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962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962A
KR20190135962A KR1020190156056A KR20190156056A KR20190135962A KR 20190135962 A KR20190135962 A KR 20190135962A KR 1020190156056 A KR1020190156056 A KR 1020190156056A KR 20190156056 A KR20190156056 A KR 20190156056A KR 20190135962 A KR20190135962 A KR 2019013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member
cosmetic container
contents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788B1 (ko
Inventor
김성환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59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395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5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이 개구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수단과 연통되도록 일 영역에 배출홀이 구비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1 토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토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도록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중앙과 둘레 사이에 배열된 복수개의 분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토출면에 고르게 분배되어 토출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피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가지는 많은 종류의 화장품 중에서 필요한 화장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대체적으로 액체, 분말, 겔, 고형화된 형태 등의 여러 가지 내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형태적으로 파우더 또는 케이크 등의 딱딱한 내용물을 제외한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및 아이크림 등의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은 다양한 형상의 화장품 용기에 포장된다.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몸체를 가지며, 이러한 화장품 용기의 용기몸체 상단에는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토출구에는 뚜껑이 탈착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는 에어리스 펌프와 연결되거나, 내부가 관통된 관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화장료를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 시 도포부재 또는 손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적당량 덜어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롭거나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토출구가 구비된 영역에 도포부재가 안착된 형태의 스프레이 용기가 있으나, 피부에 직접 가압하여 토출 시 스프레이의 분사압이 강하여 내용물이 중앙에 집중적으로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도포부재에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도포부재의 중앙에 과집중된 내용물은 화장 시 뭉침 현상의 발생 우려가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도포부재의 사이즈가 넓어질수록, 그리고 부드러운 사용감이나 쿠션감을 위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내용물이 도포부재의 중앙에 과집중되는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유로가 구비된 제1 토출부재의 상부에 다량의 분배홀이 구비된 제2 토출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의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배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토출부재 및 제2 토출부재의 사이의 외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누액이 차단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템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방지돌기가 연장 구비됨에 의해 제2 토출부재의 상부에 도포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도포부재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이 개구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수단과 연통되도록 일 영역에 배출홀이 구비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1 토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토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도록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중앙과 둘레 사이에 배열된 복수개의 분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분배홀은,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 또는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상기 분배홀이 위치된 영역과 둘레의 사이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의 중앙에 삽입되는 분리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한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토출부재와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와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사이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둘레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상부에 도포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2 토출부재는,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하부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템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에 접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리브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이탈방지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프부재의 둘레는, 상기 제2 절곡부의 끝단을 감싸며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 사이를 지나,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 상에 위치되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은 상기 배출홀의 둘레를 따라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따라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측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측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연장부 및 상기 하측 연장부는 각각의 맞닿는 면에 후크가 구비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2 토출부재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단일 유로가 구비된 제1 토출부재의 상부에 다량의 분배홀이 구비된 제2 토출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의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배될 수 있음으로써, 제2 토출부재 또는 제2 토출부재의 상부에 안착된 도포부재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정량 흡수되어 안정적이고 균일한 화장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토출부재 및 제2 토출부재의 사이의 외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누액이 차단될 수 있음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스템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방지돌기가 연장 구비됨에 의해 제2 토출부재의 상부에 도포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도포부재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1 토출부재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2 토출부재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2 토출부재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0), 뚜껑부(20), 도포부재(30), 스템(40), 제1 토출부재(50), 제2 토출부재(60) 및 배출수단(7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단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Gel) 상의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0)에 수납된 내용물은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된 배출수단(7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0)가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용기본체(10)에서 