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480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480A
KR20160016480A KR1020140129386A KR20140129386A KR20160016480A KR 20160016480 A KR20160016480 A KR 20160016480A KR 1020140129386 A KR1020140129386 A KR 1020140129386A KR 20140129386 A KR20140129386 A KR 20140129386A KR 20160016480 A KR20160016480 A KR 2016001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closing
pip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ublication of KR2016001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로부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13)를 포함하는 본체부(10),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3)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21), 수송관(21)과 제1 결합부(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수송관(21)을 고정하는 고정부(23)와, 판 형상으로 수송관(21)의 일단을 커버하되 가장자리에 관통되어 유출공(26)이 형성된 유출판(24)을 포함하는 유출부(20),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32) 내로 수송관(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송관(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삽입홈(32)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된 개폐부(30),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42)이 형성되어, 내부에 개폐부(30)가 결합되고, 제1 결합부(13)가 삽입되며, 관통홀(31)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41)이 형성된 헤드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서 화장품이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품은 사용목적에 따라 고형, 파우더형, 액상형 등 형태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스킨, 로션뿐만 아니라, 주로 고형 또는 파우더형이었던 파운데이션이나 립스틱도 액상형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액상 화장품은 밀폐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보관용기에서 누출되고, 공기에 노출되면 수분이 증발해서 고형화되므로, 보관이 불편하다. 또한, 액상 화장품은 보관용기를 기울이거나 퍼프나 화장솜에 묻히는 방식으로 덜어서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량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한편, 매니큐어는 색상 도료인 에나멜을 손발톱에 칠하여 손발톱을 아름답게 꾸미는 화장품이다. 이때, 색상 도료는 액상이므로, 일반적으로 브러쉬에 묻혀서 손발톱에 도포된다. 따라서, 종래 매니큐어 용기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가 뚜껑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종래 매니큐어 용기는 매니큐어가 수용되는 용기몸체, 용기몸체에 나사결합되는 뚜껑, 브러쉬가 장착되는 연결봉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봉은 뚜껑에 장착되고, 브러쉬는 매니큐어에 담기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 매니큐어 용기는 뚜껑을 회전시켜 열고 닫으므로, 브러쉬가 매니큐어에 엉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브러쉬가 손상되면, 매니큐어가 용기몸체에 남아 있더라도, 더 이상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매니큐어를 제거하는 용제인 에나멜 리무버(enamel remover)는 알코올을 함유하여 휘발성이 있다. 이러한 에나멜 리무버는 주로 화장솜에 묻혀서 사용되므로, 잘못 도포된 매니큐어를 정교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화장품 용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10-2012-000144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액상 화장품이 통과되는 중공의 수송관, 및 내부에 삽입된 수송관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액상 화장품을 용이하게 밀폐하고 배출시키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개폐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헤드부에 삽입되는 브러쉬의 일단이 관통홀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브러쉬가 손상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 상기 수송관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상기 수송관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을 커버하되 가장자리에 관통되어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판을 포함하는 유출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 내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개폐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과 상기 유출판이 밀착되어, 상기 유출공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유출판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와 상기 헤드부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이 상기 유출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출공과 상기 관통홀이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은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 중 상기 유출공을 폐쇄하는 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 및 상기 수송관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상기 수송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유출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 내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봉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수송관을 개폐하는 개폐봉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개폐봉이 상기 수송관에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이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와 상기 헤드부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개폐봉이 상기 수송관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송관이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은 상기 개폐봉이 삽입되는 일단에서부터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중공의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은 일단이 상기 수송관에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봉의 일단은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taper)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송관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절곡부로부터 함몰되어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밀착하여 커버하고,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헤드부에 상기 압축력을 가하고,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때에는 상기 압축력을 제거하는 