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620A -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620A
KR20190048620A KR1020170143733A KR20170143733A KR20190048620A KR 20190048620 A KR20190048620 A KR 20190048620A KR 1020170143733 A KR1020170143733 A KR 1020170143733A KR 20170143733 A KR20170143733 A KR 20170143733A KR 20190048620 A KR20190048620 A KR 2019004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umping space
cosmetic
carrier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4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620A/ko
Priority to CN201880070823.8A priority patent/CN111295110A/zh
Priority to PCT/KR2018/013062 priority patent/WO2019088682A1/ko
Publication of KR2019004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담지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펌핑공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Carrier unit having pumping space and cosmetic good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특히,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최근,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켜 휴대가 간편하게 만든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담지체의 포어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담지체는 화장료가 균일한 양으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5-0117623호(2015년 10월 20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토출량의 불균일함이 개선된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가 담지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펌핑공간을 포함하는 담지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펌핑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공간에는 화장료가 위치하지 않으며, 상기 펌핑공간은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가압에 의해 변형된 후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되는 전달면을 가지며, 상기 펌핑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외부 가압 시 상기 펌핑공간은 축소되면서 상기 펌핑공간 내의 공기는 상기 본체 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화장료를 상기 전달면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기공도를 가지는 제1층; 및 상기 제1기공도보다 작은 제2기공도를 가지며 상기 제1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보다 두께가 작으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상기 펌핑공간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습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층은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층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달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펌핑공간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화장료가 통과하지 않는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판상이며 다른 하나는 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기재한 담지체; 및 상기 담지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담지체는 돔형상의 전달면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돔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토출량의 불균일함이 개선된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의 토출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담지체(10)는 상하대칭인 형태이며 본체(110), 펌핑공간(120) 및 화장료(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부분(111)은 상부를 향해 불룩한 돔 형상이며,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과 대칭되도록 하부를 향해 불룩한 돔 형상이다.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있다. 접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고주파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펌핑공간(120)은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가운데가 높이가 크고 주변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화장료(130)는 펌핑공간(120)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본체(110)에 담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펌핑공간(120)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일부 화장료(130)가 본체(110)의 내부면에 묻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담지체(10)의 화장료(130)는 사용 개시 전에 본체(110) 내부에 90% 내지 100%, 95% 내지 100% 또는 98% 내지 100%가 위치하게 된다.
본체(1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되며, 다공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 중 적어도 일부는 WEB구조, 권축 구조, 발포 및 WEB구조 또는 발포 및 권축 구조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은 각각 2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부분(111)은 펌핑공간(120)과 마주하는 제1층(111a)와 화장료(130)가 외부로 전달되는 전달면을 형성하는 제2층(11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부분(112) 역시 제1층(112a)와 제2층(112b)로 이루어져 있다.
제1층(111a, 112a)은 제2층(111b, 112b)보다 두께가 크게 마련되어 있다. 제1층(111a, 112a)과 제2층(111b, 112b)은 다공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층(111a, 112a)은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2층(111b, 112b)은 습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건식 폴리우레탄 폼은 포어 크기가 400 ㎛ ~ 800 ㎛ 범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습식 폴리우레탄 폼은 포어 크기가 40 ㎛ ~ 80 ㎛ 범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식 폴리우레탄 폼과 습식 폴리우레탄 폼의 포어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두 폴리우레탄 폼은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건식 폴리우레탄 폼은 포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큼에 따라 함침되는 화장료의 양이 많을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배출량도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습식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에는 포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음에 따라 화장료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 배출량 조절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화장료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므로 정밀한 화장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지체(10)는 내부에 배치되는 제1층(111a, 112a)이 상대적으로 포어의 크기가 큰 건식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될 경우보다 많은 내용물을 함침할 수 있다. 또한, 담지체(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층(111b, 112b)이 상대적으로 포어의 크기가 작은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됨에 따라 배출되는 화장료의 입자 크기가 조밀하고 배출되는 양 역시 균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경우 제1층(111a, 112a)은 제2층(111b, 112b)보다 높은 기공도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제1층(111a, 112a)은 제2층(111b, 112b)보다 5배 내지 20배, 7배 내지 15배 또는 8배 내지 12배의 기공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기공도는, 예를 들어, 제1층(111a, 112a)이 800 내지 1000ppi(pore per inch)이며, 제2층(111b, 112b)은 60-80ppi일 수 있다.
