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35B1 -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35B1
KR102319035B1 KR1020170030942A KR20170030942A KR102319035B1 KR 102319035 B1 KR102319035 B1 KR 102319035B1 KR 1020170030942 A KR1020170030942 A KR 1020170030942A KR 20170030942 A KR20170030942 A KR 20170030942A KR 102319035 B1 KR102319035 B1 KR 10231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cellulose
film layer
carri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344A (ko
Inventor
정해원
백두현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3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35B1/ko
Priority to PCT/KR2018/002185 priority patent/WO2018169225A1/ko
Priority to TW107106456A priority patent/TWI770127B/zh
Publication of KR2018010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지는 담지체 본체, 배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피막층을 포함하며, 피막층은 바이오 셀룰로오스(bio cellulos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 본체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이용하여 담지체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ARRIER HAVING BIO CELLULOS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운데이션, 선크림 등 저점도 특히, 액상 화장료 조성물은 튜브나 펌프, 자(jar)타입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고 있으나 휴대성이 떨어지고, 손으로 직접 피부에 도포해야 하므로 화장료가 손에 묻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팩트 타입의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고 있는 담지체는, 적절한 가압 시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서 오픈 셀(open cell) 구조로 형성된다.
담지체는 액상 화장료를 일정 부피에 잡아 주어 자연 휘발을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팩트 오픈 시 공기 접촉 등 사용 중에 지속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화장료에 함유된 수분이 쉽게 증발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 제1385501호(2014년 04월 09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증발이 감소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지는 담지체 본체, 배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피막층을 포함하며, 피막층은 바이오 셀룰로오스(bio cellulose)로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배출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피막층 중 적어도 일부는 배출홀로 연장될 수 있다.
피막층에는 화장료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담지체 본체는 배출면과 마주하는 타면, 배출면과 타면을 이어주는 측면을 포함하며, 피막층의 적어도 일부는 타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장될 수 있다.
피막층은 담지체 본체 두께의 100분의 1 내지 10분의 1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 본체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이용하여 담지체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담지체 본체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지고,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피막층은 배출면에 형성되고, 배출면에 형성된 피막층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담지체 본체를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담지체 본체를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관통홀은 니들펀칭, 나이프컷 및 레이저 천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증발이 감소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방법에서 피막층 형성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지체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바이오 셀룰로오스는 다수의 박테리아, 특히 아세토박터 속 균주의 배양에 의해서 생산되는 고분자 물질로서,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와 같이 글루코오스가 β-1,4로 결합된 폴리머이나, 그의 섬유 폭은 식물셀룰로오스보다 훨씬 적고, 3차원 망상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수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이오 셀룰로오스의 수분 유지 특징을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에 적용한 것으로, 화장료의 자연 휘발을 감소시켜 화장료의 발림성과 수분감을 향상시킨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1)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11, 도 2 참조)을 가지는 담지체 본체(10) 및 배출면(11, 도 2 참조)을 덮고 있는 피막층(20)을 포함한다. 피막층(20)은 바이오 셀룰로오스로 형성된다.
담지체 본체(10)는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발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담지체 본체(10)는 또한,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담지체 본체(1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재질, WEB구조, 권축 구조, 발포 및 WEB구조 또는 발포 및 권축 구조일 수 있다.
