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658A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658A
KR20050072658A KR1020040040966A KR20040040966A KR20050072658A KR 20050072658 A KR20050072658 A KR 20050072658A KR 1020040040966 A KR1020040040966 A KR 1020040040966A KR 20040040966 A KR20040040966 A KR 20040040966A KR 20050072658 A KR20050072658 A KR 2005007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body
support cylinder
piston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052B1 (ko
Inventor
카게야마히데헤이
Original Assignee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T)를 갖고서 앞끝쪽에 공급구를 가진 본체(12)와, 상기 탱크부(T) 내를 전진하는 피스톤(22), 이 피스톤(22)과 일체로 되어 피스톤(22)의 뒤쪽으로 뻗은 피스톤로드(24), 본체(12)의 뒷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조작원통체(30), 본체(12)의 뒷부분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 회전저지원통체(26)를 갖추고서, 상기 조작원통체(30)와 상기 회전저지원통체(26) 사이에 조작원통체(30)와 본체(12) 사이의 상대회전을 피스톤로드(24)의 본체(12)에 대한 축방향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가 구성됨과 더불어, 조작원통체(30)와 본체(12)의 회전방향을 한쪽 방향으로 규제하는 회전방향 규제기구가 구성되는 한편, 조작원통체(30)와 회전저지원통체(26)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용기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예컨대 화장용 잉크, 필기용 잉크, 수정액(修正液)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서 그 선단부쪽으로부터 액체를 공급하도록 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예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14844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는 내부에 도포액저장부가 형성된 축체(軸體)와, 저장부 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피스톤에 돌출해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 내통부재와 외통부재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회전원통체로 이루어지고서, 이 회전원통체의 외통부재에는 환상돌조와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탄발할 수 있도록 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환상돌조를 축체 후단의 환상홈에 압입해서 끼워져 회전원통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됨과 더불어, 외통부재의 걸림편이 축체 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래칫기어날에 탄발적으로 접해져 물려져 래칫기구를 구성하고, 회전원통의 내부부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이 나사결합됨에 있어, 이 나사봉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양쪽 측면에 형성된 2개의 평면부가 축체의 저장부 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됨으로써, 회전원통의 회전으로 나사봉이 회전되지 않고 전진하게 되어 피스톤을 축선방향으로 압압해서 도포액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원통체를 축체에 대해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축체의 저장부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회전원통의 내부부재와 나사봉 사이에 상대회전이 생겨 회전원통의 나사구멍과 나사봉의 나사결합으로 나사봉이 전진하게 됨으로써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압압하게 되어 도포액을 축체의 앞끝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공개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는 축체의 저장부 후단에 격벽이 형성되고서, 이 격벽에 나사봉의 2개 평변부와 끼워지는 슬라이드구멍이 형성되어야 하고, 축체의 내부 원주방향으로 래칫기어날이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상 축체를 제조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 조립을 할 때에도 축체의 앞쪽으로부터 피스톤 및 나사봉을 삽입하여 나사봉을 상기 격벽의 슬라이드구멍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축체의 뒷쪽으로부터 회전원통체를 삽입하여 이 나사봉에다 회전원통의 내통부재를 나사결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의 구성으로는 실용화가 가능한 양산품을 제조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442호 공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형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양산에도 적합해서 실용화가 가능한 액체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를 갖고서 앞끝쪽에 공급구를 가진 본체와, 상기 탱크부 내를 전진하는 피스톤, 이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피스톤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 본체의 뒷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조작원통체, 상기 피스톤로드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조작원통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스톤로드안내부재 및, 본체의 뒤쪽 내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삽통하게 되는 삽통구멍이 형성된 래칫원통체로 이루어지고서, 조작원통의 앞끝에 톱날이 형성되는 한편, 래칫원통체의 뒤끝에는 상기 톱날에 물려짐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된 래칫기어날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래칫기어날 및 삽통구멍이 래칫원통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제조하기가 간단해져 실용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442호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의 구성을 보다 개량해서 조립성이 보다 더 우수한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를 갖고서 앞끝쪽에 공급구를 가진 본체와, 상기 탱크부 내를 전진하는 피스톤, 이 피스톤과 일체로 되어 피스톤 뒤쪽으로 뻗은 피스톤로드, 본체의 뒷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조작원통체, 본체의 뒷부분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회전저지원통체를 갖고서, 상기 조작원통체와 상기 회전저지원통체 사이에는 조작원통체와 본체 사이의 상대회전을 피스톤로드의 본체에 대한 축방향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가 구성됨과 더불어, 조작원통체와 본체의 회전방향을 한쪽방향으로 규제하는 회전방향 규제기구가 구성되는 한편,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기구는 조작원통체에 형성된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삽통하는 