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24B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24B1
KR101529424B1 KR1020140013541A KR20140013541A KR101529424B1 KR 101529424 B1 KR101529424 B1 KR 101529424B1 KR 1020140013541 A KR1020140013541 A KR 1020140013541A KR 20140013541 A KR20140013541 A KR 20140013541A KR 101529424 B1 KR101529424 B1 KR 10152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powder
shoulder cap
coupl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선
Original Assignee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14001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의 배출 단속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파우더 수용되는 수납부가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 지지 됨과 동시에 결합공(230)이 형성된 숄더 캡(200)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공에 대해 받침판(310)의 하부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결합단관(320)이 일정한 공간을 두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지지 되고, 상기 결합단관이 형성된 내부 받침판의 중앙으로 파우더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절개부(332)가 절개 형성된 펌핑부(330)가 상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진 고무 재질의 퍼프 받침(300)과; 상기 퍼프 받침의 상부에 안착지지 되고, 동시에 파우더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들(410)이 형성된 퍼프(400)와; 상기 퍼프를 감싸기 위해 개방부가 상기 숄더 캡과 퍼프 받침의 받침판 사이로 마련되는 공간(P)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퍼프 커버(500); 및 상기 숄더 캡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외캡(6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 용기{COSMETIC POWDER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캡을 열고 피부 터치시에만 퍼프 받침에 형성된 펌핑부의 펌핑 작용과 동시에 개폐 조작되는 단속 절개부에 의해 파우더(powder)의 배출이 단속되어 지도록 하여 파우더의 불필요한 낭비나 누설 방지를 통해 제품의 사용 안전성 및 편리성을 크게 확보하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와 관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분(powder), 예컨대 파우더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용구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제시되고 있는 화장 용구들을 보면, 주로 스폰지나 라텍스 재질의 퍼프를 매개로 하여 파우더를 배출시켜 화장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 퍼프로는 파우더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우더 화장시, 퍼프로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파우더의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화장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 제시되고 있는 화장용구들을 보면, 대부분 퍼프에 파우더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들만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들을 통해 파우더의 배출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즉, 파우더 화장을 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외캡을 닫는 것에 의해 파우더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고 있으나, 외캡의 닫음 조작으로는 파우더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파우더 화장시나 미 화장시, 퍼프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파우더의 배출이 항상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종래의 경우에는 외캡을 개방하는 경우, 퍼프의 구멍들을 통해 배출되어 외캡 내부에 머물러 있던 파우더가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화장용구 외부로 누설되어 외주면에 묻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 누설되어 화장용구가 수용된 가방을 더럽히게 되는 등의 구조적인 여러 가지 문제들을 발생시키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화장용구의 사용 안전성을 크게 해치고,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라하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928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812호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275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8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화장용기들에서 발생되고 있는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더의 화장시에는 파우더의 배출을 신속 용이하게 하면서도 미 화장시에는 파우더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속하여 파우더의 무분별한 배출을 통한 외부 누설이나 비산이 방지되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 수용되는 수납부가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 지지 됨과 동시에 결합공이 형성된 숄더 캡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공에 대해 받침판의 하부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결합단관이 일정한 공간을 두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지지 되고, 상기 결합단관이 형성된 내부 받침판의 중앙으로 파우더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절개부가 절개 형성된 펌핑부가 상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진 고무 재질의 퍼프 받침과; 상기 퍼프 받침의 상부에 안착지지 되고, 동시에 파우더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퍼프와; 상기 퍼프를 감싸기 위해 개방부가 상기 숄더 캡과 퍼프 받침의 받침판 사이로 마련되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퍼프 커버; 및 상기 숄더 