캡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단은 나사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되어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에 상기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는 흡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브러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유동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타단이 뾰족하거나 뭉툭하게 곡면을 이루는 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의 일단에 밀착되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고, 내부로 침투된 상기 액상 화장품을 저장하는 침투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품은 공기 중에서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수송관을 통해 상기 배출홀까지 상기 액상 화장품이 수송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화장품이 통과되는 중공의 수송관, 및 내부에 삽입되는 수송관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개폐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유출공을 개폐하므로, 액상 화장품을 용이하게 밀폐하고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헤드부에 삽입되는 브러쉬의 일단이 관통홀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브러쉬가 액상 화장품에 담겨서 보관되지 않으므로, 브러쉬가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로부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13)를 포함하는 본체부(10),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3)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21), 수송관(21)과 제1 결합부(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수송관(21)을 고정하는 고정부(23)와, 판 형상으로 수송관(21)의 일단을 커버하되 가장자리에 관통되어 유출공(26)이 형성된 유출판(24)을 포함하는 유출부(20),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32) 내로 수송관(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송관(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삽입홈(32)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된 개폐부(30),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42)이 형성되어, 내부에 개폐부(30)가 결합되고, 제1 결합부(13)가 삽입되며, 관통홀(31)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41)이 형성된 헤드부(40)를 포함하고,
헤드부(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삽입홈(32)의 내측면과 유출판(24)이 밀착되어, 유출공(26)은 삽입홈(32)의 내측면에 의해 폐쇄되고, 관통홀(31)은 유출판(24)에 의해 폐쇄되며, 헤드부(40)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개폐부(30)와 헤드부(40)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삽입홈(32)의 내측면이 유출판(24)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출공(26)과 관통홀(31)이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배출시키는 용기로서, 본체부(10), 유출부(20), 개폐부(30) 및 헤드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상 화장품은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을 치장하고, 유동성을 가지는 화장품이므로, 스킨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화장품뿐만 아니라, 졸(sol) 상태의 화장품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립스틱, 립글로스(lip gloss), 매니큐어 등이다. 또한, 여기서 화장품은 화장에 쓰이는 물건을 총칭하므로, 매니큐어를 제거하는 에나멜 리무버(remover) 등과 같이 색조 화장품을 제거하는 물질도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헤드부(40)와 결합되도록, 용기본체(11) 및 제1 결합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1)는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외부로 액상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일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제1 결합부(13)는 헤드부(40)와 결합되는 체결부로서, 개구부를 중심으로 용기본체(11)로부터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유출부(20)는 개폐부(30)와 결부되어 액상 화장품을 유출시키거나 밀폐하도록, 수송관(21), 고정부(23) 및 유출판(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송관(21)은 내부로 액상 화장품이 유입되어 통과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3) 내에 배치된다. 이때, 고정부(23)는 수송관(21)을 고정하면서, 수송관(21)과 제1 결합부(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용기본체(1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액상 화장품을 수송관(21) 내부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3)는 돌출부(27) 및 절곡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7)는 수송관(21)의 외측면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절곡부(28)는 돌출부(27)로부터 본체부(1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절곡부(28)는 액상 화장품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1 결합부(13)에 밀착된다. 이하에서 고정부(23)는 돌출부(27) 및 절곡부(28)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송관(21)을 고정하고 제1 결합부(13)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출판(24)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송관(21)의 개방된 일단을 커버한다. 여기서, 수송관(21)의 일단은 액상 화장품이 유입되는 수송관(21)의 개방된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때, 유출판(24)의 가장자리에는 유출공(26)이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수송관(21)을 통과하는 액상 화장품은 유출공(26)을 통해 유출된다.
개폐부(30)는 유출부(20)와 결부되어 유출공(26)을 개폐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폐부(3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32)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을 구비한다. 여기서, 삽입홈(32) 내로 수송관(21)의 일단이 삽입되므로, 개폐부(30)는 수송관(21)을 감싸면서 수송관(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수송관(21)의 일단에 배치된 유출판(24)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은 개폐부(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서로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이때, 유출판(24)에 형성된 유출공(26)은 삽입홈(32)의 내측면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한편, 관통홀(31)은 삽입홈(32)의 내측면 중 유출공(26)을 폐쇄하는 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형성되므로, 유출판(24)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이 밀착되고 이격될 때에, 관통홀(31)과 유출공(26)은 함께 폐쇄되고 개방된다.
