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083B1 -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 Google Patents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083B1
KR100605083B1 KR1020040041403A KR20040041403A KR100605083B1 KR 100605083 B1 KR100605083 B1 KR 100605083B1 KR 1020040041403 A KR1020040041403 A KR 1020040041403A KR 20040041403 A KR20040041403 A KR 20040041403A KR 100605083 B1 KR100605083 B1 KR 10060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knock
outer cylinder
rotating member
front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625A (ko
Inventor
노구치요시오
Original Assignee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키 인사츠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3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comprising an energy storing element, e.g. a spring, for exerting, e.g. when released, pressure on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측방녹크로 앞쪽외통 내의 피조출물을 조출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로서, 피조출물을 수용하고서 그 앞끝 개구부로부터 피조출물을 조출하도록 된 앞쪽외통(12)과, 이 앞쪽외통(12)의 측부에 앞쪽외통에 대해 출몰할 수 있게 설치된 녹크보턴(20), 상기 앞쪽외통(12)의 내부에서 상기 녹트보턴(20)이 작용해서 이 녹크보턴(20)의 녹크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녹크를 해제하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0), 피조출물을 조출하는 피스톤(40) 및,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을 상기 피스톤(40)의 앞쪽외통(12) 내의 축방향 전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Side knock-type propell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를 갖춘 액체용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단면도이다.
도 2는 캡을 벗겨내고 측방녹크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의 주요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회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회전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e는 도 6a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는 걸림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a는 내통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내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회전저지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회전저지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0a는 중간나사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중간나사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2 - - - 앞쪽외통 14 - - - 내통(전달부재)
16 - - - 뒤쪽외통 18 - - - 선구
20 - - - 녹크보턴 30 - - - 회전부재
30a - - - 녹크받침돌기 32 - - - 걸림부재
38 - - - 피스톤로드(조출체) 40 - - - 피스톤(조출체)
42 - -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측방녹크조작으로 액체 또는 고체로 된 화장용 잉크, 필기용 잉크, 수정액과 같은 피조출물을 조출하도록 된 측방녹크식 조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조출물로서 액체를 조출하도록 된 용기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14844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액체용기는, 내부에 도포액저장부가 형성된 축체(軸體)와, 저장부 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피스톤에 돌출하여 형성되고서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 내통부재와 외통부재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회전원통체로 이루어지고서, 이 회전원통체의 외통부재에는 환상돌조와 선단부에 축방향으로 탄발할 수 있도록 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환상돌조를 축체 후단의 환상홈에 압입으로 끼워져 회전원통체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됨과 더불어, 외통부재의 걸림편이 축체 내에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래칫기어날에 탄발적으로 물려지는 래칫기구를 구성하고, 회전원통체의 내부부재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이 나사구멍에 상기 나사봉이 나사결합됨에 있어 이 나사봉의 전체길이에 걸쳐 양쪽 측면에 형성된 2개의 평면부가 축체의 저장부 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짐으로써, 회전원통체의 회전으로 나사봉이 회전되지 않고 전진만 하게 되어, 피스톤을 축선방향으로 밀어 도포액을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체를 축체에 대해 회전시키면, 나사봉이 축체의 저장부 후단의 격벽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원통체의 내부부재와 나사봉 사이에 상대회전이 생겨 회전원통체의 나사구멍과 나사봉의 나사결합으로 나사봉이 전진하게 되어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압압하게 됨으로써 도포액을 축체의 앞끝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회전원통체를 회전시키는 조작은, 조작할 때 축체를 잡는 손과 회전원통체를 회전시키는 손과 같이 두 손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조작하기가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32273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크조작으로 액체를 앞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녹크식 액체용기를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액체를 수용하고서 앞끝쪽에 액체공급구를 가진 탱크와, 이 탱크 내를 미끄럼이동하는 피스톤, 이 피스톤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탱크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된 나사축, 이 나사축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된 회전캠, 이 회전캠의 뒤쪽에 위치하고서 이 회전캠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녹크캠 및, 이 녹크캠에 대해 뒤쪽으로 탄발되어 녹크조작할 수 있도록 된 녹크체를 구비하고서, 