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050B1 -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050B1
KR101123050B1 KR1020090121446A KR20090121446A KR101123050B1 KR 101123050 B1 KR101123050 B1 KR 101123050B1 KR 1020090121446 A KR1020090121446 A KR 1020090121446A KR 20090121446 A KR20090121446 A KR 20090121446A KR 101123050 B1 KR101123050 B1 KR 10112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oupling
contents
coupled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730A (ko
Inventor
송호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102009012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050B1/ko
Priority to PCT/KR2010/008722 priority patent/WO2011071301A2/ko
Publication of KR2011006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내측은 몸체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외측은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부와,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부가 회전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중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물 이송관과, 중공부에 배치되고, 내용물 이송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회전부를 형성하고,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측에 분산부재를 설치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품 용기, 회전부, 가압부, 분산부재

Description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LE HAVING ROTATION KNOB}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종래의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는 액상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의 몸체를 사용자가 가압하는 용기가압식과, 화장품 용기의 일측에 가압식 펌프를 설치된 펌프를 가압하는 펌프가압식 등이 있었다.
용기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용기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배출되는 화장품 양이 조절할 수 있으나, 동일한 압력하에서도 용기 내 수용된 화장품의 양에 따라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에 차이가 발생되어, 필요한 화장품의 양보다 많거나 적은 화장품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기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펌프의 설계시 정해놓은 일정한 양만큼만 배출되므로, 필요한 화장품의 양이 적은 경우, 낭비되는 화장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을 고르게 분산시키고자 한다.
셋째,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이 묻는 퍼프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프에 화장품이 고르게 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내측은 몸체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외측은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부와,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부가 회전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중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물 이송관과, 중공부에 배치되고, 내용물 이송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에는 캡(cap)이 결합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회전부가 회전되면 내용물 이송관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내용물 이송관에 결합되는 가압부는 중공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시켜 유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용물 이송관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가압부가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부와, 슬라이딩이동부의 상부 외주면에서 확장형성되어 회전부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부의 일측은 중공부에 삽입되는 접시부로 이루어지며, 타측은 접시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형성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시부의 중앙측에는 내용물 이송관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용물 이송관은 회전부의 일측은 중공부에 삽입되는 접시부로 이루어지며, 타측은 접시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형성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지며, 회전결합부의 측면에는 철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에는 철부가 삽입되는 요부가 형성되어, 회전결합부가 함몰부에 삽입시 철부와 요부가 삽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몰부는 제1단턱과 제2단턱으로 이루어지고, 제1단턱에는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내용물을 접시부 상면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재가 배치되고, 제2단턱 에는 철부가 형성되어, 회전결합부가 삽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산부재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단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산부재는 제1단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단턱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관통공의 내부에, 고정편과 이격 배치되는 분산편과, 일측이 고정편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산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편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고정편과 분산편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편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결합부의 상면에는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함몰부에 남아 있지 않도록, 고정편과 밀착되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부는 중공부의 평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측에 내용물 이송관과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형성되어 몸체부의 내측면에 맞닿는 밀착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부재는 상단과 하단이 몸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중앙측이 몸체부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캡은 상부에 상부삽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 삽입공과 연통되 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회전부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와,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노브는 가압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와 이격되어,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맞닿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재는 탄성부재와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부에는 본체부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 사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제1가이드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안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가이드홈은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과, 제1서브가이드홈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어댑터와 제1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회전부를 형성하고,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측에 분산부재를 설치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프가 설치된 캡에 가압노브를 설치하고, 가압노브에 퍼프를 결합시킴으로서, 가압노브의 위치에 따라 퍼프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퍼프에 화장품이 고르게 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이하 '화장품 용기'라 함)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부(200)와, 회전부(200)에 결합되고, 중공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물 이송관(300)과, 내용물 이송관(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4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몸체부(100)는 도 2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일부절개 사시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중공부(110)(도 4 참조)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공부(110)와 연통된 개구부(120)(도 2 참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 용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부(110)가 형성되며, 중공부(110)의 상측은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중공부(110)는 화장품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중공부(110)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 각 또는 육각 기둥형상 등 다양한 기둥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부(110)는 화장품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개구부(120)는 후술할 회전부(200), 내용물 이송관(300), 가압부(400) 및 내용물이 삽입배치되는 공간으로, 개구부(120)는 후술할 회전부(200)와의 관계에서, 회전부(200)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개구부(120)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에 개구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의 개구부는 하부캡(130)을 이용하여 폐쇄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캡(13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에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가압부(400)에 의해 가압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삽입되고,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200)는 사용자가 내용물 이송관(3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일부절개 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10)에 삽입되는 접시부(210)와, 접시부(210)의 가장자리에 절곡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시부(210)는 중공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프(650)에 묻힐 수 있도록 분산된 내용물이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개구부(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시부(210)의 가장자리에는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220)가 형성된다.