제1부분(111)의 제2층(111b)에는 관통공(111c)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부분(112)의 제2층(112b)에도 관통공(111c)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공(111c)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펌핑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화장료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동일한 화장료(130)를 담지하고 있거나, 서로 다른 화장료(130)를 담지하고 있다. 화장료(130)는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130)는,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체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화장시 손 또는 화장도구(퍼프 등)을 이용하여 담지체(10)를 가압하면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130)가 전달면을 통해 손 또는 화장도구에 전달된다. 사용자는 전달된 화장료(130)를 다시 얼굴 등에 전달하여 화장을 수행한다.
손 또는 화장도구에 의해 외부에서 가압되면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된다. 이에 의해 펌핑공간(120)은 높이가 줄어들면서 공간이 줄어든다. 펌핑공간(120)의 공간이 줄어들면서 내부의 공기는 압력이 높아지면서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을 가압하게 되고,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에 담지된 화장료(130)를 전달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가압에 의해 전달면으로 이동한 화장료(130)는 화장도구 등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본체(110)에 담지된 화장료(130)가 펌핑공간(120)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균일한 양이 토출되게 된다. 또한 펌핑공간(120)에 가깝게 위치하던 화장료(130)가 전달면에 가깝게 이동하기 때문에 미사용되는 화장료(130)가 감소하여 화장료(130)의 사용효율도 증가한다.
외부 가압을 제거하면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은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 형태로 돌아오게 되고, 펌핑공간(120)도 원래 형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의 담지체(10) 변형에서, 가압 시에 펌핑공간(120)에 있는 공기의 일부는 제1부분(111) 및/또는 제2부분(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가압 해제 시 외부공기가 제1부분(111) 및/또는 제2부분(112)을 통해 펌핑공간(120)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담지체(10)를 뒤집어서 사용하여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10)는 다양하게 변형되며 이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담지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 해당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의 삼층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층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펌핑공간(120)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있다. 펌핑공간(120)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그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각 펌핑공간(120)의 면적 및/또는 높이도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화장료(130)가 제1부분(111)에만 담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달면은 담지체(10)의 일면에만 존재한다.
제2부분(112)은 화장료가 통과하지 않는 필름층(112c)을 포함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제5실시예에서도 화장료(130)가 제1부분(111)에만 담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달면은 담지체(10)의 일면에만 존재한다. 제2부분(112)은 화장료를 담지하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돔 형상이 아닌 판 형상을 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130)가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에 모두 담지되어 있으면서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외관상 대칭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에 서로 다른 화장료(130)가 담지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의 화장료 토출특성을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실험에서는 실험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가지 담지체에 대해 화장료를 담지하고 퍼프에 화장료를 전달하면서 전달량 즉 토출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담지체를 마련했다. 담지체의 직경은 53mm이고 펌핑공간에서 가장 큰 높이는 15mm였다. 펌핑공간에 접하는 제1층으로는 건식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였으며 전달면을 형성하는 제2층으로는 습식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의 담지체는 건식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단일층을 사용하였으며 직경은 52mm이고 높이는 8.5mm였다.
비교예 2의 담지체는 비교예 1의 담지체에 열성형한 것으로, 상하부에 열을 가하여 깊이 1mm정도의 패턴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의 담지체는 비교예 1의 담지체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기공을 가지고 있다.
도 9는 실험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전달 횟수에 따른 토출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y축은 토출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g이다.
