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328A - 기능성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328A
KR20220079328A KR1020200168991A KR20200168991A KR20220079328A KR 20220079328 A KR20220079328 A KR 20220079328A KR 1020200168991 A KR1020200168991 A KR 1020200168991A KR 20200168991 A KR20200168991 A KR 20200168991A KR 20220079328 A KR20220079328 A KR 2022007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pening
closing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909B1 (ko
Inventor
주선하
옥승찬
김동혁
Original Assignee
주선하
옥승찬
김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하, 옥승찬, 김동혁 filed Critical 주선하
Priority to KR102020016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09B1/ko
Priority to PCT/KR2021/015757 priority patent/WO2022119148A1/ko
Publication of KR2022007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 바디;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에 마련되어 용기 바디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제1 배출부의 내부에 제1 배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제1 배출부의 제1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제1 배출부에 결합되어 개폐부를 통해 배출되는 기능성 화장품을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며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품 용기{FUNCTIONAL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크림을 포함하는 크림제형의 화장품이 저장되며 사용 시 화장품 내용물이 사방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기능성 화장품을 이용하여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대표적인 예로 자외선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은 기후와 날씨에 따라 그 강도가 틀려지게 되는데 적당한 양의 햇볕은 비타민D의 흡수 등 몸에 이롭지만 너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연약한 피부에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 있다.
자외선은 3월부터 증가해 5-7월에 최고조에 달하며 그늘이나 양산을 이용해도 자외선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고, 흐린 날에도 맑은날의 70% 이상의 자외선이 지표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긴팔 옷을 입어도 안심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합성섬유로 된 옷은 거의 자외선을 그대로 통과 시키기 때문이다.
전술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UVB, UVC가 있다.
UVA는 진피층까지 침투하는 자외선으로 UVB에 비해 강도는 약하지만 우리에게 노출되는 양이 훨씬 많아 세포 손상과 엘라스틴을 파괴하며 피부 색소 침착과 주근깨, 기미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UVB는 표피층까지 침투하며 우리의 피부를 가장 많이 손상시키지만 실내에서도 영향을 끼치는 UVA와는 다르게 유리나 특수재질 등은 통과할 수 없다. 피부의 홍반과 햇볕 화상의 주범이고 피부노화와 피부암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UVC는 오존층에 의해 지구에 도달하기 전 흡수되는 광선으로 가장 강도가 높은 자외선이다.
전술한 피부에 해로운 자외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자와 썬글라스, 긴팔 옷등을 이용하여 보호하려 하지만 자외선을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은 필수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한편, 종래의 선크림이 저장된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경우 선크림이 화장품 용기의 순간적인 압력에 의해 사방으로 튀어 나와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37027호(주식회사 네스필러케이지) 2016. 04.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공기 접촉을 최소화함으로 화장품 내용물의 성분 변형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용기의 순간 압력에 의해 화장품 내용물이 사방으로 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 바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바디에 저장된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상기 제1 배출부의 내부에 상기 제1 배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배출부의 제1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제1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배출 바디; 및 상기 배출구 영역과 연통되게 상기 제1 배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화장품의 배출 통로로 제공되는 상기 제1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제1 배출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배출부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확산시키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방향으로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제2 배출부로 공급시키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을 개폐시키는 개폐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 바디와 상기 개폐 돌기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여 마련됨으로써 용기 바디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없으지면 상기 제1 배출 바디와 상기 개폐 돌기에 마련된 상기 자석 부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배출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배출 바디; 상기 개폐부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에 마련된 가이드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제2 배출 바디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의 배출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제2 배출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 바디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이 제1 배출부와 제2 배출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미 사용시에 개폐부에 의해 제1 배출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공기 접촉을 최소화함으로 화장품 내용물의 성분 변형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기능성 화장품이 용기의 순간 압력에 의해 사방으로 튀어 나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개폐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개폐부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용기(1)는,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 바디(100)와,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 영역에 마련되어 용기 바디(100)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200)와, 제1 배출부(200)의 내부에 제1 배출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제1 배출부(200)의 제1 배출홀(220)을 개폐시키는 개폐부(300)와, 제1 배출부(200)에 결합되어 개폐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기능성 화장품을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며 개폐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배출부(400)를 구비한다.