삽통구멍과, 회전저지원통체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방향 규제기구는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 사이에 형성된 래칫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칫기구는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어는 한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래칫기어날과,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다른쪽에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뻗은 탄성편의 앞끝에 형성된 톱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환상오목부에,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다른쪽에 형성된 환성볼록부가 끼워짐으로써,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할 때 이들을 유니트화해서 취급하기가 쉬워져, 이 유니트를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가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주요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액체용기로서, 이 액체용기(10)는 예컨대 수정액이나 필기용 잉크, 화장용 잉크와 같은 액체(L)가 수용된 탱크부(T)를 갖고서 앞끝에 액체공급구(12b)를 가진 본체(12)와, 이 본체(12)의 앞끝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선구(先具;14), 이 선구(14)에 고정되는 파이프부(16a)를 가진 홀더(16), 파이프브(16a)의 앞끝이 그 기부(基部) 내에 삽입되고서 선구(14) 내에 그 기부가 고정된 브러시(선단도포체;20), 탱크부(T) 내를 미끄럼이동하도록 배치된 피스톤(22), 이 피스톤(22)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피스톤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수나사(24a)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4), 본체(12)의 뒤쪽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조작원통체(30), 본체(12)의 뒤쪽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 회전저지원통체(26), 상기 조작원통체(30)의 후단을 막아주는 뒷마개(28)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선구(14)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브러시(20)를 보호하는 캡(36)이 착탈될 수 있게 씌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원통체(30)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환상돌기(30a)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환상돌기(30a)는 본체(12)의 뒷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오목부(12d)에 끼워져 들어가, 조작원통체(30)가 본체(1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또, 조작원통체(30)의 앞끝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래칫기어날(30b)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경쪽에는 삽통구멍(30c)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조작원통체(30)의 래칫기어날(30b)은 원주방향을 따라 바라본 단면이 톱날모양을 이루면서 그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점차 변화하도록 된 래칫기어날이다.
또, 상기 조작원통체(30)의 삽통구멍(30c)은 그 구멍모양이 원형으로 되지 않고 원형모양에서 일부가 절결된 비원형모양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으로 되어, 피스톤로드(24)의 단면형상과 합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피스톤로드(24)가 상기 삽통구멍(30c)을 관통함으로써 피스톤로드(24)가 조작원통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원통체(30)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환상돌기(30a) 보다 앞쪽부분에 환상오목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저지원통체(26)에는 그 뒷부분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리브(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26a) 중 어느 것이 본체(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12c)에 끼워져 회전저지원통체(26)가 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저지원통체(26)에는 그 앞부분 안쪽에 1쌍의 탄성편(26b, 2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1쌍의 탄성편(26b, 26b)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뻗고서 그 앞끝이 상기 래칫기어날(30b)과 맞물려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톱날(26c)의 모양을 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상기 회전저지원통체(26)의 보다 안쪽에는 내통부(26d)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내통부(26d)의 내주면은 피스톤로드(24)의 수나사(24a)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26e)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저지원통체(26)의 뒷부분 내주면에는 환상의 볼록부(26f)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환상볼록부(26f)는 상기 조작원통체(30)의 앞부분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오목부(30d)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저지원통체(26)와 조작원통체(30)가 래칫기어날(30b)과 톱날(26c)에 의해 그 회전방향이 규제된 상태로 서로 상대회전할 수 있게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 예에서는 회전저지원통체(26)의 후단부에 조작원통체(3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회전저지원통체(26)의 후단부가 조작원통체(30)의 선단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전저지원통체(26)에 환상오목부를 형성하고, 조작원통체(30)에다 이 환상오목부에 끼워지는 환상볼록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조작원통체(30)에 형성된 피스톤로드(24)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삽통시키는 삽통구멍(30c)과, 회전저지원통체(26)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24)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구멍(26e)으로, 조작원통체(30)와 본체(12) 사이의 상대회전을 피스톤로드(24)의 본체에 대한 축방향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단, 이 변환기구는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피스톤로드(24)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삽통하게 되는 삽통구멍을 회전저지원통체(26)에다 형성시키고, 피스톤로드(2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을 조작원통체(30) 또는 이 조작원통체(30)와 회전할 수 없게 결합된 별개의 부품에다 형성시켜도 된다.