실험 결과를 보면 비교예 1은 초기에 과도한 양이 토출되어 토출량이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기공 사이즈가 작은 비교예 2는 토출량은 비교적 균일하나 토출량 자체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반면, 실험예의 경우 초기에 과도한 양이 토출되는 문제가 없어 토출량 불균일성이 개선되며, 충분한 양의 화장료가 토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화장용구(1)는 담지체(10), 상부케이스(20), 하부케이스(30), 담지체 수용부(40), 커버(50) 및 화장도구(6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담지체(10), 담지체 수용부(40), 커버(50) 및 화장도구(60)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담지체(10)는 내부에 펌핑공간을 가지며 전달면이 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커버(50)의 형태 역시 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커버(50)는 화장도구(60)의 안착부 역할도 수용한다.
사용자는 화장도구(60)는 담지체(10)에 가압 및 해제하면서 화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담지체(10)로부터 균일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전달받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장료가 담지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펌핑공간을 포함하는 담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펌핑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는 담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공간에는 화장료가 위치하지 않으며,
    상기 펌핑공간은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담지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가압에 의해 변형된 후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되는 전달면을 가지며,
    상기 펌핑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외부 가압 시 상기 펌핑공간은 축소되면서 상기 펌핑공간 내의 공기는 상기 본체 내에 담지되어 있는 상기 화장료를 상기 전달면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기공도를 가지는 제1층; 및
    상기 제1기공도보다 작은 제2기공도를 가지며 상기 제1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보다 두께가 작으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 상기 펌핑공간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습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층은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공간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화장료가 통과하지 않는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판상이며 다른 하나는 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체.
  14.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지체; 및 상기 담지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돔형상의 전달면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돔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KR1020170143733A 2017-10-31 2017-10-31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90048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33A KR20190048620A (ko) 2017-10-31 2017-10-31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201880070823.8A CN111295110A (zh) 2017-10-31 2018-10-31 具有抽吸空间的承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PCT/KR2018/013062 WO2019088682A1 (ko) 2017-10-31 2018-10-31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33A KR20190048620A (ko) 2017-10-31 2017-10-31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620A true KR20190048620A (ko) 2019-05-09

Family

ID=6633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733A KR20190048620A (ko) 2017-10-31 2017-10-31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48620A (ko)
CN (1) CN111295110A (ko)
WO (1) WO2019088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53Y1 (ko) * 2020-04-13 2021-05-12 윤재술 화장용 스펀지 분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623A (ko) 2014-04-10 2015-10-20 (주)아모레퍼시픽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600B2 (ja) * 1997-04-15 2006-06-28 株式会社資生堂 気密コンパクト容器の気密蓋開閉機構
KR101487191B1 (ko) * 2013-07-19 2015-02-02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2016150253A (ja) * 2015-02-17 2016-08-22 ニューフロ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詰替容器を有する化粧品用コンパクト
KR101791832B1 (ko) * 2015-07-01 2017-10-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다공성 패브릭과 방수필름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45366B1 (ko) * 2015-11-24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레이저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음각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1784339B1 (ko) * 2015-12-03 2017-11-06 황재광 콤팩트 용기
KR101848246B1 (ko) * 2016-03-02 2018-04-12 최재준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623A (ko) 2014-04-10 2015-10-20 (주)아모레퍼시픽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53Y1 (ko) * 2020-04-13 2021-05-12 윤재술 화장용 스펀지 분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5110A (zh) 2020-06-16
WO2019088682A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6680B2 (ja)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JP2018183617A (ja)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521702A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
KR20190048620A (ko)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576880B1 (ko) 화장품용기 내의 담지체에 파운데이션을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530658B1 (ko)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US20200061965A1 (en) Support comprising adhes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pport
KR102676366B1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64B1 (ko) 화장용구
JP3212566U (ja) 化粧品の詰め替え用キット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109640735B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20200066158A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180017643A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673398B1 (ko)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KR102508259B1 (ko) 화장용구
CN111246769B (zh) 化妆料色相体现得到改善的载持体
KR20180036063A (ko) 화장료 패스가 형성되어 있는 담지체, 담지 유닛 및 화장용구
KR102323351B1 (ko) 파운데이션용 담지체
KR102359493B1 (ko) 화장용구
US20200221850A1 (en) Cosmetic kit for refill
KR20180037680A (ko)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7

Effective date: 2020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