담지체 본체(10)는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막층(20)에는 관통홀(201)이 형성되어 있다. 담지체 본체(10)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는 관통홀(2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관통홀(201)의 형태,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홀(201)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피막층(20) 자체가 화장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별도의 관통홀(201)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지체 본체(10)의 배출면(11)에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홀(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담지체 본체(10) 내부에는 화장료가 담지될 수 있는 내부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101) 및 내부홀(103)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는, 사용자가 손 또는 퍼프 등으로 담지체(1)를 가압하면 배출홀(101) 및 관통홀(20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피막층(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면(11)을 덮고 있으며, 피막층(20) 중 일부가 배출홀(101)로 연장되어 있다. 피막층(20)이 배출홀(101)로 연장되어 있는 것은 후술할 피막층(20)의 형성방법의 특징에 의한 것으로, 피막층(20)은 담지체 본체(10)에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배출면(11) 및 배출홀(101)에 연장된 피막층(20) 이외에도, 바이오 셀룰로오스는 담지체 본체(10) 내부의 일부 내부홀(103)에 배양되어 배출면(11)에 형성된 피막층(1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바이오 셀룰로오스가 배출면(11) 이외에도, 배출홀(101) 및 내부홀(103)을 덮고 있으면, 배출면(11)에만 덮고 있는 것보다 화장료의 수분 증발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관통홀(201)은 피막층(20)에만 형성되는 것에 제한된 것이 아니라, 화장료의 배출 정도 및 제조 공정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201)은 담지체 본체(10) 내부로 연장되거나 배출면(11)과 마주하는 담지체 본체(10)의 타면(13, 도 4참조)까지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201)은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01)의 지름(d₁)은 0.3 내지 2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된 것은 아니고 0.5 내지 1. 8mm 또는 0.8 내지 1.5 mm의 크기로도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01)의 간격(l₁)은 1.2 내지 2.3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또한 제한 된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는 1.4 내지 2.2mm, 또 다른 실시예로는 1.5 mm 내지 2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피막층(20)의 두께는, 담지체 본체(10) 두께의 100분의 1 내지 10분의 1, 80분의 1 내지 20분의 1, 50분의 1 내지 30분의 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배출홀(101) 또는 내부홀(103)의 크기 및 화장료 담지량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피막층(20)의 두께가 담지체 본체(10) 두께의 10분의 1 이상이면, 화장료를 많이 담지할 수 없고, 두께에 의해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피막층(20)의 두께가 담지체 본체(10) 두께의 100분의 1보다 작으면, 바이오 셀룰로오스의 보수성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1)를 도시한 것이다.
담지체 본체(10)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11)과, 배출면(11)을 마주하는 타면(13), 배출면(11)과 타면(13)을 이어주는 측면(15)을 포함하는데, 도 4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는 피막층(20)이 타면(13)까지, 도 5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측면(15)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실시예의 경우, 배출면(11)에만 피막층(20)이 형성되어 있을 때 보다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도 7,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방법에서 피막층 형성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담지체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담지체 본체(10)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준비한다(S100).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에서는 질소원을 별도로 혼합하지 않거나, 혹은 바이오 셀룰로오스 수율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질소원을 배양할 수도 있다. 질소원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으로, 그 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효모 추출물, 황산암모늄 등이 있을 수 있다.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라이조비움(Rhizobium)속, 그리고 아그로박터(Agrobacterium)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산 효율성을 위해서 여러 종의 미생물을 혼합 배양할 수도 있다. 생산 수율이 좋은 아세토박터속 자일리늄과, 잡균 오염을 방지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하는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7226호를 따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어서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이용하여 담지체 본체(10) 표면에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20)을 형성(S200)한다. 이 단계에서는 담지체 본체(10)를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에 침지(S210)시키고, 배양액 외부로 노출시키는 과정(S220)을 반복 수행한다. 이 단계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커에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담고, 담지체 본체(1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행한다.
이렇게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담지체 본체(10)에 배양하면, 접착이 어려운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담지체 본체(10)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바이오 셀룰로오스가 담지체 본체(10)의 배출면(11)에서 3차원 망상구조로 형성되어, 부착력 및 수분 유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양액에의 침지(S210)와 배양액 외부로의 노출 단계(S220)의 반복 수행 과정은, 담지체 본체(10)와 공기의 접촉을 극대화시켜 바이오 셀룰로오스가 용이하게 배양되도록 한다.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에의 담지체 본체(10)의 침지 시간은 약 1~10초 다른 실시예로는 2~ 8초, 또 다른 실시예로는 3~5초 간격으로, 2~5일간 반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담지체 본체(10)에 도 8b와 같이 피막층(20)이 형성된다.
피막층(20)이 형성된 담지체(1)는 배양된 바이오 셀룰로오스의 살균(멸균) 및 건조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살균(멸균) 및 건조 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피막층(20)이 형성된 담지체(1)에는 화장료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201)을 형성(S300)한다.