상기 녹크체와 녹크캠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에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경사로가 형성됨으로써, 녹크체의 녹크동작에 따라 녹크캠이 회전을 해서 회전캠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녹크조작을 함에 있어서도 녹크체를 녹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액체용기를 고쳐잡아야 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피조출물을 조출할 수가 있으면서도, 조출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조출물을 수용하고서 그 앞끝개구부로부터 피조출물을 조출하도록 된 본체를 이루는 앞쪽외통과, 이 앞쪽외통의 측부에 앞쪽외통에 대해 출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녹크보턴, 상기 앞쪽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녹크보턴이 작용하여 이 녹크보턴의 녹크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이하 어느 한쪽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하는 한편 녹크상태를 해제하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피조출물을 조출하는 조출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상기 조출체의 앞쪽외통 내의 축방향 전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앞쪽외통의 측부에 설치된 녹크보턴을 녹크조작하면, 이 녹크보턴의 녹크에 따라 회전부재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녹크보턴의 녹크상태를 해제하면 회전부재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방향의 왕복회전 중 어느 한쪽 방향 회전을 이용해서 변환기구가 그 회전을 조출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조출체가 앞쪽외통 내에서 축방향으로 전진운동을 함으로써 피조출물을 전진시켜 앞쪽외통의 앞끝 개구부로부터 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측방녹크식의 조작에 의해 피조출물을 조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환기구는 회전부재와 연결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한쪽 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연결되어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한쪽 방향 회전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부재와 연결되지 않게 되어 회전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전달부재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녹크보턴의 녹크 및 녹크해제에 의해 회전부재가 왕복회전을 하게 되지만, 전달부재는 회전부재의 한쪽 방향 회전만 전달하기 때문에, 전달부재의 왕복회전 중 어느 한쪽 방향 회전을 이용해서 그 회전을 피조출물의 조출에 사용하도록 하게 된다.
또,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한쪽 방향 회전을 전달부재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한쪽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지 않게 되는 래칫기구를 갖추게 할 수도 있다. 이 래칫기구에 의해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에도 불구하고 전달부재의 회전을 한쪽 방향으로만 한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전달부재의 상기 한쪽 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한쪽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제2래칫기구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제2래칫기구에 의해 전달부재의 회전을 한쪽 방향으로만 한정되도록 할 수가 있어, 불필요한 전달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환기구에는 회전부재로부터 전달된 한쪽 방향 회전에 대해 조출체를 전진시키는 나사기구가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회전부재로부터의 한쪽 방향 회전을 조출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구가 더 갖춰지게 할 수도 있는바, 이 회전제어기구에 의해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이 보다 더 확실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제어기구는 회전기구의 측부에 설치되어 녹크를 했을 때 녹크보턴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녹크받침돌기와, 회전부재와 걸려져 회전부재의 소정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 한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회전부재가 상기 한쪽 방향과 반대되는 쪽으로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재 및, 이 걸림부재를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쪽으로 밀어붙이는 탄발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녹크보턴이 녹크조작되면 녹크보턴이 회전부재의 돌출부에 작용해서 회전부재를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녹크보턴의 녹크를 해제시키면 탄발부재에 의한 탄발력으로 걸림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회전부재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져 회전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기구는 걸림부재를 회전부재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 한쪽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회전부재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캠기구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이 캠기구에 의해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운동을 걸림부재의 축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측방녹크식 조작으로 피조출물을 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의 한 실시예 를 나타낸 전체종단면도이고, 도 2는 캡을 벗겨내고 측방녹크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를 구비한 액체용기로서, 이 액체용기(10)는 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앞쪽외통(12)과, 이 앞쪽외통(12)의 내부에 이 앞쪽외통(12)과 동축으로 되고서 앞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내통(14), 상기 앞쪽외통(12)의 뒤끝에 부착된 뒤쪽외통(16), 상기 앞쪽외통(12)의 앞 끝에 부착된 선구(18) 및, 이 선구(18)에 착탈될 수 있게 씌워진 캡(19)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통(14)의 내부는 예컨대 수정액이나 필기용 잉크, 화장용 액과 같은 액체(L)가 수용되는 탱크부(T)로 되어 있다. 상기 앞쪽외통(12)과 뒤쪽외통(16) 및 선구(18)에 의해 앞쪽외통이 구성되게 된다.
