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785B1 -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 Google Patents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785B1
KR100578785B1 KR1020047011991A KR20047011991A KR100578785B1 KR 100578785 B1 KR100578785 B1 KR 100578785B1 KR 1020047011991 A KR1020047011991 A KR 1020047011991A KR 20047011991 A KR20047011991 A KR 20047011991A KR 100578785 B1 KR100578785 B1 KR 10057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terial
rod
shaped cosmetic
contain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926A (ko
Inventor
다나까마사히로
다구찌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04010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Abstract

타원형의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을, 베이스부의 장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에 적어도 4 지점 형성한다. 각 파지편은 횡단면을 대략 부채꼴로 하고, 그 외주선은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한다. 통 용기 내의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은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 형성하고, 또한 파지편의 진퇴 홈은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 형성한다. 이로 인해, 화장재료에 절결부가 없는 간단한 구성이 되고 또한 통 용기의 반경 방향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 화장재료가 적어도 4 지점에서 충분히 파지되는 동시에 파지편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며 또한 외력을 통 용기 전체에서 흡수할 수 있다. 또, 외력이 작용해도 화장재료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편이 안쪽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조립시에 파지편이 내측으로 쓰러져도 파지편이 진퇴 홈에 삽입되므로, 진퇴 홈을 따라 교정되어 열려 화장재료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BAR-LIKE COSMETIC PAINT DELIVERY CONTAINER}
본 발명은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용기에서 빼고 넣을 수 있게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繰出)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심(芯) 척(chuck)이 이것을 수용하는 통(筒) 용기 내에서 진퇴 가능하게 되어 막대형 화장재료를 통 용기의 선단에서 빼고 넣을 수 있게 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가 시장에 제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서는, 심 척의 막대형 화장재료 유지부를 원호형의 갈고리로서 직경방향에 대향하여 한 쌍 배치하는 동시에,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의 장축측 혹은 단축측에 상기 한 쌍의 갈고리에 대응하여 평탄하게 절제하여 이루어지는 절결부(切缺部)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에 갈고리를 진입시킴으로써 그 갈고리에 의해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는, 갈고리의 외주면과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이 일치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용기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 2904711 호 참조).
발명자는 상기한 기술을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과제를 발견하였다. 즉,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서는, 갈고리의 외주면과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이 일치하여 소형화가 도모되는데,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에 평탄한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제조가 불편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막대형 화장재료가 잘 부서지게 된다. 또, 상기 갈고리에서는 막대형 화장재료의 파지가 충분히 안정되어 있다고는 하기 어려우며, 또한 소형화를 도모해야 할 갈고리의 두께가 얇아지는 동시에 이렇게 갈고리의 두께가 얇으면 갈고리가 안쪽으로 쓰러지기 쉬우며, 따라서, 예를 들어,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막대형 화장재료가 부러지거나 빠질 우려가 있다. 또, 이렇게 갈고리가 안쪽으로 쓰러져버리면 조립시에 막대형 화장재료를 갈고리에 장착하는 것이 어려워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막대형 화장재료가 잘 부서지지 않고 제조 비용의 저감 및 용기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의 막대형 화장재료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또한 막대형 화장재료의 장착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이 한층 저감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심 척이 이것을 수용하는 통 용기 내에서 나사 결합 기구 및 회전 정지 기구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되고, 막대형 화장재료를 통 용기의 선단에서 빼고 넣을 수 있게 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 심 척은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척부를 구 비하고, 이 척부는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어 막대형 화장재료가 닿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 형성되어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을 구비하고, 이 파지편은, 횡단면이 내주선에 비하여 외주선이 긴 대략 부채꼴로 되고, 또한 외주선은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되고, 통 용기는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과, 척부가 진퇴하는 범위에서 진퇴 구멍에 형성되며,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파지편의 진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의하면,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이,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가 닿는 베이스부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 형성되는 동시에 횡단면이 내주선에 비해 외주선이 긴 대략 부채꼴로 되고, 또한 외주선은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되는 동시에, 통 용기 내의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이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또한 파지편의 진퇴 홈이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에 평탄한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성이며, 척부를 수용하는 통 용기가 반경 방향으로 작아진다. 