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36Y1 -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36Y1
KR200473936Y1 KR2020130005889U KR20130005889U KR200473936Y1 KR 200473936 Y1 KR200473936 Y1 KR 200473936Y1 KR 2020130005889 U KR2020130005889 U KR 2020130005889U KR 20130005889 U KR20130005889 U KR 20130005889U KR 200473936 Y1 KR200473936 Y1 KR 200473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solution
cosmetic
roller
dischar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유창규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30005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45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에 있어서, 특히 화장 도포용 롤러와 화장 도포용 볼의 하단에 스프링 구조를 부가하여 화장 도포용 롤러로 화장 토출용 볼을 누를때 압력을 다르게 하여 화장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토출을 다르게 함으로서 화장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에 담기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부(2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의 개구부 양측에 결합되며, 몸체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홀(3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롤러지지부(3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의 내측에 결합되며 화장액이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출력시 개폐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상기 화장액 토출부에 삽입설치하되 화장액 토출용 볼의 하단에 결합되며 화장액 토출용 볼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하는 탄발 수단(50)과; 상기 롤러 지지부(30)에 결합하되 가이드홀(31)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으로 유동하면서 구름 동작을 하는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A Liquid Spread Unit Having a Discharge Structure of Cosmetic Contents}
본 고안은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 도포용 롤러와 화장 도포용 볼의 하단에 탄발 구조를 부가하여 화장 도포용 롤러로 화장 토출용 볼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화장액을 토출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누르는 압력을 다르게 하여 화장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적절하게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상물질은 액상물질이 수용된 용기에서 배출시킨 후, 손이나 붓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도포시켰다. 예를 들어 액상 화장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화장용기에 수용된 액상화장물질을 손바닥 등에 배출시킨 후, 다른 손의 손가락이나 붓 등에 묻혀서 원하는 피부 위치 등에 도포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액상물질의 도포과정에서 액상물질은 손이나 옷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장소에 묻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액상물질로 인한 오염이나 액상물질의 불필요한 낭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하나의 도포롤러를 액상용기에 장착하여, 액상물질을 도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하나의 롤러만을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도포하는 경우, 액상물질이 롤러에 지나치게 많이 묻거나, 너무 적게 묻는 등 롤러에 골고루 내용물을 도포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포롤러에 액상물질이 너무 많이 묻는 경우, 롤러가 지나치게 팽창되어 회전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1221410호에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구비되는 롤러지지부와, 상기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과 접촉하는 제1 롤러부와, 상기 제1 롤러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 및 상기 몸체부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내부캡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롤러지지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제2 롤러부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롤러부에 맞닿아 회전되어 상기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상기 제2 롤러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는 상기 롤러지지부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방향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의 단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단순히 이중 롤러를 이용하여 화장액을 토출한다는 개념일뿐 토출량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사용하는 개념은 전무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화장액 토출용 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하여 화장 도포용 롤러를 누르는 깊이를 조절하여 화장액 토출용 볼이 스프링을 누르면서 움직이는 정도를 다르게 하여 화장액이 토출량이 결정되도록하여 사용자가 화장액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에 담기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부(2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의 개구부 양측에 결합되며, 몸체의 중심에 가이드홀(3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롤러지지부(3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의 내측에 결합되며 화장액이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출력시 개폐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의 표면에 화장액을 뭍혀서 다른 구성수단으로 유동되도록 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상기 화장액 토출부에 삽입설치하되 화장액 토출용 볼의 하단에 결합되며 화장액 토출용 볼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하는 탄발 수단(50)과; 상기 롤러 지지부(30)에 결합하되 가이드홀(31)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되어 구름 동작을 하는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31)은, 수직한 길이의 장공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탄발수단(50)은, 나선형으로 감기는 코일 스프링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탄발수단(50)은, 원통형 탄력 고무재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액 토출용 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하여 화장 도포용 롤러를 누르는 깊이를 조절하여 화장액 토출용 볼이 스프링을 누르면서 움직이는 정도를 다르게 하여 화장액이 토출량이 결정되도록하여 사용자가 화장액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 내용물 도포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동작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의 탄발수단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도 7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 내용물 도포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동작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의 탄발수단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도 7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와, 화장액 토출부(20)와, 롤러지지부(30)와,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 수단(50)과, 화장 도포용 롤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이고 공간부를 갖도록 3차원 형태로 제작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부에는 화장액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액 토출부(20)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에 담기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지지부(30)는 화장액 토출부의 개구부 양측에 결합되며, 몸체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홀(3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액 토출용 볼(40)은 화장액 토출부(20)의 내측에 결합되며 화장액이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출력시 개폐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의 표면에 화장액을 뭍혀서 다른 구성수단으로 유동되도록 역할을 한다.
상기 탄발 수단(50)은 화장액 토출부에 삽입설치하되 화장액 토출용 볼의 하단에 결합되며 화장액 토출용 볼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탄발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고, 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원통형 고무재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즉, 탄발수단은 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평상시에는 화장액이 토출되지 않토록하고,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해 누르게 되면 탄발 스프링 또는 원통형 고무재가 눌리면서 화장액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화장 도포용 롤러(60)는 롤러 지지부(30)에 결합하되 가이드홀(31)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홀(31)을 따라 수직으로 유동하면서 구름 동작을 하되 화장액 토출용 볼에 밀착되어 화장액 토출용 볼에 묻은 화장액을 몸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10)와, 화장액 토출부(20)와, 롤러지지부(30)와,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 수단(50)과, 화장 도포용 롤러(60)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용기(10)의 공간부에 화장액을 체워넣는다.
그리고, 롤러지지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롤러지지부(30)는 화장액 토출부(20)의 양측에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의 내부에는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 수단(5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지지부(30)를 구성하는 화장액 토출부(20)의 상부에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결합하되, 상기 화장 도포용 롤러(60)의 지지축(61)이 롤러 지지부(30)의 양측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액 토출부(20) 및 롤러 지지부(30)를 용기(10)의 개구부에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10)와, 화장액 토출부(20)와, 롤러지지부(30)와,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수단(50)과, 화장 도포용 롤러(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지지부(30)에는 화장액 토출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에는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 수단(50)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바, 사용자가 화장액을 사용하기 위해서 롤러 지지부(30)에 삽입된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누른다.
그러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 도포용 롤러(60)의 지지축(61)이 롤러 지지부(30)의 가이드홀(31)을 통해 하강하게 되며, 상기 화장 도포용 롤러(60)가 하강하게 되면 롤러에 접면되는 화장액 토출용 볼(40)이 탄발력을 이기고 하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화장액 토출부(20)의 양사이드를 강하게 누르게 되면 화장액(1)이 상기 화장액 토출용 볼(40)의 표면에 화장액이 뭍는 상태로 회전을 하게 하게 되며 화장 도포용 롤러(60)에 뭍게 되며, 사용자는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얼굴이나 손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가압하면서 동시에 롤러를 구르도록 하여 롤러(60)에 뭍어나오는 화장액(1)을 얼굴이나 기타 신체부위에 도포한다.
그리고, 사용이 끝나서 롤러(6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해제시키면 롤러(60)가 가이드홀(3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장액 토출용 볼(40)이 탄발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면서 화장액 토출부(20)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화장액(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롤러(60)를 가압시키는 동작을 해제하면 스프링력에 의해서 화장액 토출용 볼(40)이 화장액 토출부(20)를 폐쇄하기 때문에 용기(10)에 담긴 화장액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화장액 토출부(20)를 구비하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에는 각각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탄발 수단(50)을 삽입하였는바, 상태에서 상기 롤러(60)를 압박하는 강도를 달리하여 분출되는 화장종류의 토출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롤러를 얼굴이나 피부에 가압할때 일측을 세게 가압하고 다른 일측을 약하게 가압한다면 세게 가압한 롤러에 보다 많은 양의 화장액(1)이 뭍어나오고 약하게 가압한 롤러에서는 보다 적은양의 화장액이 뭍어 나오게 되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화장액의 토출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서 화장액 토출용 볼을 동일한 압력으로 누르게 되면 동일한 양의 화장액이 출력될 수 있다.
10: 용기
20: 화장액 토출부
30: 롤러지지부
40: 화장액 토출용 볼
50: 탄발스프링
60: 화장 도포용 롤러

