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071B1 -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 Google Patents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071B1
KR102651071B1 KR1020230018095A KR20230018095A KR102651071B1 KR 102651071 B1 KR102651071 B1 KR 102651071B1 KR 1020230018095 A KR1020230018095 A KR 1020230018095A KR 20230018095 A KR20230018095 A KR 20230018095A KR 102651071 B1 KR102651071 B1 KR 10265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head
type
container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욱
강상훈
유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동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동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동그룹
Priority to KR102023001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건타입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를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시키되, 일측이 상기 건타입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건타입부가 동시에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프레스타입부; 및 상기 헤드부 하단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건타입부 또는 상기 프레스타입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는 띠 형상의 분사세기조절부를 포함하는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Dual spray heads with adjustable spray power}
본 발명은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으로,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타입으로, 사용자의 취향, 환경, 목적 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헤드부드는 액체와 액화된 가스를 함께 투입하고 밀봉하는 용기와 결합하여, 밀봉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레이 헤드부드와 연결되는 노즐을 이루는 스템이 설치되고 스템에서 연결된 스트로가 용기 내부의 액체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액화된 가스가 액체를 노즐로 밀어내면서 노즐을 통하여 액체가 분사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프레이 헤드부드가 결합된 스프레이 용기는 기능성을 가진 액체의 물질을 졸 형태로 분사하게 되는데, 저장된 액체의 물질 종류에 따라 항균제 스프레이 용기, 방향제 스프레이 용기, 세척제 스프레이 용기, 도료 스프레이 용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용기와는 달리 가스를 분사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가스 스프레이 용기도 존재한다.
가스 스프레이 용기의 예로는 먼지 제거용 스프레이 용기와 가스 토치용 스프레이 용기을 들 수 있다.
먼지 제거용 스프레이 용기는 고압의 가스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켜 대상물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용되고, 가스 토치용 스프레이 용기는 인화성 가스를 고압으로 분사시켜서 화염으로 특정 부위를 가열하거나 절단하는데 이용된다.
스프레이 용기의 상측에는, 스프레이 용기의 작동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장치는 스프레이 용기의 스템(노즐)과 연결되어 내부의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499968호는 "에어로졸분사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해충방제 성분을 포함하는 원액과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이 봉입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단에 돌출해 있는 밸브 스템과, 이 밸브 스템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밸브 스템과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하는 통로를 갖는 조작부를 갖고, 이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용기 내의 에어로졸이 외부로 분사되고, 이 분사물은 해충방제 성분의 공기 중 농도가 분사공간에서 적어도 5분간 감소되지 않는 에어로졸 분사 장치임을 기재하고 있고, 이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해충방제 효과가 우수함을 언급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68454호는 "에어로졸 분무기"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원통형의 본체부와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져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하고, 또한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분을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분사구 및 분사 버튼을 구비하여, 이 분사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캡의 분사 조작 수단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용기와 결합된 스프레이 헤드는 스프레이 용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분사하는 Press type 또는 분사되는 분사홀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겨 분사하는 Gun type만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 환경, 목적 등에 따라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사 세기를 조절하는 분사 세기 조절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분사되는 내용물의 양과 세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99968호(등록일: 2005.06.29) 특허문헌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8454호(등록일: 2007.10.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하여, 분사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와 결합된 스프레이 헤드를 스프레이 용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Press type과, 사용자가 스프레이 헤드 방향으로 잡아당겨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Gun type을 사용자의 취향, 환경, 목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건타입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를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시키되, 일측이 상기 건타입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건타입부가 동시에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프레스타입부; 및 상기 헤드부 하단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건타입부 또는 상기 프레스타입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는 띠 형상의 분사세기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되, 상기 분사세기조절부 상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따라, 상기 건타입부 및 상기 프레스타입부의 작동을 차단 또는 상기 분사세기조절부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분사세기조절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상기 잠금부가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상부면이 상기 잠금부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홀드홈과, 상기 홀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이격 형성되어,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다단으로 홈이 형성되는 다단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다단홈이 형성되는 다단턱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 외측 둘레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1단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는, 상기 프레스타입부 가압 시, 상기 제1단부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분사홀과, 일측은 상기 배출분사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 내부의 수용된 내용물까지 연장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하여, 분사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와 결합된 스프레이 헤드를 스프레이 용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Press type과, 사용자가 스프레이 헤드 방향으로 잡아당겨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Gun type을 사용자의 취향, 환경, 목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사용에 있어, 잠금 설정이 가능하여, 미취학 아동과 더불어 사용 방법에 취약한 사용자로부터 보호(눈, 코, 입, 타인의 신체 일부 등에 분사되어 발생되는 문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다단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건타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다단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의 건타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10)는, 헤드부(100)와, 배출부(200)와, 건타입부(300)와, 프레스타입부(400) 및 분사세기조절부(5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부(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미도시) 상단에 결합된다.