회전노브(220)는 접시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대략 '
Figure 112009075837159-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삽입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시부(210)는 중앙측에 내용물 이송관(300)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211a)이 형성된 함몰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211)는 내용물 이송관(300)이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접시부(210)의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중앙에 삽입공(2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 이송관(300)은 접시부(210)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공(211a)을 관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11)에 삽입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이송관(3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부에 유출구(3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3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용물 이송관(300)의 상부는 회전부(200)에 결합되고, 하부는 중공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이송관(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유출구(311)가 형성되며, 하부에 유입구(312)가 형성되며, 유출구(311)과 유입구(312) 사이에는 이송로(314)가 연통형성된다.
내용물 이송관(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이동부(310)와,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부에서 확장형성되어 함몰부(211)에 삽입결합되는 회전결합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단과 후단에는 유출구(311)와 유입구(3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송로(314)가 형성되어 중공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외주면에는 가압부(400)가 회전결합하여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313)이 형성된다.
회전결합부(320)는 함몰부(211)에 삽입되어 회전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측면 상부 중 상면과 맞닿는 모서리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결합부(320)가 상단면과 이격하여 형성되는 경우, 즉 상단면으로 이격 되어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외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 접시부(210)와 회전결합부(320)가 결합되는 경우,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단부가 접시부(210)의 상부로 돌출되며 접시부(210)와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단에 형성된 유출구(311)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은 접시부(210)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결합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측면 상부 중 상면과 맞닿는 모서리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결합부(320)의 측면에는 철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부(211)의 회전결합부(320)의 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일부절개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211b)가 형성되어 회전결합부(320)가 함몰부(211)에 삽입시 철부(321)와 요부(211b)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함몰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턱(211c)과 제2단턱(211d)으로 이루어져, 회전결합부(320)가 제2단턱(211d) 사이에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턱(211c)은 후술할 분산부재(500)가 결합될 부분으로 접시부(21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턱은(211d)는 앞에서 살펴본 회전결합부(320)가 삽입될 부부으로, 제1단턱(211c)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단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고, 제2단턱(211d)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딩이동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턱(211d)과 회전결합부(320)는 억지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결합부(320)의 측면에는 철부(321)가 형성되고, 제2단턱(211d)과 회전결합부(320)가 맞닿는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211b)가 형성되어, 회전결합부(320)와 접시부(2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400)는 중공부(110)의 평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410)와, 가압부재(410)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형성되어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맞닿는 밀착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10)에 배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중공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하는 것으로, 중공부(11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공부(110)의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부(4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공부(110)의 형상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부(400)는 중공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원형 평단면을 갖는 중공부(110)가 형성되었으므로, 본 실시예의 가압부(400)는 원형단 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가압부재(410)의 중앙측에는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3)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공(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부재(420)는 상단과 하단이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중앙측이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부재(420)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몸체부(100)에 가이드홈이 삽입되는상하방향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밀착부재(42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유도할 수도 있으나, 몸체부(100)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경우, 중공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가이드레일을 통해 가압부(400)의 상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재(4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이 몸체부(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 몸체부(100) 내측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중앙측이 몸체부(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펴본 제1단턱(211c)에 배치되는 분산부재(500)는 중앙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단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부재(500)는 제1단턱(211c)에 배치되는 고정편(510)과, 분산편(520) 및 연결편(5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510)은 중앙측에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단턱(211c)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산편(520)은 관통공(도면 미도시)의 내부에, 고정편(510)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편(510)과 분산편(5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연결편(530)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어, 복수 개의 연결편(530) 사이에 슬릿(5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510)은 분산부재(500)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턱(211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단턱(211c)에 억지끼워진다.
