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454B1 - 에어로졸 분무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454B1
KR100768454B1 KR1020000059682A KR20000059682A KR100768454B1 KR 100768454 B1 KR100768454 B1 KR 100768454B1 KR 1020000059682 A KR1020000059682 A KR 1020000059682A KR 20000059682 A KR20000059682 A KR 20000059682A KR 100768454 B1 KR100768454 B1 KR 10076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ameter
main body
injection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316A (ko
Inventor
이케다가즈유키
이노우에히로아키
시바타미츠노부
Original Assignee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bstract

원통형의 본체부(3)와 하부 덮개(4)와 상부 덮개(5)로 이루어져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하고, 또한 본체부(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분을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8)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한 용기(1)와, 이 용기(1)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분사구(12) 및 분사 버튼(13A)을 구비하여, 이 분사 버튼(13A)을 조작함으로써 분사구(12)로부터 용기(1)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하는 캡(2)으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기이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분무기{AEROSOL SPR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실험예에 있어서의 실시품인 에어로졸 분무기의 측면도.
도 5는 실험예에 있어서의 비교품인 에어로졸 분무기의 측면도.
도 6은 시험예의 설명도.
도 7은 시험예의 설명도.
도 8은 시험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캡
3 : 본체부
4 : 하부 덮개
5 : 상부 덮개
8 : 직경 축소부
12 : 분사구
13A : 분사 버튼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약제 등의 내용물을 분사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도록 되어 있는 에어로졸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에어로졸 분무기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져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하여, 이 용기의 상부에 분사구 및 분사 버튼을 가진 캡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용기의 상부를 유지하고, 분사구가 대상물을 향하게 하면서 집게손가락으로 캡의 분사 버튼을 누름으로써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하게 되어 있었다.
한편, 에어로졸 분무기의 용기에 있어서는, 사용 횟수나 사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그 내용량을 구체적으로는 300㎖ 이상으로 하는 것도 많이 있고, 이 때문에 취급이 번거롭거나 또는 적치한 때의 안정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에 따라, 통상 용기의 본체부의 높이 방향을 크게 확대하지 않고, 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만 확대하여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종래의 에어로졸 분무기의 용기에 있어서는, 내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체부의 직경 방향을 확대하고, 그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용기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 즉 용기를 잡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비에 젖거나 혹은 땀을 흘린 상태에서는 그 에어로졸 분무기가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중지가 크게 벌어지고, 이 중지의 벌어짐에 따라 집게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집게손가락으로 캡의 분사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쉽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져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하고, 또한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위를 위쪽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분사구 및 분사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이 분사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하는 캡으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분무기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유지하는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 상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의해 용기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즉 용기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직경 축소부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계단 형상으로 되는 직경 축소부의 요철에 의해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양호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에어로졸 분무기의 용기에 있어서, 그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까지의 부위를 위쪽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용기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즉 용기를 쉽게 잡을 수 있어서, 비에 젖거나 혹은 땀을 흘린 상태에서도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캡의 분사 버튼을 누르기 어렵다고 하는 단점을 없앨 수도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에어로졸 분무기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와, 이 용기(1)의 상부에 장착되어 분사구(12)로부터 용기(1)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하는 캡(2)으로 이루어진다.