더불어 용기는 그 내부에 내용물로서 액체 및 압축 가스가 함께 수용되거나 또는 가스(액화된 가스)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용기의 범위에는, 공지의 에어로졸 용기(aerosol can)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 중인 용기 내부는 외부에 비하여 고압의 상태가 유지되며, 이러한 압력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헤드부(100)는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부(110)는 용기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부(120)는 제1단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단부(110) 외측 둘레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제1단부(11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단부(120) 상부에 제1단부(11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프레스타입부(400)를 사용 시, 제2단부(120)를 가압하면 제2단부(120)는 제1단부(11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될 수 있다.
한편, 프레스타입부(400)를 가압 시, 제2단부(120)가 제1단부(110)로 가압될 때,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배출부(200)는 헤드부(100) 내측과 연통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배출부(200)는 배출분사홀(210)과, 분사노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분사홀(210)은 헤드부(100) 내측과 연통되어 헤드부(100) 외부로 돌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분사홀(210)은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분사홀(210)은 내용물이 분사될 때 다양한 모양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홀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배출분사홀(210)은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부(220)는 일측은 배출분사홀(2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 내부의 수용된 내용물까지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분사노즐부(220)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는 내용물이 분사노즐부(220)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내용물노즐부(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노즐부(미도시)는 벨브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벨브스템은 용기의 상측에는 형성되며, 밸브스템을 통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헤드부(100)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외력의 작용시 밸브스템이 아래쪽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밸브스템 내부의 통로가 개방되고, 이때 용기 내부의 강한 압력에 의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밸브스템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밸브스템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밸브스템이 위쪽으로 다시 회복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부는 내용물노즐부와 결합 시, 내용물이 외부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지부(미도시)는 갓 모양(점점 위로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부는 점점 위로 좁아지는 모양으로, 좁아지는 부분이 분사노즐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토출될 때 외부로 세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분사노즐부(220)는 방지부의 갓 모양과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건타입부(300)는 헤드부(100)에 장착되고, 배출부(200)와 결합되어, 배출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건타입부(300)는 일체로 형성되되, 가압안내부(410)와 접촉되는 제1건타입부재(310)와, 헤드부(100)에 접촉되는 제2건타입부재(320)와,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3건타입부재(330)와, 배출분사홀(210)이 삽입되는 제4건타입부재(340) 및 분사노즐부(220)가 삽입되는 제5건타입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건타입부재(320) 중앙에는 가압안내부(41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건타입부재(310) 내지 제5건타입부재(350)는 헤드부(100)의 외면 굴곡에 대응되도록 굴곡 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즉, 건타입부(300) 모두 동일하고 균등하게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제3건타입부(33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4건타입부(340)는 배출분사홀(2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배출홀결합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건타입부(330)는 배출분사홀(210)에서 내용물이 분사된 후 잔여물이 사용자의 손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3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지턱(331)은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를 바닥에 떨어트리는 등 손상이 가해져 배출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스타입부(400)는, 헤드부(100)에 장착되어, 헤드부(100)를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시키되, 일측이 건타입부(300)와 접촉되면서 헤드부(100)와 건타입부(300)가 동시에 용기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배출부(200)를 작동시킨다.
