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599A -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599A
KR20110079599A KR1020110059428A KR20110059428A KR20110079599A KR 20110079599 A KR20110079599 A KR 20110079599A KR 1020110059428 A KR1020110059428 A KR 1020110059428A KR 20110059428 A KR20110059428 A KR 20110059428A KR 20110079599 A KR20110079599 A KR 2011007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cap
container body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102011005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9599A/ko
Publication of KR2011007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화장액을 피스톤을 통해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액(L)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결합테두리(130)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통 형상의 회전지지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에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아래측까지 연장되며, 내부에는 토출유로(220)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스크루로드(200)와;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관통하여 치합되며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에 저장된 화장액(L)을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배출시키는 피스톤(400)과; 상면(310) 중앙에는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상단과 연계되도록 배출구(340)가 마련되고, 벽면(32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은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회전부재(210)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고, 내벽 하단에는 상기 회전지지부(120)의 결합테두리(140)가 수용 결합되도록 띠 형태로 오목하게 결합홈(330)이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100) 상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캡(300)과;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최상단을 감싸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캡(300)의 조립시 압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액(L)을 상기 배출구(340)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질의 배출가이드(350)와; 상기 스크루로드(200) 상단부의 토출유로(220) 내부에 마련된 밸브시트(230)에 안착되어 화장액(L)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220)를 개폐하는 원추형태의 밸브부(361)와, 상기 밸브부(361)의 후단에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진 탄성지지부(362)와, 상기 탄성지지부(362)의 상단에 링 형태로 이루어져 화장액(L)이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캡(300)의 상면 중앙부위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싱부(363)로 이루어진 스프링밸브(360)와;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캡(300)의 상면(310)과 벽면(320)을 덮는 오버-캡(5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A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을 점차 하강시켜 용기에 담긴 화장액을 소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는 겔 또는 액체상태의 화장액을 담아 제품으로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액(11)이 담겨지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입구(12)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0)을 갖추고 있다. 또한, 뚜껑(20)에는 솔(31)이 부착된 솔대(30)가 마련되어 있어서, 뚜껑(20)을 닫으면 솔(31)과 함께 솔대(30)가 용기본체(10)에 수용된다. 그리고 뚜껑(20)을 개방하면, 화장액(11)이 솔(31)에 묻어나와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화장품용기는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여 여성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화장품용기는 제품 외관의 시각적인 충족감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화를 꾀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즉, 용기본체(10)에 담긴 화장액을 솔대(30)의 솔(31)에 매번 소정량씩 묻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뚜껑(20)을 개방한 상태에서 부주의로 용기본체(10)가 엎어지면 바로 화장액이 쏟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내용물)을 피스톤 메카니즘을 통해 회전캡 상면으로 소량씩 토출시킴으로써 이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유로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불필요한 화장액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캡을 덮는 오버-캡 구조를 개선하여 화장액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액을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가; 화장액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실린더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결합테두리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통 형상의 회전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회전지지부에 회전부재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 아래측까지 연장되며, 내부에는 토출유로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스크루로드와; 상기 스크루로드가 관통하여 치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상기 스크루로드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 벽면과 밀착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에 저장된 화장액을 상기 스크루로드의 토출유로를 통해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면 중앙에는 상기 스크루로드의 상단과 연계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되고, 벽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회전지지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은 상기 스크루로드의 회전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고, 내벽 하단에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결합테두리가 수용 결합되도록 띠 형태로 오목하게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캡과; 상기 스크루로드의 최상단을 감싸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캡의 조립시 압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의 토출유로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액을 상기 배출구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질의 배출가이드와; 상기 스크루로드 상단부의 토출유로 내부에 마련된 밸브시트에 안착되어 화장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원추형태의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후단에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진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단에 링 형태로 이루어져 화장액이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캡의 상면 중앙부위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싱부로 이루어진 스프링밸브와;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캡의 