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081Y1 - 녹크식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녹크식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081Y1
KR200262081Y1 KR2020010032627U KR20010032627U KR200262081Y1 KR 200262081 Y1 KR200262081 Y1 KR 200262081Y1 KR 2020010032627 U KR2020010032627 U KR 2020010032627U KR 20010032627 U KR20010032627 U KR 20010032627U KR 200262081 Y1 KR200262081 Y1 KR 200262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piston
cam
piston rod
rotar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게야마히데헤이
타다오 오다카
노구치요시오
케다타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20010032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081Y1/ko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잘못해서 녹크체가 녹크된다 하더라도 액체가 필요 없이 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녹크식 액체용기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액체(L)가 담겨지는 탱크부(T)를 갖고서 앞끝쪽에 액체공급구(12b)를 가진 본체(12)와, 상기 탱크부(T) 내를 전진하는 피스톤(22) 및, 상기 본체(12) 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된 녹크체(32)를 갖추어, 이 녹크체(32)가 축선방향으로 녹크되면 탱크부(T) 내의 피스톤(22)을 앞쪽으로 조금씩 밀어내는 피스톤압출기구(23)를 갖추고서, 상기 녹크체(22)를 제외한 액체용기(10)의 후단면으로 되는 뒷마개(28)의 후단면이 축선방향으로 수직을 이루지 않고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깎여진 경사단면(28g)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녹크식 액체용기 {Knock-type liquid utensils}
본 고안은 예컨대 화장용 잉크나 필기용 잉크, 수정액과 같은 액체를 수용하고서 그 앞끝쪽에 액체공급구를 가진 녹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액체용기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0 - 51919로 제안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출원에서는, 녹크조작을 해서 액체를 앞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녹크식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액체를 수용하고서 앞끝쪽에 액체공급구를 가진 탱크와, 이 탱크 내를 미끄러져 왕복이동하는 피스톤, 이 피스톤과 일체로 연결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탱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된 나사축체, 이 나사축체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된 회전캠, 이 회전캠의 뒤쪽에서 이 회전캠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녹크캠 및, 이 녹크캠에 대해 스프링에 의해 뒤쪽으로 밀어붙여져 녹크조작할 수 있도록 된 녹크체를 구비하고서, 상기 녹크체와 녹크캠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은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돌기가 끼워진 경사로를 형성함으로써, 녹크체의 녹크동작에 따라 녹크캠이 회전하여 회전캠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녹크체의 녹크동작에 따라 액체를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녹크조작을 할 수가 있게 되어 조작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녹크동작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잘못해서 녹크체가 녹크될 가능성이 크고, 그에 따라 피스톤이 전진해서 액체가 탱크에 필요없이 토출될 염려가 있게 된다. 그리고, 잘못해서 녹크체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녹크체의 녹크하중을 예컨대 12.7N(1.3kg 중) 정도로 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됨으로써 조작성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잘못해서 녹크체가 녹크된다 하더라도 액체가 필요없이 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녹크식 액체용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의 정면도,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의 종단면도,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 뒷부분이 녹크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을 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 뒷부분이 액체가 공급되도록 녹크되어져 있을 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도 1에서의 녹크체의 평면도,
도 3b는 도 1에서의 녹크체의 종단면도,
도 4a는 도 1에서의 회전캠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에서의 회전캠의 종단면도,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회전캠을 화살표 4c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a ~ 도 5c는 회전캠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6은 피스톤로드 안내부재의 종단면도,