이 용기(1)는 세로로 긴 원통형의 본체부(3)를 구비하여, 이 본체부(3)의 하부에 하부 덮개(4)를 고착하고, 상부에 상부 덮개(5)를 고착하는 동시에 상부 덮개(5)의 중앙에 밸브(6)를 부착하여, 이 밸브(6)의 하부인 그 용기(1)의 내측에 내용물을 빨아올리기 위한 튜브(7)를 부착한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본체부(3)는 그 최대 직경부를 50㎜ 이상으로, 구체적으로는 최대 직경부를 60㎜ 또는 65㎜로 하며, 최대 직경부를 60㎜로 한 경우, 본체부(3)의 높이를 152㎜로 하면, 내용량이 385㎖가 되며, 또한 최대 직경부를 65㎜로 한 경우, 본체부(3)의 높이를 195㎜로 하면, 내용량이 580㎖가 되어, 용기(1)의 내용량을 30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체부(3)에 있어서, 그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10㎜ 이상, 예컨대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30㎜까지의 부위를 위쪽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8)로 하고, 이 직경 축소부(8)를 5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 또는 65㎜로 한 경우에도, 그 상단의 직경을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덮개(5)는 거의 역사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부에 둘레 엣지부를 절곡시키면서 링형으로 형성한 마운틴 컵(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상부 덮개(5)에 있어서의 하단에서 상부의 마운틴 컵(9)까지의 높이는 7 내지 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캡(2)은 용기(1)의 상부 덮개(5)의 마운틴 컵(9)에 결합되는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10)의 내측에 분사구(12) 및 분사 조작 수단(13)을 가진 가동체(11)를 상하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체(11)에는, 내부에 밸브(6)로 연통하는 통로(14)가 형성되고, 더욱이 이 통로(14)의 상부 선단으로 연통하고 또 가로 방향으로 향하는 분사구(12)가 세로로 2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사 조작 수단(13)인 분사 버튼(13A)이 형성되어 이 분사 버튼(13A)을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용기(1)의 상부 덮개에 부착한 밸브(6)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밸브(6)를 통해 용기(1) 내부의 내용물이 분사구(12)로부터 외부로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1)의 본체부(3)에 있어서, 그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위를 위쪽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8)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중지로 유지하는 용기(1)의 본체부(3)의 상단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특히 본체부(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30㎜ 이상까지의 부위를 직경 축소부(8)로 하면,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용기(1)의 본체부(3)의 상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의해 용기(1)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용기(1)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에 젖거나 혹은 땀을 흘린 상태에서도 용기가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1)에 있어서의 본체부(3)의 상단 및 상부의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중지가 크게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중지가 크게 벌어짐에 기인하여 집게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게손가락으로 캡의 분사 버튼(13A)을 누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1)에 있어서 본체부(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위를 상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8)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함으로써, 예컨대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로 한 것과 65㎜로 한 것에 대하여, 양자의 본체부(3)의 상단의 직경을 동일한 치수로 통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에어로졸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캡(2) 전체를 덮는 오버 캡을 용기(1)의 본체부(3)의 상단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갖추고 있는 경우에, 최대 직경부를 60㎜로 한 것과 65㎜로 한 것에 대하여 종래에는 별개의 오버 캡을 준비하고, 이것을 부착하기 위해 복수 종류의 오버 캡을 필요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오버 캡을 동일한 것으로, 즉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는, 전술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전술한 분무기에 있어서, 용기(1)의 본체부(3)의 상부의 직경 축소부(8)를 5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2단 내지 4단, 혹은 6단 이상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축소부(8)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경사 직선으로 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한 이 테이퍼형 부분도 직선형인 것 이외에 만곡된 곡선형인 것도 좋다.
또한, 캡(2)에 있어서의 가동체(11)에 형성되는 분사구(12)도 세로로 2개 형성하는 대신에 1개 혹은 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캡(2)에 있어서의 가동체(11)에 있어서는, 분사 조작 수단(13)으로서 누름 버튼식 분사 버튼(13A)을 채용하고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신에 트리거식 분사 레버(13B)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트리거식 분사 레버(13B)를 채용한 경우는 분사 레버(13B)를 조작하는 집게손가락이 용기(1)를 유지하는 중지에 근접하여 가로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중지에 의해 유지되는 용기의 상단, 예컨대 본체부(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의 부위를 3단의 계단 형상인 직경 축소부(8)로 하는 것만으로도 용기(1)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분사 레버(13B)를 중지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직경 축소부(8)의 형상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1)에 있어서, 그 내부에 수용하는 내용물로서는, 살충제나 방향제 등의 약제는 물론 도료 등의 각종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로서, 제1 실시품과 제2 실시품을 각각 준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품은 용기(1)의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로 하고, 그 본체부(3)의 상부의 직경 축소부(8)를 5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용기(1)의 상부 덮개(5)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틴 컵(9)까지의 높이를 15㎜로 하며, 또한 캡(2)에 있어서 가동체(11)에 형성되는 분사 조작 수단(13)으로서 트리거식 분사 레버(13B)를 사용하였다. 제2 실시품은 본체부(3) 이외에는 제1 실시품과 거의 유사하지만, 용기(1)에 있어서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5㎜로 하였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제1 비교품과 제2 비교품을 각각 준비하여 제1 비교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에 있어서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로 하고, 그 본체부(3) 상부에 직경 축소부(8)를 형성하지 않는 동시에 용기(1)의 상부 덮개(5)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틴 컵(9)까지의 높이를 19㎜로 하며, 또한 캡(2)에 있어서 가동체(11)에 형성되는 분사 조작 수단(13)으로서 트리거식 분사 레버(13B)를 사용하였다. 제2 비교품은 본체부(3) 이외에는 제1 비교품과 거의 유사하지만, 용기(1)에 있어서의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5㎜로 하였다.