앞쪽외통(12)의 선단부 측면에는 개구(開口; 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2a)에는 조작자가 조작을 하기 위한 녹크보턴(20)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녹크보턴(20)은 앞쪽외통(12)의 내외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구(18) 내에는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액체공급체인 붓털(24)과, 액체를 붓털(24)로 전달하는 선단파이프(26), 선구(18) 내에 고정되어 붓털(24) 및 선단파이프(26)를 동시에 선구(18)에다 고정시키는 파이프홀더(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이프홀더(28)의 뒤끝은 내통(14)의 선단부에 있는 축경부(縮徑部;14a)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탱크부(T) 내의 액체를 붓털(24)로 조출하기 위한 액체용기(10)의 조출기구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를 구성하는 앞쪽외통(12)에 대해 출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녹크보턴(20)과, 이 녹크보턴(20)이 직접 작용하는 회전부재(30), 이 회전부재(30)의 앞쪽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2), 상기 내통(14), 이 내통(14)의 후단부에 설치된 회전저지부재(34), 상기 앞쪽외통(12)에 고정되는 중간나사부재(36), 이 중간나사부재(36)와 나사결합되는 피스톤로드(38), 이 피스톤로드(38)의 앞끝에 연결되어 탱크부(T) 내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40) 및, 상기 걸림부재(32)에 탄발력을 부여해주는 탄발부재인 리턴스프링(42)을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통(14) 및 회전저지부재(34)는 회전부재(30)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전달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38) 및 피스톤(40)은 탱크부(T) 내의 액체를 조출하는 조출체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내통(14)과, 회전저지부재(34), 중간나사부재(36) 및, 피스톤로드(38)에 의해 회전부재(30)의 회전을 조출체의 앞쪽외통 내의 축방향 전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가 구성되고, 걸림부재(32) 및 리턴스프링(42)에 의해 회전부재(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구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단, 이는 한가지 예로서, 전달부재와 변환기구 및 회전제어기구는 다른 임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측방녹크식 조출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녹크보턴(20)은 그 횡단면이 역U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바, 그 양측면의 하단에 직사각형의 절결부(20a)가 형성되고서, 이 직사각형 절결부(20a)의 상부면이 회전부재(30)에 작용하는 작용면(20b)을 이루게 된다. 또, 녹크보턴(20)의 내측면의 절결부(20a)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빠짐방지용 리브(2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는바, 그 내부를 내통(14)의 축경부(14a)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재(30)의 측면에는 상기 녹크보턴(20)의 작용면(20b)이 압압될 수 있게 되는 돌기(30a, 30a)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돌기(30a, 30a)는 균형을 취하도록 하기 위해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녹크보턴(20)의 녹크력을 받는 녹크받침돌기(30a)로 되는 것은 그 중 한쪽의 돌기만이다.
상기 돌기(30a, 30a)에 근접해서는 빠짐방지용 오목부(30b, 30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빠짐방지용 오목부(30b)는 녹크보턴(20)이 녹크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빠짐방지용 리브(20c)에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빠짐방지용 오목부(30b)는 그 단면이, 이 빠짐방지용 오목부(30b)와 상기 빠짐방지용 리브(20c)가 걸려지면, 이 빠짐방지용 리브(20c)가 개구(12a) 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개구(12a)와 반대되는 쪽으로는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회전부재(30)의 앞끝에는 복수의 캠경사면(30c)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캠경사면(30c)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부재(30)의 뒤끝에는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된 복수의 래칫기어날(30d)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30)의 앞쪽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을 한 걸림부재(32)가 배치되고서, 그 내부를 내통(14)의 축경부(14a)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32)의 뒤끝에는 상기 회전부재(30)의 복수의 캠경사면(30c)에 걸려짐과 더불어 미끄럼접촉하도록 된 캠경사면(32a)이 형성되어 캠기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 캠경사면(32a)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부재(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회전저지홈(3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회전저지홈(32b)에 상기 앞쪽외통(12)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저지리브(12b)가 끼워짐으로써, 걸림부재(32)가 앞쪽외통(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앞쪽외통(12)에 대해 회전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탱크부(T)를 구획함과 더불어 전달부재를 구성하는 내통(14)은, 선단부에 있는 축경부(14a)와 후단부에 있는 확경부(擴徑部;14b)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축경부(14a)와 이 확경부(14b)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부(14c)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톱날(14d)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30)의 래칫기어날(30d)에 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톱날(14d)과 래칫기어날(30d)에 의해 제1래칫기구가 구성되게 된다. 