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307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307B1
KR101159307B1 KR1020120008261A KR20120008261A KR101159307B1 KR 101159307 B1 KR101159307 B1 KR 101159307B1 KR 1020120008261 A KR1020120008261 A KR 1020120008261A KR 20120008261 A KR20120008261 A KR 20120008261A KR 101159307 B1 KR101159307 B1 KR 10115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body
container
screw rod
p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893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593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102012000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307B1/ko
Priority to PCT/KR2012/005226 priority patent/WO20131119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내용물)을 회전노브를 통해 소량씩 토출시킴으로써 이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상면 중앙에는 충진홀(101)이 천공되고 내부에는 화장액이 담기며 하부가 개방된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며 중심부에는 토출구(121)가 돌출되게 마련된 토출가이드(120)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하부는 용기본체(100)의 하단에 회전지지부(210)를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로드(200)와; 스크루로드(200)가 중앙부를 나선결합되면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회전지지부(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가장자리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승강하여 용기본체(100)에 담긴 화장액을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시키며, 중앙부에는 스크루로드(200)의 외벽과 밀착되어 누액을 방지하는 고무패킹(310)이 배치된 피스톤(300)과; 벽면이 용기본체(100)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면 최하부는 회전지지부(210)의 외면과 치합되어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회전노브(400)와; 용기본체(100)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는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수용하여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510)이 천공되고 하단 가장자리에는 고정홈(520)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장퍼프(500)와; 하단 내벽은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내벽은 화장퍼프(500)의 하부를 감싸면서 고정홈(520)에 결합되도록 고정턱(620)이 형성된 퍼프-고정캡(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을 회전노브 조작을 통해 소량씩 토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겔 또는 액체상태의 화장액을 담아 제품으로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액을 손아 담아 바르는 타입과, 뚜껑을 개방한 후 화장액을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직접 바르는 타입으로 구별된다.
도구를 통해 화장액을 바를 수 있는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액(11)이 담기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입구(12)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0)을 갖추고 있다. 또한, 뚜껑(20)에는 솔(31)이 부착된 솔대(30)가 부착되어 있어서, 뚜껑(20)을 닫으면 솔(31)과 함께 솔대(30)가 용기본체(10)에 수용된다. 그리고 뚜껑(20)을 개방하면; 화장액(11)이 솔(31)에 묻어나와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화장품용기는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여 여성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화장품 용기는 제품 외관의 시각적인 충족감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화를 꾀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즉, 용기본체(10)에 담긴 화장액을 솔대(30)의 솔(31)에 매번 소량씩 묻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뚜껑(20)을 개방한 상태에서 부주의로 용기본체(10)가 넘어지면 화장액이 바로 쏟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내용물)을 회전노브를 통해 소량씩 토출시킴으로써 이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생산시 용기본체에 화장액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노브의 조작을 화장액 토출방향으로만 정확하면서도 적당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화장액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액을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면 중앙에는 충진홀이 천공되고 내부에는 화장액이 담기며 하부가 개방된 실린더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며 중심부에는 토출구가 돌출되게 마련된 토출가이드와;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하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회전지지부를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로드와; 상기 스크루로드가 중앙부를 나선결합되면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와 함께 상기 스크루로드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 벽면과 밀착되면서 승강하여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을 상기 토출가이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며, 중앙부에는 상기 스크루로드의 외벽과 밀착되어 누액을 방지하는 고무패킹이 배치된 피스톤과; 벽면이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면 최하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면과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회전노브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토출구를 수용하여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천공되고 하단 가장자리에는 