 토출면(10)의 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엠보(11)에 의하여 형성되는 함몰 공간은 화장액의 적정량을 알려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함몰 공간에 채워질 양만큼의 화장액을 토출면(10)에 공급함으로써, 내용물(P)과 화장액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토출면(10)은 다양한 단면을 가지면서 엠보(11)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9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면(10)은 선에서 일측으로 엠보(11)가 돌출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9의 (B),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면(10)은 선에서 양측으로 엠보(11)가 교차 또는 나란하게 돌출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9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면(10)은 물결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은 엠보(11)를 통해 함몰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도 9에 나타난 것 외에도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9의 (A) 내지 (D)로 나타난 상기의 토출면(10)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도 10의 (A)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도 9의 (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엠보(11)는 토출면(10)의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엠보(11)가 직접 함몰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토출면(10)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도 10의 (B)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즉 도 9의 (E)에서 엠보(11)는 토출면(10)의 외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토출면(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의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엠보(11)는 토출면(10)의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고, 다만 엠보(11)는 토출면(10)의 내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면(10)에서 엠보(11)가 마련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토출면(10)의 내면은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엠보(11)에 의해 함몰 공간이 직접 형성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엠보(11)를 복수 개로 마련할 경우 토출면(10)은 도 10의 (A)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함몰된 공간에 화장액을 떨어뜨리고 내용물(P)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함몰된 공간은 화장액이 떨어지는 공간인 동시에 내용물(P)과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에 엠보(11)를 형성하고 엠보(11)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함몰된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여, 함몰된 공간이 용기 본체(20)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P)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장액을 적정량 수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돌출모(12)를 갖는 토출면(1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면(10)은, 퍼프 등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하며, 내용물(P)과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을 향하는 일면에는, 내용물(P)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모(12)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모(12)는, 적어도 일부분이 내용물(P)에 잠겨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이격되어 있지만 돌출모(12)를 통해 내용물(P)의 흡수가 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물론 돌출모(12)는 내용물(P)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토출면(10)이 퍼프 등에 의해 눌려 처질 때 돌출모(12)가 내용물(P)과 닿아 내용물(P)을 빨아올릴 수 있다.
돌출모(12)는 기모 형태일 수 있으며, 토출면(10)은 돌출모(12)를 통해 내용물(P)을 흡수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P)이 줄어들더라도 토출면(10)이 돌출모(12)를 이용하여 내용물(P)을 꾸준히 흡수할 수 있도록, 돌출모(12)는 토출면(10)의 두께보다 높은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내용물(P)의 높이 중 50% 이상의 높이만큼 내용물(P)에 잠겨 있을 수 있다.
돌출모(12)는, 토출면(10)의 하면으로부터 내용물(P)을 향해 돌출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퍼프는 토출면(10)에서 돌출모(12)가 없는 매끈한 외면에만 접촉할 수 있다.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용물(P)은 점도가 낮아 성분이 분리되거나 또는 심한 유동에 의해 외부로 누출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내용물(P)이 돌출모(12)가 잠겨 있도록 하므로, 돌출모(12)에 의하여 내용물(P)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민둥산 대비 나무가 울창한 산에서 산사태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것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에 내용물(P)을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모(12)가 마련되도록 하여, 돌출모(12)를 이용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을 흡수하도록 하여 내용물(P)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내용물(P)에 잠긴 돌출모(12)가 저점도 내용물(P)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해 내용물(P) 보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 고정부(30)에 더하여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0)는, 고정부(3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버부(50)는 토출면(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커버망(51)과, 커버망(51)의 둘레를 고정하고 고정부(30)의 외면에 탈착되는 탈착링(5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망(51)은 메쉬 형태일 수 있고 토출면(10)과 동일/유사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50)가 고정부(30)에 결합될 때 커버망(51)은 토출면(10)과 인접하되 이격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이때 커버망(51) 역시 퍼프에 의해 눌리면 늘어날 수 있고, 커버망(51)과 토출면(10)이 한꺼번에 내용물(P) 방향으로 눌리면서 내용물(P)의 토출면(10) 및 커버망(51)을 관통해 배출될 수 있다.