내통(14)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걸림용 절결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14)의 후단부에는 원통형상을 한 회전저지부재(34)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회전저지부재(34)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통(14)의 걸림용 절결부(14e)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용 돌기(34a)가 갖춰져, 이 끼움용 돌기(34a)가 끼움용 절결부(14e)에 끼워짐으로써 내통(14)과 회전저지부재(34)가 일체적으로 연결시켜지게 된다. 내통(14)과 회전저지부재(34)는 일체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성형상으로는 별개의 부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내부에는 내통부(34b)가 형성되고서, 이 내통부 (34b)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로드(38)가 관통하는 비원형구멍(3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38)의 횡단면형상은 비원형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비원형구멍(34c)이 피스톤로드(38)의 횡단면형상에 합치하게 됨으로써 피스톤로드(38)가 회전저지부재(3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또,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뒤끝에는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된 복수의 래칫기어날(34d)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저지부재(34)의 뒤쪽에는 원통형상을 한 중간나사부재(36)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중간나사부재(36)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회전저지용 리브(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저지용 리브(36a)는 앞쪽외통(12)에 형성된 회전저지용 홈(12c)에 끼워져, 중간나사부재(36)가 앞쪽외통(12)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끼움용 리브(36b)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끼움용 리브(36b)는 뒤쪽외통(16)에 형성된 환상의 끼움용 홈(16a)에 끼워져 중간나사부재(36)가 앞쪽외통에 대해 고정시켜지도록 한다.
또, 중간나사부재(36)의 내부에는 내통부(36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통부(36c)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로드(3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8a)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로드(38)의 수나사(38a)와 중간나사부재(36)의 암나사(36d)에 의해 나사기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나사부재(36)의 외통부와 내통부(36c) 사이에 형성되어 앞쪽으로 향하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톱날(36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후단부가 상기 중간나사부재(36)의 외통부와 내통부(36c)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톱날(36e)이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래칫기어날(34d)에 물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들 톱날(36e)과 래칫기어날(34d)에 의해 제2래칫기구가 구성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녹크보턴(20)이 녹크되어 있지 않은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회전부재(30)가 돌기(30a, 30a)가 수평으로 되지 않고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캠경사면(30c)이 걸림부재(32)의 캠경사면(32a)과 결려지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2)는 리턴스프링(42)에 의해 회전부재(30)쪽으로 밀어붙여져 있기 때문에, 캠경사면(30c)과 캠경사면(32a)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돌기(30a) 중의 하나인 녹크받침돌기(30a)는 녹크보턴(20)의 작용면(20b)에 근접해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출기구를 구비한 액체용기(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액체용기(10)를 사용하려면, 캡(19)을 벗기고 붓털(24)을 이용해서 액체(L)를 공급하는바, 이 붓털(24)에는 탱크부(T)로부터 공급되는 액체(L)가 파이프홀더(28) 및 선단파이프(26)를 거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액체(L)를 탱크부(T)로부터 조출하려면, 녹크보턴(20)을 압압해서 앞쪽외통(12) 내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녹크보턴(20)의 작용면(20b)이 회전부재(30)의 녹크받침돌기(30a)를 도 3의 아래쪽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회전부재(30)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부재(30)가 회전하면, 회 전부재(30)의 래칫기어날(30d)이 내통(14)의 톱날(14d)에 물려지는 바, 이 제1래칫기구는 회전부재(30)의 시계방향 회전을 내통(14)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내통(14)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저지부재(34)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래칫기어날(34d)은 중간나사부재(36)의 톱날(36e)을 미끄러질 수가 있어, 이 제2래칫기구가 회전저지부재(34)의 회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회전저지부재(34)와 중간나사부재(36) 사이에는 상대회전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피스톤로드(38)는 회전저지부재(34)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저지부재(34)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중간나사부재(36)의 암나사(36d)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피스톤로드(38)에 연결된 피스톤(40)이 앞쪽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피스톤(40)이 탱크부(T) 내를 미끄럼이동하여 탱크부(T) 내의 액체(L)를 앞쪽으로 조출하게 된다.