또,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는, 그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서 적어도 4 면 파지되기 때문에, 막대형 화장재료가 파지되는 동시에 파지편이 횡단면 대략 부채꼴로 되는 점에서 파지편에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고, 추가하여 통 용기 내의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이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또한 파지편의 진퇴 홈이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외력을 통 용기 전체에서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파지편이 횡단면 대략 부채꼴로 되는 동시에 통 용기 내의 진퇴 홈이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외력이 작용해도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편이 안쪽으로 쓰러지는 일은 없다. 또, 이렇게 파지편이 횡단면 대략 부채꼴로 되는 동시에 통 용기 내의 진퇴 홈이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조립시에 횡단면 대략 부채꼴인 파지편이 안쪽으로 쓰러져 있어도 그 파지편이 통 용기의 대략 동(同)형상의 진퇴 홈에 삽입됨으로써 파지편은 진퇴 홈을 따라 교정되어 정상적으로 열려, 파지편에 대한 막대형 화장재료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퇴 홈과 이 진퇴 홈을 슬라이딩하는 파지편이 회전 정지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심 척은 척부의 후단에 연속하여 심 척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해당 심 척축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통 용기에는 나선 홈을 내주면에 구비하는 나선 통이 내삽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이 나선 통 내에 심 척축이 내삽(內揷)되어 나사 결합 돌기가 나선 홈에 걸어 맞춰지며, 이들 나사 결합 돌기 및 나선 홈(螺旋溝)이 나사 결합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심 척 및 나선 통을 수용한 통 용기가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가 되고, 이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의 후부를 덮도록 수용하는 동시에 해당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 또한 상대회전 자유롭게 장착하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내의 나선 통의 후단부에 걸리고, 나선 통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카트리지 수용 용기와 나선 통이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되는 동시에 카트리지 수용 용기와 통 용기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결과, 카트리지 수용 용기와 통 용기가 상대 회전되면 막대형 화장재료가 통 용기의 선단에서 나오거나 들어가 이들을 구비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소모 등에 의해 막대형 화장재료를 교환할 필요가 생기면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로부터 빼내어 교환용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장착하면 되고, 또한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유닛으로서 조합하고 나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에 장착함으로써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가 얻어지는 점에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심 척이 이것을 수용하는 통 용기 내에서 나사 결합 기구 및 회전 정지 기구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를 상기 통 용기의 선단에서 빼고 넣을 수 있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 심 척은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척부를 구비하고, 이 척부는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어 막대형 화장재료가 닿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 형성되어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을 구비하고, 이 파지편은, 횡단면이 내주선, 외주선 및 한 쌍의 측선에 의해 규정되며, 한 쌍의 측선은 안쪽을 향해 서 로 접근하는 위치 관계에 있고, 한 쌍의 측선 중 장축측 측선의 길이는 단축측 측선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통 용기는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과, 척부가 진퇴하는 범위에서 진퇴 구멍에 형성되며,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파지편의 진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단순히 예시를 위해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중의 카트리지 통, 심 척의 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 중의 카트리지 통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통의 배면도이다.
도 7 은 도 2 중의 심 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심 척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도 2 중의 나선 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 도 9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 및 도 3 은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각 도면, 도 4 ∼ 도 6 은 카트리지 통을 나타내는 각 도면, 도 7 및 도 8 은 심 척을 나타내는 각 도면, 도 9 는 나선 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는, 예를 들어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 라이너 등의 막대형 화장재료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빼고 넣을 수 있게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는 전체 형상이 필기도구와 같이 가늘고 긴 둥근 막대형 (스틱형) 을 이루어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수용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선단측 (도시 좌측) 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후단측에 스크류 브러시 (5) 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 (4) 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사용되는 막대형 화장재료 (M)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이 편평한 타원형상인 것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는 양단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는, 통 내의 대략 중간 위치가 중간 칸막이 (3a) 에 의해 구획되고, 중간 칸막이 (3a) 보다 선단측의 통 내에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의 