또, 조작원통체(30)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래칫기어날(30b)과, 회전저지원통체(26)에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뻗은 탄성편(26b)의 앞끝에 형성된 톱날(26c)로 구성된 래칫기구에 의해 회전방향 규제기구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래칫기어날(30b)과 톱날(26c)과의 관계는 반대로 되어도 좋은 바, 즉 조작원통체(30)에 톱날이 형성되고 회전저지원통체(26)에 래칫기어날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1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본체(12)에 대해 기타의 부품을 유니트화해서 조립하게 된다.
즉, 먼저 피스톤(22)에 피스톤로드(24)의 앞끝을 압입(壓入)해서 연결한 후, 피스톤로드(24)의 수나사(24a)를 회전저지원통체(26)의 내통부(26d)의 암나사구멍(26e)에 이 암나사구멍(26e)의 앞끝쪽으로부터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피스톤(22)의 후단면이 회전저지원통체(26)의 선단면에 거의 접촉할 때까지 피스톤로드(24)의 수나사(24a)를 회전저지원통체(26)에 대해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 뒷마개(28)가 부착된 조작원통체(30)의 삽통구멍(30c)에 피스톤로드(24)의 수나사(24a)를 통과시키고, 조작원통체(30)의 앞끝의 환상오목부(30d)에 회전저지원통체(26)의 환상볼록부(26f)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조작원통체(30)의 래칫기어날(30b)에 회전저지원통체(26)의 탄성편(26b, 26b)의 톱날(26c)이 탄성적으로 접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작원통체(30)와 회전저지원통체(26)가 한쪽방향으로만 상대회전할 수 있게 된 상태로 후단유니트로 되어 연결시켜지게 된다(도 7 참조). 또, 피스톤(22)은 회전저지원통체(26)에 최대로 접근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조작원통체(30)와 회전저지원통체(26)가 반드시 견고하게 연결될 필요는 없고, 조립되었을 때의 후단유니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이 후단유니트를 본체(12)의 뒤끝으로부터 삽입해서 조작원통체(30)의 환상돌기(30a)가 본체(12)의 환상오목부(12d)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회전저지원통체(26)의 리브(26a)를 본체(12)의 리브(12c)에 끼워지도록 하고, 본체(12)의 내부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2a)에 회전저지원통체(26)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6g)가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선구(14)와 볼트(16) 및 브러시(20)를 조립하여 선단유니트로 만들어 놓고서, 본체(12)의 탱크부(T)에 액체를 충전시키고, 선단유니트를 본체(12)의 앞끝으로부터 삽입하고 나서 선구(14)를 본체(12)에다 나사결합하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10)를 사용하려면, 캡(36)을 벗기고 브러시(20)를 가지고 도포를 하게 되는 바, 브러시(20)가 액체를 다시 공급하려면 조작원통체(30)를 본체(12)에 대해 회전시키면 된다.