커버부(50)는, 자성에 의하여 고정부(30)의 외면에 탈착될 수 있고, 또는 앞서 박막(40a)과 탈착커버(40b)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착 또는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탈착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외에도 커버부(50)는 돌기 홈 결합(레고의 결합과 유사) 또는 자성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을 구현할 수 있고, 결합 방식이 상기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부(50)는, 탈착된다는 점에서는 탈착커버(40b)와 유사할 수 있으나, 토출면(10)을 덮는 커버망(51)을 갖는다는 점에서 탈착커버(40b)와 다를 수 있다. 커버부(50)는 커버망(51)을 이용하여 토출면(10)을 덮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만 미감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커버부(50)는 고정부(30)로부터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50)는, 외측 고정링(32)의 상면에 탈착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커버부(50)의 탈착링(52)을 잡고 들어올려서 커버부(50)를 고정부(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다른 커버부(50)를 고정부(30)에 새로 결합시킬 수 있다.
토출면(10)만을 포함하는 화장품(1)의 경우, 토출면(10)이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 있고 내용물(P)을 모두 소진하지 않은 한 토출면(10)의 분리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토출면(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감은 변화가 없어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의 외부에 커버부(50)를 자성 등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커버부(50)에 의하여 디자인이 자유롭게 가변됨에 따라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커버부(50)의 커버망(51)은 디자인망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50)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고정부(30)에 탈착되거나 서로 간에 탈착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커버부(50) 서로간은 커버부(50)와 고정부(30) 사이의 탈착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자성 등으로 탈착될 수 있다.
복수 개로 적층되는 커버부(50)의 커버망(51)은, 서로 인접하며 이격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망(51)이 서로 밀착되기 위해서 커버망(51)의 두께가 탈착링(52)의 두께 이상일 수 있으며, 및/또는 커버망(51)이 커버부에서 상면 또는 하면에 치우쳐 마련되고 2개의 커버부(5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붙여 적층할 때 커버망(51)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버부(50)를 고정부(30)에 부착해 두었다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0)를 분리할 수 있고, 또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커버부(50)를 고정부(30)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커버부(50)는, 커버망(51)의 모양 및/또는 색채가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부(50)의 적층에 의하여 심미성이 다양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모양(일례로 격자 크기, 메쉬 눈금수, 재질, 두께 등)의 커버망(51)을 적층하게 되면, 토출 효과가 다르게 구현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성 등으로 고정부(30)에 간편하게 탈착되는 커버부(50)를 마련하고, 커버부(50)의 커버망(51)을 통해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 및/또는 토출 효과의 변형을 꾀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및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을 알려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10: 토출면
20: 용기 본체 30: 고정부
2: 화장도구 P: 내용물
40a: 박막 40b: 탈착커버
50: 커버부

Claims (8)

  1.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인접한 내면에 상기 내용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모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은,
    상기 내용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모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용물에 잠겨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모는,
    상기 내용물과 이격되되, 상기 토출면이 가압에 의해 처질 때 상기 내용물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모는,
    기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은,
    상기 돌출모를 통해 상기 내용물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모의 돌출 길이는,
    상기 토출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저점도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60033453A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466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09 2015-06-12
KR1020150083109 2015-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511A true KR20160146511A (ko) 2016-12-21
KR102466834B1 KR102466834B1 (ko) 2022-11-16

Family

ID=57574891

Famil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76A KR101686354B1 (ko) 2015-06-12 2015-12-23 화장품
KR1020150185267A KR101697442B1 (ko) 2015-06-12 2015-12-23 화장품