관통홀(201)은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펀칭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 나이프컷 및 레이저 천공 등 화장료가 이동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피막층(20) 자체만으로도 화장료가 이동할 수 있다면 관통홀(201) 형성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8c의 공정을 거친 담지체(1)는 도 1과 같이 관통홀(201)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체(1)의 제조예 및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
먼저 실험에 사용할 담지체 본체와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준비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담지체 본체의 종류는 PU이며,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은 셀룰로오스 생산 균주인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전배양 후 사용하였다.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은 탄소원으로 2% 포도당이 첨가된 HS배지(포도당 20.00g/ℓ, 효모추출물 5.00g/ℓ, 인산나트륨 2.70g/ℓ, 구연산 1.15g/ℓ)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250㎖ 삼각플라스크에 50㎖ HS배지를 분주하고, 120℃에서 30분간 살균한 후에 아세토박터 자일리늄 BRC21을 각각 접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비커에 담아 붕해기(Disintegration Tester)에 넣고, 중탕 온도(배양 온도)를 30℃로 맞추어 세팅하였다. 담지체 본체는 붕해기에 수직으로 달아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에 침지하고, 약 3초 간격으로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 외부로 노출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3일간 반복했다. 3일 후, 담지체 본체에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되었다.
도 9는 이렇게 형성된 담지체 본체의 배출면에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를 3D measuring laser microscope를 통해 500배의 배율로 촬영한 것이다. 피막층은 담지체 본체의 표면에 코팅되듯 얇은 막처럼 씌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는, 살균(멸균) 및 건조 공정을 거친 후, 니들 펀치(Needle Punch)를 이용하여 관통홀을 형성하였다. 사용된 니들 펀치의 금속판에는 지름 1mm의 바늘이 2m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니들 펀치에 의해 담지체의 배출면에는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는 약 50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었다.
[ 실험예 1] 화장료의 수분 증발량 측정
화장료의 수분 증발량을 비교 측정하기 위해, 제조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포함하는 담지체(이하 실시예 1)와, 비교예로써 일반 PU 담지체(ETHER계 PU 건식 담지체, 이하 비교예 1)를 함께 준비하였다.
각 담지체에 화장료로 점도 12,000cps W/O 타입의 유화 파운데이션을 7~8g 양으로 담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화장료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성분명 함량 (중량 % ) 배합목적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유상성분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4.00
페닐트리메치콘 6.00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2.00
피이지-10디메치콘 4.0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4.00
티타늄디옥사이드 0.4 착색제
아이런옥사이드 1
징크옥사이드 10.00 자외선차단제
정제수 30.00 수상
부틸렌글라이콜 2
프로필렌글리콜 3
소금 0.5
담지된 각 담지체를 페트리 접시에 담아 초기 무게를 측정한 후, 항온조에 넣어 10분 간격으로 꺼내어 변화된 무게를 측정하였다. 항온조의 온도는 높은 여름철의 평균 온도의 상황을 고려하여, 30℃로 유지시켰다.
무게는 1/100g 이 측정 가능한 발란스를 이용하였으며, 10분 및 20분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감소량을 계산하였다.