후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획되는 동시에 중간 칸막이 (3a) 보다 후단측의 통 내에 브러시 홀더 (4) 의 후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이 양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 칸막이 (3a) 에는, 그 중앙에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수용하는 공간을 향한 걸어맞춤부 (3b) 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 (3b) 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구성하는 내부 통으로서의 나선 통 (8;자세한 것은 후술) 을 회전할 수 없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횡단면이 대략 십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중간 칸막이 (3a) 의 타측에도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와 동일한 구성의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걸어맞춤부 (3b) 와 동일한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는 그 선단의 개구 근처의 내주면에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구성하는 외부 통으로서의 카트리지 통 (6;통 용기, 자세한 것은 후술) 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고리형 홈부 (3c) 를 구비하고 있다.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는,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카트리지 통 (6) 과, 도 2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통 (6) 내에 수용되고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여 진퇴시키는 심 척 (7) 과, 도 2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통 (6) 내의 후부측에 수용되어 심 척 (7) 과 나사 결합하는 원 통형 나선 통 (8)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카트리지 통 (6), 심 척 (7) 및 나선 통 (8) 은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진퇴시키는 진퇴기구로서 기능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
카트리지 통 (6) 은, 도 2,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손잡이부로서의 대직경부 (6a) 와, 이 대직경부 (6a) 의 후단에 외주단부 (外周段部: 6b) 를 거쳐 외주면이 소직경이 되어 연속되는 소직경부 (6c) 를,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가요재(可撓材)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대직경부 (6a) 는 선단(先端)을 향해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하며, 소직경부 (6c) 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내경보다 작아져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통 (6) 에는, 소직경부 (6c) 의 선단측에서 축선을 사이에 둔 180°대칭 위치에 탄성 걸어맞춤부 (6d, 6d)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걸어맞춤부 (6d) 는 카트리지 통 (6) 의 주벽(周壁)에 뚫리는 ㄷ자형 분할 홈 (6e) 에 의해 형성되며, 성형재인 합성 수지 등의 가요성을 따라 판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반도부 (半島部;6f) 와, 이 반도부 (6f) 의 외주면에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출부 (6g)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내삽되는 카트리지 통 (6) 은, 판 스프링을 이루는 반도부 (6f) 의 걸어맞춤 돌출부 (6g) 가 상기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고리형 홈부 (3c) 에 끼워져 걸어맞춰짐으로써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통 (6) 의 걸어맞춤 돌출부 (6g) 는, 판 스프링을 이 루는 반도부 (6f) 의 탄발력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고리형 홈부 (3c) 에 맞닿아 회전저항을 발생시키고 있다.
카트리지 통 (6) 의 내주면은,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서 다소 안쪽 근처의 범위까지가 막대형 화장재료 (M) 만을 통과 가능하게 하는 소직경 구멍 (6i) 으로 되고, 이 소직경 구멍 (6i) 의 후단으로부터 통 후단까지가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는 심 척 (7) 을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는 동시에 나선 통 (8) 을 수용하는 수용구멍 (6m) 으로 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 (6i)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소직경 구멍 (6i) 에 이어지는 수용구멍 (6m) 은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척 (7) 의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는 척부 (7a;도 7 참조, 자세한 것은 후술) 가 진퇴하는 범위가 제 1 수용구멍 (6j) 이 되고, 이 제 1 수용구멍 (6j) 의 후단에 내주 단부 (內周段部: 6x) 를 거쳐 내주가 대직경이 되어 연속하는 통 후단까지가 제 2 수용구멍 (6k) 으로 되어 있다.
제 1 수용구멍 (6i) 은,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소직경 구멍 (막대형 화장재료 진퇴 구멍;6i) 을 연속하여 구비하는 동시에, 이 소직경 구멍 (6i) 에 추가하여 그 외주면에 심 척 (7) 의 진퇴기구의 일부인 회전 정지 기구 및 진퇴 안내 기구를 구성하는 진퇴 홈 (6p) 을 연속 형성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진퇴 홈 (6p) 은, 심 척 (7) 의 파지편 (7d) 이 진퇴하는 것이며, 파지편 (7d) 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
또, 제 2 수용구멍 (6k) 은 대략 원형으로 되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 근처의 위치에 나선 통 (8) 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고리형 홈부 (6h) 를 구비하고 있다.
나선 통 (8) 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가요성재로 형성되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의 선단에서 후단부 근방까지의 범위에 걸쳐 심 척 (7) 의 진퇴기구의 일부인 나사 결합 기구를 구성하는 나선 홈 (8a) 을 축선을 따라 구비하는 동시에, 후단 근처의 외주면에 고리형 돌출부 (8b)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통 (6) 의 제 2 수용구멍 (6k) 에 내삽되는 나선 통 (8) 은 그 고리형 돌출부 (8b) 가 상기 카트리지 통 (6) 의 고리형 홈부 (6h) 에 끼워져 걸어맞춰짐으로써 카트리지 통 (6) 에 상대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나선 통 (8) 에는 도 2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반경방향 (방사방향) 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열 수 있는 탄성 돌출부 (8c) 가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돌출부 (8c) 는 둘레방향을 따른 4 지점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4 개의 돌출부이다.