용기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용기 바디(100)의 내부에는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용기 바디(100)를 가압하면 용기 바디(100)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은 제1 배출부(200)와 개폐부(300)와 제2 배출부(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2 배출부(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바디(10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가 마련된 영역에 결합되며 용기 바디(100)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의 1차 배출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배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배출 바디(210)와,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제1 배출 바디(210)에 마련되어 기능성 화장품의 1차 배출 통로로 제공되는 제1 배출홀(220)과, 제1 배출홀(220)의 단부에서 제2 배출부(40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제1 배출홀(220)을 통해서 배출되는 기능성 화장품을 확산시키는 경사면부(230)와, 경사면부(230)의 단부에서 제1 배출 바디(210)의 방향으로 절곡되게 마련되어 개폐부(300)의 개폐 바디(310)를 지지하는 지지턱(240)을 포함한다.
제1 배출부(200)의 제1 배출 바디(210)는,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 영역에 끼워 맞춤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배출 바디(210)에는 자석 부재가 마련되고, 이 자석 부재는 개폐 바디(310)나 개폐 돌기(320)에 마련되는 자석 부재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기 바디(100)를 가압하여 개폐부(300)가 제2 배출부(400)의 방향으로 이동된 후 사용자의 외력이 없어지면 제1 배출 바디(210)에 마련된 자석 부재와 개폐 바디(310) 또는 개폐 돌기(320)에 마련된 자석 부재의 상호 인력에 의해 개폐부(300)는, 도 5의 (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어 제1 배출홀(220)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자석 부재를 스프링 부재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의 좌측 단부는 제2 배출 바디(410)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고 우측 단부는 개폐 바디(310)에 지지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사용자가 용기 바디(100)를 가압하면 용기 바디(100)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어 제1 배출홀(220)을 개방시키고, 사용자의 외력이 없어지면, 도 5의 (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어 제1 배출홀(220)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 바디(210)의 내부에서 제1 배출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배출홀(220)을 통해서 배출되는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제2 배출부(400)로 공급시키는 개폐 바디(310)와, 개폐 바디(310)에 마련되어 용기 바디(100)의 배출구 영역을 개폐시키는 개폐 돌기(320)와, 개폐 바디(310)에서 제2 배출부(4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제2 배출부(400)의 가이드 포스트(420)에 가이드되면서 이동되는 가이드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개폐부(300)의 개폐 바디(3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로(311)가 이격 마련되고, 제1 배출홀(220)을 통과한 기능성 화장품은 복수의 배출로(311)를 통해 제2 배출부(400)의 제2 배출홀(430)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배출로(311)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배출로(311)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300)의 개폐 돌기(320)는, 본 실시 예를 미 사용시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홀(220)을 막고, 본 실시 예를 사용 시 즉 사용자가 용기 바디(100)에 외력을 가하면 용기 바디(100)에서 제1 배출홀(220)로 공급되는 기능성 화장품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1 배출홀(2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부(300)의 가이드 하우징(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부(400)의 가이드 포스트(42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며 가이드 포스트(420)의 외벽에 지지되면서 제1 배출 바디(210)의 길이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2 배출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 바디(210)에 결합되며 기능성 화장품의 최종 배출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배출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 바디(210)에 결합되는 제2 배출 바디(410)와, 개폐부(300)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가이드 하우징(3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포스트(420)와, 제2 배출 바디(410)와 가이드 포스트(42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개폐부(300)의 배출로(311)를 통해 공급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2 배출 바디(4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배출홀(43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용기 바디에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이 제1 배출부와 제2 배출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미 사용시에 개폐부에 의해 제1 배출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공기 접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기능성 화장품이 용기의 순간 압력에 의해 사방으로 튀어 나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기능성 화장품 용기
100 : 용기 바디 200 : 제1 배출부
210 : 제1 배출 바디 220 : 제1 배출홀
230 : 경사면부 240 : 지지턱
300 : 개폐부 310 : 개폐 바디
311 : 배출로 320 : 개폐 돌기
330 : 가이드 하우징 400 : 제2 배출부
410 : 제2 배출 바디 420 : 가이드 포스트
430 : 제2 배출홀

Claims (7)

  1. 선크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 바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바디에 저장된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
    상기 제1 배출부의 내부에 상기 제1 배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배출부의 제1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제1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배출 바디; 및
    상기 배출구 영역과 연통되게 상기 제1 배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화장품의 배출 통로로 제공되는 상기 제1 배출홀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제1 배출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배출부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확산시키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방향으로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배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제2 배출부로 공급시키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을 개폐시키는 개폐 돌기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바디와 상기 개폐 돌기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여 마련됨으로써 용기 바디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없으지면 상기 제1 배출 바디와 상기 개폐 돌기에 마련된 상기 자석 부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바디의 배출구를 막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제1 배출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배출 바디;
    상기 개폐부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에 마련된 가이드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제2 배출 바디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의 배출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기능성 화장품을 상기 제2 배출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배출홀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용기.