도 7a는 도 1에서의 내통의 평면도,
도 7b는 도 1에서의 내통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8 - 8선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뒷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의 피스톤 압출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에서의 회전캠과 라쳇원통과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a는 도 2에서의 뒷마개의 변형례의 평면도,
도 12b는 도 2에 도시된 뒷마개의 변형례의 정면도,
도 12c는 도 2에 도시된 뒷마개의 변형례의 종단면도,
도 12d는 도 2에 도시된 뒷마개 뒷부분이 녹크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을 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e는 도 2에 도시된 액체용기의 뒷마개 뒷부분이 액체가 공급되도록 녹크되어져 있을 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40 - - - 액체용기 12 - - - - 본체
12b - - - - 액체공급구 22 - - - - 피스톤
23, 43 - - 피스톤압출기구 24 - - - 피스톤로드
24a - - - 숫나사 26 - - - 피스톤로드안내부재
26a - - - 숫나사구멍 27 - - - 내통
28, 28' - - - 뒷마개 28g, 28'g - - 경사단면
30 - - - - 회전캠 32 - - - - 녹크체
34 - - - - 리턴스프링 46 - - - - 회전캠
46b - - - 기어날 46c - - - 숫나사구멍
47 - - - - 라쳇원통 47a - - - 라쳇기어
48 - - - - 녹크캠 48a - - - 돌기
50 - - - - 녹크체 50a - - - - 경사로
52 - - - - 녹크스프링 54 - - - - 뒷마개
54d - - - - 경사단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를 갖고서 앞끝쪽에 액체공급구를 가진 용기본체와, 상기 탱크부를 전진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용기본체 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된 녹크체를 갖고서, 이 녹크체가 축선방향으로 녹크됨으로써 탱크부 내의 피스톤을 앞쪽으로 조금씩 밀어내는 피스톤 압출기구를 갖추어 이루어진 녹크식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의 후단면이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면을 이루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녹크체가 어딘가에 접촉해서 잘못 녹크되는 경우, 녹크체의 후단면이 녹크체를 제외하고 액체용기의 후단면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될 때까지 녹크되더라도 녹크체 단독으로는 이동할 수 어렵게 된다. 따라서, 녹크체가 완전히 축선방향으로 최대한 앞쪽까지 녹크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게 되어, 피스톤이 앞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액체가 제한없이 용기본체의 액체공급구로부터 토출되는 것이 막아지게 된다. 정말로 피스톤을 압출(押出)해서 액체를 공급하려면, 녹크체를, 이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 후단면의 최후방부위 보다 더 많이 녹크해서 동작시키면 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 후단면의 최후방부위와 녹크체가 녹크상태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후단면 사이의 축선방향 길이가, 피스톤을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녹크거리 이하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녹크체의 후단면이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의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될 때까지 녹크되더라도 피스톤이 전진하지 않게 됨으로써, 액체가 용기본체의 액체공급구로부터 앞쪽으로 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피스톤 압출기구가, 상기 피스톤에 앞끝이 연결되고서 뒤쪽으로 뻗어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됨으로써 탱크부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앞쪽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로드안내부재,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삽입된 내통, 상기 피스톤로드안내부재의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 회전캠, 상기 녹크체, 이 녹크체 및 상기 회전캠과 함께 회전캠기구를 구성하는 뒷마개 및, 상기 회전캠을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서, 상기 회전캠기구가 상기 녹크체의 녹크동작을 회전캠의 회전동작으로 변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녹크체가 녹크되어지면, 회전캠기구에 의해 녹크체의 녹크동작이 회전캠의 회전동작으로 변환되어 피스톤로드안내부재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로드안내부재의 암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가 탱크부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가 전진해서 피스톤이 앞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러한 회전캠기구에 있어서, 녹크체를 녹크함에 따라 실제로 회전캠이 회전할 때까지의 여유를 이용해서 녹크체가 잘못 녹크되었을 때 피스톤이 앞쪽으로 압출되지 않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압출기구는, 