캡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외캡;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프 받침의 펌핑부에 절제 형성된 단속 절개부는 “╋”자, “━”자, 삼등분, 오등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개(切開)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퍼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퍼프 받침의 펌핑부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의 수직 상부로 형성된 중앙의 구멍을 기준으로 그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구멍들은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퍼프 받침의 받침판 상면으로는 단속 절개부를 통해 배출된 파우더가 퍼프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신속한 배출 분산을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분산유도공간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숄더 캡의 결합공 상단으로는 퍼프 받침의 결합시 결합단관의 신속한 끼움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 가이드 면이 상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퍼프 받침의 결합단관으로는 숄더캡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요구 하단으로 일정 높이의 턱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파우더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우더 유동공간이 절제(切除)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프 받침의 받침판으로 퍼프의 터치 동작에 따라 상하 로 펌핑 작용을 하는 펌핑부에 절개 형성된 단속 절개부의 탄성 개폐 작용에 따라 용기 본체의 수납부에 수용된 파우더의 배출이 단속되어 지기 때문에 특히 파우더 화장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속 절개부가 항상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부의 파우더는 퍼프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외캡 내부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어 파우더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사용 안전성 및 편리성을 크게 높여 고 품질의 제품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속 절개부의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 캡과 퍼프 받침의 조립 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캡이 제거된 상태에서 펌핑부의 단속 절개부가 닫혀진 상태의 발췌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의 단속 절개부가 퍼프에 의해 눌려져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를 거꾸로 들어 파우더 배출 상태를 보인 발췌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크게 용기 본체(100)와, 숄더 캡(200), 퍼프 받침(300), 퍼프(400), 퍼프 커버(500) 및 외캡(600)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00)는 파우더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을 갖는 수납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 상단으로 나사 결합부(120) 및 끼움 단관(130)이 순차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숄더 캡(200)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숄더 캡의 개방된 내주면 하단과 그 연이어진 상측으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나사 결합부(120)에 상호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210)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끼움 단관(130)에 끼워지는 끼움 홈(220)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 캡(200)의 상면 중앙으로는 결합공(23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퍼프 받침(300)은 상기 숄더 캡에 대하여 일정한 공간(P)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는 것으로서, 전체가 탄성소재, 즉, 고무(Rubber)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퍼프 받침은 받침판(310)과 그 저면 하부로 연장되어진 결합단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단관은 상기 숄더 캡(200)의 결합공(230)에 강제로 끼워지게 지는바, 그 하단 외주면으로는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시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요구(322)가 횡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퍼프 받침(300)은 숄더 캡(200)의 결합공(230)에 상기 결합단관(320)의 결합요구(322)가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짐에 따라 강제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퍼프 받침(300)의 결합단관(320)이 형성된 받침판(310)으로는 펌핑부(330)가 상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펌핑부로는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수용된 파우더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절개부(332)가 소정의 형태로 절개(切開) 형성되어 있다. 단속 절개부(332)는 다양한 형태로 절개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펌핑부(330)의 펌핑 작용시, 더 구체적으로는 펌핑부(330)가 하측으로 눌려지는 경우, 단속 절개부(332)의 절개부분이 개방되면서 파우더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형태라면 특정 형태에 구애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자체 테스트 결과,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자 형태로 절개됨이 가장 좋다. 그 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를 비롯하여 삼등분이나 오등분 등 다양한 절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속 절개부(332)의 각 절개부들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외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호 벌어지게 되고, 또 외력이 해소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닫혀지게 된다. 즉, 펌핑부(330)의 펌핑 작용시에만 인위적으로 개폐 조작되어 진다는 것이다.