고정홈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장퍼프와; 하단 내벽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단 내벽은 상기 화장퍼프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된 퍼프-고정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벽면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퍼프-고정캡의 체결 시 아래측으로 눌리는 원형의 스커트-벽면이 마련되며;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면에 상기 용기본체의 충진홀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도록 원형의 밀착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밀착립 내측에는 중심부위에 절결홈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밸브플레이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벽면에 원주방향으로 걸림테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노브의 상단 내벽에 상기 걸림테가 수용 결합되도록 띠 형태로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노브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벽면에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정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삼각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노브의 상단 내벽에 일측면이 상기 회전노브의 정방향 회전 시 상기 제1삼각돌기의 경사면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도록 구배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회전노브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상기 제1삼각돌기에 걸리는 수직면으로 형성된 제2삼각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품 용기가 상기 퍼프-고정캡의 상단과 함께 상기 화장퍼프 상부를 착탈식으로 덮도록 원통 벽면과 상면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홀로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클로징-로드가 돌출되게 마련된 오버-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회전노브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루로드를 따라 피스톤이 승강하며, 피스톤의 승강압력으로 용기본체에 담긴 화장액이 화장퍼프의 배출홀을 통해 소량씩 배출됨으로써 이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톤의 승강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오버-캡을 개방한 상태에서도 용기본체를 거꾸로 들어도 화장액은 흘러나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제품 생산 시 용기본체의 충진홀을 통해 화장액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액 충진이 완료된 후에는 토출가이드와 화장퍼프 및 오버-캡이 조립된 퍼프-고정캡을 채움으로써 제품 생산을 용이하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화장퍼프를 통해 배출되는 화장액을 뭉침없이 피부에 용이하게 바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화장퍼프는 퍼프-고정캡을 통해 분해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화장품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래칫톱니와 걸림턱을 통해 회전노브를 용기본체 하부에서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방향으로 적당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의 사용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화장액(내용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액상 화장품 용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의 정방향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제1,제2삼각돌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통한 제품 생산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화장액 충진 및 제품 조립 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 설명>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회전노브(400) 조작을 통해 화장액을 화장퍼프(PUFF)측으로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화장액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실린더(110)가 형성된 원통형 용기본체(100)와, 이 용기본체(100)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로드(200;SCREW ROD)와, 이 스크루로드(200)의 중도에 배치되며 실린더(110)에서 점차 승강하여 화장액을 용기본체(100) 상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300)과, 용기본체(100) 저부에서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시키기 위한 회전노브(400)와,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화장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510)이 천공된 화장퍼프(500)와, 이 화장퍼프(500)를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퍼프-고정캡(600)과, 이 화장퍼프(500)와 함께 퍼프-고정캡(600) 상부를 덮기 위한 오버-캡(700) 등으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합성수지를 통해 성형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 용기본체(100)는 화장품 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화장액(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홀(101)이 천공되고, 이의 내부에는 화장액을 담을 수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상면에는 화장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가이드(120)가 조립되어 있다. 