상기 피스톤에 앞끝이 연결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탱크부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앞쪽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캠, 이 회전캠의 앞쪽에서 탱크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관통하는 라쳇원통, 상기 회전캠 뒤쪽에서 이 회전캠을 회전하도록 하는 녹크캠, 상기 녹크체, 이 녹크체와 상기 녹크캠 사이에 끼워져 녹크체를 뒤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녹크스프링을 구비하고서, 상기 녹크체와 녹크캠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에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이 돌기가 끼워진 경사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의 앞끝에는 기어날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라쳇원통에도 상기 회전캠 앞끝에 형성된 톱날과 물려지면서 축선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된 라쳇톱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녹크체가 녹크되면, 녹크체와 녹크캠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가 다른쪽에 형성된 경사로 내를 이동해서 녹크캠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캠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캠의 암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피스톤로드가 탱크부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가 전진하면 피스톤이 압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의 톱날이 라쳇원통의 라쳇톱날을 넘기까지의 여유를 이용해서, 녹크체가 잘못 녹크되었을 때 피스톤이 앞쪽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실 시 예)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액체용기로서, 이 액체용기(10)는 크게 나누어 수정액이나 필기용 잉크, 화장용 잉크와 같은 액체(L)가 수용된 탱크부(T)를 갖고서 앞끝에 액체공급구(12b)를 가진 용기본체(12)와, 이 용기본체(12)의 앞쪽에 부착되는 선구유니트(先具 unit; 13), 상기 탱크부(T) 내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22) 및, 액체용기(10)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2)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압출기구(23)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선구유니트(13)는, 용기본체(12)의 앞끝이 압입되어 끼워맞춰진 선구(14)와, 이 선구(14)의 뒤쪽부분 내에 압입되도록 된 파이프홀더(16), 이 파이프홀더(16)의 앞끝에 고정된 선단파이프(18) 및, 이 선단파이프(18)의 앞끝이 그 기부(基部) 내에 삽입되어 선구(12) 내에서 기부가 파이프홀더(16)와 선구(14) 사이에 물어잡혀져 선단도포체를 이루는 브러시(20)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12)의 앞끝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브러시(20)를 보호하는 캡(36)이 착탈될 수 있게 씌워지고, 또 상기 선구(14)에는 출하시(出荷時)에 브러시(20)의 끝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38)가 씌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압출기구(23)는, 상기 피스톤(22)에 앞끝이 연결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숫나사(24a)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4)와, 이 피스톤로드(24)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26a)이 앞쪽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안내부재(26), 이 피스톤안내부재(26)의 앞끝이 회전할 수 있게 축지지됨과더불어 피스톤로드(24)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끼워지는 내통(27), 이 내통(27)에 연결되는 뒷마개(28), 상기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장착된 회전캠(30), 상기 뒷마개(28) 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된 녹크체(32) 및, 상기 회전캠(30)을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34)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압출기구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뒷마개(28), 녹크체(32) 및 회전캠(30)이 회전캠기구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바, 뒷마개(28)의 내주면에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주방향으로 떨어진 복수의 캠돌기(28a)가 형성되고서, 이들 캠돌기의 앞끝이 춧선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복수의 캠돌기(28a) 뒤끝에는 이들 캠돌기(28a)끼리의 뒤끝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환상돌기(28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캠돌기(28a, 28a) 사이에 형성되는 캠홈(28b)에는 녹크체(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32a)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녹크체(32)의 