고정편(510)에 형성되는 관통공(도면 미도시)은 제2단턱(211d)에 삽입결합되는 회전결합부(3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딩이동부(310)에 상단에 형성된 유출구(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분산편(520)은 고정편(5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 미도시)에 배치되어 유출구(311)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정편(510)과 분산편(520)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편(530)은 고정편(510)과 분산편(520)을 연결시켜 주는 기능과 분산편(520)에 탄성력을 주는 기능을 한다.
유출구(311)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경우, 내용물은 분산편(520)과 맞닿게 되며, 분산편(520)과 맞닿은 내용물은 분산편(520)에 상부 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분산편(520)에 압력이 가해지면, 분산편(520)에 연결된 연결편(530)은 분산편(52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다. 변형된 연결편(530)은 복원력을 발생시켜 분산편(520)을 하부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킨다.
분산편(52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유출구(311)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은 분산편(520)에 의해 가압되어 분산편(520)과 고정편(510) 사이의 슬릿(540)으로 배출되어 접시부(210)에 고르게 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편(530)은 관통공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편(530)이 형성되는 경우, 고정편(510)과 분산편(520) 사이에는 관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미세한 슬릿(540)이 형성된다.
슬릿(540)은 고정편(510)과 분산편(520) 사이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유출구(311)에서 배출된 내용물은 슬릿(540)을 통해 접시부(210)의 상면에 보다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이동부(310)의 상면에는 유출구(311) 주변에 실링부재(32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322)는 슬라이딩이동부(310)에 설치되고 고정편(510)의 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출구(311)을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제1단턱(211c)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딩이동부(310)와 고정편(510) 사이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분산부재(500)는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소정 정도 상향이동될 때,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며, 압력에 따라 다시 하향이동되면 유출구(311)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내용물에 의해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의 분산편(520)은 유출구(311)와 맞닿아 유출구(311)를 폐쇄시키며, 유출구(311)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면, 상부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며 유출구(311)를 개방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200)에 체결된 내용물 이송관(300)은 회전부(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내용물 이송관(300)이 회전하게 되면, 내용물 이송관(300)의 슬라이딩이동부(310)에 결합된 가압부(400)는 슬라이딩이동부(310)의 나사산(313)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40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중공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은 가압부(400)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된다.
가압부(400)에 의해 압력을 받은 내용물은 내용물 이송관(300)의 슬라이딩이동부(310)에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312)를 통해 이송로(314)로 이송되고, 이송로(314)로 이송된 내용물은 유출구(311)로 배출된다.
배출된 내용물은 분산부재(500)에 의해 접시부(210)에 고르게 분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2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ㄱ같이, (cap, 6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600)은 단순하게 접시부(210)를 개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캡(6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캡(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와, 가압노브(620)와, 퍼프결합부(6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610)는 상부에 상부삽입공(611)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삽입공(613)(도 6 참조)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회전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캡(600)의 중심지지체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본체부(610)는 중공형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내부에는 원형의 상부삽입공(611)과 하부삽입공(613)이 형성되며, 상부삽입공(611)과 하부삽입공(612a)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620)는 캡의 일부절개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의 상부삽입공(6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퍼브고정부(630)과 결합되어 퍼프(650)를 상하이동시키고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퍼브고정부(6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의 하부삽입공(613)에 삽입되고, 가압노브(6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퍼프(650)가 하부에 안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가압노브(6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620)는 가압플레이트(621)와, 가압플레이트(6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결합부(63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622)와, 가압플레이트(6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압플레이트(6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622)와 이격형성되어, 본체부(610)의 상부삽입공(611)과 맞닿는 제2결합부(62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플레이트(621)는 사용자가 가압노브(620)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서는 대략 원판 형상의 가압플레이트(621)가 채용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622)는 퍼프결합부(630)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1결합부(622)의 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6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퍼프결합부(630)에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622)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622a)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622)의 하단부에는 절개홈(622c)이 형성된다.
