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338A -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8338A KR20180018338A KR1020170097558A KR20170097558A KR20180018338A KR 20180018338 A KR20180018338 A KR 20180018338A KR 1020170097558 A KR1020170097558 A KR 1020170097558A KR 20170097558 A KR20170097558 A KR 20170097558A KR 20180018338 A KR20180018338 A KR 20180018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 wick
- carrier
- discharge surfac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는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큰 심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특히,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최근,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켜 휴대가 간편하게 만든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담지체의 포어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담지된 화장료가 담지체의 배출면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된 화장료가 담지체의 배출면으로 충분히 전달되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큰 심지부를 포함하는 담지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면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심지부는 세관을 가지며, 세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관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심지부는 웹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화장료를 상기 배출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는 담지체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체의 화장료가 배출되는 도포구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높은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지된 화장료가 담지체의 배출면으로 충분히 전달되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에서 심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에서 심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담지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에서 심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담지체(10)는 전체적으로는 두꺼운 원판형상이며, 본체부(110)과 심지부(120)를 포함한다.
담지체(10)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다중유화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O/W 또는 O/W/O형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10)는 합성 또는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항균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타월처럼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짠 천), 곤약, 텐셀( TM )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와 심지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재질, WEB구조, 권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웹은 가늘고 긴 구성요소가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섬유가 서로 얽혀 있는 구조이다.
서로 다른 방향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110)의 외부면은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이다. 배출면은 코튼, 코튼/아크릴, 코튼/아크릴/폴리에스테르, 코튼/레이온,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폴리에스테르 또는 실크로 플로킹(flocking)되어 있을 수 있다. "플로킹(flocking)"은 발포체 등에 극히 짧은 섬유(플록)를 고착시키는 가공법을 의미한다. 고착 가공은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polycarbonated based polyurethane, polyester based polyurethane, ployether based polyuretha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부(110)에 형성된 포어에 화장료 조성물이 담지되며 본체부(110)의 배출면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부(110) 내에 4개의 심지부(120)가 위치하고 있다. 심지부(12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일단은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타단은 본체부(11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심지부(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타이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PBT, 라텍스 폼(NBR, SBR, NR) 또는 멜라민 폼 등일 수 있다. 심지부(120)는 본체부(110)보다 강도가 클 수 있다. 심지부(120)는 웹구조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웹구조일 수 있다.
심지부(120)가 발포폼으로 마련되는 경우, 심지부(120)는 연속 기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심지부(120)와 본체부(110)사이에 막이 위치할 수 있다. 막은 심지부(120)와 본체부(110) 사이에서 화장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이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비닐 형태일 수 있으며, 심지부(12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주거나 심지부(120)의 경도를 높여줄 수 있다. 막은 심지부(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심지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부(120)에는 도 3과 같이 내부에 세관(120a)이 형성되어 있다. 세관의 직경은 화장료에 모세관 현상 등을 통한 이동력을 줄 수 있도록 마련되며 0.1mm 내지 2mm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지부(120)는 주변의 본체부(110)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이동성은 재질, 이동통로의 크기 및/또는 이동통로의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장료 이동성”은 특정 위치에서 화장료가 제거되었을 때, 그 특정 위치로 화장료가 이동해서 채워지는 특성을 말한다. 즉, 배출면에 도포구가 가압되면 배출면에 위치하는 본체부(110)와 심지부(120)를 통해 화장료가 도포구로 배출된다. 이 때 배출면 방향으로 본체부(110)보다는 심지부(120)에서 화장료가 더 잘 이동되는 것이다.
“화장료 이동성”은 시간 개념 및/또는 용량 개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장료 이동성”은 특정 위치에서 화장료 배출 후 특정 시간 후에 얼마나 많은 화장료가 다시 그 특정 위치로 채워졌는지로 비교할 수 있다. 채워진 화장료의 양은 절대량 또는 배출된 양과 대비한 상대량일 수 있다.
화장료 배출에 있어서, 사용자는 퍼프와 같은 도포구 등을 이용하여 배출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주로 담지체(10)의 중심부를 가압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심지부(120)가 담지체(10)의 중심부에만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심지부(120)는 담지체(10)의 배출면에 고르게 분포할 수도 있다.
