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93B1 -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화장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493B1 KR102359493B1 KR1020170016856A KR20170016856A KR102359493B1 KR 102359493 B1 KR102359493 B1 KR 102359493B1 KR 1020170016856 A KR1020170016856 A KR 1020170016856A KR 20170016856 A KR20170016856 A KR 20170016856A KR 102359493 B1 KR102359493 B1 KR 1023594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p
- carrier
- link
- uni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구는 하우징,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담지체와 화장료를 수용하는 몸체 및 몸체에 수용된 담지체를 커버하는 커버를 갖는 케이스 및 커버와의 접촉과 접촉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담지체의 중앙 영역 일부를 팝업 시키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장을 위해 커버로 담지체의 노출 영역을 개방할 때 담지체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켜 사용성의 향상과 함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가 수용된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저점도 화장료, 특히 저점도 화장료 중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통 및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방식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 된다.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은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통 및 보관하는 것에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휴대 시에는 불편한 단점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휴대의 불편한 점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성, 즉 화장 또는 수정 필요 시 휴대성이 향상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및 유리 용기의 단점을 개선한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킨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의 사용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담지된 담지체에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담지체로부터 도포구로 이송시킨 후, 도포구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장용구는 도포구를 사용하여 담지체의 중앙 영역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바, 사용성의 향상을 위하여 도포구가 접촉되는 담지체의 중앙 영역 접촉 영역의 증대성 개선이 필요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과 함께 심미성 향상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체의 중앙 영역을 다른 영역 대비 상승시켜 도포구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킴과 함께 사용자에게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와 화장료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된 상기 담지체를 커버하는 커버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커버와의 접촉과 접촉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담지체의 중앙 영역 일부를 팝업 시키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키는 팝업부와, 상기 케이스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와의 접촉에 따라 하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링크 사이에 상기 제 1링크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링크의 하강력을 상기 팝업부의 상승력으로 제공하는 제 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제 2링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 1링크의 하강 이동 시 상기 팝업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 2링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2링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 2링크의 회전 운동 시 상기 팝업부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지체와 접촉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 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링크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담지체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제 1링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제 1링크의 접촉 해제 시 상기 팝업부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 1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키는 팝업부와, 상기 케이스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의 접촉 해제에 따라 상승하는 제 1바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 사이에 상기 제 1바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바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팝업부를 상승시키는 제 2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는 각각 상호 맞물림 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와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담지체와 접촉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 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바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담지체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팝업부의 하부 및 상기 제 1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제 1바의 접촉 해제 시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가 상승 이동되도록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의 하부와 상기 팝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팝업부로부터 제공된 상승력을 상기 담지체에 전달하는 매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구의 효과는 사용자가 화장을 위해 커버로 담지체의 노출 영역을 개방할 때 담지체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켜 사용성의 향상과 함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Ⅷ-Ⅷ 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Ⅷ-Ⅷ 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용구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4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용구의 동일한 구성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으나, 팝업유닛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와 제 3 및 제 4실시 예를 구분하기 위해서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매개부재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에도 적용할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매개부재를 포함한 팝업유닛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는 하우징(10), 담지체(30), 케이스(70) 및 팝업유닛(9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는 도포구(5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화장용구(1)의 외관을 형성하며, 담지체(30), 도포구(50) 및 케이스(70)를 수용한다. 하우징(10)은 하우징 몸체(12) 및 하우징 커버(14)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하우징 몸체(12)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나,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형상과 같은 다각형 통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는 하우징 몸체(12)의 개구 영역, 즉 하우징 몸체(12)에 대해 인출입 되는 케이스(70)의 인출입로를 개폐한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14)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본인의 모습을 시인할 수 있는 미러 코팅 되어 있으나, 미러 코팅에 한정되지 않고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
담지체(30)는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이 형상 변경될 때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담지체(30)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 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체(30)는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 폼일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 고무, 부틸 고부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지체(30)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 CH2=CH-CN 섬유를 주요 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담지체(30)는 다공성 재질, WEB 구조, 권축 구조 일 수 있다.
도포구(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 폼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납작한 원판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도포구는 손잡이 띠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손잡이 띠는 생략될 수 있다. 도포구(50)는 도포면을 통해 담지체(30)와 접촉하여 담지체(30)에 담지된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한다.
케이스(70)는 하우징(1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장료를 수용한다. 케이스(70)는 몸체(72), 커버(74) 및 이탈 저지부(76)를 포함한다. 몸체(72)는 담지체(30)가 수용되며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어 원통 형상을 갖는다. 몸체(72)의 상부에는 담지체(30)가 노출되는, 즉 팝업유닛(90)에 의해 담지체(30)가 팝업 되는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통해 팝업된 담지체(30)와 도포구(50)는 접촉된다. 몸체(72)의 내부, 즉 벽체 내부에는 팝업유닛(90)이 수용된다.
