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603A -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603A
KR20110016603A KR1020090074199A KR20090074199A KR20110016603A KR 20110016603 A KR20110016603 A KR 20110016603A KR 1020090074199 A KR1020090074199 A KR 1020090074199A KR 20090074199 A KR20090074199 A KR 20090074199A KR 20110016603 A KR20110016603 A KR 2011001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shoulder portion
cosmetic container
should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049B1 (ko
Inventor
송호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102009007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0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6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pistons o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수납된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공형상의 수용부;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공형상의 내부는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중공 내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펌핑공으로 내용물이 이송되게 하는 격막체가 중공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숄더부; 펌핑공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펌핑부; 및 상측에는 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지지부가 형성되며, 고정숄더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숄더부를 포함하며, 고정숄더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체는 이동숄더부를 가압하여 고정숄더부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미사용시에는 펌핑이 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에만 펌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숄더부, 이동숄더부, 펌핑, 화장용기,

Description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PUMPING TYPE MAKE-UP RECEPTACLE HAVING MOVABLE SHOULDER MEMBER}
본 발명은 펌핑식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배출하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숄더부가 구비되어 펌핑이 제어되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펌핑을 통해 배출하는 방식은 종래에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펌핑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에 치중한 기술이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펌핑이 진행되어 배출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펌핑되는 분량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사용자가 미사용할 때에는 펌핑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만 펌핑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펌핑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셋째, 미사용시에는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구를 폐쇄시키고자 한다.
넷째, 오염된 롤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수납된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공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공형상의 내부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중공 내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펌핑공으로 내용물이 이송되게 하는 격막체가 중공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숄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펌핑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펌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상측에는 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지지부가 형성되며, 고정숄더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숄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체는 이동숄더부를 가압하여 고정숄더부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는 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부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부수용부는 수용부의 배출구와 연통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의 하부수용부 상측에는, 상면에 토출공이 형성된 상부수용부가 배치되어, 하부수용부와 연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의 격막체는 하부수용부의 내부 또는 상부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의 격막체는 하부수용부와 상부수용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탄성체는 고정숄더부의 상부수용부의 일 측에 형성된 탄성체수용부에 배치되며, 탄성체의 하 단은 탄성체수용부와 접하며, 상단은 이동숄더부의 일측에 접하여 이동숄더부를 탄성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고정숄더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와 이동숄더부의 일측에 형성된 레버걸림부가 상호 결합되면 이동숄더부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레버의 일측을 눌러 레버와 레버걸림부의 결합이 해제되면, 이동숄더부는 고정숄더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이동숄더부의 일 측 또는 고정숄더부의 대응되는 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다른 측에는 스토퍼에 맞물리는 형상의 스토퍼 걸림부가 형성되어, 레버와 레버걸림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체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숄더부는 스토퍼와 스토퍼걸림부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롤러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롤러안착부에는 롤러유출공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롤러지지부의 롤러유출공과 상부수용부의 토출공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롤러지지부에는 토출공과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마개가 돌출 형성되어, 이동숄더부가 고정숄 더부와 이격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되면, 마개는 토출공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펌핑부는 몸체가 펌핑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봉 형상으로서, 펌핑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몸체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펌핑공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펌핑시 펌핑공을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펌핑부의 상측에는 펌핑부돌기가 형성되며, 롤러지지부에는 토출공과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푸시봉이 돌출형성되어, 이동숄더부가 고정숄더부의 레버에 결합되면, 푸시봉이 펌핑부돌기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펌핑부는 몸체가 펌핑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봉 형상으로서, 펌핑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펌핑부의 몸체 상단에는 펌핑공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푸시봉이 