조작원통체(30)가 본체(12)에 대해 회전시켜지면, 조작원통체(30)와 함께 피스톤로드(24)가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본체(12)에 회전이 고정된 회전저지원통체(26)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저지원통체(26)와 피스톤로드(24) 사이에 상대회전이 생겨, 회전저지원통체(26)의 암나사구멍(26e)과 피스톤로드(24)의 수나사(24a) 사이의 나사결합에 따라 피스톤로드(24)가 전진하게 된다. 피스톤(22)이 탱크부(T)를 전진시키기 때문에, 탱크부(T) 내의 액체(L)가 본체(12)의 앞끝쪽에 설치된 공급구(12b)로 밀려져 파이프부(16a) 내를 통해 브러시(20)의 앞끝으로부터 공급됨으로써 사용에 제공될 수가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조작원통체(30)가 회전을 하면 조작원통체(30)의 래칫기어날(30b)이 회전저지원통체(26)의 탄성편(26b)의 톱날(26c)의 경사면을 미끄러지면서 탄성편(26c)을 축방향으로 출몰시켜 회전하도록 한다. 이 탄성편(26c)이 출몰함에 따라 째깍째깍하는 소리가 일어나 사용자가 절도감(節度感)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잘못해서 역방향으로 조작원통체(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작원통체(30)의 래칫기어날(30b)과 회전저지원통체(26)의 톱날(26c)이 물려져 상대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조작원통체(30)를 회전시킬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항상 피스톤(22)이 탱크부(T) 내를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조작원통체(30)가 회전하게 된다. 도 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진 상태는 액체(L)가 소모되어 피스톤(22)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할 때 피스톤로드(24)를 포함한 조작원통체(30)와 회전저지원통체(26)를 유니트화시켜 그 후단유니트를 본체(12)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대단히 간단해지게 된다. 이렇게 유니트화할 때는 조작원통체(30)와 회전저지원통체(26)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하기도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단품(單品)으로 나타낸 부품을 복수부품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부품으로 나타낸 부품을 단수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을 적절히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할 때 이들이 유니트화되어서 취급하기가 쉬워져, 이 유니트를 본체에다 부착함으로써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 및 피스톤로드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조작원통체를 앞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회전저지원통체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래칫기어날과 톱날과의 물림을 나타내는 도 4의 6-6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후단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 - - 액체용기 12 - - - 본체
12b - - - 액체공급구 22 - - - 피스톤
24 - - - 피스톤로드 26 - - - 회전저지원통체
26b - - - 탄성편 26e - - - 암나사구멍
26f - - - 환상볼록부 30 - - - 조작원통체
30b - - - 래칫기어날 30c - - - 삽통구멍
30d - - - 환상오목부

Claims (5)

  1.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를 갖고서 앞끝쪽에 공급구를 가진 본체와, 상기 탱크부 내를 전진하는 피스톤, 이 피스톤과 일체로 되어 피스톤 뒤쪽으로 뻗은 피스톤로드, 본체의 뒷부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조작원통체, 본체의 뒷부분 내부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회전저지원통체를 갖고서, 상기 조작원통체와 상기 회전저지원통체 사이에 조작원통체와 본체 사이의 상대회전을 피스톤로드의 본체에 대한 축방향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가 구성됨과 더불어, 조작원통체와 본체의 회전방향을 한쪽 방향으로 규제하는 회전방향 규제기구가 구성되는 한편,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는 조작원통체에 형성된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삽통되는 삽통구멍과, 회전저지원통체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규제기구는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 사이에 형성된 래칫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구는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어느 한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래칫기어날과,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뻗은 탄성편의 앞끝에 형성된 톱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환상오목부에, 조작원통체 및 회전저지원통체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된 환성볼록부가 끼워짐으로써, 조작원통체와 회전저지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20040040966A 2004-01-07 2004-06-04 액체용기 KR10054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1880A JP4509577B2 (ja) 2004-01-07 2004-01-07 液体容器
JPJP-P-2004-00001880 200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58A true KR20050072658A (ko) 2005-07-12
KR100546052B1 KR100546052B1 (ko) 2006-01-26

Family

ID=3458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966A KR100546052B1 (ko) 2004-01-07 2004-06-04 액체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1642B2 (ko)
EP (1) EP1552957B1 (ko)
JP (1) JP4509577B2 (ko)
KR (1) KR100546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01A2 (ko) * 2009-12-08 2011-06-16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6108357A1 (ko) * 2015-01-02 2016-07-07 주식회사 정훈 액상립스틱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1893B2 (en) * 2004-07-27 2008-11-18 Gerald D Martin Ferrule dispenser and ferrule package therefor
JP2008246079A (ja) * 2007-03-30 2008-10-16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及び塗布材押出容器の成形方法
