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398B1 -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 Google Patents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398B1
KR102673398B1 KR1020160126150A KR20160126150A KR102673398B1 KR 102673398 B1 KR102673398 B1 KR 102673398B1 KR 1020160126150 A KR1020160126150 A KR 1020160126150A KR 20160126150 A KR20160126150 A KR 20160126150A KR 102673398 B1 KR102673398 B1 KR 10267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rrying unit
carrying
pres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064A (ko
Inventor
이지정
최정선
정해원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2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3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어 있는 담지유닛에 있어서, 담지체와; 상기 담지체가 수용되어 있는 담지체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는 주변과 다른 화장료 담지 특성을 가지는 압축영역을 가진다.

Description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Cosmetic composition carrier unit having compressed area}
본 발명은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특히,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최근,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켜 휴대가 간편하게 만든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담지체의 포어 내에 위치하게 되고, 담지체는 담지체 케이스 내에 위치하게 되어 담지 유닛을 형성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담지체에서는 담지체의 주변부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는 사용하기 어려워 화장료 사용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1,476,314호(2014년 8월 16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화장료 사용효율이 향상된 담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어 있는 담지유닛에 있어서, 담지체와; 상기 담지체가 수용되어 있는 담지체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는 주변과 다른 화장료 담지 특성을 가지는 압축영역을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압축영역은 상기 담지체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담지체 용기는 상기 담지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은 비압축 상태의 상기 담지체보다 작게 만들어져 있어, 상기 담지체는 상기 담지체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상기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 상기 배출면에 대응하는 대응면 및 상기 배출면과 상기 대응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주변의 상기 본체와 압축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면의 주변부로 갈수록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상기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 상기 배출면에 대응하는 대응면 및 상기 배출면과 상기 대응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담지체 용기는 상기 측면과 상기 대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용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화장료 사용효율이 향상된 담지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압축 전후의 담지체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도 14의 XVI-XV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압축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담지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담지유닛(10)은 담지체(11)와 담지체 용기(12)를 포함한다. 담지체 용기(12)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담지체(11)는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담지체(11)에는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담지유닛(10)은 담지체(11)를 덮고 있으며 필요 시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지체(11)는 전체적으로는 두꺼운 원판 형태이며, 사용자의 손 또는 도포구 등을 통해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진다. 담지체(11)는 원판 형상의 본체(111)와 본체(11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2)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2)는 3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12)은 본체(111)의 두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담지체(11)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지체(11)는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지체(11)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담지체(11)는 다공성 재질, WEB구조, 권축 구조일 수 있다.
돌출부(112)를 가지는 담지체(11)는 담지체(11) 형상을 가지는 커터로 원판을 커팅하여 마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12)는 별도로 마련되어 본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12)는 본체(111)와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제나 고주파 접착 등을 이용하여 본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담지체 용기(12)의 수용공간은 담지체(11)의 본체(111)에 대응한다. 즉, 담지체(11)는 돌출부(112)만큼 수용공간보다 큰 부피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담지체(11)는 담지체 용기(12)에 억지끼움을 통해 수용되며, 수용공간에 대응하지 않는 돌출부(112)에 의해 담지체(11)에는 압축 영역이 생긴다.
도 4와 같이 압축 영역은 돌출부(112) 및 돌출부(112)와 인접한 본체 영역(A)에 생긴다. 압축 영역(A)은 주변 영역(B)이나 중심 영역(C)에 비해 밀도가 크며, 이에 의해 기공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압축 영역(A)은 화장료를 담지할 공간이 감소하여 화장료 담지능이 낮다.
이와 같이 주변영역에 형성된 압축 영역(A)에 의해 화장료는 주변영역보다는 중심부로 모이게 되어 화장료 이용효율이 증가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의 압축 전후의 담지체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담지체(11)에는 절취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113)는 본체(111)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1)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113)는 돌출부(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113)의 두께(d2)는 돌출부(112)의 돌출두께(d1)보다 낮게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절취부(113)의 두께(d2)는 돌출부(112)의 돌출두께(d1)의 20% 내지 80%, 30% 내지 80% 또는 40% 내지 80%일 수 있다.