그리고, 카트리지 통 (6) 내의 나선 통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탄성 돌출부 (8c, 8c) 사이에 상기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중간 칸막이 (3a) 에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을 이루는 걸어맞춤부 (3b) 의 각 돌출부가 진입하도록 하여 걸어맞춤으로써 축선방향의 이동이 구속되는 일이 없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나선 통 (8) 은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되고, 카트리지 통 (6) 은 이들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및 나선 통 (8) 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심 척 (7) 은,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척부 (7a) 와, 이 척부 (7a) 의 후단에 연속하여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심 척축 (7b) 을,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가요재로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 통 (8) 에 내삽되는 심 척축 (7b)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부의 축선을 사이에 둔 180°대칭위치에 나선 통 (8) 의 나선 홈 (8a) 에 걸어맞춰지는 나사 결합 기구로서의 나사 결합 돌기 (7g) 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심 척축 (7b) 의 나사 결합 돌기 (7g) 를 구비하는 부분에는 이들 나사 결합 돌기 (7g, 7g) 를 두 갈래로 나누도록 후단면에서 분할 홈 (7f) 이 형성되고, 이 분할 홈 (7f) 에 의해 각각의 나사 결합 돌기 (7g) 는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나선 통 (8) 의 나선 홈 (8a) 에 덜그럭거리지 않고 확실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통 (6) 의 제 1 수용구멍 (6j) 에 내삽되는 척부 (7a) 는 도 3, 도 4,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기단부가 닿는 베이스부 (7c) 와,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동시에 카트리지 통 (6) 의 진퇴 홈 (6p) 에 걸어맞추는 회전 정지 기구 및 진퇴 안내 기구로서의 파지편 (7d) 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 (7c) 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막대형 화장재료 (M) 에 대략 합치하는 타원형 후판에 구성되어 있다.
파지편 (7d)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7c) 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4 지점에,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지편 (7d) 은, 베이스부 (7c) 를 장축 및 단축에 의해 4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였을 때 이들 4 개의 영역에 적어도 1 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4 개의 파지편 (7d) 은 베이스부 (7c) 의 장축 및 단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4 개의 파지편 (7d) 은, 도 4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 (7x) 및 외주면 (7y) 이 호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에서 내주선에 비하여 외주선이 긴 대략 부채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선은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외형을 따른 호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내주면 (7x) 은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주선은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되어 있다.
또 파지편 (7d) 은, 도 4,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 단면의 내주측 위치가,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편끼리의 사이로 원활히 이끌도록 테이퍼면 (7e) 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도 4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 (7x) 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분할 홈 (7f) 을 구비하며, 이들 4 개의 파지편 (7d) 이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는 동시에 내주면 (7x) 의 분할 홈 (7f) 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회전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통 (6) 의 소직경 구멍 (막대형 화장재료 진퇴 구멍;6i) 은 타원형상의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진퇴 홈 (6p) 은 대략 부채꼴의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후단측의 브러시 홀더 (4) 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후단의 개구를 막도록 장착되며, 이 브러시 홀더 (4) 에 유지되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로부터 노출되는 도포구로서의 스크류 브러시 (5) 는 브러시 홀더 (4)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일 캡 (9) 에 의해 덮여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유닛으로서 조립한다.
이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의 조립시에는, 먼저 나선 통 (8) 과 심 척 (7) 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심 척 (7) 의 심 척축 (7b) 을 나선 통 (8) 의 선단측 개구로부터 내삽하여 나선 통 (8) 의 나선 홈 (8a) 과 심 척 (7) 의 심 척축 (7b) 의 나사 결합 돌기 (7g) 를 나사 결합 상태로 하여 나선 통 (8) 의 후단측으로 보낸다.
이어서 이 조립체를, 척부 (7a) 의 파지편 (7d) 의 위치와 카트리지 통 (6) 의 진퇴 홈 (6p) 의 위치가 맞도록 하여 그 선단측의 척부 (7a) 측에서 카트리지 통 (6) 의 후단의 개구로 내삽한다.