상면과 벽면을 덮는 오버-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밸브의 탄성지지부가 상기 밸브부와 부싱부가 일체로 연계되도록 나사산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회전캡의 상면 중앙부위에 원호 형태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오버-캡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캡에 상기 오버-캡을 완전하게 덮으면 상기 배출구들을 막도록 압착되어 화장액 유출을 방지하는 연질의 패킹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에 의하면; 회전캡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루로드를 따라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용기본체에 담겨진 화장액이 스프링밸브를 개방시키면서 회전캡 상면으로 소량씩 배출됨으로써, 이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루로드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프링밸브(체크밸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토출유로가 닫힘으로써, 오버-캡을 개방한 후 용기본체를 거꾸로 들더라도 화장액이 흘러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에 의하면;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오버-캡을 덮으면 패킹부재가 압착되면서 원호형태의 배출구를 완전하게 막게 되며, 이로 인해 화장액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액상 화장품 용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측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에서 오버-캡이 닫혀진 상태를 보인 발췌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구성 설명>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피스톤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화장액을 회전캡 상면으로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겔(GEL)타입의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는 용기본체(100)와, 이 용기본체(100)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로드(200;SCREW ROD)와, 이 스크루로드(200)의 중도에 배치되며 실린더(110)에서 점차 하강하여 화장액(L)을 스크루로드(200) 내부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400)과,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시키기 위한 회전캡(300)과, 용기본체(100)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회전캡(300)을 덮기 위한 오버-캡(500;OVER CAP) 등으로 대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0)는 화장품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실린더(110) 벽면에 피스톤(400)이 밀착되면서 하강하게 되며, 화장액(L)은 피스톤(400)의 하강압력이 전달되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통 형상의 회전지지부(120)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회전캡(30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지지부의 상단 벽면에는 피스톤(400)이 하강함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부압홀(140:도 4참조)이 천공되어 있다.
스크루로드(200)는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에 상단이 원통형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저부까지 연장되게 배치된다. 원통형 회전부재(210)는 스크루로드(200)의 상단부를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에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루로드(200)의 상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외벽에는 회전캡(300)과의 치결합을 위한 치합돌기(211)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스크루로드(200)는 외주를 따라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선이 가공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토출유로(220)가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화장액(L)은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루로드(200) 상단부의 토출유로(220) 내부에는 테이퍼 형태를 갖도록 밸브시트(230)가 마련되며, 여기에는 화장액(L) 토출압력에 따라 토출유로(220)를 개폐하기 위한 스프링밸브(360)가 배치된다. 이 스프링밸브(360)는 체크밸브의 일종으로, 밸브시트(230)에 안착되어 토출유로(220)를 직접 개폐하는 밸브부(361)와, 이 밸브부(361)의 후단에서 신축 가능하게 성형된 탄성지지부(362)와, 이 탄성지지부(362)의 후단에 링 형태로 이루어진 부싱부(363)로 정의된다. 즉, 밸브부(361)는 밸브시트(230)에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원추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면이 밸브시트(230) 내벽과 당접하여 토출유로(220)를 개폐하게 된다. 탄성지지부(362)는 밸브부(361)와 부싱부(363)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이중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부싱부(363)는 탄성지지부(362)의 후단에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캡(L)의 상면(310) 중앙부위에 접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캡(300)을 통해 스크루로드(2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출유로(220)를 통해 토출되는 화장액(L) 배출압력으로 스프링밸브(360)가 개방되고, 스크루로드(200)의 정방향 회전이 정지되면 스프링밸브(360)의 자체 탄성 복원력으로 토출유로(220)를 닫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밸브(360)를 이루는 밸브부(361)와 탄성지지부(362) 및 부싱부(363)는 경질 합성수지를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됨으로써, 토출유로(220)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400)은 스크루로드(200)의 중도에 중심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즉, 스크루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서 정방향(도 2의 화살표방향 참조)으로 공회전하게 되면, 피스톤(400)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을 따라 하강하여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화장액(L)을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회전캡(300)은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210)에 조립되어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를 회전 조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면(310) 중앙에는 스크루로드(200)의 최상단과 연통되도록 배출구(340)가 천공되고 벽면(320)은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를 외곽에서 덮도록 합성수지를 통해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캡(300)의 벽면(320) 내측은 회전부재(210)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다. 회전캡(300)의 상면(310)은 라운드 형태로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배출된 화장액(L)을 용이하게 찍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배출구(340)는 회전캡(300)의 상면(310) 중앙부위에 대략 원을 이루도록 원호 형태로 4개가 분할되어 있는데, 이는 스프링밸브(360)를 개방시키면서 토출되는 화장액(L)을 회전캡(300) 상면(310) 중앙으로 편심됨이 없이 균일하게 배출 안내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캡(300)의 배출구(340) 직하부에는 스크루로드(200)의 최상단을 감싸면서 배출구(340)와 직접 연계시키는 링 형태의 배출가이드(3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가이드(350)는 연질 고무(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스크루로드(200) 토출유로(220)를 통해 토출되는 화장액(L)이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배출구(340)측으로 바로 유도되게 된다.