그리고, 제1 실시품, 제2 실시품, 제1 비교품, 제2 비교품의 4개의 에어로졸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용기(1)의 내부에 살충 원액과 분사 가스를 수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으로서는, 18세에서 32세의 여성 10명을 패널리스트로 하여 사용했을 때의 용기(1)의 파지의 용이성, 분사 레버(13B)의 조작의 용이성, 대상 해충에 대한 조준의 용이성의 3가지 점에 대해서 관능(官能)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관능 평가는 매우 양호를 5점, 양호를 4점, 보통을 3점, 약간 불량을 2점, 불량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평가하여 10명의 패널의 평균을 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제1 실시품 제2 실시품 제1 비교품 제2 비교품
용기의 파지 용이성 4.5 이상 4.5 이상 3.5 이상 4.5 미만 2.5 미만
분사 레버의 조작의 용이성 4.5 이상 4.5 이상 2.5 이상 3.5 미만 2.5 이상 3.5 미만
조준의 용이성 4.5 이상 4.5 이상 2.5 이상 3.5 미만 2.5 미만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제1 실시품과 제2 실시품에 대해서는 사용했을 때의 용기(1)의 파지 용이성, 분사 레버(13B)의 조작의 용이성, 대상 해충에 대한 조준의 용이성의 각 평가에 있어서, 전부 4.5 이상의 높은 평가를 받은 데 비하여, 제1 비교품과 제2 비교품에 대해서는 3.5 이상 4.5 미만 또는 2.5 이상 3.5 미만 또는 2.5 미만의 보통 또는 보통 이하의 평가를 받았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품과 제2 실시품에서는 모든 항목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의 시험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분무기로서 실시품과 비교품을 준비하였다. 실시품은 전술한 실험예에 이용한 제1 실시품과 같이, 용기(1)의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로 하고, 그 본체부(3) 상부의 직경 축소부(8)를 5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용기(1)의 상부 덮개(5)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틴 컵(9)까지의 높이를 15㎜로 하였다. 또한, 비교품도 전술한 실험예에 이용한 제1 비교품과 같이, 용기(1)의 본체부(3)의 최대 직경부를 60㎜로 하고, 그 본체부(3) 상부의 직경 축소부(8)를 형성하지 않는 동시에, 용기(1)의 상부 덮개(5)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틴 컵(9)까지의 높이를 19㎜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품과 비교품은 캡(2)에 있어서, 분사 조작 수단(13)으로서 트리거식 분사 레버(13B)를 채용하고, 분사구(12)의 직경을 0.7㎜로 하며, 밸브(6)에 있어서 스템 구멍의 직경을 0.45㎜, 하부 구멍의 직경을 0.8㎜, 페이퍼 탭의 직경을 0.35㎜로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품과 비교품을 이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용 스탠드(15)를 이용하여 바닥면으로부터 100㎝의 위치에 실시품 혹은 비교품을 고정하였다. 그리고, 고정한 상태에서, 분사 레버(13B)를 조작하여 3초간 약제를 분사하여, 이 때의 약제가 부착되는 범위를 확인하였다. 이 범위는 직경 60㎝의 원형이었다.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직경 60㎝의 원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8개의 폴리 컵(16)을 설치하고, 이 각 폴리 컵(16)에 검은 바퀴벌레 또는 챠바네 바퀴벌레를 10마리씩 넣어 각각의 바퀴벌레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품과 비교품을 손으로 파지하여, 100㎝의 위치에서 바닥면의 직경 60㎝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약제를 3초간 분사하여 각 폴리 컵(16) 내의 바퀴벌레의 절반이 넉 다운(몹시놀람)되는 데 요하는 시간인 50% 넉 다운(초)과, 1일 후의 사망률(%)을 각각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에 쓰인 벌레 위치 본 발명의 실시품 비교품
50% 넉 다운(초) 사망율(%) 50% 넉 다운(초) 사망율(%)
검은 바퀴벌레 A 91 60 75 60
검은 바퀴벌레 B 103 30 63 80
검은 바퀴벌레 C 92 70 86 40
검은 바퀴벌레 D 84 50 90 50
검은 바퀴벌레 E 108 30 91 30
검은 바퀴벌레 F 73 50 183 0
검은 바퀴벌레 G 119 40 >300 0
검은 바퀴벌레 H 117 50 >300 0
챠바네 바퀴벌레 A 45 80 53 80
챠바네 바퀴벌레 B 61 60 38 80
챠바네 바퀴벌레 C 52 80 72 50
챠바네 바퀴벌레 D 38 80 63 60
챠바네 바퀴벌레 E 58 40 123 10
챠바네 바퀴벌레 F 29 100 211 0
챠바네 바퀴벌레 G 80 60 181 0
챠바네 바퀴벌레 H 59 50 162 0