배출 시 화장료의 이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본체부(110)와 심지부(120)를 통해 화장료가 도포구로 배출되면, 담지체(10) 내에 화장료 농도분포가 변화하고 이에 의해 내부에 위치하는 화장료가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심지부(120)의 경우 일단에서 화장료가 배출되면 세관을 따라 담지체(10) 내부의 화장료가 타단으로부터 배출면 측에 위치하는 심지부(120)의 일단으로 이동한다. 심지부(120)는 본체부(110)에 비해 화장료 이동도가 크기 때문에, 배출면에 위치한 심지부(120)의 일단에는 화장료가 신속하게 공급된다. 이에 의해 화장료는 배출면으로 충분히 전달되며, 사용자의 도포구 가압 시 일정한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지부(120)는 담지체(10) 내부로 들어갈수록 두꺼워지거나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심지부(120)는 양단보다 중간부분이 가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중간부분은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심지부(120)와 본체부(110) 사이에 화장료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심지부(12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세공(120a) 역시 심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단면은 원형이 아닌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심지부(120)는 배출면에 대해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일단보다는 타단이 본체부(110)의 측면에 더 가깝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화장료 배출이 어려운 담지체(10)의 주변부(즉, 측면에 가까운 부분)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10)의 배출면 중심부와 측면부에 걸쳐 있는 심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배출면 중앙부를 가압하여도 담지체(10) 전체가 눌리게 된다. 담지체(10) 전체가 눌리는 효과에 의해 담지체(10) 주변부의 화장료에도 압력에 가해지며 배출면이 넓어지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심지부(120)는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110)는 고리형상의 심지부(120)를 수용하도록 변형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심지부(120)와 본체부(110)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화장료가 배출면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배출면에 노출된 심지부(120)의 면적이 커서 화장료 배출이 더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심지부(120)는 측면을 통해서도 화장료가 주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심지부(120)는 링형상의 제1심지부(121)와 막대형상의 제2심지부(122)를 포함한다. 제2심지부(122)를 통해 공급된 화장료는 제1심지부(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면에 노출된 심지부(120)의 면적이 커서 화장료 배출이 더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도 8에 도시한 제5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추가층(130)이 형성된다. 추가층(130)은 본체층(110)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가층(130)의 두께는 본체층(110)보다 얇으며, 예를 들어, 추가층(130)의 두께는 본체층(110)의 두께의 0.05-0.2배일 수 있다.
추가층(130)이 얇기 때문에 심지부(120)를 통해 공급된 화장료는 원활히 외부로 배출된다.
도 9에 도시한 제6실시예에서는 화장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료 수용공간은 본체부(110)의 하부가 변형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심지부(120)의 타단이 다량의 화장료와 접하고 있어 화장료 전달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0에 도시한 제7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가 적층되어 있는 제1층(111)과 제2층(1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용공간은 제1층(111)과 제2층(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7실시예에서도 심지부(120)의 타단이 다량의 화장료와 접하고 있어 화장료 전달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상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부(120)에는 본체부(110)와는 다른 화장료를 담지시키거나 심지부(120)를 통해 다른 화장료를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부(120)에는 스킨케어 에센스를 담지시키고 본체부(110)에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담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화장용구(1)는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화장료 유닛(40), 도포구(50) 및 안착부(60)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40)은 담지체(10)와 담지체(10) 내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40)은 담지체(10)를 감싸는 담지체 케이스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40)은 하부 케이스(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포구(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원판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포구(50)는 손잡이띠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띠는 생략될 수 있다. 도포구(50)는 도포면을 통해 화장료 유닛(40)의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한다.
안착부(60)는 케이스(20, 30)가 닫힌 상태에서 도포구(50)를 안착시키며 화장료와 공기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장료 유닛(40)을 밀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6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의 화장용구(1)에서 각 구성요소의 개폐 및 연결을 위한 힌지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화장용구(1)에서 사용자는 케이스(20, 30)를 열고, 도포구(50)를 손에 잡고, 안착부(60)를 열어 화장료 유닛(40)을 노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도포구(50)를 화장료 유닛(40)의 담지체(10)의 배출면에 접촉시켜 화장료를 도포구(50)에 흡수한 후, 피부에 화장료를 접촉시키면서 화장을 수행한다. 화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도포구(50)를 안착부(60)에 안착시킨 후 케이스(20, 30)를 닫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용구(1)를 사용할 경우, 담지체(10)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의해 담지체(10)의 화장료 담지능이 향상된다. 또한 수용공간에 의해 화장료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도 담지된 화장료의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험에 사용된 담지체는 원판 형상으로 직경은 48mm이고 높이는 10mm였다. 본체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에서는 별도의 심지부를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원통형 심지부를 제1실시예와 같은 형상으로 본체에 위치시켰다. 각 심지부의 지름은 7.5mm이고, 높이는 10mm였다. 즉, 실험예에서는 심지부의 높이와 본체의 높이가 동일하였다.