삽입돌기(622a)는 본체부(610)에 가압노브(620)가 삽입되는 경우,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612)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방향이 좁고, 상부 방향이 넓은 쐐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622)에 형성된 절개홈(622c)은 삽입돌기(622a)가 후술할 테두리부재(612)와 맞닿은 경우, 제1결합부(622)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제1결합부(622)가 본체부(610)의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결합부(623)은 본체부(610)에 삽입시 상부삽입공(611)에 맞닿는 것으로, 가압플레이트(6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6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622)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플레이트(621)을 가압시키는 경우, 가압노브(620)의 제1결합부(622)는 상부삽입공(611)에 맞닿아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622)와 제2결합부(623) 사이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4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4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가압노브(620)를 복원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622)와 제2결합부(623) 사이에 탄성부재(640)가 삽입되는 경우, 본체부(6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612a)을 형성되는 테두리부재(6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두리부재(612)는 본체부(6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622)와 제2결합부(623)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6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프결합부(6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650)가 안착되는 퍼프지지부재(631)와, 퍼프지지부재(631)의 상면에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6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퍼프연결부재(632)의 측면에는 결합돌기(632a)가 돌출형성되며, 퍼프연결부재(632)의 상단면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632)는 제1결합부(622)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퍼프지지부재(6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632)의 측면에는 본체부(6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32a)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622)의 중앙측에는 결합돌기(632a)가 삽입되는 결합공(622b)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632)의 상단면에는 제1결합부(622)의 결합돌기(632a)가 결합공(622b)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재(632)가 보다 원활하게 변형되어 결합돌기(632a)와 결합공(622b)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결합부(62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 방향으로 걸림돌기(623a)가 형성되고, 본체부(610)의 상부삽입공(611)과 하부삽입공(612a) 사이에는 걸림돌기(623a)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6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62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623a)와 본체부(6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14)은 가압노브(620)의 이동시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이때 가이드홈(614)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614a)과, 제1가이드홈(614a)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61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0)의 높이 방향을 말하며, 가로 방향은 본체부(610)의 폭 방향을 의미한다.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614a)은 가압노브(62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2가이드홈(614b)은 가압노브(620)의 회전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제2가이드홈(614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614a)의 상단부와 연통된 제2가이드홈(614b)과 제1가이드홈(614a)의 하단부와 연통된 제3가이드홈(614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이드홈(614b)과 제3가이드홈(614c)은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해 가이드홈의 형성위치에 따른 구분에 불과하다.
걸림돌기(623a)가 제1가이드홈(614a)에 있는 경우, 가압노브(6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걸림돌기(623a)가 제2가이드홈(614b) 및 제3가이드홈(614c)에 있는 경우, 가압노브(620)가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가압 되더라도 걸림돌기(623a)는 제2가이드홈(614b) 및 제3가이드홈(614c)의 내측면과 맞닿아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퍼프(650)에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묻히기 위해, 가압노브(62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면, 가압노브(620)를 회전시켜 제2결합부(623)의 걸림돌기(623a)를 제1가이드홈(614a) 내로 이동시켜야 한다.
또한, 퍼프(650)에 내용물을 묻힌 다음, 퍼프(650)을 사용하려면, 가압노브(620)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퍼프(650)을 돌출시키고, 걸림돌기(623a)을 제3가이드홈(614c)에 위치시켜, 퍼프(65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노브(620)을 회전시켜 사용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압노브(62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돌기(623a)를 제2가이드홈(614b)에 위치시켜, 가압노브(62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캡의 분해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퍼프결합부(630)의 연결부재(632) 측면에는 삽입돌기(632b)가 형성되고, 제1결합부(622)의 하부에는 삽입돌기(632b)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622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돌기(63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622)의 내측에 형성된 서브가이드홈(622d)에 삽입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630)와 가압노브(620)의 결합과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가이드홈(622d)은 제1결합부(622)의 내측면에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서브가이드홈(622d)의 형성위치는 삽입돌기(63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삽입돌기(632b)의 형성위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러한 서브가이드홈(622d)은 삽입돌기(63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622)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622d1)과, 제1서브가이드홈(622d1)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622d2)로 이루어진다.