화장료가 담지된 초기 각 담지체의 무게 및 시간 당 담지체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초기 화장료가 담지된 각 담지체의 무게 8.25g 7.11g
10분 후 무게 감소량 0.05g 0.03g
20분 후 무게 감소량 0.08g 0.05g
10분 후 무게 감소율 0.6% 0.4%
20분 후 무게 감소율 0.97% 0.7%
표 2와 같이 화장료가 담지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시간당 무게 감소량을 비교했을 때,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으며, 10분을 기준으로 화장료의 수분 증발이 약 30% 이상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1)는 담지체 본체(10)의 배출면(11)에 피막층(20)이 형성되어, 담지체 본체(10)가 담지하고 있는 화장료의 수분의 증발을 종래보다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피부에 화장료의 수분 전달 능력 및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막층(20)이 담지체 본체(10)의 배출면(11)뿐 아니라, 배출홀(101) 및 내부홀(103)이나 타면(13) 또는 측면(15) 에 형성되면, 배출면(11)에만 피막층(20)이 형성되어 있을 때 보다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지는 담지체 본체;
    상기 배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피막층;
    을 포함하며,
    상기 피막층은 바이오 셀룰로오스(bio cellulose)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막층에는 화장료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담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막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 본체는 상기 배출면과 마주하는 타면;
    상기 배출면과 상기 타면을 이어주는 측면;
    을 포함하며,
    상기 피막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층은 상기 담지체 본체 두께의 100분의 1 내지 10분의 1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6.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 본체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담지체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 본체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지고,
    상기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막층은 상기 배출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면에 형성된 피막층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담지체 본체를 상기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담지체 본체를 상기 바이오 셀룰로오스 배양액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가 반복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니들펀칭, 나이프컷 및 레이저 천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의 제조방법.
KR1020170030942A 2017-03-13 2017-03-13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2A KR102319035B1 (ko) 2017-03-13 2017-03-13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8/002185 WO2018169225A1 (ko) 2017-03-13 2018-02-22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107106456A TWI770127B (zh) 2017-03-13 2018-02-27 具有生物纖維層之化妝品組成物載具與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2A KR102319035B1 (ko) 2017-03-13 2017-03-13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44A KR20180104344A (ko) 2018-09-21
KR102319035B1 true KR102319035B1 (ko) 2021-10-29

Family

ID=6352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42A KR102319035B1 (ko) 2017-03-13 2017-03-13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19035B1 (ko)
TW (1) TWI770127B (ko)
WO (1) WO2018169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4277B2 (ja) * 2019-10-22 2023-04-10 株式会社タイキ 化粧品及び液体化粧料用のパッド並びに液体化粧料含浸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5501A (en) 1917-01-05 1921-07-26 Lovejoy Tool Works Drill-chuck
JPH05229063A (ja) * 1991-11-08 1993-09-07 Japan Vilene Co Ltd バイオセルロース膜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1003538A1 (fr) * 1999-07-09 2001-01-18 Bourjois Article pour l'application d'une composition top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2227109B1 (en) * 2008-01-11 2011-06-29 The Gillette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KR102088350B1 (ko) * 2010-10-26 2020-03-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342056B1 (ja) * 2012-11-02 2013-11-13 進一 塚本 3dに対応するシート及びその製法
KR20150124643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스크럽제가 포함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R3026647A1 (fr) * 2014-10-07 2016-04-08 Oreal Capsule souple pour iontophorese
KR101686354B1 (ko) * 2015-06-12 2016-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70127B (zh) 2022-07-11
WO2018169225A1 (ko) 2018-09-20
TW201832689A (zh) 2018-09-16
KR20180104344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496B2 (e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US10682257B2 (en) Biological fiber composite dressing
EP2611468A1 (en) Double- sided adhesive silicone gel -coated wound dressing
PE8999A1 (es) Polimeros absorbentes formadores de hidrogel recubiertos de agente antimicrobiano
US11795420B2 (en) Articles of manufacture comprising nanocellulose elements
TWI640322B (zh) 含有泡沫物料的化妝品
WO2007125504A3 (en) Method of exfoliation
KR102319035B1 (ko)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PE18598A1 (es)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que tienen humedad superficial reducida
BR0316442A (pt) Composição
JP7071826B2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を含む化粧品
EP3812494A1 (en) Bio-cellulose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124055B1 (en) Biological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6463644B2 (ja) 生物繊維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18338A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70043165A (ko) 박리형 건식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EP3123988B1 (en) Biological fiber composite dressing
KR100864515B1 (ko) 대나무 미립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모 제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0246386A1 (ja) 化粧料保持用担体、及び化粧品
JP6744680B1 (ja) 液状物含侵用部材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2004183136A (ja) ウェット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823594B1 (ko) 마스크 팩 시트
KR20160119598A (ko)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US20170028100A1 (en) Biological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