심지부의 재질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터 섬유의 형상은 실시예 1에서는 담지체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형상(즉, 화장료의 배출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 실시예 2에서는 웹구조이며 대부분 담지체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나 일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형상, 실시예 3에서는 웹구조이며 대부분 담지체 높이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나 일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이었다. 실시예 4에서는 심지부의 재질로 멜라닌 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형상을 이미지화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화장료 배출실험은 각 담지체에 8g의 화장료를 충진시킨 후 실시하였으며, 퍼프를 이용하여 배출하면서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최초 배출량과 21번째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비교예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 4 | |
본체 재질 |
폴리우레탄 발포폼 | 폴리우레탄 발포폼 | 폴리우레탄 발포폼 |
폴리우레탄 발포폼 |
폴리우레탄 발포폼 |
심지부 재질 | - | 폴리에스테르 섬 유_수직타입 |
폴리에스테르 _수직웹 |
폴리에스테르 _수평웹 |
멜라민폼 |
최초 배출량 (g) |
0.0827 | 0.1106 | 0.092 | 0.1637 | 0.1059 |
21회 배출량 (g) |
0.0306 | 0.0388 | 0.0654 | 0.0669 | 0.0488 |
표 2를 보면 심지부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가 모두 비교예에 비해 21회 배출량이 높아 심지부에 의해 화장료가 배출면으로 잘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여 수평과 수직의 섬유가 얽혀있는 웹구조의 심지부가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큰 심지부를 포함하는 담지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면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세관을 가지며,
세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배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관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웹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담지체에 있어서,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화장료를 상기 배출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담지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는 담지체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체의 화장료가 배출되는 도포구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는,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이동성이 높은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80048790.2A CN109640735B (zh) | 2016-08-10 | 2017-08-07 |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
PCT/KR2017/008482 WO2018030727A1 (ko) | 2016-08-10 | 2017-08-07 |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TW106126858A TWI732920B (zh) | 2016-08-10 | 2017-08-09 | 化妝組成物載具以及包含其之化妝物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795 | 2016-08-10 | ||
KR20160101795 | 2016-08-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338A true KR20180018338A (ko) | 2018-02-21 |
KR102324949B1 KR102324949B1 (ko) | 2021-11-11 |
Family
ID=6152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558A KR102324949B1 (ko) | 2016-08-10 | 2017-08-01 |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4949B1 (ko) |
TW (1) | TWI73292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4343A (ko) *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용기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KR20200114336A (ko) *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링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967Y1 (ko) * | 2013-08-05 | 2014-08-13 | (주)아모레퍼시픽 |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
KR101476314B1 (ko) * | 2013-08-16 | 2014-12-2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
KR20140006439U (ko) * | 2013-06-18 | 2014-12-30 | (주)아모레퍼시픽 |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
KR20150019782A (ko) * | 2013-08-16 | 2015-02-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KR101538110B1 (ko) | 2015-02-26 | 2015-07-23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
-
2017
- 2017-08-01 KR KR1020170097558A patent/KR102324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09 TW TW106126858A patent/TWI732920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6439U (ko) * | 2013-06-18 | 2014-12-30 | (주)아모레퍼시픽 |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
KR200473967Y1 (ko) * | 2013-08-05 | 2014-08-13 | (주)아모레퍼시픽 |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
KR101476314B1 (ko) * | 2013-08-16 | 2014-12-2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
KR20150019782A (ko) * | 2013-08-16 | 2015-02-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KR101538110B1 (ko) | 2015-02-26 | 2015-07-23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4343A (ko) *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용기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KR20200114336A (ko) *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링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804934A (zh) | 2018-02-16 |
KR102324949B1 (ko) | 2021-11-11 |
TWI732920B (zh) | 2021-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16680B2 (ja) |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 |
US10537500B2 (en) |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 |
JP2018183617A (ja) |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8912386B (zh) | 用于浸渍化妆品组合物的聚氨酯泡材 | |
KR102324949B1 (ko) |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530658B1 (ko) |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371201B1 (ko) |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CN109640735B (zh) |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 |
KR101917217B1 (ko) | 화장용 퍼프 | |
KR102508240B1 (ko) |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508264B1 (ko) | 화장용구 | |
KR102349215B1 (ko) |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20190048620A (ko) |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676366B1 (ko) |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706010B1 (ko) | 화장료 패스가 형성되어 있는 담지체, 담지 유닛 및 화장용구 | |
KR102399487B1 (ko) |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2714336B1 (ko) | 화장료 조성물 담체 | |
KR102715842B1 (ko) |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508259B1 (ko) | 화장용구 | |
KR102673398B1 (ko) |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 |
KR102337360B1 (ko) |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252343B1 (ko) |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20200066158A (ko) | 화장료 조성물 담체 | |
KR102371261B1 (ko) |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 |
CN111246769A (zh) | 化妆料色相体现得到改善的载持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