토출가이드(120)는 용기본체(100)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며, 중심부에는 토출구(121)가 상측을 향해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토출가이드(120)의 가장자리에는 용기본체(100)의 상단부 벽면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되며 퍼프-고정캡(600)의 체결 시 아래측으로 눌려 견실한 조립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스커트-벽면(12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가이드(120)의 하면에는 용기본체(100)의 충진홀(101)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도록 원형의 밀착립(1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화장액을 토출구(121)측을 통해서만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토출가이드(120)의 밀착립(123) 내측에는 중심부위에 절결홈(125)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밸브플레이트(124)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인해 불필요한 화장액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110) 벽면에 피스톤(300)이 밀착되면서 승강하게 되면, 피스톤(300)의 승강 압력으로 화장액이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100)의 상단부 외벽에는 퍼프-고정캡(600)이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130)가 형성되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 외벽에는 원통형 회전노브(4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노브-결합부(140)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외주 전역을 따라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선이 가공된 스크루로드(200)는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하단이 회전지지부(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의 상단은 용기본체(100)의 상부 공간까지 연장되게 배치된다. 회전지지부(210)는 스크루로드(200)의 하단부를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 하단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루로드(200)의 하단부에 원통형으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지지부(210)의 외벽에는 회전노브(400)와의 치결합을 위한 톱니 돌기(211)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그리고 피스톤(300)은 스크루로드(200)의 중도에 중심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외곽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스크루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서 정방향(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되면, 피스톤(300)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을 따라 승강하여 용기본체(100)에 담긴 화장액을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300)의 중앙부에는 스크루로드(200)의 외벽에 밀착되어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310)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고무패킹(310)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크루로드(200) 외벽에 밀착되어 화장액이 스크루로드(200)와 피스톤(300)과의 나사결합부 사이 틈으로 새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회전노브(400)는 밑면과 벽면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 외곽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회전지지부(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이를 위해, 회전노브(400)의 벽면은 용기본체(100)의 하단부, 즉 노브-결합부(140)를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회전노브(400)의 벽면 아래측은 회전지지부(210)의 외면과 치합(齒合) 될 수 있도록 톱니 돌기부(410)가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노브(400)를 통해 회전지지부(210)를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노브(400)가 용기본체(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기본체(100)의 노브-결합부(140)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테(150)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회전노브(400)의 내벽에는 걸림테(150)가 수용 결합되는 걸림홈(420)이 띠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노브(400)를 용기본체(100) 하부에 끼워 결합하면, 회전노브(400)는 회전지지부(210)와 맞물림 결합됨과 동시에 걸림홈(420)에 걸림테(150)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회전노브(400)는 용기본체(100) 하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지지부(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하부 벽면과 회전노브(400)의 벽면 상단 사이에는 피스톤(300)을 승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노브(400)를 적당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제1삼각돌기(160)와, 제2삼각돌기(430)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1삼각돌기(160)는 용기본체(100)의 노브-결합부(140) 외벽에 정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90도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4개가 구성되고, 제2삼각돌기(430)는 회전노브(400)의 내벽 상단부에 30도 간격으로 12개가 구성되어 있다. 제2삼각돌기(430)들은 대략 직각 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일측면이 회전노브(400)의 정방향 회전시 제1삼각돌기(160)의 경사면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도록 구배면(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회전노브(4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제1삼각돌기(160)에 걸리는 수직면(4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회전노브(400)가 30도 회전될 때마다 제2삼각돌기(430)들은 제1삼각돌기(160)들과 부딪쳐 딸깍 소리를 내게 됨으로써, 회전노브(400)를 잡고서 회전시키는 정도를 청각과 회전부하를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회전노브(4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힘을 가하면, 제2삼각돌기(430)들이 제1삼각돌기(160)를 넘어갈 때마다 "딸깍" 소리를 내면서 회전에 약간의 부하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노브(400)의 벽면 상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약간의 탄성 변형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회전노브(40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반면에, 