여기서, 서로 밀착되는 유출판(24)의 외측면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판(24)의 외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는 반구형의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홈(32)의 내측면은 유출판(24)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볼 팬(ball pa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유출판(24)과 개폐부(30)가 압축되어 유출판(24)의 외측면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이 밀착될 때에, 압력이 곡선의 접선에 수직하게 작용하므로, 유출공(26)과 관통홀(31)을 효과적으로 폐쇄한다. 다만, 유출판(24)의 외측면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은 서로 밀착 가능하게 형성되면 되고, 반드시 각각 돔 형상과 볼 팬(ball pan)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40)는 내부에 개폐부(30)를 수용하면서 용기본체(11)를 커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40)는 하부면에 함몰된 결합홈(42)이 형성되므로, 내부에 개폐부(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13)가 결합홈(42) 내부로 삽입되므로, 헤드부(40)는 제1 결합부(13)를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개폐부(30)는 결합홈(42) 내부에 결합되므로, 헤드부(40)와 개폐부(30)는 일체로 슬라이딩되어 움직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수송관(2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로 개폐부(30), 절곡부(28), 제1 결합부(13), 헤드부(4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한편, 헤드부(40)는 액상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41)을 구비한다. 여기서, 배출홀(41)은 관통홀(31)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관통홀(31)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이 배출홀(4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 용기본체(11)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밀폐하고 배출시키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헤드부(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헤드부(40)가 제1 결합부(13)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용기본체(11)에 가까워지고, 헤드부(40)에 결합된 개폐부(30)도 수송관(21)을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유출판(24)의 외측면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유출공(26)과 관통홀(31)이 함께 폐쇄되어 액상 화장품을 밀폐한다. 반면에, 헤드부(40)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헤드부(40)가 용기본체(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므로, 개폐부(30)도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유출판(24)의 외측면과 삽입홈(32)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된다. 이때, 유출공(26)과 관통홀(31)이 서로 개방되고, 관통홀(31)과 배출홀(41)이 서로 소통되므로, 용기본체(11) 내부의 액상 화장품은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수송관(21), 유출공(26), 관통홀(31), 배출홀(41)을 순서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30)가 용이하게 수송관(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되, 수송관(21)과 분리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돌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돌기(33)는 개폐부(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절곡부(28)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헤드부(40)가 슬라이딩되면서 제1 결합부(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5) 및 걸림턱(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15)는 제1 결합부(1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걸림턱(43)은 헤드부(40)로부터 결합홈(4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15)와 걸림턱(43)은 헤드부(4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어 헤드부(40)가 용기본체(11)로부터 멀어질 때에 서로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30)가 슬라이딩되도록 스프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60)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헤드부(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압축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되돌아오면서 개폐부(30)를 슬라이딩시킨다. 예를 들어, 스프링(60)이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수송관(21)이 삽입되면, 돌출부(27)와 개폐부(30)의 밑면 사이에 스프링(60)이 배치된다. 따라서, 헤드부(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헤드부(40)와 함께 개폐부(30)의 밑면이 용기본체(11)에 가까워지면서 스프링(60)을 압축한다. 이때, 헤드부(4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면, 개폐부(30)는 수축된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된다. 다만,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30)를 슬라이딩시키는 한, 반드시 코일형으로서 압축력을 받아 수축되는 코일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부(50)는 헤드부(40)를 커버하고, 헤드부(40)에 압축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캡부(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헤드부(4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캡부(50)는 용기본체(11)의 일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서 탈부착될 수 있다. 다만, 캡부(50)가 용기본체(1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반드시 용기본체(11)의 일면에 나사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캡부(50)는 용기본체(11)에 결합되는 동안에, 헤드부(40)와 밀착된 상태로, 용기본체(11)의 바닥면을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캡부(50)는 용기본체(11)에 결합되면서, 헤드부(40)에 압축력을 가한다. 반대로, 캡부(50)가 용기본체(1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용기본체(1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므로, 헤드부(40)에 가해졌던 압축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부(50)가 용기본체(11)에 결합된 때에는 헤드부(40)와 헤드부(40)에 결합된 개폐부(30)가 용기본체(11)에 가까워지므로, 유출공(26)과 관통홀(31)이 폐쇄되어 액상 화장품을 밀폐한다. 