앞끝은 톱날모양을 한 캠면(32b)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뒷마개(28)의 캠홈(28b)에는 회전캠(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30a)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전캠(30)의 돌기(30a) 뒤끝은 축선방향으로 경사진 캠면(30b)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녹크체(32)가 앞쪽으로 녹크되어 이 녹크체(32)의캠면(32b)이 리턴스프링(3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회전캠(30)을 앞쪽으로 밀어내어 회전캠(30)의 돌기(30a)가 뒷마개(28)의 캠홈(28b) 보다 앞쪽으로 더 밀어내어지도록 한 후에, 녹크체(32)의 녹크가 느슨해지도록 하면, 리턴스프링(340)의 탄발력으로 회전캠(30)의 돌기(30a)의 캠면(30b)이 녹크체(32)의 캠면(32b) 및 뒷마개(28)의 캠돌기(28a)의 캠면을 따라 인접한 캠홈(28b)쪽으로 미끄러져, 돌기(30a)가 이 캠홈(28b) 속으로 들어가 끼워맞춰지게 된다(도 5 참조). 따라서, 녹크체(32) 한번씩 녹크될 때마다 회전캠(30)이 인접하는 캠홈(28b)으로 이동하는 것만큼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캠(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세로방향 홈(30c)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세로방향 홈(30c)에는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세로방향 리브(26b; 도 6)가 끼워져 양자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앞끝은 외주면 밖으로 돌출된 환상돌기(26c)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통(27)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주면에 1쌍의 창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내통(27)의 내부직경은 이들 창구멍(27a)이 형성된 부근에서부터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혀져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단, 상기 창구멍(27a)의 가장자리에는 이 창구멍(27a)과 원주방향을 같이 하는 부분에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7b)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돌출부(27b)끼리의 간격이 창구멍(27a)의 앞끝 가장자리에서의 내부직경과 같아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환상돌기(26c)가 이 내통(27)의돌출부(27b)에 걸려짐으로써,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가 내통(27)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면서 내통(27) 뒤쪽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축방향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통(27)의 뒤쪽 내주면에는 그의 돌출부(27b) 보다 더 뒤쪽에 복수의 세로방향 홈(27c)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세로방향 홈(27c)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뒷마개(28)의 앞쪽 외주면에 형성된 세로방향 리브(28d)가 끼워짐과 더불어, 세로방향 홈(27c)에 형성된 돌기(27d)가 세로방향 리브(28d)에 형성된 작은 구멍(28c) 내에 끼워져, 내통(27)과 뒷마개(28)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24)는 단면이 원형이 아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쪽이 잘린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통(27)에는 상기 피스톤로드(24)의 단면형상과 합치되는 양쪽이 잘려진 타원형상의 관통구멍(27f)을 가진 내통부(27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피스톤로드(24)가 상기 내통부(27e)의 관통구멍(27f)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27)의 외주면 일부가 표면이 파형을 이루는 로렛면(27g)을 이루어, 용기본체(12)의 내주면 일부에 형성된 리브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렛끼움구조에 의해 회전저지구조가 이루어져, 내통(27)이 용기본체(12)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로렛끼움구조 말고도 리브부착끼움이나 다각형상끼움, 키이끼움과 같은 끼움구조 등으로 내통(27)과 용기본체(12)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내통(27)의 피스톤로드(24)에 대한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피스톤로드(24)가 용기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내통(27)의 로렛면(27g)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앞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혀지는 테이퍼면(27h)이 용기본체(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앞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혀지는 테이퍼면(12a)에 닿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뒷마개(28)는 용기본체(12)에 대해 압입으로 고정되고, 내통(27)은 용기본체(12)의 테이퍼면(12a)과 뒷마개(28) 사이에 끼워져 용기본체(12)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녹크체(32)를 