회전노브(4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에는 제2삼각돌기(430)의 수직면(432)이 제1삼각돌기(160)에 걸림으로써 억지회전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화장퍼프(500;PUFF)는 용기본체(100)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가 수용되어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510)이 천공되어 있고, 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고정홈(520)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장퍼프(500)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면서 부드러운 스펀지 또는 라텍스 종류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화장액을 화장퍼프(500)를 이용하여 피부에 직접 바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화장퍼프(5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에서 원통 형상의 퍼프-고정캡(600)을 통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퍼프-고정캡(600)은 하단 내벽에 암나사(610)가 마련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단 벽면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이의 상단은 화장퍼프(500)의 하부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퍼프-고정캡(600)이 완전하게 체결되면 토출가이드(120)의 가장자리 즉 스커트-벽면(122)이 눌려져 견실한 조립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퍼프-고정캡(600)의 상단 내벽에는 고정홈(520)에 결합되도록 고정턱(6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퍼프-고정캡(600)에 화장퍼프(500)를 조립한 후 이를 용기본체(100)에 체결하면 화장퍼프(500)는 견실하면서도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화장퍼프(500) 조립구성은 사용자가 화장퍼프(500)를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화장품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버-캡(700)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화장퍼프(5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원통 벽면과 상면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퍼프-고정캡(600)의 상단부에 착탈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오버-캡(700)의 착탈 결합을 위해, 오버-캡(700) 벽면 하단부에 걸림홈(도면부호 미부여)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퍼프-고정캡(600)의 상단 벽면에 걸림테(도면부호 미부여)가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오버-캡(700)의 상면 중앙부에는 배출홀(510)을 통해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 선단을 폐쇄하도록 클로징-로드(710)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퍼프-고정캡(600) 상부에 오버-캡(700)을 완전하게 씌우면, 클로징-로드(710) 선단이 토출구(121) 선단을 폐쇄하여 화장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설명>
먼저,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본체(100)로부터 오버-캡(700)을 분리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한손으로는 용기본체(10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회전노브(400)를 잡고서 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 회전노브(40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지지부(210)와 함께 스크루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 공회전하며, 피스톤(300)은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스크루로드(200)의 나사선을 따라 선형적으로 승강하여 실린더(11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00)에 담긴 화장액은 밸브플레이트(124)의 절결홈(125)을 확장시키면서 토출구(121)와 배출홀(510)을 통해 화장퍼프(500) 외부로 소량씩 빠져나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빠져나온 화장액을 화장퍼프(500)를 통해 피부에 직접 뭉침없이 고르게 바를 수 있다. 그리고 회전노브(400)를 임의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피스톤(300)은 실린더(110) 벽면에 밀착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00)를 거꾸로 들더라도 화장액은 새어나오거나 쏟아지지 않는다.
이러한 회전노브(400)를 30도 이상 회전시킬 때마다 제2삼각돌기(430)들은 "딸깍" 소리를 내면서 제1삼각돌기(160)들을 넘어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노브(40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딸깍" 소리를 들으면서 회전노브(400)의 회전조작을 적당하게 할 수 있으며, 화장액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품 사용을 마친 후 사용자가 오버-캡(700)을 씌우면, 클로징-로드(710)의 선단이 배출홀(510)을 통해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 선단에 밀착됨으로써, 화장액 유출을 견실하게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화장액을 채워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용기본체(100)에 스크루로드(200)와 피스톤(300) 및 회전노브(400)를 조립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0)의 충진홀(101)을 통해 화장액(내용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리고 화장액 충진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가이드(120)와 화장퍼프(500) 및 오버캡(700)이 조립된 퍼프-고정캡(600)을 용기본체(100) 상부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는 용기본체 상면에 천공된 충진홀을 통해 화장액을 용이하게 채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100..용기본체 110..실린더부 101..충진홀
120..토출가이드 121..토출구 122..스커트-벽면
123..밀착립 124..밸브플레이트 125..절결홈
130..수나사 140..노브-결합부 150..걸림테
160..제1삼각돌기 200..스크루로드 210..회전지지부
211..돌기 300..피스톤 310..고무패킹
400..회전노브 410..돌기부 420..걸림홈
430..제2삼각돌기 431..구배면 432..수직면
500..화장퍼프 510..배출홀 520..고정홈
600..퍼프-고정캡 610..암나사 620..고정턱
700..오버-캡 710..클로징-로드