한편, 퍼프 받침(300)의 결합단관(320)으로는 숄더 캡(210)의 결합공(230)에 끼워지는 결합요구(322) 하단으로 일정 높이의 턱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파우더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우더 유동공간(324)이 절제(切除)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퍼프(400)는, 퍼프 받침(300)에 받침되는 것으로서, 파우더 화장시, 양호한 피부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라텍스소재나 스펀지소재로 이루어진다. 퍼프(400)에는 파우더 배출을 위한 하나 이사의 구멍들(4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들(410)은 평면에서 보아 방사상으로 배치 구성하여 파우더의 신속한 분산 배출을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퍼프에 형성되는 구멍들은 퍼브 받침의 펌핑부(330)로 형성되는 단속 절개부(332)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는 구멍을 기준으로 그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구멍들은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구조상 펌핑부(330)의 단속 절개부(332) 부위에서 가장 많은 파우더의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구멍을 크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파우더의 배출을 유도하는 것이고, 또 이 부분을 통해서 파우더 화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한 것이다. 그리고 그 외 측으로 배치되는 구멍들은 작게 형성하여 가장자리를 통해서는 적정한 파우더 배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퍼프 커버(500)는 퍼프(400)를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퍼프에 형성된 각 구멍들을 통해 배출되는 파우더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퍼프 커버는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개방단(510)을 이용하여 퍼프 받침(300)의 받침판(310)에 감싸지도록 씌워지게 되는 것이며, 퍼프 받침(300)을 숄더 캡(200)에 결합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조립시 형성되는 공간(P)에 상호 협착되는 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파우더 화장시 임의적으로 벗겨지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퍼프 커버(500)는 통상적으로 파우더 화장시 피부에 대한 양호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폰지의 표면에 미세한 섬유분말을 접착제로 균일하게 접착시킨 프로킹 스펀지(Flocking sponge)가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외캡(600)은 퍼프(400) 및 퍼프 커버(5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숄더 캡(200)에 대하여 파우더 화장 전후 개폐되어 진다. 외캡의 상면으로는 파우더 화장시 한 손으로 들고 화장 상태를 볼 수 있는 거울(61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 캡(200)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외캡(600)은 나사 결합 방법이나 언더 컷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캡(200)의 상단 외주면으로 단부에 이탈 방지턱(242)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40)이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 외캡(600)의 하단 내주면으로는 상기 가이드 홈에 걸림되는 가이드 돌기(62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퍼프 받침(300)의 받침판(310) 상면으로는 펌핑부(330)의 단속 절개부(332)를 통해 배출되는 파우더가 사방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분산유도공간(312)이 더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숄더 캡(200)의 결합공(230) 상단으로는 퍼프 받침(300)의 결합시 결합단관(320)의 신속한 끼움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 가이드 면(232)이 상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230)에 경사 가이드 면(232)을 더 확장 형성함으로써 이에 끼워지는 퍼프 받침(300)의 결합단관(320) 하단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조립 상태를 먼저 살며본다.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로는 적정량의 파우더를 채워준다. 그리고 퍼프 받침(300)의 받침판(310)으로는 퍼프(400)를 올려놓은 다음 그 외부를 퍼프 커버(500)로 감싸준다. 이때 퍼프 커버는 그 개방단(510)의 탄력을 이용하여 퍼프 받침의 받침판(310)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충분히 씌워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퍼프 받침(300)을 숄더 캡(200)에 결합하여 준다.
즉, 받침판(310)의 하부로 형성된 결합단관(320)을 숄더 캡의 결합공(230)에 위치시킨 다음 강제로 눌러 끼운다. 이때 결합단관(320)은 그 단부가 결합공(230)에 형성된 경사 가이드 면(232)에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감에 따라 신속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결합요구(322)가 결합공(230)에 턱 걸림 상태로 강제로 끼워 맞춤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한 퍼프 받침(300)의 결합시 받침판(310)의 외주면 하단을 감싸는 상태로 씌워진 퍼프 커버(500)는 해당 부분이 상기 숄더 캡(200)의 상면과 퍼프 받침의 받침판 하단으로 마련되는 공간(P)에 상호 협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퍼프 커버(500)는 임의적인 이탈이나 벗겨짐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 퍼프 받침(300)이 상호 일체로 결합된 숄더 캡(200)을 용기본체(100)에 결합하여 준다. 물론 상기 작업상, 숄더 캡(200)을 용기 본체(100)에 먼저 결합한 후 퍼프 커버가 씌워진 퍼프 받침(300)을 숄더 캡(200)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용기 본체(100)에 대한 숄더 캡(200)의 결합시 끼움 단관(130)이 끼움 홈(220)에 상호 밀폐 결합되어 짐에 따라 용기 본체의 수납부에 수용된 파우더는 일차적으로 용기 본체와 숄더 캡의 결합 틈새를 통해서는 누설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외캡(600)을 숄더 캡(20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외캡(600)의 조립을 통해 퍼프(400)나 퍼프 커버(500)는 안전하게 보호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수용된 파우더는 퍼프 받침(300)의 펌핑부(330)로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퍼프(400)로의 배출은 차단되어 진다. 