제외한 액체용기(10)의 후단면으로 되는 뒷마개(28)의 후단면이 축선방향으로 수직이 아닌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단면(傾斜端面; 28g)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단면(28g)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최후방부위와 녹크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녹크체(32)의 후단면 사이의 축선방향 길이(D1; 도 1 참조)가 뒤에 설명되듯이 피스톤(22)을 밀어내는 데 필요한 녹크체(32)의 녹크거리와 대체로 같거나 또는 필요한 녹크거리 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피스톤압출기구(23)는 용기본체(12)와는 별개로 일체를 이룬 유니트로 조립될 수가 있어서, 유니트의 뒷마개(28)를 용기본체(12)의 뒤쪽에서 압입하여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선구유니트(13)도 별개의 일체로 된 유니트로 조립할 수가 있게 되어 있어서, 피스톤압출기구(23)를 조립한 후, 용기본체(12) 앞끝의 주입구로 액체(L)를 주입한 다음, 선구유니트를 용기본체(12)에다 압입해서 고정시키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10)를 사용하려면, 캡(36)과 커버(38)를 벗겨내고 브러시(20)를 가지고 도포작업을 하게 되지만, 브러시(20)로부터 액체(L)를 다시 공급하려면 녹크체(32)를 용기본체(12)에 대해 녹크를 하게 된다. 이렇게 녹크를 하게 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녹크체(32)가 한번 녹크될 때마다 회전캠(30)의 돌기(30a)가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캠홈(28b)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용기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는 피스톤로드(24)는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와 피스톤로드(24)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게 되어,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의 암나사구멍(26a)과 피스톤로드(24)의 숫나사(24a) 사이의 나사결합에 따라 피스톤로드(24) 및 피스톤(22)이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피스톤(22)이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22)이 탱크부(T)를 전진시키기 때문에, 탱크부(T) 내의 액체(L)가 용기본체(12)의 앞끝쪽에 설치된 액체공급구(12b) 쪽으로 압압되어 선단파이프(18) 내를 통해 브러시(20)의 앞끝으로부터 공급되어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액체용기(10)를 손가방과 같은 것에다 넣어놓고 있을 때 다른 물건에 녹크체(32)가 접촉해서 눌려지거나 하는 경우, 녹크체(32)는 그 후단면이 뒷마개(28)의 경사단면(28g)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될 때까지는 간단히 압압되어 녹크되어질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러나, 뒷마개(28)의 경사면(28g) 최후방부위와 녹크되지 않았을 때의 녹크체(32)의 후단면 사이의 축선방향 길이(D1)가 피스톤(22)을 압출하기 위해 필요한 녹크체(32)의 녹크거리 보다 짧게 되어 있어서(도 1 및 도2d 참조), 녹크체(32)가 그 후단면이 뒷마개(28)의 경사단면(28a)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될 때까지 녹크되더라도 피스톤(22)이 밀려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22)을 압출하기 위해 필요한 녹크체(32)의 녹크거리(D0)라 함은, 회전캠(30)의 돌기(30a)를 뒷마개(28)의 캠홈(28b)으로부터 앞쪽으로 밀어낼 때까지 필요한 길이를 말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캠(30)의 돌기(30a)가 캠홈(28b)으로부터 앞쪽으로 밀어내어진 후 녹크체(32)의 녹크된 힘이 느슨해지면, 그의 돌기(30a)가 녹크체(32)의 캠면(32b)과 뒷마개(28)의 캠돌기(28a)의 캠면을 따라 인접하는 캠홈(28b)으로 이동해서 회전캠(30)이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녹크체(32)의 녹크량이 회전캠(30)의 돌기(30a)를 캠홈(28b)으로부터 앞쪽으로 밀어내기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녹크체(32)를 녹크한 힘을 느슨해지도록 하면 돌기(30a)가 같은 캠홈(28b)내를 후퇴하게 되어 회전캠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회전캠(30)이 전후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됨으로써 피스톤로드안내부재(26)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피스톤(22)이 전진하지 않게 된다.
한편, 녹크체(32)가 무엇인가에 닿아 눌려지게 되면, 녹크체(32)의 뒤끝이 경사단면(28g)의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되는 이른바 반녹크상태(도 1, 도 2d의 D1)로 되기에 그치기 때문에, 피스톤(22)에 의해 액체(L)가 압출되는 것이 막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녹크체(32)를 뒷마개(28)의 경사단면(28g)의 최후방부위 보다 더 깊게 앞쪽으로 녹크하는 이른바 절환녹크(도 1, 도 2e의 D0)를 하게 되면 피스톤(22)이 전진해서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뒷마개(28)의 경사단면(28g)의 변형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사단면(28'g)이 되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 녹크체(28')의 경사면(28'g)에서는 그 중 마주보는 2점이 최후방위치가 되게 된다.
