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355A -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 Google Patents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355A
KR20150022355A KR20130100077A KR20130100077A KR20150022355A KR 20150022355 A KR20150022355 A KR 20150022355A KR 20130100077 A KR20130100077 A KR 20130100077A KR 20130100077 A KR20130100077 A KR 20130100077A KR 20150022355 A KR20150022355 A KR 20150022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container body
amount
pump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장용희
Original Assignee
이정미
장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장용희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2013010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355A/ko
Publication of KR2015002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식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수단이 구비된 액체 배출용 누름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수단의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 시에는 토출기능이 록킹될 수 있도록 누름수단에 잠금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의도되지 않게 액체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활용 시에는 해당 용량에 필요한 정확한 액체량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a container}
본 발명은 원터치식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수단이 구비된 액체 배출용 누름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수단의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 시에는 토출기능이 록킹될 수 있도록 누름수단에 잠금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의도되지 않게 액체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 시에는 해당 용량에 필요한 정확한 액체량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터치식 액체 배출용기는 액상 또는 겔상태의 화장품, 세제류 또는 요리에 필요한 액상 양념류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터치식의 누름압력을 가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출용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55052호의 '원터치식 액체 배출용기'가 공지되어 있는바, 이의 구성과 작동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소정량의 액체가 채워지고 상단에 체결부(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체결부(11)에 체결되고 중앙에 관통공(21)이 천공된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의 관통공(21)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액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배출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체배출수단(30)은 뚜껑(20)의 관통공(21)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상부몸체(31)와, 상기 뚜껑(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몸체(31)와 결합되는 하부몸체(32)와,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31)를 관통하여 하부몸체(32) 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부몸체(3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형상의 이송부재(33)와, 상기이송부재(33)의 타단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배출노즐(34a)이 돌출 형성된 누름부재(34)와, 상기 이송부재(33)의 하측 구멍에 배치되는 이송패드부재(36)와, 상기 이송패드부재(36)를 윗쪽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스프링(37)과, 상기 압축스프링(37)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몸체(32)의 하단 구멍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구형상의 볼(3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액체배출수단(30)이 용기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재(34)의 상면을 눌러주면 그 누름부재(34)와 결합된 이송부재(33)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 이송부재(33)의 이동에 상기 이송패드부재(36)가 압축스프링(37)을 압축하므로 볼(38)이 하부몸체(32)의 하단 구멍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몸체(32)내의 액체는 이송패드부재(36)의 사이를 통해 이송부재(33)내로 유입되어 누름부재(34)의 배출노즐(34a)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누름부재(34)에 인가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압축스프링(37)이 팽창되면서 이송패드부재(36)에 탄성력을 인가하게 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압력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하부몸체(32)의하단 구멍을 통해 용기본체(10)의 액체가 상기 하부몸체(32)내에 흡인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누름부재(34)의 누름동작을 수행하여 용기본체(10)내의 액체를 배출시키고, 다른한 손으로 배출된 액체를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KR 20-0455052 (등록번호) 2011.08.08. KR 20-0427103 (등록번호) 2006.09.14. KR 10-1188079 (등록번호) 2012.09.10.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액상 배출용기는 누름부재를 가압할 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이 항상 일정한 것으로, 사용되는 장소나 유형 또는 사용자에 따라 배출되는 액체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원터치식 액상 배출용기를 요리용 양념액상 저장 용기로 사용할 경우, 요리에 필요한 양을 해당 숟가락에 토출 공급하기 어려워 해당 요리에 필요량을 맞추어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용기본체는 내부의 바닥면이 편평함에 따라, 바닥면에 잔량으로 남아 있는 액체를 다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잔량의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고 상기 용기본체를 기울인 상태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액체의 양이 누름수단의 위치에 따라 조절하여 원터치식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시에는 토출기능이 록킹될 수 있도록 누름수단에 잠금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의도되지 않게 액체가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 내에 잔량의 상태로 남은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이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량의 액체가 저장되고 상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설되어 액체를 빨아 올리는 액체펌핑관, 상기 액체펌핑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빨아 올린 액체를 외부로 토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관, 및 상기 액체펌핑관과 상기 토출관의 단부를 고정하여 이들이 상호 연통되면서 탄성적으로 눌러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시부로 이루어진 누름수단; 및