Claims (6)

  1. 화장액을 소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면 중앙에는 충진홀(101)이 천공되고 내부에는 화장액이 담기며 하부가 개방된 실린더(110)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며 중심부에는 토출구(121)가 돌출되게 마련된 토출가이드(12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하부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에 회전지지부(210)를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루로드(200)와;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중앙부를 나선결합되면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지지부(210)와 함께 상기 스크루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110) 벽면과 밀착되면서 승강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에 담긴 화장액을 상기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시키며, 중앙부에는 상기 스크루로드(200)의 외벽과 밀착되어 누액을 방지하는 고무패킹(310)이 배치된 피스톤(300)과;
    벽면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면 최하부는 상기 회전지지부(210)의 외면과 치합되어 상기 스크루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회전노브(4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토출가이드(120)의 토출구(121)를 수용하여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510)이 천공되고 하단 가장자리에는 고정홈(520)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장퍼프(500)와;
    하단 내벽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고, 상단 내벽은 상기 화장퍼프(500)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520)에 결합되도록 고정턱(620)이 형성된 퍼프-고정캡(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1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 벽면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퍼프-고정캡(600)의 체결 시 아래측으로 눌리는 원형의 스커트-벽면(122)이 마련되며;
    상기 토출가이드(120)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충진홀(101)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도록 원형의 밀착립(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120)의 밀착립(123) 내측에는 중심부위에 절결홈(125)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밸브플레이트(12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테(150)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회전노브(400)의 상단 내벽에는 상기 걸림테(150)가 수용 결합되도록 띠 형태로 오목하게 걸림홈(42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노브(40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 벽면에는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정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삼각돌기(160)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노브(400)의 상단 내벽에는 일측면이 상기 회전노브(400)의 정방향 회전 시 상기 제1삼각돌기(160)의 경사면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도록 구배면(4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회전노브(4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상기 제1삼각돌기(160)에 걸리는 수직면(432)으로 형성된 제2삼각돌기(4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퍼프-고정캡(600)의 상단과 함께 상기 화장퍼프(500) 상부를 착탈식으로 덮도록 원통 벽면과 상면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홀(510)로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121)를 폐쇄하도록 클로징-로드(710)가 돌출되게 마련된 오버-캡(7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20008261A 2012-01-27 2012-01-27 화장품 용기 KR10115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61A KR101159307B1 (ko) 2012-01-27 2012-01-27 화장품 용기
PCT/KR2012/005226 WO2013111932A1 (ko) 2012-01-27 2012-07-0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61A KR101159307B1 (ko) 2012-01-27 2012-01-2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307B1 true KR101159307B1 (ko) 2012-06-22