도 9 ~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40은 액체용기인 바, 이 액체용기(40)는 크게 나누어 용기본체(12)와 선구유니트(13), 탱크부(T) 내를 미끄럼이동하도록 된 피스톤(22) 및 액체용기(40)의 뒤쪽에 설치되어 피스톤(22)을 앞쪽으로 조금씩 밀어내는 피스톤압출기구(43)를 갖추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구유니트(13)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피스톤압출기구(43)는, 피스톤(22)과 일체로 연결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외주면에 숫나사(24a)가 형성된 피스톤로드(24)와, 이 피스톤로드(24)의 숫나사(24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46a)이 형성된 회전캠(46), 이 회전캠(46)의 앞쪽에서 탱크부(T) 내에 고정되어 피스톤로드(24)가 관통하는 라쳇원통(47), 상기 회전캠(46)의 뒤쪽에 위치하고서 이 회전캠(46)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녹크캠(48), 상기 탱크부(T)의 뒤끝에 고정된 뒷마개(54), 이 뒷마개(54) 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된 녹크체(32) 및, 상기 녹크캠(48)과 녹크체(50) 사이에 끼워져 녹크체(50)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52)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압출기구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한다.
뒷마개(28)의 내주면에는 1쌍의 창구멍(54a)이 형성되고서, 이 창구멍(54a)에 녹크체(50)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편(50a)의 앞끝의 탄성돌기(50b)가 끼워져, 이 탄성돌기(50b)가 창구멍(54a) 내를 미끄럼이동하게 됨으로써 녹크체(50)가 뒷마개(54)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은 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회전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녹크체(50)의 측면에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50c)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경사홈(50c)에 녹크캠(48)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48a)가 끼워지게 되어, 이 경사홈(50c)을 따라 돌기(48a)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녹크캠(48)의 앞끝에는 톱니(48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톱니(48b)는 회전캠(46)의 뒤끝에 형성된 톱니(46a)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캠(46)의 앞끝에는 뒤끝에 형성된 톱니(46a)와 반대쪽을 향하도록 된 톱니(46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톱니(46b)는 라쳇원통(4)의 뒤끝에 형성되어 L자형상 슬릿(47d)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탄성변형해서 출몰할 수 있도록 된 라쳇톱날(47a)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라쳇원통(47)에는 피스톤로드(24)의 단면형상과 합치되는 양쪽이 잘려진 타원형의 관통구멍(47b)이 형성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24)가 이 관통구멍(47b)을 관통함으로써 피스톤로드(24)가 라쳇원통(47)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쳇원통(47)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세로방향 리브(47c)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세로방향 리브(47c)는 뒷마개(54)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로방향 홈(54b)과 끼워맞춰져, 라쳇원통(47)이 뒷마개(5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 라쳇원통(47)의 앞쪽에 면한 단차부(47f)가 뒷마개(54)의 뒤쪽에 면한 단차부(54c)에 닿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라쳇원통(47)은 뒷마개(54)에 대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뒷마개(54)는 용기본체(12)에 대해 압입으로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라쳇원통(47)이 용기본체(12)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원통(47)이 피스톤로드(24)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피스톤로드(24)가 용기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녹크체(50)를 제외한 액체용기(40)의 후단면으로 되는 뒷마개(54)의 후단면은, 축선방향으로 수직이 아닌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깎여진 경사단면(54d)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단면(54d)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부위와 녹크체(50)의 후단면 사이의 축선방향 길이(D2; 도 9 참조)는, 뒤에 설명되듯이 피스톤(22)을 압출하는 데 필요한 녹크체(50)의 녹크길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2실시예에서의 피스톤압출기구(43)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본체(12)와 별개로 일체의 유니트로 조립될 수가 있고, 유니트의 뒷마개(54)를 용기본체(12)의 뒤쪽에서 압압함으로써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압출기구(43)를 용기본체(12)에다 조립한 후, 용기본체(12) 앞끝의 주입구로부터 액체(L)를 주입하고 나서, 선구유니트를 용기본체(12)에다 압입하여 고정하게 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4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러시(20)를 가지고도포하게 되지만, 브러시(20)에서 액체(L)를 다시 공급하려면 녹크체(50)를 녹크하게 된다.