상기 누름수단의 외부에 삽설되면서 그 하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토출관이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정홈이 형성된 외부케이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는 용기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액체의 양이 누름수단의 위치에 따라 조절하여 토출될 수 있어 필요한 량을 적량만큼 편리하게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시에는 토출기능이 록킹될 수 있도록 누름수단에 잠금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 시에는 의도되지 않게 액체가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 내에 잔량의 상태로 남은 액체를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배출시켜 이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구비된 누름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에 구비된 토출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의 입구부 상세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배출용기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량의 액체가 저장되고 상단부에 체결부(111)가 형성되는 용기본체(110)와;
상기 체결부(111)에 체결되는 고정부(121)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삽설되어 액체를 빨아 올리는 액체펌핑관(122), 상기 액체펌핑관(122)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빨아 올린 액체를 외부로 토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관(123), 및 상기 액체펌핑관(122)과 상기 토출관(123)의 단부를 고정하여 이들이 상호 연통되면서 탄성적으로 눌러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시부(124)로 이루어진 누름수단(120); 및
상기 누름수단(120)의 외부에 삽설되면서 그 하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10)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토출관(123)이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정홈(131)이 형성된 외부케이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고정홈(131)은 그 입구부가 상기 토출관(123)이 약간 빡빡하게 끼워져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30)에는 상기 푸시부(124)의 작동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고정홈(131)의 측면으로 연이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1,2,3단의 단차턱(132,133,134)이 차례로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1,2,3단의 단차턱(132,133,134)은 그 이상의 단으로 단차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100)는 상기 토출관(123)이 상기 끼움고정홈(131)에 끼워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부(124)가 눌려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하여 보관 이동하면 그 이동 또는 보관 시에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토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124)를 회전하여 상기 토출관(123)을 상기 끼움고정홈(131)로부터 빼내면 이를 눌러(푸시) 줄 수가 있게 되면서 그 잠금수단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124)에 구비된 상기 토출관(123)을 상기 1,2,3단의 단차턱(132,133,134)에 순차로 각각 맞추어(대응되도록 하여) 준 다음 상기 푸시부(124)를 눌러주게 되면 그 눌러지는 깊이가 각 단차별로 각각 달라지면서 상기 토출관(12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액체의 양도 각각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1,2,3단의 단차턱(132,133,134)에 각각 토출되는 양을 부피 또는 무게단위로 설정하여 표기해 두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즉, 상기 1단차턱(132)에는 10g, 10ml, 두스푼 등과 같이 해당되는 각 단차턱(132,133,134)의 하부측에 토출되는 양을 다양한 방식(단위)으로 표기하여 두게 되면 사용 시에 소요되는 해당 양만큼 상기 토출관(123)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할 수가 있어 상당히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2,3단의 단차턱(132,133,134)의 바닥면은 상기 토출관(123)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124)가 회전되면서 눌러줄 때 상기 토출관(123)이 해당하는 각 단차턱(132,133,134)의 오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면서 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123)의 단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액체를 구멍으로 분출 또는 노즐을 통해 분무시킬 수 있도록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출변환구(125)의 구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출변환구(125)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누르면 액체가 분출되고 타측으로 누르면 노즐을 통해 액체가 분무되는 구조로, 씽크대 수도꼭지와 같은 이러한 구조는 일반 공지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분출변환구(125)는 액체가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노즐을 통해 분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별개로 제조하여 상호 교환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토출관(123)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분출변환구(125)에는 이를 막아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마개(126)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126)는 와이어(127)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관(123)에 연결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111)의 내측에는 그 일측에 액체가 모아지면서 외부로 용이하게 따라 낼 수 있도록 하는 단일쐐기형상부(112)가 구비되어 있고, 또 그 반대측에는 액체가 다수의 방향으로 갈라지면서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쐐기 모양으로 된 복합쐐기형상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수단(120)에 구비된 상기 액체펌핑관(122)은 그 하부측이 양쪽으로 각각 분지되어 제1액체펌핑관(122a)과 제2액체펌핑관(122b)로 나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액체펌핑관(122a)과 제2액체펌핑관(122b)로 분지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액체펌핑관(122a)과 상기 제2액체펌핑관(122b)의 단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부(122c)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주름부(122c)에 의해 단부에서 펌핑되는 면적을 크게할 수 있어 상기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액체가 잔량으로 남겨지지 않고 마지막까지 모두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부(124)의 세부구성 즉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구체적인 탄성수단 및 이의 설치 구성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100)가 작동되는 절차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액체를 수납 저장하고 상기 체결부(111)를 통해 상기 누름수단(120)을 삽입 설치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외부케이스(130)을 상기 누름수단(120)의 외부측으로 삽설 고정하면서 상기 토출관(123)을 상기 끼움고정부(131)에 끼워 고정한다.(도 4a 참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 시에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의도되지 않게 외부로 유츨되는 것을 막이 줄 수가 있게 된다.