펌핑부돌기를 누르면 플레이트가 펌핑공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롤러부는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퍼프로 이루어지며, 이동숄더부의 상측에는 롤러부의 퍼프가 안착되는 롤러지지부가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에 있어서, 롤러지지부의 함몰형성된 내부에는 퍼프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롤러안착부가 구비되고, 롤러지지부 상단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회전축이 거치되는 회전축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는 미사용시에는 펌핑이 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에만 펌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펌핑이 가능하게 하는 변환이 특정부분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미 사용시에는 배출구가 폐쇄되어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롤러의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가 구비된 화장용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화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수용부(100), 고정숄더부(200), 펌핑부(300), 이동숄더부(400) 및 롤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100)는 수납된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1개의 개구부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상태의 내용물은 화장용도에 따라 다양한 점도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는 수용부(10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부(100)의 몸체와 결합될 수도 있고, 수용부(100)의 배출구(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구조는 암수 결합, 나사선 결합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는 내용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공형상의 내부는 수용부(100)의 배출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중공 형상의 내부에는 펌핑을 위한 격막체(2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막체(230)는 대략 판 형상으로서 중공 내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된다. 그리고 격막체(230)의 일 측에는 펌핑공(231)이 형성된다. 주로 격막체(23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300)는 격막체(230)의 펌핑공(23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300)의 몸체(310)는 격막체(230)의 펌핑공(231)의 직경보다 작으며, 펌핑공(221)의 형상과 대응되는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펌핑부(300)의 몸체(310)의 몸체(31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펌핑공(231)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320)(330)가 형성되어, 펌핑시 펌핑공(23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400)는 고정숄더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다. 이동숄더부(400)는 고정숄더부(200)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체(251)가 이동숄더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고정숄더부(200)와 이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400)의 상측에는 롤러부(500)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지지부(4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화장용기는 수용부(100) 몸체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고정숄더부(200)의 내부에서 펌핑부(300)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진다. 펌핑에 의해 수용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고정숄더부(200)와 이동숄더부(400)의 연통된 내부 공간을 통해 롤러부(500)에 도달하게 된다. 사용자는 롤러부의 회전되는 퍼프를 통해 피부의 원하는 위치에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는 하부플레이트(210)의 일측에 하부수용부(2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수용부(220)는 수용부(100)의 배출구(110)와 연통결합되어 내용물을 이송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고정숄더부(200)의 하부수용부(220) 상측에는 상부수용부(240)가 배치된다. 상부수용부(240)는 상면에 토출공(241)이 형성되며 하부수용부(2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의 격막체(230)는 하부수용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부수용부(24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수용부(220)와 상부수용부(240)의 내벽면에서 돌출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부품단위로 제작되어 끼움결합 등으로 결합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의 격막체(230)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수 용부(220)와 상부수용부(240)의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부품단위로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251)는 고정숄더부(20)의 상부수용부(240)의 일 측에 형성된 탄성체수용부(250)에 배치된다. 탄성체(251)의 하단은 탄성체수용부(250)와 접하며, 상단은 이동숄더부(400)의 일측에 접하여 이동숄더부(400)를 탄성 가압하여 위로 밀어내게 된다.
사용자가 화장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숄더부(400)는 탄성체(251)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이동이 저지되어 고정숄더부(2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200)의 일측에는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260)가 구비된다. 레버(260)는 일측을 누르면 유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숄더부(400)의 대응되는 일측에는 레버걸림부(430)가 형성된다. 고정숄더부(200)의 레버(260)와 이동숄더부(400)의 레버걸림부(430)가 상호결합되면, 탄성체(251)의 가압체도 불구하고 이동숄더부(400)는 고정숄더부(200)로부터 이동되지 못하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레버(260)의 일측을 누르면, 레버(260)가 유동되면서 레버걸림부(43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호 결합이 해제되면 이동숄더부(400)는 탄성체(251)의 가압에 의해 고정숄더부(200)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탄성체(251)에 의해 이격되는 이동숄더부(400)는 소정 거리를 이격한 후에는 이동이 저지되어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숄더부(400)의 일 측 또는 상기 고정숄더부(200)의 대응되는 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스토퍼(440)가 형성되고, 다른 측에는 스토퍼(440)에 맞물리는 형상의 스토퍼 걸림부(2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이동숄더부(400)의 일 측에는 스토퍼(440)가 형성되고, 고정숄더부(200)의 대응되는 타 측에는 스토퍼걸림부(270)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한다.(도 5 참조)
즉 고정숄더부(200)의 레버(260)와 이동숄더부(400)의 레버걸림부(430)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체(251)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숄더부(400)는, 이동숄더부(400)의 스토퍼(440)와 고정숄더부(200)의 스토퍼걸림부(270)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이동이 저지되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지지부(410)의 내부에 형성된 롤러안착부(411)의 하부에 롤러유출공(412)에 구비된다.