반면에, 캡부(50)가 용기본체(11)로부터 분리되면, 헤드부(40)와 개폐부(30)가 용기본체(11)로부터 멀어져서, 유출공(26)과 관통홀(31)이 개방된다. 이때, 용기본체(11)를 가압하면, 액상 화장품이 배출홀(41)을 통해 배출되므로, 가압 정도에 따라서 배출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이하게 액상 화장품을 밀폐하고 배출할 뿐만 아니라,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흡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70)는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여 도포하는 도구로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배출홀(41)에 삽입되고, 타단은 헤드부(4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관통홀(31)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은 흡수부(70)의 일단에 흡수되어, 타단까지 스며든다. 따라서, 흡수부(70)의 타단을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에 접촉시켜, 액상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부(70)는 매니큐어 등을 도포하는 브러쉬일 수 있다. 이하에서, 흡수부(70)를 브러쉬로 설명하지만, 흡수부(70)가 반드시 브러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유동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관(8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이 내부를 통과한다. 이러한 유동관(80)의 일단은 관통홀(31)에 삽입되므로, 관통홀(31)로 유입되는 액상 화장품은 유동관(8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유동관(80)의 타단으로 배출된다. 한편, 유동관(80)은 브러쉬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노출된 브러쉬의 타단까지 액상 화장품이 효과적으로 수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흡수부(70)가 펜(pen) 형상으로 형성되고, 침투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70)는 외부로 노출된 타단이 뾰족하거나 뭉툭하게 곡면을 이루는 펜(pen)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비교적 좁은 면적에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거나, 잘못 도포된 화장품을 정교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pen) 형상의 흡수부(70)는 매니큐어를 제거하기 위한 에나멜 리무버(enamel remover)를 도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침투부재(90)는 투과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흡수부(70)의 일단에 밀착되어 배출홀(41)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출홀(41)에서 배출되거나, 흡수부(70)에 흡수되었던 액상 화장품이 침투부재(90)에 스며들어 저장된다. 이때, 액상 화장품이 공기 중에서 쉽게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인 경우에는, 침투부재(90)에 침투되고, 헤드부(40)에 의해서 공기 접촉이 차단되므로, 액상 화장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11), 및 용기본체(111)로부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113)를 포함하는 본체부(110),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13)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121), 및 수송관(121)과 제1 결합부(1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수송관(121)을 고정하는 고정부(123)를 포함하는 유출부(120),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132) 내로 수송관(1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송관(1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삽입홈(132)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며, 봉 형상으로 삽입홈(132)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수송관(121)을 개폐하는 개폐봉(135)을 포함하는 개폐부(130),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내부에 개폐부(130)가 결합되고, 제1 결합부(113)가 삽입되며, 관통홀(131)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141)이 형성된 헤드부(140)를 포함하고,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에 삽입되어 수송관(121)이 폐쇄되며,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개폐부(130)와 헤드부(140)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으로부터 이탈되어 수송관(121)이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배출시키는 용기로서, 본체부(110), 유출부(120), 개폐부(130) 및 헤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상 화장품은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을 치장하고, 유동성을 가지는 화장품이므로, 스킨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화장품뿐만 아니라, 졸(sol) 상태의 화장품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립스틱, 립글로스(lip gloss), 매니큐어 등이다. 또한, 여기서 화장품은 화장에 쓰이는 물건을 총칭하므로, 매니큐어를 제거하는 에나멜 리무버(remover) 등과 같이 색조 화장품을 제거하는 물질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헤드부(140)와 결합되도록, 용기본체(111) 및 제1 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11)는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외부로 액상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일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제1 결합부(113)는 헤드부(140)와 결합되는 체결부로서, 개구부를 중심으로 용기본체(111)로부터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유출부(120)는 개폐부(130)와 결부되어 액상 화장품을 유출시키거나 밀폐하도록, 수송관(121) 및 고정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송관(121)은 내부로 액상 화장품이 유입되어 통과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부(113) 내에 배치된다. 이때, 고정부(123)는 수송관(121)을 고정하면서, 수송관(121)과 제1 결합부(113)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용기본체(11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액상 화장품을 수송관(121) 내부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3)는 돌출부(127) 및 절곡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7)는 수송관(121)의 외측면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절곡부(128)는 돌출부(127)로부터 본체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절곡부(128)는 액상 화장품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1 결합부(113)에 밀착된다. 