여기서, 파지편 (7d) 은 안쪽으로 쓰러지기 쉬워 성형수축 등에 의해 안쪽으 로 쓰러져 있는 경우가 있어, 종래는 성형시의 냉각시간을 길게 하거나 성형 조건 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단면이 대략 부채꼴인 파지편 (7d) 이 안쪽으로 쓰러져 있어도 그 파지편 (7d) 이 카트리지 통 (6) 의 해당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파지편 (7d) 의 상사 (相似) 형을 이루는) 진퇴 홈 (6p) 에 삽입되면, 파지편 (7d) 이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은 해당 진퇴 홈 (6p) 을 따라 교정되어 정상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통 (6) 의 내주 단부 (6x) 에 나선 통 (8) 의 선단면을 닿게 함으로써 나선 통 (8) 의 고리형 돌출부 (8b) 가 카트리지 통 (6) 의 고리형 홈부 (6h) 에 끼워 맞춰져 상기 조립체가 카트리지 통 (6) 에 상대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이어서,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그 기단부측에서 카트리지 통 (6) 의 선단의 개구로 삽입한다. 이 때, 파지편 (7d) 은 진퇴 홈 (6p) 에 교정되어 정상으로 열려 있기 때문에, 파지편 (7d) 에 대한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설치는 용이해진다. 그리고,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심 척 (7) 의 척부 (7a) 에 파지시킴으로써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가 얻어진다.
이어서, 이렇게 하여 얻어진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그 후단측에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선단의 개구로 내삽하고, 카트리지 통 (6) 의 외주단부 (6b) 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선단면에 댐으로써 카트리지 통 (6) 의 걸어맞춤 돌출부 (6g) 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고리형 홈부 (3c) 에 끼워 맞춰져 카트리지 통 (6)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대회전 자 유롭게 장착되는 동시에, 나선 통 (8) 의 탄성 돌출부 (8c) 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중간 칸막이 (3) 의 걸어맞춤부 (3b) 에 걸어맞춰져 나선 통 (8)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회전할 수 없게 연결되고, 이로 인해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가 유닛으로서 조립되고 나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장착되기 때문에,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의 조립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다음에, 이러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 의해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도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카트리지 통 (6) 의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로부터 노출되는 대직경부 (6a) 를 쥐는 동시에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를 쥐어 이들을 상대회전시킨다. 여기에서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중간 칸막이 (3) 의 걸어맞춤부 (3b) 와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의 나선 통 (8) 의 탄성 돌출부 (8c) 가 회전방향으로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나선 통 (8)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는 카트리지 통 (6) 의 걸어맞춤 돌출부 (6g) 와의 사이의 회전저항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이 때, 나선 통 (8) 의 나선 홈 (8a) 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 결합돌기 (7g) 를 갖는 심 척 (7) 은, 파지편 (7d) 이 카트리지 통 (6) 의 회전 정지 기구 및 진퇴 안내 기구로서의 진퇴 홈 (6p) 에 회전할 수 없게 또한 축선방향 이동할 수 있게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통 (6) 내를 전진하고, 막대형 화장재료 (M) 는 카트리지 통 (6) 의 선단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막대형 화장재료 (M) 가 원하는 길이로 빠져나오면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카트리지 통 (6) 의 상대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카트리지 통 (6) 의 걸어맞춤 돌출부 (6g) 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고리형 홈부 (3c)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회전저항에 따라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카트리지 통 (6) 은 소정의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를 가지고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도포하면 된다. 이 때, 도포면에서 막대형 화장재료 (M), 회전 정지 기구를 통하여 카트리지 통 (6) 으로 외력이 작용하는데, 해당 카트리지 통 (6) 의 회전은 상기 회전 저항에 의해 저지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카트리지 통 (6) 을 더욱 상대회전시켜 심 척 (7) 을 더 조출 방향으로 이동시켜 최대로 빼내면, 심 척 (7) 이 전진 한도에 이르러 심 척 (7) 이 그 이상 전진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상대회전을 계속하면, 심 척 (7) 의 전진이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중간 칸막이 (3) 의 걸어맞춤부 (3b) 가 나선 통 (8) 의 탄성 돌출부 (8c) 를 반경방향으로 밀어 넓혀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동시에, 카트리지 통 (6) 과 심 척 (7) 과 나선 통 (8) 이 일체로 되고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대하여 상대회전되어 공전한다. 