이동숄더부(400)와 고정숄더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숄더부(200)의 상부수용부(240)의 상부 외면과 이동숄더부(400)의 롤러지지부(410)의 롤러안착부(411)의 하부 외면이 접하게 된다.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과 롤러안착부(411)의 롤러유출공(412)이 상호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내용물 누출방지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과 롤러안착부(411)의 롤러유출공(412)이 상호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면, 이동숄더부(400)와 고정숄더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수용부(240)에 수용된 내용물이 롤러유출공(412)으로 유출되는 것이 곤란할 것이다.
다만, 내용물 유출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을 폐쇄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안착부(411)의 하부 외면 중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과 상호 중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된 마개(4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 참조)
이 경우, 이동숄더부(400)가 고정숄더부(200)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결합되면, 마개(414)는 토출공(241)에 삽입되면서 토출공(241)을 폐쇄시켜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는 고정숄더부(200)의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된 실시예이다.
내용물의 유출방지를 위하여 격막체(230)의 펌핑공(231)을 차단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300)의 상측에는 펌핑부돌기(330)가 형성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롤러지지부(410)의 롤러안착부(411)의 하부 외면에는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과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푸시봉(미도시)이 돌출형성된다. 이 경우 이동숄더부(400)가 고정숄더부(200)의 레버(260)에 결합되면, 이동숄더부(400)의 푸시봉이 펌핑부돌기(330)를 누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300)의 몸체(310) 상단에는 펌핑공(231)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320)가 형성되어, 푸시봉(414)이 펌핑부돌기(321)를 누르면 플레이트(320)가 펌핑공(231)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개(414)를 푸시봉으로 활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개(414)로 상부수용부(240)의 토출공(241)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펌핑부(300)의 플레이트(320)로 격막체(230)의 펌핑공(231)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500)는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520)이 구비된 퍼프(510)로 이루어진다. 이동숄더부(400)의 상측에는 롤러부(500)의 퍼프(510)가 안착되는 롤러지지부(410)가 함몰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숄더부(400)의 롤러지지부(410)의 함몰형성된 내부에는 퍼프(51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롤러안착부(411)가 구비된다. 또한 롤러지지부(410) 상단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롤러부(500)의 회전축(520)이 거치되는 회전축거치대(41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500)는 이동숄더부(400)의 회전축거치대(4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퍼프(510)가 오염되면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 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화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 이동숄더부, 롤러부 및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숄더부, 이동숄더부, 펌핑부, 롤러부 및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용부 110 : 배출부
200 : 고정숄더부 210 : 하부플레이트
220 : 하부수용부 230 : 격막체
231 : 펌핑공 240 : 상부수용부
250 : 탄성체수용부 251 : 탄성체
260 : 레버 270 : 스토퍼걸림부
300 : 펌핑부 310 : 몸체
320 : 플레이트 330 : 펌핑부돌기
400 : 이동숄더부 410 : 롤러지지부
411 : 롤러안착부 412 : 롤러유출공
413 : 회전축거치대 414 : 마개
420 : 탄성체가압브 430 : 레버걸림부
440 : 스토퍼 500 : 롤러부
510 : 퍼프 520 : 회전축
600 : 커버

Claims (17)

  1. 수납된 액체상태의 내용물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공형상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공형상의 내부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중공 내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펌핑공으로 내용물이 이송되게 하는 격막체가 중공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정숄더부;
    상기 펌핑공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펌핑부; 및
    상측에는 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숄더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숄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숄더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체는 상기 이동숄더부를 가압하여 고정숄더부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숄더부는 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부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배출구와 연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숄더부의 하부수용부 상측에는, 상면에 토출공이 형성된 상부수용부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수용부와 연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숄더부의 격막체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내부 또는 상기 상부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숄더부의 격막체는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숄더부의 상부수용부의 일 측에 형성된 탄성체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의 하단은 탄성체수용부와 접하며, 상단은 상기 이동숄더부의 일측에 접하여 이동숄더부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숄더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와 상기 이동숄더부의 일측에 형성된 레버걸림부가 상호 결합되면 이동숄더부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을 눌러 상기 레버와 상기 레버걸림부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숄더부는 고정숄더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숄더부의 일 측 또는 상기 고정숄더부의 대응되는 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다른 측에는 스토퍼에 맞물리는 형상의 스토퍼 걸림 부가 형성되어,