한편, 회전캡(300)이 용기본체(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결합테두리(130)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회전캡(300)의 하단 내벽에는 결합테두리(130)와 요철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330)이 띠 형태로 오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캡(300)을 용기본체(100) 상부에 끼워 결합하면, 회전캡(300)이 회전부재(210)와 맞물림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홈(330)과 결합테두리(130)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캡(300)은 용기본체(100) 상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버-캡(500)은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회전캡(300)을 덮기 위한 것으로, 상면(510)과 벽면(520)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캡(300)의 상면(310)과 벽면(320)을 착탈식으로 감싸게 된다. 이러한 오버-캡(500)의 착탈식 결합을 위해; 회전캡(300)의 벽면(320) 아래에는 띠 형태로 걸림테(321)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오버-캡(500)의 벽면(520) 내측으로는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테(321)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홈(521)이 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오버-캡(500)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캡(300)을 완전하게 덮으면 원호 형태의 배출구(340)들을 막도록 압착되는 연질의 패킹부재(6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킹부재(600)는 선단부가 원형 돌기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탄성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배출구(340)들을 견실하게 폐쇄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회전캡(300)에 오버-캡(500)을 완전하게 씌우면, 패킹부재(600) 선단이 압착되면서 회전캡(300) 중앙의 배출구(340)들을 완전하게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작동 설명>
먼저,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회전캡(100)으로부터 오버-캡(500)을 분리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한손으로는 용기본체(10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회전캡(300)을 잡고 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화살표 방향). 회전캡(30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서 공회전하며, 피스톤(400)은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스크루로드(200)의 나사선을 따라 선형적으로 하강하여 실린더(110)에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00)에 담긴 화장액(L)은 중공체로 이루어진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회전캡(300)측으로 빠져나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캡(300)을 정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화장액(L)은 스프링밸브(360)의 밸브부(361)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배출구(340)를 통해 회전캡(300) 상면(310)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캡(300) 상면(310)으로 배출된 화장액(L)을 찍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캡(300) 회전이 중지되면;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스프링밸브(360)는 즉시 복원되어 토출유로(220) 중도를 닫음으로써 불필요한 화장액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캡(300)을 임의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피스톤(400)은 실린더(110)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00)를 거꾸로 들더라도 화장액(L)은 새어나오거나 쏟아지지 않는다(도 3참조).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사용자가 오버-캡(500)을 회전캡(300)을 덮도록 다시 닫으면, 오버-캡(500) 내부에 배치된 패킹부재(600)의 선단부가 압착되면서 원호 형태의 배출구(340) 주변에 밀착됨으로써, 화장액 유출을 견실하게 차단한다.