한 번 녹크보턴(20)을 녹크하면, 회전부재(30)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동기(同期)해서 피스톤로드(38)도 같은 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각도/360)×피치분 만큼 축방향으로 피스톤(40)이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회전부재(30)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했을 때는 걸림부재(32)는 더 이상 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걸림부재(32)의 캠경사면(32a)이 회전부재(30)의 캠경사면(30c)에 미끄럼접촉하여 걸림부재(32)가 리턴스프링(42)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녹크보턴(20)의 녹크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32)가 뒤쪽으로 되돌려져 회전부재(30)의 캠경사면(30c)이 걸림부재(32)의 캠경사면(32a)에 미끄러지도록 접해져, 도 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때, 내통(14)과 회전저지부재(34)는 이 회전저지부재(34)의 래칫기어날(34d)이 중간나사부재(36)의 톱날(36e)에 물려져, 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0)의 래칫기어날(30d)이 내통(14)의 톱날(14d)을 미끄러져 회전부재(30)만 회전하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고, 그에 따라 녹크보턴(20)이 도 3에 도시된 위쪽으로 되돌려지게 된다.
녹크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턴스프링(42)에 의해 걸림부재(32)가 뒤쪽으로 밀어붙여져 있고, 회전부재(30)가 도 3에 도시된 자세로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부주의로 회전부재(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녹크보턴(20)을 녹크할 때마다 피스톤(40) 및 피스톤로드(38)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피조출물인 액체(L)를 앞끝에 있는 붓털(24)로부터 조출할 수 있게 된다. 녹크보턴(20)을 측방녹크함으로써 액체(L)를 조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손으로 잡은 앞쪽외통(12)을 바꿔 잡을 필요가 없게 되고, 양손을 사용하지도 않고 한 손으로도 간단히 조작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예에서는 액체를 밀어내는 액체용기에 조출기구를 조립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피조출물이 고체가 되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부품을 단일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단일부재로 구성된 부품을 복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측방녹크식 조작으로 피조출물을 조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피조출물을 수용하고서 그 앞끝 개구부로부터 조출하도록 된 앞쪽외통(12)과,
    이 앞쪽외통(12)의 내부에 이 앞쪽외통(12)과 동축으로 되고서 앞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내통(14),
    상기 앞쪽외통(12)의 측부에 앞쪽외통에 대해 출몰할 수 있게 설치된 녹크보턴(20),
    상기 앞쪽외통(12)의 내부에서 상기 녹크보턴(20)이 작용하면 이 녹크보턴(20)의 녹크동작에 따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녹크를 해제하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부재(30),
    피조출물을 조출하기 위한 피스톤로드(38) 및 피스톤(40)으로 이루어진 조출체 및,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을 상기 조출체가 앞쪽외통(12) 내에서 축방향 전진이동하도록 변환시키는 변환기구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내통(14) 및 이 내통(14)의 후단부에 설치된 회전저지부재(3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30)와 연결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0)의 어느 한쪽 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연결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이 한쪽 방향 회전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상기 회전부재(30)와 연결되지 않아 회전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전달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회전부재(30)의 뒤끝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래칫기어날(30d)과 상기 내통(14)의 축경부(14a)와 확경부(14b)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부(14c)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날(14d)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30)의 상기 어느 한쪽 방향 회전을 전달부재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30)의 상기 한쪽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제1래칫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뒤끝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래칫기어날(34d)과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뒤쪽에 설치된 원통형상 중간나사부재(36)의 외통부와 내통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톱날(36e)로 이루어져, 상기 전달부재의 상기 어느 한쪽 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와는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게 되는 제2래칫기구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가, 상기 회전저지부재(34)의 뒤쪽에 설치된 원통형상 중간나사부재(36)의 내통부에 형성된 암나사(36d)와 상기 피스톤로드(3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8a)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30)로부터 전달된 어느 한쪽 방향 회전에 대해 조출체를 전진이동시키는 나사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구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기구가, 상기 회전부재(30)의 측부에 설치되어 녹크를 했을 때 녹크보턴(20)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녹크받침돌기(30a)와, 상기 회전부재(30)와 걸려져 상기 회전부재(3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축방향 한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30)가 상기 어느 한쪽 방향과 반대되는 쪽으로 회전하면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재(32) 및, 이 걸림부재(32)를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기구가, 상기 회전부재(30)에 형성된 복수의 캠경사면(30c)과 이 캠경사면(30c)에 걸려짐과 더불어 미끄럼접촉하도록 된 캠경사면(32a)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재(32)를 상기 회전부재(30)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방향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회전부재(30)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방향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KR1020040041403A 2004-02-02 2004-06-07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KR100605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5112A JP4468002B2 (ja) 2004-02-02 2004-02-02 サイドノック式繰出し機構