커버(74)는 상기한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커버(74)에는 도포구(50)가 안착되는 영역이 형성된다. 커버(74)는 후술할 팝업유닛(90)의 제 1링크(93)와 접촉 및 접촉 해제된다. 상세하게 커버(74)는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개방할 때 제 1링크(93)에 접촉되어 제 1링크(93)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반면 커버(74)는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폐쇄할 때 제 1링크(93)에 대해 접촉 해제된다.
이탈 저지부(76)는 몸체(7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몸체(72)의 개구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여 담지체(30)가 몸체(7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상세하게 이탈 저지부(76)는 하우징(10)에 대한 케이스(70)의 착탈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몸체(72)의 벽체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탈 저지부(76)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러버 등의 재질 일 수 있으며, 특히 개구 영역 전체에 대하여 형성된 경우, 메쉬(mesh) 등 일 수 있다.
다음으로 팝업유닛(90)은 커버(74)와의 접촉과 접촉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을 팝업(pop-up) 시킨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팝업유닛(90)은 커버(74)와의 접촉에 따라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반면, 후술할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의 팝업유닛(190; 도 8 내지 도 11 참조)은 커버(74)와의 접촉 해제에 따라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의 팝업유닛(90)은 팝업부(91), 제 1링크(93) 및 제 2링크(94)를 포함한다. 또한, 팝업유닛(90)은 가스킷(92), 제 1연결부(96) 및 제 2연결부(97)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팝업유닛(90)은 탄성부재(99)를 더 포함한다.
팝업부(91)는 담지체(30)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담지체(30)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담지체(30)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팝업부(91)는 몸체(72)의 하부 중앙 영역에 관통 배치되어, 제 1링크(93) 및 제 2링크(94)의 작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팝업 시키는 팝업위치와 담지체(30)의 팝업을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리니어 왕복 이동된다. 팝업부(91)의 일측은 담지체(30) 중앙 영역에 접촉 배치되고, 타측은 제 2연결부(97)에 의해 제 2링크(94)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팝업부(91)는 반구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2링크(94)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따라 상향으로 상승되어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팝업부(91)는 제 1실시 예의 팝업부(91)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우선, 담지체(30)와 접촉되는 케이스(70)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 된다. 본 발명의 팝업부(91)는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제 2링크(94)의 회전 운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2실시 예의 팝업부(91)는 박판의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 팝업부(91)는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커버(74)에 의해 제 1링크(93)의 하향 및 제 2링크(94)의 상향 운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향해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팝업부(91)가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은 팝업 된다.
가스킷(92)은 케이스(70)와 담지체(30) 사이에서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가스킷(92)은 케이스(70)와 팝업부(91) 사이를 실링한다. 가스킷(92)은 플렉서블 재질로 마련된다.
제 1링크(93)는 몸체(72)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고 몸체(72)의 외부로 돌출되어, 커버(74)와의 접촉에 따라 하강된다. 상세하게 제 1링크(93)는 커버(74)가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폐쇄할 때 몸체(72)의 외부로 돌출되고, 커버(74)가 몸체(72)의 개구 영역을 개방할 때 접촉되어 하강된다.
제 2링크(94)는 팝업부(91)와 제 1링크(93) 사이에 제 1링크(93)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1링크(93)의 하강력을 팝업부(91)의 상승력으로 제공한다. 제 2링크(9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링크(93)가 커버(74)와의 접촉에 의해 하강 이동될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팝업부(91)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면, 제 2링크(94)는 제 1링크(93)가 커버(74)와의 접촉 해제될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팝업부(91)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 2링크(94)는 제 1링크(93)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되어 팝업부(91)를 승강 운동시킨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팝업유닛(90)은 매개부재(95)를 더 포함한다. 매개부재(95)는 담지체(30)의 하부와 팝업부(91) 사이에 배치되어 팝업부(91)로부터 제공된 상승력을 담지체(30)에 전달한다. 상세하게 매개부재(95)는 팝업부(91)의 접촉 면적 대비 대면적으로 담지체(30)를 팝업 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박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개부재(9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 이외에도 제 2 내지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1연결부(96)는 제 1링크(93)와 제 2링크(94)가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 1연결부(96)는 제 1링크(93)의 하강 이동 시 팝업부(91)가 상승하도록 제 2링크(94)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제 1연결부(96)는 제 1링크(93)와 제 2링크(94)가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제 1링크(93)와 제 2링크(94)를 상호 연결한다.