녹크체(50)가 녹크되어 전진하게 되면 녹크캠(48)이 전진할 수가 없기 때문에, 녹크캠(48)의 돌기(48a)가 녹크체(50)의 경사홈(50c)을 따라 이동해서 녹크캠(48)이 도 10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녹크캠(48)의 톱날(48b)과 회전캠(46)의 톱날(46a)이 끼워맞춰져 있어서, 녹크캠(48)의 회전에 따라 회전캠(4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캠(46)은, 그 톱날(46b)이 라쳇원통(47)의 라쳇톱날(47a)의 경사면을 미끄러져내려 차쳇톱날(47a)을 출몰시키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캠(46)이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캠(46)과 나사결합된 피스톤(24)이 그 회전이 라쳇원통(47)에 의해 규제되어져 있기 때문에 전진하게 되어 피스톤(22)을 밀어내게 된다. 그에 따라, 용기본체(12) 내의 액체(L)가 피스톤(2)에 의해 밀려져 선단파이프(18) 내를 지나 브러시(20)의 앞끝으로부터 공급되어져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액체용기(40)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동안 녹크체(50)가 다른 것에 접촉해서 눌려지는 경우에도, 녹크체(50)체의 길이(D2)까지는 간단히 녹크될 가능성은 없지 않으나, 이 녹크체(50)의 길이(D2)가 피스톤(22)을 전진시키는 데에 필요한 녹크체(50)의 녹크거리와 대체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어서, 녹크체(50)는 그 후단면이 뒷마개(54)의 경사단면(54d)의 최후방부위와 면일치될 때까지 녹크된다 하더라도 피스톤(22)이 앞출되지 않게 된다.
즉, 녹크체(50)의 녹크량에 대응하는 녹크캠(48)의 원주방향 이동거리가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쳇원통(47)의 라쳇톱날(47a)에 걸어맞춰진 회전캠(46)의 톱날(46b)이 라쳇원통(47a)을 변형시켜 타고넘을 때까지의 최저한의 길이(D3)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캠(46)의 회전이 확정되어 피스톤로드(24) 및 피스톤(22)을 확실하게 전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녹크캠(48) 및 회전캠(46)을 원주방향으로 D3 만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녹크거리가 피스톤(22)을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녹크체(50)의 녹크거리로 된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녹크체(50)의 녹크량에 대응하는 녹크캠(48)의 원주방향 이동거리(D4;<D3)가, 라쳇원통(47)의 라쳇톱날(47a)에 걸어맞춰진 회전캠(46)의 톱날(46b)이 라쳇톱날(47a)을 변형시켜 타고넘을 때까지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녹크체(50)의 녹크상태가 해제되면 회전캠(46) 및 녹크캠(48)이 반대쪽으로 회전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에 수반해서 피스톤로드(24) 및 피스톤(22)은 일단 전진하였다가 회전캠(46)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짐에 따라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탱크부(T) 내의 액체(L)는 일단 탱크부(T)로부터 송출된다 하더라도 다시 탱크부(T) 내로 흡인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액체가 토출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 정말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녹크체(50)를 뒷마개(54)의 경사단면(54d) 최후방부위 보다 더 깊이 앞쪽으로 녹크하여 피스톤(22)을 전진시켜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잘못 녹크되어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녹크하중을 통상적인 녹크시의 압력9.8N(1kg 중) 보다 가벼운 예컨대 2.9N ~ 4.9N(300 ~ 500g 중)의 압력으로 녹크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고안에서 1개의 부품으로 설명한 부품을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복수의 부품으로 설명한 부품을 1개의 단일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고 녹크체가 녹크조작되는 경우에도 피스톤이 압출되지 않기 때문에, 액체가 필요없이 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녹크체의 녹크하중을 무겁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 녹크하중을 녹크하기 쉬운 하중으로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부를 갖고서 앞끝쪽에 액체공급구를 가진 용기본체와, 상기 탱크부를 전진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용기본체 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된 녹크체를 갖고서 이 녹크체가 축선방향으로 녹크됨으로써 탱크부 내의 피스톤을 앞쪽으로 조금씩 밀어내는 피스톤 압출기구를 갖추어 이루어진 녹크식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의 후단면이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면을 이루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크체를 제외한 액체용기 후단면의 최후방부위와 녹크체가 녹크상태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후단면 사이의 축선방향 