이어 상기 토출관(123)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끼움고정부(131)로부터 빼낸 다음 상기 푸시부(124)를 수직으로 눌러(푸시)주게 되면, 상기 도 4b와 같이 상기 토출관(123)이 상기 제1단차턱(132)에 지지될 때까지 눌려지면서 액체가 이에 해당하는 양만큼 토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요되는 액체의 양이 많으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4c 또는 도 4d와 같이 상기 토출관(123)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린 후 상기 푸시부(124)를 수직으로 눌러(푸시)주게 되면 액체가 상기 제2단차턱(133) 또는 상기 제3단차턱(134)에 해당하는 양만큼 토출되어 편리하게 그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는 누름수단에 구비된 푸시부의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 시에는 토출기능이 록킹될 수 있도록 누름수단에 구비된 끼움고정부를 통해 잠금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의도되지 않게 액체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 시에는 해당 용량에 필요한 정확한 액체량을 토출시킬 수 있어 활용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 내에 잔량의 상태로 남은 액체를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100: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110:용기본체
111:체결부 112:단일쐐기형상부 113:복합쐐기형상부
120:누름수단
121:고정부 122:액체펌핑관 122a:제1액체펌핑관 122b:제2액체펌핑관
122c:주름부 123:토출관 124:푸시부 125:분출변환구 126:마개
127:와이어
130:외부케이스
131:끼움고정부 132,133,134:단차턱

Claims (7)

  1. 내부에 소정량의 액체가 저장되고 상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설되어 액체를 빨아 올리는 액체펌핑관, 상기 액체펌핑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빨아 올린 액체를 외부로 토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관, 및 상기 액체펌핑관과 상기 토출관의 단부를 고정하여 이들이 상호 연통되면서 탄성적으로 눌러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시부로 이루어진 누름수단; 및
    상기 누름수단의 외부에 삽설되면서 그 하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토출관이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정홈이 형성된 외부케이스;로 구성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푸시부의 작동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고정홈의 측면으로 연이어 차례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1,2,3단의 단차턱 또는 그 이상의 단차턱으로 형성 구비되어 이루어진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2,3단의 단차턱에는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양을 부피 또는 무게단위로 표기하여 구성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1,2,3단의 단차턱 또는 그 이상의 단차턱은 그 바닥부측이 아래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가 형성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단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구멍으로 분출 또는 노즐을 통해 분무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를 통해 변환이 가능한 분출변환구(125)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는 그 일측에 액체가 모아지면서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도록 하는 단일쐐기형상부가 구비되고, 또 그 반대측에는 액체가 다수의 방향으로 갈라지면서 외부로 따라 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쐐기 모양으로 된 복합쐐기형상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에 구비된 상기 액체펌핑관은 그 하부측이 양쪽으로 각각 분지되어 제1액체펌핑관과 제2액체펌핑관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액체펌핑관과 상기 제2액체펌핑관의 단부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부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KR20130100077A 2013-08-23 2013-08-23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KR20150022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077A KR20150022355A (ko) 2013-08-23 2013-08-23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077A KR20150022355A (ko) 2013-08-23 2013-08-23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355A true KR20150022355A (ko) 2015-03-04

Family

ID=5302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077A KR20150022355A (ko) 2013-08-23 2013-08-23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35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56Y1 (ko) *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200485233Y1 (ko) 2016-07-15 2017-12-11 김나경 펌프 용기의 배출량 조절장치
KR20200057310A (ko) * 2018-11-16 2020-05-26 강준우 탈부착 가능하고 정량의 액체를 펌핑 가능한 수용 용기
CN111392233A (zh) * 2020-03-04 2020-07-10 常州大学 一种防误压乳液泵
KR20220161953A (ko) * 2021-05-31 2022-12-07 에스피티주식회사 용기의 사용량 제어 펌프
KR102651071B1 (ko) * 2023-02-10 2024-03-25 주식회사 강동그룹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56Y1 (ko) *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200485233Y1 (ko) 2016-07-15 2017-12-11 김나경 펌프 용기의 배출량 조절장치
KR20200057310A (ko) * 2018-11-16 2020-05-26 강준우 탈부착 가능하고 정량의 액체를 펌핑 가능한 수용 용기
CN111392233A (zh) * 2020-03-04 2020-07-10 常州大学 一种防误压乳液泵
KR20220161953A (ko) * 2021-05-31 2022-12-07 에스피티주식회사 용기의 사용량 제어 펌프
KR102651071B1 (ko) * 2023-02-10 2024-03-25 주식회사 강동그룹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355A (ko)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US6454135B1 (en) Dual liquid dispensing packages
US20100170917A1 (en)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US20160286932A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101079725B1 (ko) 유체용기의 펌핑장치 및 누름버튼
JP3163023U (ja) ディスペンサ容器
KR20130003847U (ko)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WO2011071302A3 (ko)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123049B1 (ko)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70112629A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100895882B1 (ko)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101770553B1 (ko) 듀얼 펌프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JP4483260B2 (ja) 液体塗布容器
KR20090008477U (ko) 접시형 디스펜서 용기
CN210184839U (zh) 一种新型的化妆品容器
KR101026594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액체용기
GB2342407A (en) Dispensing pump usable with one hand
CN220045158U (zh) 多功能泵头和多功能化妆瓶
CN214085703U (zh) 一种单手按压的液体分配器
JP2005239244A (ja) 吐出器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