KR1020160001787A KR20160146497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92A KR20160146500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3A KR20160146495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91A KR102371515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5A KR20160146496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1A KR20160146494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9A KR101715549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0A KR102427075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33453A KR102466834B1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38A KR20160146508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45A KR20160146509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51A KR20160146510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68A KR102469109B1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8438A KR101764828B1 (ko) 2015-06-12 2016-03-30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60164532A KR102245103B1 (ko) 2015-06-12 2016-12-05 화장품
KR1020160165055A KR102246821B1 (ko) 2015-06-12 2016-12-06 화장품
KR1020170024332A KR102324871B1 (ko) 2015-06-12 2017-02-23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76A KR101686354B1 (ko) 2015-06-12 2015-12-23 화장품
KR1020150185267A KR101697442B1 (ko) 2015-06-12 2015-12-23 화장품
KR1020160001787A KR20160146497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92A KR20160146500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3A KR20160146495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91A KR102371515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5A KR20160146496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1A KR20160146494A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9A KR101715549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KR1020160001780A KR102427075B1 (ko) 2015-06-12 2016-01-06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438A KR20160146508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45A KR20160146509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51A KR20160146510A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3468A KR102469109B1 (ko) 2015-06-12 2016-03-21 화장품
KR1020160038438A KR101764828B1 (ko) 2015-06-12 2016-03-30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60164532A KR102245103B1 (ko) 2015-06-12 2016-12-05 화장품
KR1020160165055A KR102246821B1 (ko) 2015-06-12 2016-12-06 화장품
KR1020170024332A KR102324871B1 (ko) 2015-06-12 2017-02-23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9) KR101686354B1 (ko)
TW (2) TW2017036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77B1 (ko) * 2016-01-06 2022-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837945B1 (ko) * 2016-08-05 2018-03-13 김영호 결합링과 하부커버에 의해 망사가 결합되는 파우더 용기의 중간캡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362B1 (ko) 2017-02-20 2018-12-1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돔형상으로 구현되는 메쉬망을 구비한 화장품
KR20180102736A (ko) 2017-03-07 2018-09-18 펌텍코리아 (주) 배출망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이중망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19035B1 (ko) * 2017-03-13 2021-10-29 (주)아모레퍼시픽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77295A (ja) * 2017-04-12 2018-11-15 パムテク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透明排出板の底面に不透明薄膜がインサート射出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KR101906804B1 (ko) * 2017-05-04 2018-10-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상 화장료 함침용 3차원 직물 함침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KR101930261B1 (ko) 2017-07-03 2019-03-1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중 멤브레인 덮개를 구비한 화장품
KR101987362B1 (ko) * 2017-09-29 2019-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WO201901757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371201B1 (ko) * 2017-12-08 2022-03-07 (주)아모레퍼시픽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WO2019185162A1 (fr) * 2018-03-29 2019-10-03 L'oreal Article cosmetique
FR3082403B1 (fr) * 2018-06-19 2021-06-18 Oreal Article cosmetique en dentelle
JP7019540B2 (ja) * 2018-10-05 2022-02-15 Pacraft株式会社 接合装置及びスパウトシール機
FR3087099B1 (fr) * 2018-10-15 2021-10-22 Oreal Dispositif cosmetique
FR3087118B1 (fr) 2018-10-15 2021-02-12 Oreal Article cosmetique
FR3097725B1 (fr) 2019-06-27 2022-12-23 Oreal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cosmétiq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934B2 (ja) * 1995-08-21 2006-03-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5120768B2 (ja) * 2007-07-02 2013-01-16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KR20150001844U (ko) * 2015-04-22 2015-05-14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50096358A (ko) * 2014-02-14 2015-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511B2 (ko) * 1974-09-18 1978-10-21