TWM360610U (en) * 2009-03-20 2009-07-11 Tex R L Ind Co Ltd Make-up pen
US20110064511A1 (en) * 2009-09-11 2011-03-17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Dispensing mechanism assembly
KR101433487B1 (ko) 2009-09-16 2014-08-22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장비 및 방법
CN102655787B (zh) 2009-12-23 2015-02-25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KR101414966B1 (ko) 2009-12-23 2014-07-0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키트 및 방법
RU2504316C1 (ru) 2009-12-23 2014-01-2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BR112012015742A2 (pt) 2009-12-23 2020-10-06 Colgate-Palmolive Company sistema de cuidado oral
KR20130095833A (ko) 2010-12-15 2013-08-28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분배기
JP5688732B2 (ja) * 2010-12-28 2015-03-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中皿の上昇機構を備えた容器
TW201424623A (zh) * 2012-12-21 2014-07-01 Taiwan Advanced Sterilization Technology Inc 睫毛膠筆
WO2016126273A1 (en) 2015-02-02 2016-08-1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oral care material dispenser
USD838902S1 (en) 2016-12-27 2019-01-22 Kotobuki & Co., Ltd.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44Y2 (ja) * 1987-05-21 1994-04-20 プラチナ万年筆株式会社 塗布具
JPH0620418Y2 (ja) * 1987-08-07 1994-06-01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H061267Y2 (ja) * 1987-11-24 1994-01-12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3352115B2 (ja) 1992-07-01 2002-12-03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洗髪ボールの回転制御装置
JP3922744B2 (ja) * 1996-09-09 2007-05-30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US5851079A (en) * 1996-10-25 1998-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mplified undirectional twist-up dispensing device with incremental dosing
JP3081834B2 (ja) * 1998-03-20 2000-08-28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3660948B2 (ja) * 1999-03-16 2005-06-15 株式会社トキワ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JP3519668B2 (ja) * 2000-04-21 2004-04-19 株式会社壽 液体容器
US6474891B1 (en) * 2001-11-29 2002-11-05 Ming Hsiung Liu Structure of a make-up pen
DE60126415T2 (de) * 2001-12-05 2007-11-08 Kotobuki & Co. Ltd. Flüssigkeitsbehälter mit Druckknopf
SI1354800T1 (sl) 2002-03-28 2006-10-31 Sisi Werke Gmbh Postopek in naprava za lepljenje slamic na folijske vrecke
JP4274765B2 (ja) * 2002-09-04 2009-06-10 株式会社壽 液体容器
US6752558B1 (en) * 2003-03-26 2004-06-22 Kuo Sung Hsu Liquid lipstick dispensing device
US6688796B1 (en) * 2003-04-11 2004-02-10 Ming Hsiung Liu Brush for make-up
GB2404362B (en) * 2003-07-29 2005-11-02 Yi Li Tsai Squeezing device for a cosmetic contai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01A2 (ko) * 2009-12-08 2011-06-16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1071301A3 (ko) * 2009-12-08 2011-11-10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123050B1 (ko) * 2009-12-08 2012-03-16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6108357A1 (ko) * 2015-01-02 2016-07-07 주식회사 정훈 액상립스틱 용기
US10159325B2 (en) 2015-01-02 2018-12-25 Jeong Hun Co., Ltd. Case for liquid lipstick and lip g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9577B2 (ja) 2010-07-21
US7051642B2 (en) 2006-05-30
US20060000350A1 (en) 2006-01-05
EP1552957B1 (en) 2011-05-11
KR100546052B1 (ko) 2006-01-26
EP1552957A3 (en) 2007-01-03
EP1552957A2 (en) 2005-07-13
JP2005192789A (ja)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6052B1 (ko) 액체용기
US6227739B1 (en) Liquid container
KR100605083B1 (ko)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KR20060041818A (ko) 스틱형상 화장재료 공급용기
KR20050076575A (ko) 카트리지식 액체조출용기
CN107048674A (zh) 按动笔
JP3660948B2 (ja)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JP2001232273A (ja) ノック式液体容器
KR100578785B1 (ko)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JP5173564B2 (ja) ノック式繰出容器
JP2022129906A (ja) 塗布材繰出容器
JP3115404U (ja) 多用途化粧ペンの構造
JP4933858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17113163A (ja) 塗布具
JP2007222422A (ja) 歯ブラシ
JPH0232881B2 (ko)
JPH0614844Y2 (ja) 塗布具
US4602649A (en) Holder-dispenser for spreadable substances
JP2004024506A (ja) 化粧具
JP4111741B2 (ja) 棒状化粧料容器
JP2024012102A (ja) 筆記具
JP2002068331A (ja) 液体容器
JP2005323675A (ja) 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3109420U (ja) 化粧ペン
JP5825992B2 (ja) 移動体繰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