Family

ID=4668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261A KR101159307B1 (ko) 2012-01-27 2012-01-2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9307B1 (ko)
WO (1) WO2013111932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2B1 (ko) 2012-09-19 2014-03-04 변영광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WO2014142480A1 (ko) * 2013-03-15 2014-09-18 (주)아모레퍼시픽 돔형태 또는 아치형 형태의 습식폴리우레탄스펀지를 장착한 액상 화장용기
KR200476611Y1 (ko) * 2013-04-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WO2015060582A1 (ko) * 2013-10-21 2015-04-30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571456B1 (ko) 2014-05-27 2015-11-24 (주)연우 액상 립스틱 용기
KR200479363Y1 (ko) * 2014-03-12 2016-01-20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80064809A (ko) * 2016-12-06 2018-06-15 고종민 기능성 의류
KR2018008191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910541B1 (ko) 2018-08-24 2018-10-22 고종민 태양광발전유닛이 구비된 피부 보호용 의류
KR101915509B1 (ko) 2018-08-24 2018-11-06 고종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의류
KR20190002197U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KR102057793B1 (ko) 2018-12-11 2019-12-1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2087550B1 (ko) 2019-08-05 2020-04-2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KR102215261B1 (ko) * 2019-10-08 2021-02-15 (주) 이루팩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CN112804911A (zh) * 2018-07-23 2021-05-14 郑在庸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KR20220005360A (ko) * 2020-07-06 2022-01-13 정혜영 물병
CN116211050A (zh) * 2023-03-06 2023-06-06 绍兴伊姿包装有限公司 一种化妆品包装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593B2 (en) * 2013-09-30 2016-04-05 L'oreal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CN107836803B (zh) * 2017-11-28 2023-08-15 郑春根 封口式化妆品容器
CN108773556A (zh) * 2018-08-10 2018-11-09 佛山市觉醒自律智能科技有限公司 液体容纳瓶
CN112075753A (zh) * 2019-06-12 2020-12-15 阿蓓亚塑料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化妆品容器
CN110584303A (zh) * 2019-10-16 2019-12-20 齐鲁工业大学 一种盛放粘稠状液体的瓶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79Y1 (ko) 2005-04-08 2005-08-08 강성일 여러 종류의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110005880U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20110079599A (ko) * 2011-06-20 2011-07-07 신기봉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92160T1 (de) * 2004-06-29 2008-05-15 Rnd Group Llc Tubus zur lippenkosmetik
US8602671B2 (en) * 2008-04-14 2013-12-10 Sam Kim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JP5267858B2 (ja) * 2008-09-06 2013-08-21 フィグラ株式会社 高粘度液体化粧料吐出容器
KR101123050B1 (ko) * 2009-12-08 2012-03-16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207314B1 (ko) * 2010-07-12 2012-12-03 신정욱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79Y1 (ko) 2005-04-08 2005-08-08 강성일 여러 종류의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110005880U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20110079599A (ko) * 2011-06-20 2011-07-07 신기봉 화장품용기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42B1 (ko) 2012-09-19 2014-03-04 변영광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WO2014142480A1 (ko) * 2013-03-15 2014-09-18 (주)아모레퍼시픽 돔형태 또는 아치형 형태의 습식폴리우레탄스펀지를 장착한 액상 화장용기
KR200476611Y1 (ko) * 2013-04-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WO2015060582A1 (ko) * 2013-10-21 2015-04-30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0479043Y1 (ko) * 2013-10-21 2015-12-14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JP2016538023A (ja) * 2013-10-21 2016-12-0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引張部材を備えた液状内容物容器
US9877564B2 (en) 2013-10-21 2018-01-30 Amorepacific Corporatio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200479363Y1 (ko) * 2014-03-12 2016-01-20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1571456B1 (ko) 2014-05-27 2015-11-24 (주)연우 액상 립스틱 용기
WO2015182880A1 (ko) * 2014-05-27 2015-12-03 (주)연우 액상 립스틱 용기
KR101893440B1 (ko) 2016-12-06 2018-08-30 고종민 기능성 의류
KR20180064809A (ko) * 2016-12-06 2018-06-15 고종민 기능성 의류
KR101899356B1 (ko) 2017-01-09 2018-09-17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N110177483A (zh) * 2017-01-09 2019-08-27 株式会社衍宇 具有吸收部件的液态内容物吐出容器
KR20180081919A (ko) * 2017-01-09 2018-07-18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JP2020514200A (ja) * 2017-01-09 2020-05-21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吸収部材を具備した液状内容物吐出容器
WO2018128491A3 (ko) * 2017-01-09 2018-08-30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489964Y1 (ko) * 2018-02-22 2019-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KR20190002197U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CN112804911A (zh) * 2018-07-23 2021-05-14 郑在庸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KR101915509B1 (ko) 2018-08-24 2018-11-06 고종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의류
KR101910541B1 (ko) 2018-08-24 2018-10-22 고종민 태양광발전유닛이 구비된 피부 보호용 의류
KR102057793B1 (ko) 2018-12-11 2019-12-1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2087550B1 (ko) 2019-08-05 2020-04-2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용기
KR102215261B1 (ko) * 2019-10-08 2021-02-15 (주) 이루팩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220005360A (ko) * 2020-07-06 2022-01-13 정혜영 물병
KR102394335B1 (ko) * 2020-07-06 2022-05-03 정혜영 물병
CN116211050A (zh) * 2023-03-06 2023-06-06 绍兴伊姿包装有限公司 一种化妆品包装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1932A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307B1 (ko) 화장품 용기
KR101116842B1 (ko) 화장품 용기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207314B1 (ko) 화장품용기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JP2008043415A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CN101779858A (zh) 散粉盒的结构改良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80012433A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KR10110929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JP5518451B2 (ja) 化粧料用容器の中蓋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JP2010094409A (ja) 化粧料用容器
KR20130043130A (ko) 튜브타입 화장품 용기
KR20160017005A (ko) 튜브타입 화장품용기
KR101373949B1 (ko) 화장품 이액용기
KR20120038066A (ko) 겔타입의 화장품용기
KR101062746B1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KR20230117895A (ko) 화장품 색조타정을 위한 용기 포장 프로세스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59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1130

Effective date: 202107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013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18

Effective date: 202107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017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120

Effective date: 2021082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5266;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923

Effective date: 202210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44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802

Effective date: 202210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43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802

Effective date: 202210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41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119

Effective date: 2022122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