이 표 2의 결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실시품에서는, 분사 방향이 일정하고, 분사시에 조준이 정해져 원의 중심을 향하여 양호하게 약제를 분사함으로써, 각 폴리 컵(16) 내의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구제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품에서는, 분사 방향이 불안정하여 분사시에 조준이 어긋나 일부의 개소에 약제가 도포되지 않고, 각 폴리 컵(16) 내의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구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위를 상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로서 하고,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 내지 90%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유지하는 용기의 본체부 상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의하여 용기를 쉽게 유지할 수 있었고, 즉 용기를 쉽게 잡을 수 있었고, 비에 젖거나 혹은 땀을 흘린 상태에서도 용기가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 상부의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중지가 크게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중지가 크게 벌어짐에 따라 집게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게손가락으로 캡의 분사 조작 수단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었다.
또한, 용기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직경 축소부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계단 형상의 직경 축소부의 요철에 의해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이 양호하게 걸릴 수 있게 하여 용기를 잡을 때에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었다.

Claims (2)

  1. 원통형의 본체부와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져, 내부에 약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최대 직경부를 50~65㎜로 하고,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10㎜ 이상까지의 부위를 상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로 하여, 본체부의 상단의 직경을 최대 직경부의 70∼90%로 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분사구 및 분사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이 분사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분사할 수 있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직경 축소부의 둘레면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본체부의 직경 축소부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분무기.
KR1020000059682A 1999-12-03 2000-10-11 에어로졸 분무기 KR100768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44453 1999-12-03
JP34445399A JP2001163380A (ja) 1999-12-03 1999-12-03 エアゾール噴霧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16A KR20010067316A (ko) 2001-07-12
KR100768454B1 true KR100768454B1 (ko) 2007-10-19

Family

ID=1836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682A KR100768454B1 (ko) 1999-12-03 2000-10-11 에어로졸 분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63380A (ko)
KR (1) KR1007684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1108B2 (en) 2010-05-21 2015-06-09 S.C. Johnson & Son, Inc. Shroud and dispensing system for a handheld container
US9211994B2 (en) 2010-05-21 2015-12-15 S.C. Johnson & Son, Inc. Shroud and dispensing system for a handheld container
KR102427145B1 (ko) 2022-01-13 2022-07-28 박인출 회전 유동에 의한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스프레이 캡
KR102457597B1 (ko) 2022-04-01 2022-10-24 정용욱 듀얼 스프레이 헤드
KR102624603B1 (ko) 2023-01-05 2024-01-12 남방씨.엔.에이 주식회사 에어로졸 용기용 일체형 분무 캡 조립체
KR102642153B1 (ko) 2023-06-01 2024-02-29 박인출 양방향 회전 구조에 기인하여 조작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용 캡
KR102651071B1 (ko) 2023-02-10 2024-03-25 주식회사 강동그룹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6157B2 (ja) * 2008-02-25 2014-09-1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害虫駆除用エアゾール
USD652319S1 (en) 2010-11-18 2012-01-17 S.C. Johnson & Son, Inc. Container