KR1020200168991A 2020-12-04 2020-12-04 기능성 화장품 용기 KR10243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91A KR102435909B1 (ko) 2020-12-04 2020-12-04 기능성 화장품 용기
PCT/KR2021/015757 WO2022119148A1 (ko) 2020-12-04 2021-11-03 기능성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91A KR102435909B1 (ko) 2020-12-04 2020-12-04 기능성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28A true KR20220079328A (ko) 2022-06-13
KR102435909B1 KR102435909B1 (ko) 2022-08-24

Family

ID=8185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991A KR102435909B1 (ko) 2020-12-04 2020-12-04 기능성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5909B1 (ko)
WO (1) WO20221191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643A (ko) * 1999-12-11 2001-07-04 김충경 자석을 이용한 직액식 도포구
KR20110016603A (ko) * 2009-08-12 2011-02-18 (주)에스엔피월드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20110009464U (ko) * 2010-03-30 2011-10-06 부국티엔씨(주) 튜브용기의 배출구 구조
KR20160016480A (ko) * 2014-08-04 2016-02-15 김명자 화장품 용기
KR20160037027A (ko)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진공 배출펌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16Y1 (ko) * 2013-06-24 2015-02-16 펌텍코리아 (주) 개폐밸브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643A (ko) * 1999-12-11 2001-07-04 김충경 자석을 이용한 직액식 도포구
KR20110016603A (ko) * 2009-08-12 2011-02-18 (주)에스엔피월드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20110009464U (ko) * 2010-03-30 2011-10-06 부국티엔씨(주) 튜브용기의 배출구 구조
KR20160016480A (ko) * 2014-08-04 2016-02-15 김명자 화장품 용기
KR20160037027A (ko)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진공 배출펌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909B1 (ko) 2022-08-24
WO2022119148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5657A1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Rai et al. Photoprotection
ES2824105T3 (es) Formulaciones y métodos de tratamiento de queratina
Wang et al. Photoprotection: a review of the current and future technologies
ES2535082T3 (es) Detección por fluorescencia de composición tópica
EP2194958B1 (en) Sunless tanning composition with photostabilized sunscreen
ES2078444T3 (es) Composicion cosmetica.
Kimbrough The photochemistry of sunscreens
WO2020204191A1 (ja) 紫外線波長変換物質と薬剤を含有する化粧料
ES2786264T3 (es) Composición de protección solar
CN104800092A (zh) 带有微小粘性的、不含奥克立林的防晒剂
Pescia et al. On the assessment of photostability of sunscreens exposed to UVA irradiation: from glass plates to pig/human skin, which is best?
US1048574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yclodextrin as uv- and ir-radiation screen agent
KR102435909B1 (ko) 기능성 화장품 용기
CN101132757B (zh) 紫外线抑制体系
DE102006027257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acyclischem Merocyanin
JP4220752B2 (ja) 紫外線吸収剤
KR102672486B1 (ko) 기미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72490B1 (ko) 주름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E102013203017A1 (de) Sonnenschutzmittel mit Ethylmethicon
KR20170099061A (ko) 자외선 측정 수단이 구비된 자외선 차단제 케이스
LEE et al. Effects of the Photostability of Sunscreens on the in vivo Photoprotection
Arakane et al. UV care
Nieradko-Iwanicka et al. Chemical and physical UV filters
KR0184014B1 (ko) 변색된 멜라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