삽입돌기(632b)가 제1서브가이드홈(622d1)에 위치되는 경우, 가압노브(620)와 퍼프결합부(630)는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삽입돌기(632b)가 제2서브가이드홈(622d2)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노브(620)와 퍼프결합부(630)는 안 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결합부(630)는 퍼프(650)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631)와, 퍼프지지부재(631)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634)로 이루어지고, 어댑터(634)와 제1결합부(62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퍼프지지부재(631)의 상면에는 어댑터(634)와 결합되는 연결부재(63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돌출부(633)가 형성되며, 돌출부(633)의 내면에는 퍼프(650)와 결합되는 퍼프걸림턱(633a)가 형성된다.
또한, 어댑터(634)는 어댑터지지부재(634a), 어댑터결합부재(634b) 및 지지부재결합돌기(634e)로 이루어진다.
어댑터지지부재(643a)는 어댑터(634)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상면에는 제1결합부(622)와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부재(634b)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연결부재(632)와 결합되는 지지부재결합돌기(634e)가 형성된다.
어댑터결합부재(634b)에는 전술한 가압노브(620)의 결합공(622b)에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돌기(634c)가 형성되며, 어댑터결합부재(634b)에는 어댑터결합돌기(634c)가 결합공(622b)에 삽입되는 경우, 어댑터결합부재(234b)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결합공(622b)과 어댑터결합돌기(634c)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홈(634d)이 형성된다.
연결부재(632)와 지지부재결합돌기(634e)는 암수결합,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어댑터(634)와 가압노브(620)가 결합되면, 어댑터지지부재(634a)의 가장자리는 본체부(610)의 테두리부재(612)의 저면과 맞닿아 가압노브(620)가 본체부(6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퍼프결합부(630)는 퍼프(630)가 결합된 퍼프지지부재(631)와 지지부재결합돌기(634e)가 나사결합되므로, 퍼프지지부재(631)를 지지부재결합돌기(634e)에서 보다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중공부
120 : 개구부 130 : 하부캡
200 : 회전부 210 : 접시부
211 : 함몰부 211a : 삽입공
211b : 요부 211c : 제1단턱
211d : 제2단턱 220 : 회전노브
300 : 내용물 이송관 310 : 가압결합부
311 : 유출구 312 : 유입구
313 : 나사산 314 : 이송로
320 : 회전결합부 321 : 철부
322 : 실링부재 400 : 가압부
410 : 가압부재 411 : 체결공
420 : 밀착부재 500 : 분산부재
510 : 고정편 520 : 분산편
530 : 연결편 540 : 슬릿
600 : 캡 610 : 본체부
611 : 상부삽입공 612 : 테두리부재
613 : 하부삽입공 614 : 가이드홈
614a : 제1가이드홈 614b : 제2가이드홈
614c : 제3가이드홈 620 : 가압노브
621 : 가압플레이트 622 : 제1결합부
622a : 삽입돌기 622b : 결합공
622c : 절개홈 622d : 서브가이드홈
622d1 : 제1서브가이드홈 622d2 : 제2서브가이드홈
623 : 제2결합부 623a : 걸림돌기
630 : 퍼프결합부 631 : 퍼프지지부재
632 : 연결부재 632a : 결합돌기
632b : 삽입돌기

Claims (21)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부;
    내측은 몸체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고, 외측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부;
    상부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물 이송관; 및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용물 이송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면 상기 내용물 이송관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내용물 이송관에 결합되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중공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시켜 상기 유입구로 이송시키고,
    상기 회전부에는 캡(cap)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송관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부가 하부방향으로 슬라이 딩 이동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부와,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상부 외주면에서 확장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일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접시부로 이루어지며, 타측은 상기 접시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부의 중앙측에는 상기 내용물 이송관이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송관은
    상기 회전부의 일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접시부로 이루어지며, 타측은 상기 접시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결합부의 측면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철부가 삽입되는 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결합부가 상기 함몰부에 삽입시 상기 철부와 요부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제1단턱과 제2단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턱에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내용물을 접시부 상면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단턱에는 상기 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결합부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재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재는
    상기 제1단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단턱에 배치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고정편과 이격 배치되는 분산편; 및