도 7과 같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담지체(11)는 압축영역(D)을 가진다. 제2실시예에서는 돌출부(112)에 의해 압축된 부분 중 일부는 절취부(113)의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에 의해 압축 상태에서 절취부(113)는 양면이 밀착된다. 절취부(113)에 의해 압축영역(D)이 중심부(F)에 가까워지는 것이 감소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주변부에서의 화장료 담지공간을 감소시키면서도 절취부(113)를 이용해 중앙부에서의 압축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에서의 화장료 담지능은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취부(113)는 본체(111)를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돌출부(112)가 더 많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부(113)는 각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11) 주변부에 압축영역을 더 조밀하게 마련하여 화장료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비해 화장료가 중심부로 모이는 양상이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담지체(11)에는 절취부(113)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반면, 담지체 용기(12)에는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용기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돌출부(121)로 인해 담지체(11)는 수용공간보다 큰 부피를 가지게 되며, 수용된 상태에서 절취부(113) 외곽에 압축영역이 형성된다.
제4실시예에서는 담지체(11)와 담지체 용기(12) 사이의 정렬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담지체(11)와 담지체 용기(12)가 정렬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도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담지체(11)에는 절취부(113)가 생략되거나 돌출부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도 13의 (a)를 보면 담지체(11)에는 절취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반면, 담지체 용기(12)에는 하부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의 용기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용기 돌출부(122)에 의해 담지체(11)가 수용공간보다 큰 부피를 가지게 되며, 도 13의 (b)와 같이 하부 둘레를 따라 압축영역(G)를 가진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도 14의 XV-XV'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에서 담지체의 압축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담지체(11)는 배출면의 반대면인 대응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14, 115)를 가진다. 돌출부(114, 115)는 다른 실시예와 달리 본체(11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담지체(11)는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커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담지체 용기(12)는 본체(111)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용된 담지체(11)는 돌출부(114, 115)에 의한 압축영역을 가진다. 도 16을 보면 돌출부(114, 115)에 의한 압축영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멀어질수록 압축정도는 커진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담지유닛을 설명한다.
담지유닛(10)은 담지체(11)와 담지체 커버(13)를 포함한다. 담지체 커버(13)는 커버 본체(131)와 배출메시(132)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131)는 담지체(11)의 배출면과 측면 일부를 덮고 있다. 커버 본체(131)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장료는 커버 본체(131)는 통과하지 못하며 배출메시(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료 배출을 위해 배출메시(132)를 사용자가 누를 경우 전체 담지체 커버(13)가 이동한다. 이를 위해 배출메시(132)는 커버본체(131)에 팽팽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잘 연신되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담지체 커버(13)는 배출메시(132)를 가압할 경우 변형이 적게 일어나거나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담지체 커버(13)는 상당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8과 같이 사용자가 화장료 배출을 위해 배출메시(132)를 누를 경우 담지체(11)는 중심부만이 아닌 전체의 두께가 감소(d3 → d4)한다. 이에 의해 배출과정에서의 중앙부 가압에 의해 화장료가 담지체(11)의 주변부로 이동하는 문제가 감소하여 화장료 이용효율이 증가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어 있는 담지유닛에 있어서,
    담지체와;
    상기 담지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는,
    주변영역이나 중심영역에 비해 밀도가 크고 기공율이 작은 화장료 담지 특성을 가지는 압축영역을 가지며,
    상기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 상기 배출면에 대응하는 대응면 및 상기 배출면과 상기 대응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주변의 상기 본체와 압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담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영역은 상기 담지체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비압축 상태의 상기 담지체보다 작게 만들어져 있어,
    상기 담지체는 상기 담지체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면의 주변부로 갈수록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유닛.
  9. 삭제
KR1020160126150A 2016-09-30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KR10267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50A KR102673398B1 (ko) 2016-09-30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50A KR102673398B1 (ko) 2016-09-30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64A KR20180036064A (ko) 2018-04-09
KR102673398B1 true KR102673398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0585A1 (en) * 2014-02-14 2015-08-20 In Yong CHUNG Cosmetics capsu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0585A1 (en) * 2014-02-14 2015-08-20 In Yong CHUNG Cosmetics capsul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83617A (ja)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0055027U (zh) 化妆材料浸渍件及化妆材料浸渍件组件
CN107440304A (zh) 分离地容纳不同化妆品材料的化妆品装置
US20110146013A1 (en) Sponge type make-up brush
KR102530658B1 (ko)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430854B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673398B1 (ko)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KR20047596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US7083351B2 (en) Device for applying a substance, in particular a cosmetic,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TWI732920B (zh) 化妝組成物載具以及包含其之化妝物品
WO2010103485A1 (en) An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vibration source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80036064A (ko)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CN111295110A (zh) 具有抽吸空间的承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102508259B1 (ko) 화장용구
KR20190038079A (ko) 화장품
CN110868888B (zh) 美容制品
CN109640735A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101936843B1 (ko) 화장품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80017643A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KR20230112206A (ko) 액상 화장품의 리필전용 키트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1104266B1 (ko) 클렌징용 디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