또한 프레스타입부(400)는 헤드부(100) 상부에 장착되어, 프레스타입부(400)를 나타내는 문양이 형성되는 가압안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안내부(410)는 상부 외측면에 화살표 문양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프레스타입부(400)를 가압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가압안내부(41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원형 중앙에 건타입부(300)와 결합되는 건타입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건타입결합부는 건타입부(300)에 결합되기 위해 두께, 폭, 길이 등과 대응되게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가압안내부(410)는 원형이외에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세기조절부(500)는, 띠 형상으로, 헤드부(100) 하단(제2단부;120)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건타입부(300) 또는 프레스타입부(400)의 작동에 따라 배출부(200)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분사 세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분사세기조절부(500)는 헤드부(100)에서 회전 결합되기 위해, 내측면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는 분사세기조절부(500)가 헤드부(10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헤드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미도시)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분사세기조절부(500)는 헤드부(100)에 결합되되, 분사세기조절부(500) 상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따라 건타입부(300) 및 프레스타입부(400)의 작동을 차단 또는 분사세기조절부(500)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분사세기 조절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510)는 잠금 설정이 가능하여, 미취학 아동과 더불어 사용 방법에 취약한 사용자로부터 보호(눈, 코, 입, 타인의 신체 일부 등에 분사되어 발생되는 문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분사세기조절부(500)는, 홀드홈(520)과, 다단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드홈(520)은 잠금부(510)가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상부면이 잠금부(510)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단홈(530)은 홀드홈(520)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이격 형성되어,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다단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다단홈(530)은 1단계, 2단계, 3단계...로, 1단계에서 3단계 방향으로 점점 홈이 깊에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3단계에서 1단계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홈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세기노즐부는 외측면에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단계와, 잠금부(510)를 나타내는 문구가 세겨질 수 있다.
또한 분사세기조절부(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회전되면 잠금부(510)가 다단홈(530)이 형성되는 다단턱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잠금부(510)는 다단홈(530)의 깊이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더욱이 분사세기조절부(500)는 예로, 3단계 분사 세기가 사용되기 위해, 잠금부(510)가 3단계의 다단홈(530)에 슬라이딩 되어, 다단턱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후, 제3건타입부재(330)를 헤드부(100) 방향으로 당기면, 3단계에 대응하는 홈으로 당겨져, 내용물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건타입부재(330)가 헤드부(100) 방향으로 다단홈(530)의 깊이에 따라 밀착되는 만큼 분사 세기 조절이 될 수 있다.
즉, 다단홈(530)이 1단계에서 다단홈(530)의 깊이가 2단계보다 높으면, 제3건타입부재(330)가 헤드부(100)와 밀착되는 일면이 다단홈(530)을 형성하는 홈턱(531)에 걸려, 분사되는 세기가 약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하여, 분사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와 결합된 스프레이 헤드를 스프레이 용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Press type과, 사용자가 스프레이 헤드 방향으로 잡아당겨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Gun type을 사용자의 취향, 환경, 목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사용에 있어, 잠금 설정이 가능하여, 미취학 아동과 더불어 사용 방법에 취약한 사용자로부터 보호(눈, 코, 입, 타인의 신체 일부 등에 분사되어 발생되는 문제)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100 : 헤드부
110 : 제1단부
120 : 제2단부
200 : 배출부
210 : 배출분사홀
220 : 분사노즐부
300 : 건타입부
310 : 접촉부
320 : 제1건타입부재
330 : 제2건타입부재
340 : 제3건타입부재
341 : 방지턱
350 : 제4건타입부재
400 : 프레스타입부
410 : 가압안내부
500 : 분사세기조절부
510 : 잠금부
520 : 홀드홈
530 : 다단홈
531 : 홈턱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측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건타입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를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시키되, 일측이 상기 건타입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건타입부가 동시에 상기 용기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작동시키는 프레스타입부; 및
    상기 헤드부 하단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건타입부 또는 상기 프레스타입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는 띠 형상의 분사세기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되, 상기 분사세기조절부 상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선택에 따라, 상기 건타입부 및 상기 프레스타입부의 작동을 차단 또는 상기 분사세기조절부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분사세기조절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상기 잠금부가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상부면이 상기 잠금부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홀드홈과,