    일측이 고정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산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편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고정편과 분산편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함몰부에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과 밀착되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중공부의 평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측에 상기 내용물 이송관과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맞닿는 밀착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중앙측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부에 상부삽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상부 삽입공과 연통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노브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퍼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맞닿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하부삽입공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안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상기 퍼프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가이드홈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과, 상기 제1서브가이드홈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상기 퍼프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제1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090121446A 2009-12-08 2009-12-08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12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46A KR101123050B1 (ko) 2009-12-08 2009-12-08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PCT/KR2010/008722 WO2011071301A2 (ko) 2009-12-08 2010-12-07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46A KR101123050B1 (ko) 2009-12-08 2009-12-08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730A KR20110064730A (ko) 2011-06-15
KR101123050B1 true KR101123050B1 (ko) 2012-03-16

Family

ID=4414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446A KR101123050B1 (ko) 2009-12-08 2009-12-08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3050B1 (ko)
WO (1) WO20110713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90B1 (ko) * 2011-11-14 2013-08-3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KR200479430Y1 (ko) * 2013-07-15 2016-01-27 강성일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666012B1 (ko) * 2015-04-28 2016-10-14 (주)연우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894490B1 (ko) * 2016-12-08 2018-09-03 주식회사 뷰티랩 화장품 용기
KR101896042B1 (ko) * 2017-03-10 2018-09-06 (주)셀트리온 가압 토출식 콤팩트 용기
CN108773556A (zh) * 2018-08-10 2018-11-09 佛山市觉醒自律智能科技有限公司 液体容纳瓶
KR102153901B1 (ko) * 2018-12-14 2020-09-1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USD920805S1 (en) 2019-05-30 2021-06-01 Berlin Packaging, Llc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US10752412B1 (en) 2019-11-06 2020-08-25 Berlin Packaging, Llc Child resistant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26Y1 (ko) 2001-03-10 2001-10-06 강성일 회전식 배출 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88441Y1 (ko) * 2002-03-14 2002-09-10 강성일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50072658A (ko) * 2004-01-07 2005-07-12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체용기
KR20070040057A (ko) * 2005-10-11 2007-04-16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26Y1 (ko) 2001-03-10 2001-10-06 강성일 회전식 배출 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88441Y1 (ko) * 2002-03-14 2002-09-10 강성일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50072658A (ko) * 2004-01-07 2005-07-12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체용기
KR20070040057A (ko) * 2005-10-11 2007-04-16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90B1 (ko) * 2011-11-14 2013-08-3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301A2 (ko) 2011-06-16
KR20110064730A (ko) 2011-06-15
WO2011071301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050B1 (ko)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4324348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replaceable container
KR101715180B1 (ko) 화장품 용기
KR101923306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150776B1 (ko)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833531B1 (ko) 화장품 용기
US20210107021A1 (en) Pressurizable fluid container apparatus
EP2220977A2 (en) Bottle stopper
CN106175031B (zh) 包括具有短行程的泵的粉盒容器
JP2002369712A (ja) 2つの物質をその場で供給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ユニット
MX2011004846A (es) Surtidor portatil de aerosol.
BR0108262B1 (pt) Mecanismo atuador para um recipiente aerossol de mão
EP2451724B1 (en) Spray through cap for a pressurised fluid container
WO2007011838A3 (en) Spout cover
FR2836902A1 (fr) Tete de distribution a canule mobile destinee a equiper un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KR200475589Y1 (ko) 화장품 용기
US9968227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CN102159123A (zh) 分配器系统
CN116420968A (zh) 化妆品容器
KR20150022355A (ko)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US20050098580A1 (en) Dispenser container
KR101123049B1 (ko)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EP2095883A1 (fr) Ensemble de distribution d&#39;un produit
FR2807954A1 (fr) Vaporisateur a actionnement lateral
KR200393363Y1 (ko) 내용물 배출펌프의 작동 규제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