JPJP-P-2004-00025112 2004-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625A KR20050078625A (ko) 2005-08-05
KR100605083B1 true KR100605083B1 (ko) 2006-07-31

Family

ID=3465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403A KR100605083B1 (ko) 2004-02-02 2004-06-07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17054B2 (ko)
EP (1) EP1559576B1 (ko)
JP (1) JP4468002B2 (ko)
KR (1) KR100605083B1 (ko)
CN (1) CN100479697C (ko)
DE (1) DE602004029228D1 (ko)
TW (1) TWI323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437A (ja) * 2005-10-14 2007-05-31 Kotobuki & Co Ltd 液体容器
US7607852B2 (en) * 2006-03-02 2009-10-27 Washington Pamela D Liquids applicator
KR100733002B1 (ko) * 2006-09-28 2007-06-28 변영광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100735931B1 (ko) *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JP5020607B2 (ja) * 2006-11-20 2012-09-05 三菱鉛筆株式会社 棒状体収納容器
JP4857131B2 (ja) * 2007-01-12 2012-01-18 株式会社壽 液体塗布具
JP2008246079A (ja) * 2007-03-30 2008-10-16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及び塗布材押出容器の成形方法
US7651288B2 (en) * 2007-08-22 2010-01-26 Heinz Welschoff Cosmetic applicator with axial advance and retraction control
JP2009247427A (ja) * 2008-04-02 2009-10-29 Mitsubishi Pencil Co Ltd 回転式繰出容器
JP5248262B2 (ja) * 2008-10-10 2013-07-31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繰出容器の繰出機構部
JP5294789B2 (ja) * 2008-10-10 2013-09-18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繰出容器
WO2009125868A1 (ja) * 2008-04-11 2009-10-15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繰出容器
JP5173564B2 (ja) * 2008-05-07 2013-04-03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繰出容器
JP5234596B2 (ja) * 2008-04-11 2013-07-10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繰出容器
KR200450995Y1 (ko) * 2008-08-26 2010-11-16 (주)연우 펜슬형 화장품용기
JP5267858B2 (ja) * 2008-09-06 2013-08-21 フィグラ株式会社 高粘度液体化粧料吐出容器
JP5307575B2 (ja) * 2009-02-20 2013-10-02 株式会社壽 ノック式液体繰出し容器
TWM360610U (en) * 2009-03-20 2009-07-11 Tex R L Ind Co Ltd Make-up pen
WO2011035011A2 (en) 2009-09-16 2011-03-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kit and method
CN102049947A (zh) * 2009-11-02 2011-05-11 王华伍 计量式修正笔
AU2009356972B2 (en) 2009-12-23 2014-06-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CN102655784B (zh) 2009-12-23 2015-11-25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US9138046B2 (en) 2009-12-23 2015-09-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kit and method
KR101513342B1 (ko) 2009-12-23 2015-04-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CN101731821B (zh) * 2009-12-25 2011-12-21 藤兴工业有限公司 推启式化妆品容器
WO2012020803A1 (ja) 2010-08-11 2012-02-16 株式会社壽 ノック式繰出し容器
AU2011341697B2 (en) 2010-12-15 2015-05-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dispenser
FR2978684B1 (fr) * 2011-08-01 2013-08-23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JP6069003B2 (ja) * 2013-01-31 2017-01-25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CN104223744B (zh) * 2013-06-07 2016-08-10 共聚生化科技(昆山)有限公司 新型化妆刷
KR101635524B1 (ko) * 2014-11-13 2016-07-04 정열 다단 기어 구동식 페이스트 물질 토출용기
KR200479431Y1 (ko) * 2014-12-16 2016-01-27 강성일 가압버튼을 구비한 겔상 내용물 배출 어플리케이터
AU2015381790B2 (en) 2015-02-02 2018-10-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oral care material dispenser
CN105173421B (zh) * 2015-09-17 2017-05-10 陈超 多剂量滴眼剂无菌给药系统
CN107713285B (zh) * 2016-08-10 2020-01-21 阿蓓亚塑料实业(上海)有限公司 条状包装
CN107928096A (zh) * 2018-01-11 2018-04-20 兰州交通大学 一种新型壁画色彩修复装置
US10980332B2 (en) * 2018-03-29 2021-04-20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Cosmetic applicator
WO2019200336A1 (en) * 2018-04-12 2019-10-17 New World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intraocular fluid injection
CN108556515B (zh) * 2018-05-14 2020-07-14 山东女子学院 一种钢笔的自动注墨装置
CN108577136B (zh) * 2018-06-26 2021-01-0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旋转出料式液体化妆品容器
EP3939471A4 (en) * 2019-03-15 2022-11-23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APPLIC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889A (en) 1995-01-30 2000-05-23 Pentel Kabushiki Kaisha Side-knock type mechanical pencil
KR20010048839A (ko) * 1999-11-30 2001-06-15 김충경 녹크식 필기구
JP2002052891A (ja) 2000-08-08 2002-02-19 Kotobuki:Kk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6758A (en) * 1961-07-03 1964-09-01 W A Shaeffer Pen Company Writing implement
FR2664509B1 (fr) * 1990-07-10 1994-04-15 Lvmh Recherche Dispositif applicateur pour produits liquides plus ou moins visqueux.