100..용기본체 110..실린더 120..회전지지부
130..결합테두리 140..부압홀 200..스크루로드
210..회전부재 211..치합돌기 220..토출유로
230..밸브시트 300..회전캡 310..상면
320..벽면 321..걸림테 330..결합홈
340..배출구 350..배출가이드 360..스프링밸브
361..밸브부 362..탄성지지부 363..부싱부
400..피스톤 500..오버-캡 521..걸림홈
600.패킹부재

Claims (3)

  1. 화장액을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는;
    화장액(L)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결합테두리(130)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통 형상의 회전지지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에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아래측까지 연장되며, 내부에는 토출유로(220)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스크루로드(200)와;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관통하여 치합되며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에 저장된 화장액(L)을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배출시키는 피스톤(400)과;
    상면(310) 중앙에는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상단과 연계되도록 배출구(340)가 마련되고, 벽면(32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회전지지부(12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은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회전부재(210)와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고, 내벽 하단에는 상기 회전지지부(120)의 결합테두리(140)가 수용 결합되도록 띠 형태로 오목하게 결합홈(330)이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100) 상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캡(300)과;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최상단을 감싸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캡(300)의 조립시 압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토출유로(220)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액(L)을 상기 배출구(340)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질의 배출가이드(350)와;
    상기 스크루로드(200) 상단부의 토출유로(220) 내부에 마련된 밸브시트(230)에 안착되어 화장액(L)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220)를 개폐하는 원추형태의 밸브부(361)와, 상기 밸브부(361)의 후단에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진 탄성지지부(362)와, 상기 탄성지지부(362)의 상단에 링 형태로 이루어져 화장액(L)이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캡(300)의 상면 중앙부위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싱부(363)로 이루어진 스프링밸브(360)와;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캡(300)의 상면(310)과 벽면(320)을 덮는 오버-캡(5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밸브(360)의 탄성지지부(362)는 상기 밸브부(361)와 부싱부(363)가 일체로 연계되도록 나사산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40)는 상기 회전캡(300)의 상면 중앙부위에 원호 형태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오버-캡(500)의 상면(510) 중앙에는 상기 회전캡(300)에 상기 오버-캡(500)을 완전하게 덮으면 상기 배출구(340)들을 막도록 압착되어 화장액(L) 유출을 방지하는 연질의 패킹부재(60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KR1020110059428A 2011-06-20 2011-06-20 화장품용기 KR20110079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428A KR20110079599A (ko) 2011-06-20 2011-06-20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428A KR20110079599A (ko) 2011-06-20 2011-06-20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599A true KR20110079599A (ko) 2011-07-07

Family

ID=4491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428A KR20110079599A (ko) 2011-06-20 2011-06-20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5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WO2020022602A1 (ko) * 2018-07-23 2020-01-30 정재용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KR20200010978A (ko) * 2018-07-23 2020-01-31 정재용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CN111134439A (zh) * 2018-11-02 2020-05-12 因塔思株式会社 化妆品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WO2020022602A1 (ko) * 2018-07-23 2020-01-30 정재용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KR20200010978A (ko) * 2018-07-23 2020-01-31 정재용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US11937681B2 (en) 2018-07-23 2024-03-26 Jae Yong JOUNG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CN111134439A (zh) * 2018-11-02 2020-05-12 因塔思株式会社 化妆品容器
KR20200050543A (ko) * 2018-11-02 2020-05-12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14B1 (ko) 화장품용기
KR101159307B1 (ko) 화장품 용기
US20080092916A1 (en) Powder Vessel for Makeup
CN207604625U (zh) 具有泵的凝胶型粉底用容器
US8186365B2 (en) Cosmetic case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16842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9429Y1 (ko) 가압이 편리한 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0917319B1 (ko)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JP2010260581A (ja) 計量塗布栓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KR100698407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130043130A (ko) 튜브타입 화장품 용기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80024942A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6575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A2950474C (en) Cosmetic applicator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684846B1 (ko) 밸브구조를 포함한 회전식 온 오프 화장품용기
KR20120038066A (ko) 겔타입의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