상기한 경우는 최초 상태의 경우, 즉 파우더 화장을 한번이라도 하지 않은 경우에는 퍼프(400)는 물론 퍼프 커버(500)에도 파우더가 묻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캡(600) 외부로의 누설은 근원적으로 차단되어 진다. 하지만 파우더 화장을 한번이라도 한 경우에는 소량의 파우더가 퍼프나 퍼프 커버에 남아 있을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펌핑부(330)의 단속 절개부(332)에 의해 용기 본체(100)로부터 파우더의 배출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아무런 제지 없이 파우더가 퍼프로 배출되던 것에 비하여 파우더의 외부 누설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고 보면 될 것이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극히 미량에 불과하여 파우더 용기 주변을 더럽히거나 또는 파우더 용기가 넣어진 가방 등을 더럽히는 경우는 없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외캡(600)을 개방하여 파우더 화장을 하는 경우, 파우더 배출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외캡(600)이 제거된 상태에서 퍼프(400)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이다.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퍼프 받침(300)의 펌핑부(330)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 역시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펌핑부(330)가 상향으로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이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 역시 만곡 상태에서의 담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퍼프(400)를 피부에 터치하면, 순간적으로 퍼프 받침(300)의 펌핑부(330)는 도 7과 같이 강제로 눌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펌핑부(330)가 강제로 눌려져 변형되는 것에 의해 이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의 절개부분 역시 절개편들이 서로 어긋나게 되면서 틈새를 발생시켰다가 다시 상기 펌핑부(330)의 복귀력에 의해 단속 절개부(332) 역시 탄성 복귀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펌핑부(330)는 피부 터치시마다 펌핑 작용을 하게 되고, 동시에 펌핑부의 핌핑 작용시마다 이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 역시 순간적으로 틈새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수용된 파우더가 퍼프(400)의 구멍들(410)을 통해 퍼프 커버(500)로 분산 배출되어 지면서 피부, 예컨대 얼굴에 파우더 화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속 절개부(332)의 개방 틈새를 통해 퍼프(400)로 배출되는 파우더는 퍼프 받침(300)의 받침판(310) 상면으로 형성된 분산 유도공간(312)을 통해 퍼프(400) 하부로 신속하게 분산되어 지고, 동시에 퍼프(400)의 구멍들(410)을 통해 퍼프 커버(500)로 신속하게 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퍼프 받침(300)의 결합단관(320) 내부로 유입되는 파우더는 결합단관의 말단부에 의해 턱이 형성되더라도 말단부로 터여지게 절제 형성된 하나 이상의는 파우더 유동공간(324)을 통해 잘 유입되어 질 수 있어 파우더를 남김 없이 ㅈ전량 배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따르면, 퍼프(400)를 피부에 터치할 때마다 펌핑부(330)는 펌핑 작용을 하고, 동시에 단속 절개부(332)는 탄력적으로 개폐 조작되면서 틈새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틈새 발생을 통해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로부터 파우더가 신속하게 배출 또는 정지 제어되는 과정을 통해 화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펌핑부(330)의 펌핑 작용시마다 단속 절개부(332) 역시 파우더 배출을 단속하기 때문에 적정한 파우더의 배출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량의 파우더를 배출시켜 가면서 파우더 화장을 함에 따라 파우더의 낭비를 줄이면서도 화장 완료 후 퍼프(400)에는 극히 소량의 파우더 많이 남아있게 되어 외캡(600)의 결합시에는 외부 누설 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파우더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외캡(600)을 도 3과 같이 숄더 캡(200)에 결합한 다음 휴대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수납된 파우더는 퍼프 받침(300)의 펑핌부(330)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33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의 휴대시 퍼프(400)로의 누출이 방지되고 동시에 외캡의 내 외부로의 임의적인 누출 역시 방지되어 파우더 용기의 보다 위생적인 사용 및 휴대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0: 용기 본체 110: 수납부
200: 숄더 캡 230: 결합공
232: 경사 가이드 면 300: 퍼프 받침
310: 받침판 312: 분산 유도공간
320: 결합단관 324: 파우더 유동공간
330: 펌핑부 332: 단속 절개부
400: 퍼프 410: 구멍들
500: 퍼프 커버 600: 외캡

Claims (6)

  1. 파우더 수용되는 수납부가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 지지 됨과 동시에 결합공이 형성된 숄더 캡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공에 대해 받침판의 하부에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결합단관이 일정한 공간을 두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지지 되고, 상기 결합단관이 형성된 내부 받침판의 중앙으로 파우더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절개부가 절개 형성된 펌핑부가 상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진 고무 재질의 퍼프 받침과;
    상기 퍼프 받침의 상부에 안착지지 되고, 동시에 파우더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형성된 퍼프와;
    상기 퍼프를 감싸기 위해 개방부가 상기 숄더 캡과 퍼프 받침의 받침판 사이로 마련되는 공간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퍼프 커버; 및