Claims (4)

  1.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에 담기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부(2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의 개구부 양측에 결합되며, 몸체의 중심에 가이드홀(3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롤러지지부(3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20)의 내측에 결합되며 화장액이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출력시 개폐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의 표면에 화장액을 뭍혀서 다른 구성수단으로 유동되도록 역할을 하는 화장액 토출용 볼(40)과;
    상기 화장액 토출부에 삽입설치하되 화장액 토출용 볼의 하단에 결합되며 화장액 토출용 볼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지지하는 탄발 수단(50)과;
    상기 롤러 지지부(30)에 결합하되 가이드홀(31)을 이용하여 끼움 결합되어 구름 동작을 하는 화장 도포용 롤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31)은,
    수직한 길이의 장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수단(50)은,
    나선형으로 감기는 코일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수단(50)은,
    원통형 탄력 고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내용물 선택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KR2020130005889U 2013-07-16 2013-07-16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KR200473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889U KR200473936Y1 (ko) 2013-07-16 2013-07-16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889U KR200473936Y1 (ko) 2013-07-16 2013-07-16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36Y1 true KR200473936Y1 (ko) 2014-08-12

Family

ID=5198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889U KR200473936Y1 (ko) 2013-07-16 2013-07-16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478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200059958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엘유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20200097132A (ko) * 2019-02-07 2020-08-18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 방지용 글루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101123049B1 (ko) 2009-08-12 2012-03-15 (주)에스엔피월드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20120029975A (ko) * 2010-09-17 2012-03-27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롤러 탄성지지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49B1 (ko) 2009-08-12 2012-03-15 (주)에스엔피월드 이동숄더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용기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20120029975A (ko) * 2010-09-17 2012-03-27 (주)에스엔피월드 회전롤러 탄성지지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478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671095B1 (ko) 2015-01-15 2016-11-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200059958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엘유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102137387B1 (ko) * 2018-11-22 2020-07-24 주식회사 제이엘유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20200097132A (ko) * 2019-02-07 2020-08-18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 방지용 글루건
KR102167757B1 (ko) 2019-02-07 2020-10-19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 방지용 글루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752B1 (en)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US8540449B2 (en) Fluid-material spread apparatus having double roller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200473936Y1 (ko)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WO2004071260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shaving aid onto a user's skin during a shaving operation
KR20100008832U (ko) 화장품 도포장치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20140115097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CN106213753A (zh) 化妆品容器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US11110486B2 (en) Disinfectant applicator device with contoured roller
KR101208439B1 (ko)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KR200476045Y1 (ko) 화장용액 펌핑장치
KR101991156B1 (ko)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RU2756344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ручка с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ей материала
EP2230193A1 (en) Device for applying substances contained in an aerosol
KR10219126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피부 마사지기
KR101208440B1 (ko)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EP1917900B1 (en) Shoe care device
KR200472436Y1 (ko) 화장용 퍼프
JP6155082B2 (ja) 化粧料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