제 2연결부(97)는 팝업부(91)와 제 2링크(94)가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 2연결부(97)는 제 2링크(94)의 회전 운동 시 팝업부(91)에 상승력을 제공하도록 팝업부(91)와 제 2링크(94)를 상호 연결한다.
탄성부재(99)는 제 1링크(93)의 하부에 배치되어 커버(74)와 제 1링크(93)의 접촉 해제 시 팝업부(91)가 하강하도록 제 1링크(9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99)는 커버(74)와 제 1링크(93)가 접촉 해제될 때 제 1링크(93)가 몸체(7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1링크(9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Ⅷ-Ⅷ 선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장용구의 작동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1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담지체(30), 케이스(70) 및 팝업유닛(19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는 도포구(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에 따른 화장용구(1)의 구성 중 하우징(10), 담지체(30) 및 도포구(50)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의 케이스(70)는 몸체(72), 커버(74), 이탈 저지부(76), 후크(77) 및 걸림부(79)를 포함한다. 몸체(72), 커버(74) 및 이탈 저지부(76)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후크(77)와 걸림부(79)는 커버(74)와 케이스(7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각각 상호 맞물림 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의 후크(77)는 커버(74)에 마련되고 걸림부(79)는 케이스(70)에 마련된다. 물론, 후크(77)는 케이스(70)에 마련되고 걸림부(79)는 커버(74)에 마련될 수도 있다. 후크(77)와 걸림부(79)는 커버(74)와의 접촉 해제에 따라 작동되는 팝업유닛(190)의 작동을 위해 커버(74)와 케이스(70)의 폐쇄력을 유지한다. 즉, 팝업유닛(190)에 의해 케이스(70)에 대해 커버(7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의 팝업유닛(190)은 팝업부(191), 제 1바(bar)(193) 및 제 2바(bar)(19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 예의 팝업유닛(190)은 가스킷(192), 제 1탄성부재(197) 및 제 2탄성부재(199)를 더 포함한다.
팝업부(191)는 담지체(30)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담지체(30)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담지체(30)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팝업부(191)는 몸체(72)의 하부 중앙 영역에 관통 배치되어, 제 1바(193) 및 제 2바(195)의 작동에 연동하여 승강 운동된다. 즉, 팝업부(191)는 제 1바(193) 및 제 2바(195)의 작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팝업 시키는 팝업위치와 담지체(30)의 팝업을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리니어 왕복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팝업부(191)는 반구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2바(195)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향으로 연동 운동되어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의 팝업부(191)는 제 1실시 예의 팝업부(191)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제 2실시 예의 팝업부(91)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70)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되고,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의 팝업부(191)는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제 2바(195)의 상승 운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4실시 예의 팝업부(191)는 박판의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 팝업부(191)는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커버(74)에 의해 제 1바(193) 및 제 2바(195)의 상향 운동에 따라 담지체(30)를 향해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팝업부(191)가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담지체(30)의 중앙 영역은 팝업 된다.
가스킷(192)은 케이스(70)와 담지체(30) 사이에서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가스킷(192)은 케이스(70)와 팝업부(191) 사이를 실링한다. 가스킷(192)은 플렉서블 재질로 마련된다. 제 1바(193)는 케이스(70)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며 커버(74)와의 접촉 해제에 따라 상승된다. 제 1바(193)는 커버(74)가 몸체(72)의 개방 영역을 개방할 때 몸체(72)의 외부로 돌출되고, 커버(74)가 몸체(72)의 개방 영역을 폐쇄할 때 커버(74)에 의해 몸체(72)의 내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 1바(193)가 상승 이동될 때 팝업부(191)는 담지체(30)를 팝업 시키도록 상승되고, 반면 제 1바(193)가 커버(74)와의 접촉에 의해 하강될 때 팝업부(191)는 제 1바(193)의 하강 이동에 연동되어 하강된다.
제 2바(195)는 팝업부(191)와 제 1바(193) 사이에 제 1바(193)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팝업부(191)와 제 1바(193)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제 2바(195)는 제 1바(193)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팝업부(191)를 상승시킨다. 즉, 제 2바(195)는 팝업부(191) 및 제 1바(193)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1바(193)의 승강 운동에 연동되어 승강 운동된다.