    상기 홀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이격 형성되어, 분사 조절의 복수의 세기별로, 깊이가 상이하게 다단으로 홈이 형성되는 다단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세기조절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사 조절의 세기별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부가 상기 다단홈에 깊이가 상이하게 다단으로 형성된 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홈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분사 세기는 상기 잠금부가 슬라이딩된 상기 다단홈의 홈의 깊이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용기 상단에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 외측 둘레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1단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부는,
    상기 프레스타입부 가압 시, 상기 제1단부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인,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분사홀과,
    일측은 상기 배출분사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 내부의 수용된 내용물까지 연장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KR1020230018095A 2023-02-10 2023-02-10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KR10265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095A KR102651071B1 (ko) 2023-02-10 2023-02-10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095A KR102651071B1 (ko) 2023-02-10 2023-02-10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071B1 true KR102651071B1 (ko) 2024-03-25

Family

ID=9047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095A KR102651071B1 (ko) 2023-02-10 2023-02-10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0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968B1 (ko) 1996-04-19 2005-10-12 아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분사장치
KR100768454B1 (ko) 1999-12-03 2007-10-19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분무기
KR20120010451A (ko) *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보관용기
KR20150022355A (ko) * 2013-08-23 2015-03-04 이정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KR200484156Y1 (ko) *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457597B1 (ko) * 2022-04-01 2022-10-24 정용욱 듀얼 스프레이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968B1 (ko) 1996-04-19 2005-10-12 아스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분사장치
KR100768454B1 (ko) 1999-12-03 2007-10-19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분무기
KR20120010451A (ko) *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보관용기
KR20150022355A (ko) * 2013-08-23 2015-03-04 이정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누름용기
KR200484156Y1 (ko) *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457597B1 (ko) * 2022-04-01 2022-10-24 정용욱 듀얼 스프레이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66207A (en) Trigger type head cap for an aerosol sprayer
TW200631876A (en) Head cap for aerosol type atomizer
JP2003230854A (ja) 噴出ポンプ装置、噴出バルブ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噴出器
KR102654590B1 (ko) 복수의 분사 방식을 갖는 스프레이 헤드
JP2006205033A (ja) トリガー噴射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トリガー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KR102651071B1 (ko)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JP4460380B2 (ja) 操作補助部材および該操作補助部材を備えた噴射装置
JP2006143222A (ja) 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JP4059643B2 (ja) 噴出容器
US6622931B2 (en) Cleanable dispensing head and dispenser including the same
JP4966068B2 (ja) 吸引式噴射器
JP3852016B1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及びエアゾール噴射装置
KR20030022162A (ko) 캡이 부착된 에어로졸 용기
KR200382703Y1 (ko) 호신용 최루가스 분무기
JP2007145350A (ja) キャップ具及びエアゾール噴霧器
JP2003299991A (ja) 定量弁付噴射ボタン
JP2007099304A (ja) エアゾール装置
JP2006341173A (ja) 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JP2007284074A (ja) ステム保護具及びエアゾール装置
JP2009286486A (ja) 噴出器用ストッパ部材、および噴出器
JP2006044684A (ja) バルブ開放機構、それを用いた取り替え用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エアゾール容器の取り替えシステム。
KR20140103454A (ko) 디스펜서용 분사구
JP2007062777A (ja) 噴射装置、及びスプレー缶用蓋部材
JP2005320015A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装置
JP3939538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肩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