JP6811518B2 (ja) * 2015-03-17 2021-01-13 株式会社マンダム デオドラントスプレー、ならびにデオドラントスプレーの使用方法
JP2016210444A (ja) * 2015-04-30 2016-12-15 北海製罐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563A (ko) * 1979-12-19 1983-07-13 에드워드 에이. 스모린스키 압력 발생장치 및 방법
JPH0648454A (ja) * 1991-12-17 1994-02-22 Seiichi Kitabayashi 泡用ポンプ
JPH0712243Y2 (ja) * 1987-11-30 1995-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補強リブ付き容器
JPH07121751B2 (ja) * 1990-07-24 1995-12-25 アジア金属工業株式会社 密封容器のバル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内容物の充填方法
JP2500828Y2 (ja) * 1989-12-20 1996-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US5718352A (en) * 1994-11-22 1998-02-1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Threaded aluminum ca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4563A (ko) * 1979-12-19 1983-07-13 에드워드 에이. 스모린스키 압력 발생장치 및 방법
JPH0712243Y2 (ja) * 1987-11-30 1995-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補強リブ付き容器
JP2500828Y2 (ja) * 1989-12-20 1996-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JPH07121751B2 (ja) * 1990-07-24 1995-12-25 アジア金属工業株式会社 密封容器のバル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内容物の充填方法
JPH0648454A (ja) * 1991-12-17 1994-02-22 Seiichi Kitabayashi 泡用ポンプ
US5718352A (en) * 1994-11-22 1998-02-1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Threaded aluminum ca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1108B2 (en) 2010-05-21 2015-06-09 S.C. Johnson & Son, Inc. Shroud and dispensing system for a handheld container
US9211994B2 (en) 2010-05-21 2015-12-15 S.C. Johnson & Son, Inc. Shroud and dispensing system for a handheld container
KR102427145B1 (ko) 2022-01-13 2022-07-28 박인출 회전 유동에 의한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스프레이 캡
KR102457597B1 (ko) 2022-04-01 2022-10-24 정용욱 듀얼 스프레이 헤드
KR20230142320A (ko)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강동그룹 복수의 분사 방식을 갖는 스프레이 헤드
KR102624603B1 (ko) 2023-01-05 2024-01-12 남방씨.엔.에이 주식회사 에어로졸 용기용 일체형 분무 캡 조립체
KR102651071B1 (ko) 2023-02-10 2024-03-25 주식회사 강동그룹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KR102642153B1 (ko) 2023-06-01 2024-02-29 박인출 양방향 회전 구조에 기인하여 조작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63380A (ja) 2001-06-19
KR20010067316A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454B1 (ko) 에어로졸 분무기
JPH026866A (ja) いたずらよけ包装体
KR100623557B1 (ko) 에어로졸 분사장치
MXPA05002227A (es) Tapadera y boton activador para lata de atomizador de aerosol.
CA2496516A1 (en) Actuator cap for aerosol contaniers
EP1317963B1 (en) Trigger-type sprayer with stopper member
JP2000325834A (ja) 液体噴霧用ノズル、それを有する液体噴霧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噴霧方法
US6766922B2 (en) Squeeze-spray device
CN110436043B (zh) 具有六孔喷雾型式的喷雾器
KR102654590B1 (ko) 복수의 분사 방식을 갖는 스프레이 헤드
KR850001008Y1 (ko) 분무기
JPH0344292Y2 (ko)
JP3749927B2 (ja) エアゾール装置のノズル
JP3415876B2 (ja) 全量噴射型エアゾール装置を用いた害虫除去方法
JPS604614Y2 (ja) 複数液混合用エアゾ−ル装置
JPH053246Y2 (ko)
JPH0536517Y2 (ko)
JPS5821555Y2 (ja) 噴霧器
JPS5821557Y2 (ja) 噴霧器
JPH09215952A (ja) トリガー式噴霧器用キャップ
KR200295528Y1 (ko) 에어졸 분무장치
JPS5821556Y2 (ja) 噴霧器
JPH0619532Y2 (ja) 鎮痛鎮痒剤用エアゾ−ル装置
JPH0632865Y2 (ja) 噴霧容器
JPH05454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