제 1탄성부재(197) 및 제 2탄성부재(199)는 제 1바(193)의 하부 및 팝업부(191)의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 1탄성부재(197)는 커버(74)와 제 1바(193)의 접촉 해제 시 제 1바(193)가 상승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 2탄성부재(199)는 팝업부(191)의 하부에 배치되어 커버(74)와 제 1바(193)의 접촉 해제 시 팝업부(191)가 상승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가 화장을 위해 커버로 담지체의 노출 영역을 개방할 때 담지체의 중앙 영역을 팝업 시켜 사용성의 향상과 함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화장용구 10: 하우징
30: 담지체 70: 케이스
72: 몸체 74: 커버
77: 후크 79: 걸림부
90: 팝업유닛 91: 팝업부
93: 제 1링크 94: 제 2링크
96: 제 1연결부 97: 제 2연결부
99: 탄성부재 190: 팝업유닛
191: 팝업부 193: 제 1바
195: 제 2바 197: 제 1탄성부재
199: 제 2탄성부재
30: 담지체 70: 케이스
72: 몸체 74: 커버
77: 후크 79: 걸림부
90: 팝업유닛 91: 팝업부
93: 제 1링크 94: 제 2링크
96: 제 1연결부 97: 제 2연결부
99: 탄성부재 190: 팝업유닛
191: 팝업부 193: 제 1바
195: 제 2바 197: 제 1탄성부재
199: 제 2탄성부재
Claims (10)
- 하우징과;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와 화장료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된 상기 담지체를 커버하는 커버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커버와의 접촉과 접촉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담지체의 중앙 영역 일부를 팝업 시키는 팝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키는 팝업부와;
상기 케이스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와의 접촉에 따라 하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링크 사이에 상기 제 1링크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링크의 하강력을 상기 팝업부의 상승력으로 제공하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제 2링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 1링크의 하강 이동 시 상기 팝업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 2링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2링크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 2링크의 회전 운동 시 상기 팝업부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와 접촉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 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링크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담지체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제 1링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제 1링크의 접촉 해제 시 상기 팝업부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 1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에 대해 접촉 상승되어 상기 담지체 중앙 영역을 팝업 시키는 팝업부와;
상기 케이스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의 접촉 해제에 따라 상승하는 제 1바와;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 사이에 상기 제 1바의 배치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바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팝업부를 상승시키는 제 2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는 각각 상호 맞물림 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와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와 접촉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중앙 영역은 개구 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바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담지체를 향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연성 재질과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팝업부의 하부 및 상기 제 1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제 1바의 접촉 해제 시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가 상승 이동되도록 상기 팝업부와 상기 제 1바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 제 2항, 제 4항, 제 6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유닛은 상기 담지체의 하부와 상기 팝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팝업부로부터 제공된 상승력을 상기 담지체에 전달하는 매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856A KR102359493B1 (ko) | 2017-02-07 | 2017-02-07 | 화장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856A KR102359493B1 (ko) | 2017-02-07 | 2017-02-07 | 화장용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534A KR20180091534A (ko) | 2018-08-16 |
KR102359493B1 true KR102359493B1 (ko) | 2022-02-08 |
Family
ID=6344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856A KR102359493B1 (ko) | 2017-02-07 | 2017-02-07 | 화장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49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750B1 (ko) | 2015-04-24 | 2016-10-14 | 김상선 | 에어타이트 가압 쿠션형 콤팩트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314B1 (ko) | 2013-08-16 | 2014-12-2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
KR102118150B1 (ko) * | 2013-11-25 | 2020-06-02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작동 레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KR200482299Y1 (ko) * | 2014-09-22 | 2017-01-10 | (주)아모레퍼시픽 |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
KR200484726Y1 (ko) * | 2015-04-01 | 2017-10-19 | (주)아모레퍼시픽 | 가압용기를 갖는 겔상 화장품 용기 |
-
2017
- 2017-02-07 KR KR1020170016856A patent/KR1023594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750B1 (ko) | 2015-04-24 | 2016-10-14 | 김상선 | 에어타이트 가압 쿠션형 콤팩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534A (ko)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09212B2 (ja) | 気泡性材料を含むスクリーンを備える装置 | |
EP3047752A1 (en) |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 |
KR101631416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886141B1 (ko) |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 |
KR20160110034A (ko) |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 |
TWI724220B (zh) | 包括依釋放表面變化的釋放部件之化妝用具 | |
KR102359493B1 (ko) | 화장용구 | |
KR102508259B1 (ko) | 화장용구 | |
KR102508264B1 (ko) | 화장용구 | |
KR102508240B1 (ko) |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371201B1 (ko) |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JP2020512152A (ja) | 異種化粧料の化粧品容器 | |
KR20180018338A (ko) |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064996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190038079A (ko) | 화장품 | |
KR102715842B1 (ko) |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706010B1 (ko) | 화장료 패스가 형성되어 있는 담지체, 담지 유닛 및 화장용구 | |
KR102349215B1 (ko) |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200473109Y1 (ko) | 화장액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액상 콤팩트 화장품 | |
KR101936843B1 (ko) | 화장품 | |
KR102337360B1 (ko) |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676366B1 (ko) |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2252343B1 (ko) |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20180037680A (ko) |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
KR101631415B1 (ko) | 다공성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