    상기 숄더 캡에 대하여 개폐 조작되는 외캡;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받침의 펌핑부에 절제 형성된 단속 절개부는 “╋”자, “━”자 , 삼등분, 오등분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절개(切開)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퍼프 받침의 펌핑부에 형성된 단속 절개부의 수직 상부로 형성된 중앙의 구멍을 기준으로 그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구멍들은 그 직경이 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받침의 받침판 상면으로는 단속 절개부를 통해 배출된 파우더가 퍼프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신속한 배출 분산을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분산유도공간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캡의 결합공 상단으로는 퍼프 받침의 결합시 결합단관의 신속한 끼움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 가이드 면이 상향으로 더 확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받침의 결합단관으로는 숄더캡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요구 하단으로 일정 높이의 턱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파우더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우더 유동공간이 절제(切除)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0140013541A 2014-02-06 2014-02-06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52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41A KR101529424B1 (ko) 2014-02-06 2014-02-06 화장용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41A KR101529424B1 (ko) 2014-02-06 2014-02-06 화장용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24B1 true KR101529424B1 (ko) 2015-06-16

Family

ID=5351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541A KR101529424B1 (ko) 2014-02-06 2014-02-06 화장용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237A (zh) * 2017-04-14 2018-11-02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在透明排出板的底面上插入成型有不透明薄膜的粉盒容器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WO201908841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90135962A (ko) * 2017-11-03 2019-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12050B1 (ko) * 2019-12-03 2021-02-04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90000299A (ko) * 2007-06-28 2009-01-07 편성환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20100018203A (ko) * 2008-08-06 2010-02-17 김길수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110045144A (ko) * 2009-10-26 2011-05-04 (주)에스엔피월드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90000299A (ko) * 2007-06-28 2009-01-07 편성환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20100018203A (ko) * 2008-08-06 2010-02-17 김길수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110045144A (ko) * 2009-10-26 2011-05-04 (주)에스엔피월드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237A (zh) * 2017-04-14 2018-11-02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在透明排出板的底面上插入成型有不透明薄膜的粉盒容器
KR102343788B1 (ko) * 2017-11-03 2021-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908841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90050490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90135962A (ko) * 2017-11-03 2019-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03954B1 (ko) * 2017-11-03 2021-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CN109588842B (zh) * 2018-11-29 2023-09-05 苏州海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KR102212050B1 (ko) * 2019-12-03 2021-02-04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JP2022516210A (ja) * 2019-12-03 2022-02-25 ワールド スポンジ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ンピング構造を備えたパウダー用化粧品容器
CN114364286A (zh) * 2019-12-03 2022-04-15 株式会社世界海绵制造 具有泵送结构的化妆粉用化妆品容器
JP7117031B2 (ja) 2019-12-03 2022-08-12 ワールド スポンジ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ンピング構造を備えたパウダー用化粧品容器
WO2021112341A1 (ko) * 2019-12-03 2021-06-10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JP7352309B2 (ja) 2019-12-03 2023-09-28 ワールド スポンジ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ンピング構造を備えたパウダー用化粧品容器
CN114364286B (zh) * 2019-12-03 2023-12-15 株式会社世界海绵制造 具有泵送结构的化妆粉用化妆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42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566803B1 (ko)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US20160353857A1 (en)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2016670B1 (ko) 화장품 용기
US20080092916A1 (en) Powder Vessel for Makeup
JP2017512719A (ja) 回転開閉式チューブ容器
US11266222B2 (en) Cosmetics containing other cosmetic materials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KR200479315Y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596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210037321A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88290Y1 (ko) 화장품 용기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160134946A (ko) 스틱형 화운데이션 용기
KR101413663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736002B1 (ko)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 가압 토출구조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38485Y1 (ko) 파우더용 화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