    레버와 레버걸림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체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숄더부는 스토퍼와 스토퍼걸림부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롤러안착부에는 롤러유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의 롤러유출공과 상기 상부수용부의 토출공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에는 상기 토출공과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마개가 돌출 형성되어,
    이동숄더부가 고정숄더부와 이격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되면, 상기 마개는 상 기 토출공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몸체가 상기 펌핑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봉 형상으로서, 펌핑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몸체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펌핑공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펌핑시 펌핑공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의 상측에는 펌핑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지지부에는 상기 토출공과 상호 중첩되는 부분에 푸시봉이 돌출형성되어,
    이동숄더부가 고정숄더부의 레버에 결합되면, 상기 푸시봉이 펌핑부돌기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몸체가 상기 펌핑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봉 형상으로서, 펌핑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펌핑부의 몸체 상단에는 상기 펌핑공의 직경보다 큰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푸시봉이 펌핑부돌기를 누르면 상기 플레이트가 펌핑공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퍼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숄더부의 상측에는 상기 롤러부의 퍼프가 안착되는 롤러지지부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의 함몰형성된 내부에는 상기 퍼프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롤러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지지부 상단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거치되는 회전축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1020090074199A 2009-08-12 2009-08-12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10112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9A KR10112304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9A KR10112304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03A true KR20110016603A (ko) 2011-02-18
KR101123049B1 KR101123049B1 (ko) 2012-03-15

Family

ID=4377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99A KR101123049B1 (ko) 2009-08-12 2009-08-12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0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63A1 (ko) * 2012-03-26 2013-10-03 나라엠앤디 주식회사 퍼프, 버튼블럭, 상기 퍼프 및 버튼블럭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67308B1 (ko) * 2012-03-26 2014-02-28 나라엠앤디(주) 화장품 용기용 로울러 퍼프
KR102127835B1 (ko) * 2020-01-14 2020-06-29 이정윤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211914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236B1 (ko) 2012-09-20 2014-05-02 (주)에스엔피월드 마사지 겸용 화장도포장치
KR200473936Y1 (ko) 2013-07-16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0494A1 (it) * 2002-03-08 2003-09-08 Fulvio Reggiani Contenitore applicatore di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uso cosmetico e farmaceutico
KR20080002958U (ko) * 2007-01-25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0448235Y1 (ko) * 2008-01-03 2010-03-25 (주)에스엔피월드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63A1 (ko) * 2012-03-26 2013-10-03 나라엠앤디 주식회사 퍼프, 버튼블럭, 상기 퍼프 및 버튼블럭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67308B1 (ko) * 2012-03-26 2014-02-28 나라엠앤디(주) 화장품 용기용 로울러 퍼프
KR102127835B1 (ko) * 2020-01-14 2020-06-29 이정윤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211914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KR20220079328A (ko) * 2020-12-04 2022-06-13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049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049B1 (ko)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101943681B1 (ko) 스퀴즈 용기
KR200460321Y1 (ko)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US20160073762A1 (en)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KR101072843B1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KR20080002044U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JP2017515758A (ja) 携帯型のリフィル可能なクリームディスペンサー
KR20170108311A (ko) 화장품 용기
KR101150776B1 (ko)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535087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JP3163023U (ja) ディスペンサ容器
TWI258354B (en) Dispenser container
KR20150022355A (ko)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JP4781932B2 (ja)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KR101185606B1 (ko)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102581360B1 (ko) 액체 메이크업 케이스용 리필 그리고 케이스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20160043309A (ko) 회전가압식 이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1102601B1 (ko)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101781112B1 (ko) 화장품용기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200012537A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CN216405621U (zh) 一种用于添加液体的加液装置及马桶
CN216306793U (zh) 一种定量挤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