길이가,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녹크거리 이하로 설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액체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압출기구가, 상기 피스톤에 앞끝이 연결되고서 뒤쪽으로 뻗어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됨으로써 탱크부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앞쪽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피스톤로드안내부재,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삽입된 내통, 상기 피스톤로드안내부재의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 회전캠, 상기 녹크체, 이 녹크체 및 상기 회전캠과 함께 회전캠기구를 구성하는 뒷마개 및, 상기 회전캠을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서, 상기 회전캠기구가 상기 녹크체의 녹크동작을 회전캠의 회전동작으로 변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액체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압출기구가, 상기 피스톤에 앞끝이 연결되고서 뒤쪽으로 뻗어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됨으로써 탱크부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앞쪽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캠, 이 회전캠의 앞쪽에서 탱크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관통하게 되는 라쳇원통, 상기 회전캠의 뒤쪽에서 이 회전캠을 회전하도록 하는 녹크캠, 상기 녹크체 및, 이 녹크체와 상기 녹크캠 사이에 끼워져 이 녹크체를 뒤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녹크스프링을 구비하고서, 상기 녹크체와 녹크캠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에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이 돌기가 끼워진 경사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의 앞끝에는 톱날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라쳇원통에도 이 회전캠 앞끝에 형성된 톱날과 걸어맞춰지면서 축선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된 라쳇톱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액체용기.
KR2020010032627U 2001-10-25 2001-10-25 녹크식 액체용기 KR200262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27U KR200262081Y1 (ko) 2001-10-25 2001-10-25 녹크식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27U KR200262081Y1 (ko) 2001-10-25 2001-10-25 녹크식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081Y1 true KR200262081Y1 (ko) 2002-02-06

Family

ID=7307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27U KR200262081Y1 (ko) 2001-10-25 2001-10-25 녹크식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47B1 (ko) 2008-11-27 2013-10-01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액체 공급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47B1 (ko) 2008-11-27 2013-10-01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액체 공급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732B2 (ja) ノック式液体容器
KR100605083B1 (ko)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JP2007130437A (ja) 液体容器
JP6281068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US6345922B2 (en) Cartridge type feeding container
KR20140045280A (ko) 노크식 투입 용기
US7051642B2 (en) Liquid container
US4115015A (en) Retractable pen with internal tip seating
JP2001232273A (ja) ノック式液体容器
KR200262081Y1 (ko) 녹크식 액체용기
JP5399839B2 (ja) ノック式繰出容器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JP5173564B2 (ja) ノック式繰出容器
US5004364A (en)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writing element in writing instrument
JP4456414B2 (ja) 筆記具
EP1317891B1 (en) Knocking type liquid container
CA2155713C (en) Mechanical pencil
US20020031393A1 (en) Cap fixing construction
JP7034758B2 (ja) 係合構造
JP6612082B2 (ja) 複式筆記具
JP5234596B2 (ja) ノック式繰出容器
JP7319168B2 (ja) 摩擦具
US4806038A (en) Knock type mechanical pencil connection
CN114073369A (zh) 棒状化妆品送出容器
JP4386338B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