이하에서 고정부(123)는 돌출부(127) 및 절곡부(128)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수송관(121)을 고정하고 제1 결합부(113)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부(130)는 수송관(121)을 개폐하여 액상 화장품의 유출을 제어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132)과 삽입홈(132)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1)을 구비하고, 개폐봉(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홈(132) 내로 수송관(121)의 일단이 삽입되므로, 개폐부(130)는 수송관(121)을 감싸면서 수송관(1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한편, 개폐봉(135)은 수송관(121)에 삽입되어 수송관(121)을 폐쇄할 수 있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봉(135)은 삽입홈(132) 내부에 고정 배치되므로, 개폐부(130)가 용기본체(111)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수송관(121)에 삽입된다. 반면, 개폐부(13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폐봉(135)은 수송관(121)을 개폐한다. 한편, 관통홀(131)은 삽입홈(132)의 내측면으로부터 개폐부(130)을 관통하므로,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을 개방하는 경우에, 액상 화장품은 삽입홈(132) 내부에서부터 관통홀(131)을 통과하여 개폐부(130)의 외측으로 유출된다.
또한, 수송관(121)의 내주면은 개폐봉(135)이 삽입되는 일단에서부터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중공의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수송관(121) 내부의 구멍을 의미하고, 횡단면적은 수송관(121)의 길이방향 내지 축방향에 수직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송관(121)이 원형 중공관 형상이면, 수송관(121)의 내주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개폐봉(135)은 수송관(121)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송관(121) 내부에 삽입되어 수송관(121)을 개폐하는 개폐봉(135)의 일단이 테이퍼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개폐봉(135)의 일단이 수송관(121)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므로써,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의 축방향으로 용기본체(111)를 향하여 슬라이딩될 때에, 수송관(121)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헤드부(140)는 내부에 개폐부(130)를 수용하면서 용기본체(111)를 커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40)는 하부면에 함몰된 결합홈(142)이 형성되므로, 내부에 개폐부(1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3)가 결합홈(142) 내부로 삽입되므로, 헤드부(140)는 제1 결합부(113)를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개폐부(130)는 결합홈(142) 내부에 결합되므로, 헤드부(140)와 개폐부(130)는 일체로 슬라이딩되어 움직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수송관(12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로 개폐부(130), 절곡부(128), 제1 결합부(113), 헤드부(14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한편, 헤드부(140)는 액상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141)을 구비한다. 여기서, 배출홀(141)은 관통홀(131)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관통홀(131)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은 배출홀(141)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 용기본체(111)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밀폐하고 배출시키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헤드부(140)가 제1 결합부(113)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용기본체(111)에 가까워지고, 헤드부(140)에 결합된 개폐부(130)도 수송관(121)을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개폐부(130)의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에 삽입되어 액상 화장품을 밀폐한다. 반면에,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헤드부(14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개폐부(130)도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봉(135)이 수송관(12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수송관(121)이 개방되고, 용기본체(111) 내부와 배출홀(141)은 관통홀(131)을 통해 서로 소통되므로, 용기본체(111) 내부의 액상 화장품은 도 10의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수송관(121), 삽입홈(132), 관통홀(131), 배출홀(141)을 순서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130)가 용이하게 수송관(121)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되, 수송관(121)과 분리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돌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돌기(133)는 개폐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절곡부(128)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헤드부(140)가 슬라이딩되면서 유출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15) 및 걸림턱(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115)는 고정부(12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걸림턱(143)은 헤드부(140)로부터 결합홈(142)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115)와 걸림턱(143)은 헤드부(14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어 헤드부(14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멀어질 때에 서로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130)가 슬라이딩되도록 스프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60)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압축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되돌아오면서 개폐부(130)를 슬라이딩시킨다. 예를 들어, 스프링(160)이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수송관(121)이 삽입되면, 돌출부(127)와 개폐부(130)의 밑면 사이에 스프링(160)이 배치된다. 따라서, 헤드부(14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헤드부(140)와 함께 개폐부(130)의 밑면이 용기본체(111)에 가까워지면서 스프링(160)을 압축한다. 