JP3352115B2 (ja) 1992-07-01 2002-12-03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洗髪ボールの回転制御装置
GB9521992D0 (en) * 1995-10-27 1996-01-03 Unilever Plc Dispensing package
US5725133A (en) * 1996-01-31 1998-03-10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Dose control dispenser
FR2770107A1 (fr) 1997-10-28 1999-04-30 Risdon Sa Applicateur d'une substance, notamment d'une matiere deodorante, ses elements, et gamme de tels applicateurs
US6357945B1 (en) 1998-01-21 2002-03-19 Colgate Palmolive Company Cosmetic dispenser
US5967684A (en) * 1998-08-21 1999-10-19 Huang; Kuang-Yen Pen with push-button
JP3490008B2 (ja) * 1998-12-25 2004-01-26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DE19921662B4 (de) 1999-04-23 2004-08-12 Henkel Kgaa Creme- und Deospender
JP3364799B2 (ja) * 2000-02-25 2003-01-08 ミクロ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01232273A (ja) 2000-02-28 2001-08-28 Kotobuki:Kk ノック式液体容器
JP2004025112A (ja) 2002-06-27 2004-01-29 Nippon Rensui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889A (en) 1995-01-30 2000-05-23 Pentel Kabushiki Kaisha Side-knock type mechanical pencil
KR20010048839A (ko) * 1999-11-30 2001-06-15 김충경 녹크식 필기구
JP2002052891A (ja) 2000-08-08 2002-02-19 Kotobuki:Kk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8002B2 (ja) 2010-05-26
EP1559576A2 (en) 2005-08-03
DE602004029228D1 (de) 2010-11-04
US7217054B2 (en) 2007-05-15
US20050169695A1 (en) 2005-08-04
EP1559576A3 (en) 2006-12-06
JP2005212418A (ja) 2005-08-11
TW200526483A (en) 2005-08-16
CN100479697C (zh) 2009-04-22
CN1650773A (zh) 2005-08-10
TWI323716B (en) 2010-04-21
KR20050078625A (ko) 2005-08-05
EP1559576B1 (en)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083B1 (ko)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US20070086830A1 (en) Liquid Container
JP3828732B2 (ja) ノック式液体容器
US7237975B2 (en) Cartridge type liquid feeding container
KR101881664B1 (ko) 조출 펜슬
WO2012020803A1 (ja) ノック式繰出し容器
JP2019104187A (ja) 長尺物繰り出し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筆記具
JP3636629B2 (ja) カートリッジ式繰出容器
WO2010137566A1 (ja) 液体繰出し容器
KR100546052B1 (ko) 액체용기
JPS62163766A (ja) 粘性材料の供給装置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JP3204368U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5307575B2 (ja) ノック式液体繰出し容器
JP2009247427A (ja) 回転式繰出容器
KR102018702B1 (ko)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200262081Y1 (ko) 녹크식 액체용기
EP0510181A1 (en)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JP7319168B2 (ja) 摩擦具
JP7319167B2 (ja) 摩擦具
JP2013234001A (ja) 液体繰出し容器
JP2021070283A (ja) 摩擦具
JP2003052450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JPH0720114U (ja)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H0624676B2 (ja) 流体供給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