개구된 상단의 둘레에는 용기본체(10)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되는 숄더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숄더부(11)는 상하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숄더부(11)의 상단 외측면에는 뚜껑부(20)가 결합되어, 휴대 시나 보관 시와 같이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도포부재(30)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와 숄더부(11)는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용기본체(10)와 숄더부(11)는 돌기-홈 등에 의한 억지끼움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결합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숄더부(11)는 용기본체(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용기본체(10)의 내측에 배출수단(20) 등의 장착이 용이하며, 내용물의 리필이 용이하도록 용기본체(10)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숄더부(11)는 용기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지지부재(14)가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재(14)에 의해 추후 설명하는 배출수단(70)이 용기본체(10)의 내측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숄더부(11)의 외측면에는 뚜껑부(2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뚜껑부(20)는 하단 내측면이 숄더부(11)의 상단 외측면과 맞닿으며 숄더부(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포부재(30)를 감싸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뚜껑부(20)와 숄더부(11)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뚜껑부(20)의 외측면 일 영역을 따라 돌기(12)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뚜껑부(20)는 숄더부(11)에 억지끼움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숄더부(11)의 외측면에 돌기(12)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뚜껑부(20)의 내측면에 돌기(12)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돌기(12)가 숄더부(11)를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돌기(12)는 불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도 있으며, 숄더부(11)와 뚜껑부(20) 간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측에는 배출수단(70)이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배출수단(70)은 용기본체(10)의 상단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10)에 수납된 내용물이 배출수단(70)을 통해 용기본체(10)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수단(70)은 에어리스 펌프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지지부재(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수단(70)의 상부에는 스템(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수단(20)과 연통되도록 중앙 영역에 배출홀(41)이 구비될 수 있다. 스템(40)은 숄더부(11)의 개구된 영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숄더부(11)의 상단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템(40)의 상부에는 제1 토출부재(5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스템(40)의 배출홀(41)과 연통되도록 중앙 영역에 토출구(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템(40)과 제1 토출부재(50)는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스템(40)은 배출홀(41)의 둘레를 따라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 상측 연장부(42)를 더 포함하고, 제1 토출부재(50)는 토출구(51)의 둘레를 따라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하측 연장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구(51)가 배출홀(41)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측 연장부(53)가 상측 연장부(42)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배출수단(7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배출홀(41)로부터 토출구(51)까지 누액되지 않고 제1 토출부재(50)의 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연장부(42)의 외측면과, 하측 연장부(53)의 내측면이 맞닿는 영역은 각각 후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 시 분리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토출부재(50)의 상부에는 제2 토출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토출부재(60)는 중앙과 둘레 사이의 일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분배홀(6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분배홀(61)은 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토출부재(50)의 중앙에 구비된 토출구(51)를 통해 토출된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60)의 상부면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토출부재(50)의 토출구(51)로 토출된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60)의 복수개의 분배홀(61)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사이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토출부재(50)는 토출구(51)에 인접한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52)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재(52)의 높이만큼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사이가 이격되어 토출구(51)로 토출된 내용물이 복수개의 분배홀(61)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52)가 제1 토출부재(5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격부재(52)는 제2 토출부재(6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이격부재(52)가 토출구(51)에 인접한 영역에 구비됨에 의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사이는, 토출구(51)에 인접한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으며, 토출구(51)로부터 둘레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끝단 사이로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끝단 사이로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제2 토출부재(60)에는 분배홀(61)이 위치된 영역과 둘레 사이의 적어도 일 영역을 따라 제1 토출부재(50)를 향하여 밀폐부재(62)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62)의 끝단이 제1 토출부재(50)의 상부면에 밀착됨에 따라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끝단 사이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의 끝단 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제2 토출부재(60)의 분배홀(61)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이 분배홀(61)로 유입되지 않고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의 끝단 측으로 더 이동되더라도 밀폐부재(62)에 의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의 사이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62)는 제2 토출부재(60)의 분배홀(61)이 위치된 영역과 둘레 사이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따라 두 개의 원 형상으로 제1 토출부재(5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 사이의 밀폐력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62)가 두 개의 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밀폐부재(62)의 개수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밀폐부재(62)가 제2 토출부재(60)로부터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밀폐부재(62)는 제1 토출부재(50)로부터 제2 토출부재(60)를 향하여 돌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토출부재(50)의 토출구(51)에 대응되는 제2 토출부재(60)의 하부면에는 분리부재(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재(63)는 제2 토출부재(6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토출구(51)의 중앙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재(63)의 외측면 둘레는 토출구(51)의 내측면 둘레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분리부재(63)의 