이와 같이, 나선 통 (8) 의 탄성 돌출부 (8c) 는 이른바 토크 리미터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도포가 끝나면, 사용자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와 카트리지 통 (6) 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막대형 화장재료 (M) 가 카트리지 통 (6) 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소모 등에 의해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로부터 꺼내어 교환용 (신규)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장착하면 되어, 편리성, 실용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를 가방에 넣어 휴대하고 있을 때 가압되거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를, 예를 들어 바닥 등에 떨어뜨린 경우에는, 해당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는 예기치 않은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 (M) 는, 그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4 지점에서 파지편 (7d) 에 의해 4 면에서 파지되고 있기 때문에 단단히 파지되어 있는 동시에, 파지편 (7d) 이 횡단면 대략 부채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편 (7d) 에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어 있으며, 추가하여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퇴 구멍 (6i) 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퇴 홈 (6p) 이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외력을 카트리지 통 (6) 전체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이렇게 파지편 (7d) 이 횡단면 대략 부채꼴로 되는 동시에,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 퇴 홈 (6p) 이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편 (7d) 이 안쪽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서는 막대형 화장재료 (M) 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 (M) 를 파지하는 파지편 (7d) 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기단부가 닿아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베이스부 (7c) 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4 지점에 형성되는 동시에, 횡단면이 대략 부채꼴로 되며, 또한 횡단면에서 파지편 (7d) 의 외주선이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퇴 구멍 (6i) 이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퇴 홈 (6p) 이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기단부에 평탄한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척부 (7a) 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통 (6) 이 반경방향으로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서는, 막대형 화장재료 (M) 가 잘 부서지지 않고 제조비용의 저감 및 용기 (1) 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파지편 (7d) 이 횡단면이 대략 부채꼴로 되는 동시에 카트리지 통 (6) 내의 진퇴 홈 (6p) 이 파지편 (7d)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상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조립할 때 파지편 (7d) 이 안쪽으로 쓰러져 있어도 해당 파지편 (7d) 이 카트리지 통 (6) 내의 대략 동형상의 진퇴 홈 (6p) 에 삽입됨으로써 파지편 (7d) 은 진퇴 홈 (6p) 을 따라 교정되어 정상으로 열리고, 파지편 (7d) 에 막대형 화장재료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서는 제조비용의 저감이 한층 더 도모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1) 에 적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특히 횡단면이 부채꼴인 타원형 막대형 화장재료 (M) 이나, 막대형 화장재료는 타원형이라면 두꺼워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의 후단측에 스크류 브러시 (4) 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선단측의 막대형 화장재료 (M) 와 색이나 종류가 상이한 막대형 화장재료를 구비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나 액상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지편 (7d) 의 외주면 (7y) 을 곡면으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플랫면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립의 용이성, 막대형 화장재료 (M) 의 교환 등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2) 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 (3)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물론 빠지지 않게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대형 화장재료가 잘 부서지지 않고 제조비용의 저감 및 용기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막대형 화장재료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또한 막대형 화장재료의 장착이 용이해져 제조비용이 한층 더 저감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심(芯) 척(chuck)이, 이것을 수용하는 통(筒) 용기 내에서 나사 결합 기구 및 회전 정지 기구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를 상기 통 용기의 선단에서 빼고 넣을 수 있게 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심 척은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척부를 구비하고,
    이 척부는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가 닿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을 구비하고,
    이 파지편은, 횡단면이 내주선에 비하여 외주선이 긴 대략 부채꼴로 되고, 또한 상기 외주선은, 장축측을 향함에 따라 부채꼴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으로 되고,
    상기 통 용기는
    횡단면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과,
    상기 척부가 진퇴하는 범위에서 상기 진퇴 구멍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지편의 진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홈과 이 진퇴 홈을 슬라이딩하는 상기 파지편이 상기 회전 정지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척은 상기 척부의 후단에 연속하여 심 척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해당 심 척축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 용기에는 나선 홈(螺旋溝)을 내주면에 구비하는 나선 통이 내삽(內揷)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이 나선 통 내에 상기 심 척축이 내삽되어 상기 나사 결합 돌기가 상기 나선 홈에 걸어맞춰지며,
    이들 나사 결합 돌기 및 나선 홈이 상기 나사 결합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척 및 상기 나선 통을 수용한 상기 통 용기가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가 되고,