이때, 헤드부(14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면, 개폐부(130)는 수축된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딩된다. 다만, 스프링(160)은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130)를 슬라이딩시키는 한, 반드시 코일형으로서 압축력을 받아 수축되는 코일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부(150)는 헤드부(140)를 커버하고, 헤드부(140)에 압축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캡부(1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헤드부(140)를 감싸면서, 용기본체(1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캡부(150)는 용기본체(111)의 일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서 탈부착될 수 있다. 다만, 캡부(150)가 용기본체(11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반드시 용기본체(111)의 일면에 나사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캡부(150)는 용기본체(111)에 결합되는 동안에, 헤드부(140)와 밀착된 상태로, 용기본체(111)의 바닥면을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캡부(150)는 용기본체(111)에 결합되면서, 헤드부(140)에 압축력을 가한다. 반대로, 캡부(15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용기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므로, 헤드부(140)에 가해졌던 압축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부(150)가 용기본체(111)에 결합된 때에는 헤드부(140)와 헤드부(140)에 결합된 개폐부(130)가 용기본체(111)에 가까워지므로, 수송관(121)이 개폐봉(135)에 의해 폐쇄되어 액상 화장품을 밀폐한다. 반면에, 캡부(15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분리되면, 헤드부(140)와 개폐부(130)가 용기본체(111)로부터 멀어져서, 수송관(121)이 개방된다. 이때, 용기본체(111)를 가압하면, 액상 화장품이 배출홀(141)을 통해 배출되므로, 가압 정도에 따라서 배출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이하게 액상 화장품을 밀폐하고 배출할 뿐만 아니라,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흡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170)는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여 도포하는 도구로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배출홀(141)에 삽입되고, 타단은 헤드부(14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관통홀(131)을 통과한 액상 화장품은 흡수부(170)의 일단에 흡수되어, 타단까지 스며든다. 따라서, 흡수부(170)의 타단을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에 접촉시켜, 액상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부(170)는 매니큐어 등을 도포하는 브러쉬일 수 있다. 이하에서, 흡수부(170)를 브러쉬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흡수부(170)가 반드시 브러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유동관(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관(18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이 내부를 통과한다. 이러한 유동관(180)의 일단은 관통홀(131)에 삽입되므로, 관통홀(131)로 유입되는 액상 화장품은 유동관(18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유동관(180)의 타단으로 배출된다. 한편, 유동관(180)은 브러쉬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노출된 브러쉬의 타단까지 액상 화장품이 효과적으로 수송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흡수부(170)가 펜(pen) 형상으로 형성되고, 침투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170)는 외부로 노출된 타단이 뾰족하거나 뭉툭하게 곡면을 이루는 펜(pen)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비교적 좁은 면적에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거나, 잘못 도포된 화장품을 정교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pen) 형상의 흡수부(170)는 매니큐어를 제거하기 위한 에나멜 리무버(enamel remover)를 도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침투부재(190)는 투과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흡수부(170)의 일단에 밀착되어 배출홀(141)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출홀(141)에서 배출되거나, 흡수부(170)에 흡수되었던 액상 화장품이 침투부재(190)에 스며들어 저장된다. 이때, 액상 화장품이 공기 중에서 쉽게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인 경우에는, 침투부재(190)에 침투되고, 헤드부(140)에 의해서 공기 접촉이 차단되므로, 액상 화장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 사용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밀폐력이 우수하고, 사용이 간편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밀폐력이 우수하여, 점도가 높은 경우뿐 아니라, 점도가 낮은 액상 화장품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종래 화장품 용기는 립글로스(lip gloss), 컨실러 등과 같이 점도가 높은 액상 화장품을 보관하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우수한 밀폐력으로 인하여, 액상의 누출과 증발을 방지하므로, 점도가 낮은 스킨, 로션, 매니큐어, 리무버 등의 액상 화장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액상 화장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110: 본체부 11, 111: 용기본체
13, 113: 제1 결합부 15, 115: 걸림돌기
20, 120: 유출부 21, 121: 수송관
23, 123: 고정부 24: 유출판
26: 유출공 27, 127: 돌출부
28, 128: 절곡부 30, 130: 개폐부
31, 131: 관통홀 32, 132: 삽입홈
33, 133: 슬라이딩 돌기 40, 140: 헤드부
41, 141: 배출홀 42, 142: 결합홈
43, 143: 걸림턱 50, 150: 캡부
60, 160: 스프링 70, 170: 흡수부
80, 180: 유동관 90, 190: 침투부재
135: 개폐봉

Claims (19)