외측면과 토출구(51)의 내측면 사이에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분리부재(63)는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분배홀(61)을 향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출부재(50)의 중앙에 구비된 하나의 토출구(51)를 통해 이동된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60)의 복수개의 분배홀(61)로 배분되어 토출됨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이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토출면인 제2 토출부재(60)의 상부면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면에 고르게 분배된 내용물을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뭉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마사지 도구처럼 제2 토출부재(6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손이나 별도의 도포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피부에 접촉시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제2 토출부재(60)의 상부면에 퍼프 등의 도포부재(30)를 씌워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도포부재(30)는 다공성의 형태를 갖는 스펀지 등과 같은 쿠션 퍼프일 수 있으며, 통상의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은 대부분 도포부재(30)와 함께 사용해야 화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퍼프부재(30)는 제2 토출부재(60)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퍼프부재(30)의 둘레는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의 둘레 형상 및 배출수단(70) 상부에 위치된 스템(40)의 상부면 형상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는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부(55) 및 제2 절곡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부(64)는 제1 절곡부(55)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제2 절곡부(64)는 제1 토출부재(50)의 토출구(51)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하측 연장부(53)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절곡부(64)의 끝단이 스템(40)의 상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토출부재(50)의 하부면에는 제1 절곡부(55)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일 영역으로부터 스템(40)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브(54)는 제1 절곡부(55)보다 더 길게 구비되며, 스템(40)의 상부면과는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스템(40)에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4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돌기(45)는 제1 이탈방지돌기(43) 및 제2 이탈방지돌기(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돌기(43)는 제1 절곡부(55)의 끝단에 접하도록 스템(4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이탈방지돌기(44)는 리브(54)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스템(4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퍼프부재(30)는 제2 토출부재(60) 상에 안착되며, 이러한 퍼프부재(30)의 둘레는 제2 절곡부(64)의 끝단을 감싸면서 제1 절곡부(55)와 제1 이탈방지돌기(43)의 사이를 지나, 제2 이탈방지돌기(44) 상에 위치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포부재(30)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공성 형태이거나 망 형태일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포부재(30)는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폭시레진, 해면, 나일론, 면, 부직포, 스펀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부재(30)가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와, 스템(40)의 사이에 끼워지며 고정됨에 의해 도포부재(30)의 탈리가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재(30)가 복수개의 분배홀(61)이 구비된 제2 토출부재(60)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내용물이 복수개의 분배홀(61)을 통해 토출된 뒤 도포부재(30)에 고르게 함침될 수 있으며, 도포부재(30)에 함침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포부재(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 토출부재(50)의 하측 연장부(53)와 스템(40)의 상측 연장부(42)를 분리시킴에 의해 도포부재(30)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부재(30)는 외부로 노출되는 둘레부가 곡면지게 형성되어, 얼굴의 콧망울이나 엣지 부분 등의 얼굴의 굴곡진 부분에 도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가압판(1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판(13)은 용기본체(10)의 하부 측에 위치되다가 내용물이 배출수단(70)에 의해 빠져나갈 때, 내용물이 빠져나간 만큼 줄어든 공간을 유지시켜 주도록 상승될 수 있다. 즉, 가압판(13)은 내용물이 배출될수록 상승하여, 내용물이 저장된 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판(13)의 상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용기본체(10)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기본체(10)에 수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되는 배출수단(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출수단(70)은 퍼프부재(30)를 하부로 가압함에 의해 실린더 및 피스톤이 작동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구(51)를 거쳐 복수개의 분배홀(61)을 통해 퍼프부재(30)의 상부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재(50)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부(71)가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피스톤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배출수단(70)은 승강부(71)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탄성부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72)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단이 승강부(71)의 하부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배출수단(70)의 일 영역에 고정됨에 의해 승강부(71)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출수단(70)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토출부재(50) 및 제2 토출부재(60)의 하강 등에 의해 승강부(71)가 하강되면, 피스톤 역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 내부 공간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실린더의 내부 공간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이 높아진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해 있던 내용물은,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피스톤의의 내부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수단(70)은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실린더의 중앙 하부에 역류방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부(71)를 하강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승강부(71)가 탄성부재(72)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피스톤의 외주면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증가되므로, 실린더의 내부 공간은 저압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은 실린더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배출수단(70)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배출수단(70)을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구(51)을 통해 복수개의 배출홀(61)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1 토출부재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2 토출부재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제2 토출부재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토출부재(50)는 중앙 영역에 스템(40)의 배출홀(41)과 연통되는 하나의 토출구(5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토출부재(60)는 제1 토출부재(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토출부재(60)의 