    이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의 후부를 덮도록 수용하는 동시에 해당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 또한 상대회전 자유롭게 장착하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는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 카트리지 내의 상기 나선 통 의 후단부에 걸어맞춰져, 그 나선 통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5. 횡단면이 타원형인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심 척이 이것을 수용하는 통 용기 내에서 나사 결합 기구 및 회전 정지 기구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를 상기 통 용기의 선단에서 빼고 넣을 수 있게 된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심 척은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기단부를 파지하는 척부를 구비하고,
    이 척부는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가 닿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장축 및 단축을 제외한 외주 위치의 적어도 4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를 파지하는 파지편을 구비하고,
    이 파지편은, 횡단면이 내주선, 외주선 및 한 쌍의 측선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한 쌍의 측선은 안쪽을 향해 서로 접근하는 위치 관계에 있고, 상기 한 쌍의 측선 중 상기 장축측 측선의 길이는 상기 단축측 측선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 용기는
    횡단면이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막대형 화장재료의 진퇴 구멍과,
    상기 척부가 진퇴하는 범위에서 상기 진퇴 구멍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편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파지편의 진퇴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KR1020047011991A 2002-12-04 2003-12-04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KR100578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2780 2002-12-04
JP2002352780 2002-12-04
PCT/JP2003/015560 WO2004049857A1 (ja) 2002-12-04 2003-12-04 棒状化粧料操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26A KR20040103926A (ko) 2004-12-09
KR100578785B1 true KR100578785B1 (ko) 2006-05-12

Family

ID=3246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91A KR100578785B1 (ko) 2002-12-04 2003-12-04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WO2004049857A1 (ko)
KR (1) KR100578785B1 (ko)
CN (1) CN100391383C (ko)
HK (1) HK1081412A1 (ko)
TW (1) TWI286065B (ko)
WO (1) WO2004049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391B2 (ja) * 2004-02-17 2007-08-29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20070068971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고형풀 조출용 용기
JP4684887B2 (ja) * 2005-12-28 2011-05-18 株式会社資生堂 棒状化粧料
JP2008022984A (ja) * 2006-07-19 2008-02-07 Tokiwa Corp 棒状化粧料繰出容器
ITMI20140300U1 (it) * 2014-10-01 2016-04-01 Brivaplast Srl Contenitore con sistema di apertura perfezionato.
KR101594319B1 (ko) * 2015-09-15 2016-02-16 주식회사 리치코스 듀얼 타입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7068694B2 (ja) * 2018-05-24 2022-05-17 ミクロ株式会社 回転式繰り出し機構
JP7351741B2 (ja) * 2019-12-23 2023-09-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繰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771U (ko) * 1978-02-09 1979-08-22
JP3436586B2 (ja) * 1994-06-30 2003-08-11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CN2305090Y (zh) * 1996-05-02 1999-01-27 株式会社寿 一种旋转式条状物送出用具
JP3560842B2 (ja) * 1998-08-27 2004-09-02 壽印刷紙工株式会社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
JP2000217635A (ja) * 1999-01-27 2000-08-08 Suzuno Kasei Kk 化粧材容器
JP2001321224A (ja) * 2000-05-18 2001-11-20 Suzuno Kasei Kk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26A (ko) 2004-12-09
HK1081412A1 (en) 2006-05-19
TW200417339A (en) 2004-09-16
TWI286065B (en) 2007-09-01
CN100391383C (zh) 2008-06-04
JPWO2004049857A1 (ja) 2006-03-30
CN1691905A (zh) 2005-11-02
WO2004049857A1 (ja)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739B1 (en) Liquid container
US20200253356A1 (en) Pen type cosmetics case
KR100578785B1 (ko)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US7051642B2 (en) Liquid container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JP5133749B2 (ja) 移動体繰出容器
JP3950394B2 (ja) 化粧料繰出容器
JPH11139470A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433193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405786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4048155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04024506A (ja) 化粧具
JP7433649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4212843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4352061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4111741B2 (ja) 棒状化粧料容器
JP4192280B2 (ja) 化粧料等の繰出容器
JP4252920B2 (ja) ペンシル型容器及びペンシル型容器の組立方法
JPH0131133Y2 (ko)
JPH0342081B2 (ko)
JPH0436739Y2 (ko)
JP2005021251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3093843U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2545212Y2 (ja)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H04367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