  1.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 상기 수송관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상기 수송관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을 커버하되 가장자리에 관통되어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판을 포함하는 유출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 내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개폐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이 형성된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과 상기 유출판이 밀착되어, 상기 유출공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유출판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와 상기 헤드부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이 상기 유출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출공과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은 상기 유출판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 중 상기 유출공을 폐쇄하는 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4.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수송관, 및 상기 수송관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상기 수송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유출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에 함몰된 삽입홈 내로 상기 수송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따라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봉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수송관을 개폐하는 개폐봉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소통되도록 관통되어 배출홀이 형성된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개폐봉이 상기 수송관에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이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부와 상기 헤드부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개폐봉이 상기 수송관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송관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은 상기 개폐봉이 삽입되는 일단에서부터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중공의 횡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은 일단이 상기 수송관에 삽입되어 상기 수송관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봉의 일단은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송관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taper)된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송관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절곡부로부터 함몰되어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를 밀착하여 커버하고,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헤드부에 상기 압축력을 가하고,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때에는 상기 압축력을 제거하는 캡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캡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단은 나사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헤드부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되어 피부, 손발톱 또는 모발에 상기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는 흡수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브러쉬인 화장품 용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유동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타단이 뾰족하거나 뭉툭하게 곡면을 이루는 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의 일단에 밀착되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고, 내부로 침투된 상기 액상 화장품을 저장하는 침투부재;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품은 공기 중에서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인 화장품 용기.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수송관을 통해 상기 배출홀까지 상기 액상 화장품이 수송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40129386A 2014-08-04 2014-09-26 화장품 용기 KR20160016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15 2014-08-04
KR20140099615 2014-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80A true KR20160016480A (ko) 2016-02-15

Family

ID=5535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386A KR20160016480A (ko) 2014-08-04 2014-09-2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4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35B1 (ko) * 2016-12-30 2017-04-10 민병선 액상 화장품용기
WO202211914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35B1 (ko) * 2016-12-30 2017-04-10 민병선 액상 화장품용기
WO2022119148A1 (ko) * 2020-12-04 2022-06-09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KR20220079328A (ko) * 2020-12-04 2022-06-13 주선하 기능성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6484B2 (en) Airless cosmetics dispenser
JP5922108B2 (ja) ピペットを使用するパッケージング/塗布装置
US9986811B2 (en)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s
US10117496B2 (en) Dropper and cosmetics container having the same
US9591908B2 (en) Press-type dispensing container
KR101512442B1 (ko)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US9149107B2 (en) Multiple cosmetics press-to-dispense cosmeticizing device
KR20160016480A (ko) 화장품 용기
KR200456316Y1 (ko) 가압 유동식 개폐구조를 갖는 립글로스 용기
KR102037580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200477544Y1 (ko) 체크밸브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튜브
JP2017042299A (ja) 化粧料の塗布具
KR10164702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JP2006271967A (ja) 化粧組成物の包装及び塗布具装置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50135033A (ko) 화장품 용기
KR20160061030A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US20150072082A1 (en) Method of Maintaining A Painted Surface
US20170224086A1 (en) Retractable dispenser and application head
US8844542B2 (en) Lock-in cosmetic accessory sleeve apparatus having engageable fastener and/or pressure means
KR102218116B1 (ko) 화장품 용기
ATE347828T1 (de) Spenderstift
JP2012012056A (ja) 塗布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