중앙과 둘레 사이의 일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분배홀(61)이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분배홀(61)은 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배홀(61)을 통과한 내용물이 토출면의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토출면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분배홀(61)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복수개의 분배홀(61)을 통하여 토출면으로 고르게 배분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토출부재(60)의 하부면을 살펴보면, 제2 토출부재(60)는 분배홀(61)이 위치된 영역과 둘레의 사이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62)는 제1 토출부재(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밀폐부재(62)의 끝단이 제1 토출부재(5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 사이의 끝단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62)는 두 개의 원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이 제1 토출부재(50)와 제2 토출부재(60) 사이의 끝단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토출부재(60)의 하부면 중앙, 즉 토출구(51)에 대응되는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부재(63)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재(63)는 토출구(51)보다 작게 구비되어, 토출구(51)의 중앙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구(5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제2 토출부재(60)의 분배홀(61)을 향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출부재(50)에는 배출수단(20)과 연통되는 하나의 토출구(51)가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토출부재(60)에는 중앙과 둘레 사이의 일 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분배홀(6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분배홀(61)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토출면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음으로써, 화장 시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숄더부
12 : 돌기 13 : 가압판
20 : 뚜껑부 30 : 도포부재
40 : 스템 41 : 배출홀
42 : 상측 연장부 43 : 제1 이탈방지돌기
44 : 제2 이탈방지돌기 45 : 이탈방지돌기
50 : 제1 토출부재 51 : 토출구
52 : 이격부재 53 : 하측 연장부
54 : 리브 60 : 제2 토출부재
61 : 분배홀 62 : 밀폐부재
63 : 분리부재 70 : 배출수단
100 : 화장품 용기

Claims (14)

  1. 상단이 개구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수단과 연통되도록 일 영역에 배출홀이 구비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1 토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토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도록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중앙과 둘레 사이에 배열된 복수개의 분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배홀은,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 또는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상기 분배홀이 위치된 영역과 둘레의 사이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의 중앙에 삽입되는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한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토출부재와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와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사이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둘레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부재의 상부에 도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2 토출부재는,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하부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템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에 접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리브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이탈방지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부재의 둘레는,
    상기 제2 절곡부의 끝단을 감싸며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 사이를 지나,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 상에 위치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배출홀의 둘레를 따라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토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둘레를 따라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측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측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연장부 및 상기 하측 연장부는 각각의 맞닿는 면에 후크가 구비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재 및 상기 제2 토출부재는,
    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156056A 2017-11-03 2019-11-28 화장품 용기 KR10234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56A KR102343788B1 (ko) 2017-11-03 2019-11-2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43A KR102203954B1 (ko) 2017-11-03 2017-11-03 화장품 용기
KR1020190156056A KR102343788B1 (ko) 2017-11-03 2019-11-28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943A Division KR102203954B1 (ko) 2017-11-03 2017-11-0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962A true KR20190135962A (ko) 2019-12-09
KR102343788B1 KR102343788B1 (ko) 2021-12-27

Family

ID=7917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056A KR102343788B1 (ko) 2017-11-03 2019-11-2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7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24B1 (ko) * 2014-02-06 2015-06-16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24B1 (ko) * 2014-02-06 2015-06-16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788B1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82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6942412B2 (en) Product application device including a dip tube
JP3907553B2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JP2000245529A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KR100917319B1 (ko)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JP2000202354A (ja) 自動装填アプリケ―タを備えた収容塗布装置
JP4542867B2 (ja) 物質を包装し塗布する装置
US6773193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n element forming an intermediate reservoir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102037580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JP4510580B2 (ja) 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2203954B1 (ko) 화장품 용기
CN208783886U (zh) 化妆品容器
KR20190135962A (ko) 화장품 용기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20200110313A (ko) 액체 메이크업 케이스용 리필 그리고 케이스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20200260836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notably a liquid cosmetic product
KR20150039434A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200455745Y1 (ko)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KR20060036575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화장품 배출장치
KR101946993B1 (ko)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