JP2598957Y2 (ja) * 1993-08-30 1999-08-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970000995U (ko) * 1995-06-09 1997-01-21 주행가능 거리표시계
JP3047212B2 (ja) * 1995-09-08 2000-05-2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積層形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3799431B2 (ja) * 1995-10-13 2006-07-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JP3047212U (ja) * 1997-09-18 1998-04-10 株式会社西峯化学 化粧料容器
KR200225144Y1 (ko) * 1998-09-22 2001-06-01 서경배 페이스파우더용기
JP2002010827A (ja) * 2000-06-28 2002-01-15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JP2005007093A (ja) 2003-06-23 2005-01-13 Katsushika:Kk 粉状化粧料容器
JP4748638B2 (ja) * 2004-09-17 2011-08-17 株式会社タイキ 液体化粧料塗布用パフ
KR200370306Y1 (ko)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휴대용 액상 화장품 용기
JP5041585B2 (ja) 2007-02-13 2012-10-03 中井紙器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容器
JP5115956B2 (ja) * 2007-05-01 2013-01-09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JP5339511B2 (ja) * 2008-11-11 2013-11-13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JP2011212320A (ja) *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容器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3154391A1 (ko) * 2012-04-13 2013-10-17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494168B1 (ko) * 2013-06-19 2015-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5589Y1 (ko) * 2013-04-23 2014-12-12 (주)비디비치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KR102144002B1 (ko) * 2013-06-18 2020-08-12 코웨이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0480113Y1 (ko) * 2013-10-10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함유한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73939Y1 (ko) * 2013-10-21 2014-08-11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8110Y1 (ko) * 2014-01-03 2015-08-31 박윤성 화장품 용기
KR101477583B1 (ko) * 2014-04-25 2014-12-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시부가 구비된 휴대용 화장품
KR101449663B1 (ko) * 2014-06-09 2014-10-13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어플리케이트를 푸쉬버튼으로 사용하는 콤팩트
KR101609348B1 (ko) * 2015-10-21 2016-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JP7095964B2 (ja) * 2017-09-20 2022-07-05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934B2 (ja) * 1995-08-21 2006-03-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5120768B2 (ja) * 2007-07-02 2013-01-16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KR20150096358A (ko) * 2014-02-14 2015-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50001844U (ko) * 2015-04-22 2015-05-14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94A (ko) 2016-12-21
KR20160146500A (ko) 2016-12-21
KR20160146512A (ko) 2016-12-21
KR20160146495A (ko) 2016-12-21
KR20160146509A (ko) 2016-12-21
TW201703679A (zh) 2017-02-01
TW201642777A (zh) 2016-12-16
KR20160146497A (ko) 2016-12-21
KR102245103B1 (ko) 2021-04-28
KR20160146610A (ko) 2016-12-21
KR102371515B1 (ko) 2022-03-08
KR20160146498A (ko) 2016-12-21
KR20160146611A (ko) 2016-12-21
KR101697442B1 (ko) 2017-01-17
KR102427075B1 (ko) 2022-07-29
KR102466834B1 (ko) 2022-11-16
KR102246821B1 (ko) 2021-04-30
KR20160146499A (ko) 2016-12-21
KR20160146508A (ko) 2016-12-21
KR20160146516A (ko) 2016-12-21
KR20170023916A (ko) 2017-03-06
KR20160146484A (ko) 2016-12-21
KR101764828B1 (ko) 2017-08-03
KR20160146510A (ko) 2016-12-21
KR101686354B1 (ko) 2016-12-13
KR20160146493A (ko) 2016-12-21
KR102324871B1 (ko) 2021-11-11
KR20160146496A (ko) 2016-12-21
KR101715549B1 (ko) 2017-03-10
KR102469109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511A (ko) 화장품
KR101730807B1 (ko) 쿠션시트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KR100917319B1 (ko)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180028213A (ko) 화장품
KR10198629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214048B1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101867484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125598A (ko) 화장품
KR102222155B1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KR20170106159A (ko) 화장품
KR20170027762A (ko) 화장품
KR102552600B1 (ko) 화장품
KR20170050871A (ko) 화장품 리필용기용 배출커버
KR101842794B1 (ko) 화장품 용기
KR20140001314U (ko) 화장액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액상 콤팩트 화장품
KR20190000199U (ko) 화장품 용기
KR101918472B1 (ko) 탄력배출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15135198A (zh) 化妆品包装装置
KR20180045872A (ko) 화장품 용기
KR20190135962A (ko) 화장품 용기
KR20150060105A (ko) 푸쉬 버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