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958A -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 Google Patents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958A
KR20200059958A KR1020180145351A KR20180145351A KR20200059958A KR 20200059958 A KR20200059958 A KR 20200059958A KR 1020180145351 A KR1020180145351 A KR 1020180145351A KR 20180145351 A KR20180145351 A KR 20180145351A KR 20200059958 A KR20200059958 A KR 2020005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upled
cosmetic liquid
roller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387B1 (ko
Inventor
김기수
박효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엘유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엘유,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엘유
Priority to KR1020180145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3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도록 구비되면서, 그 중심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쿠션부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양측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이드 부와, 링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자극 유도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 패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니들 패널부가 결합되면서, 양 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A roller type cosmetic liquid absorp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평판형상을 보유한 복수개의 니들 패널을 구비하여 피부에 간편하게 약물 주입이 가능한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시술하기 위한 피부 시술방법은, 주로 주름, 여드름 제거, 각질 제거 및 탈모 치료 등과 같은 피부 미용 및 두발 건강, 비만 치료 등을 위한 치료법으로서, 미세한 니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낸 이후, 천공된 피부면에 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약효를 극대화하는 방법과, 피부면에 니들을 이용하여 자극을 주어 이에 따른 인체의 자생력을 유도하여 피부를 재생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덧붙여,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피하 지방층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표피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 표면에 있는 층으로 위치와 기능에 따라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과 같이 여러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보호, 방어, 분비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진피층은 표피층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수분을 비롯한 단백질, 당질, 무기질 및 무기염류 등이 포함된다.
특히, 피부의 주름과 관련된 콜라겐과, 피부의 탄력성을 부여하는 탄력 섬유인 엘라스틴 섬유도 진피층에 위치한다.
한편, 사람마다 피부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개개인의 피부 특성을 미리 파악한 이후, 피부를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줄 때, 자연적 상처 치유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다수의 미세한 니들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진피조직이 새로이 구성되고 재배열되기 때문에 흉터가 얕아지고,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잔주름이 감소하고 색소침착이 개선되어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자연적 상처 치유작용을 일으키고자 하는 피부 면적이 넓은 경우, 종래에 사용되는 하나의 니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어 약물을 주입하는 데 있어서, 약물 주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주입되는 약물의 양이 일정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니들을 구비하여 피부 내부에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14-0088500의 약물 주입장치가 공개되어 약물 주입시간을 단축시키고 피부에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일정하도록 할 수 있었으나, 피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캐뉼라를 제작할 때, 미세한 캐뉼라 말단부의 위치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작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화장액의 점도에 따라 상이한 토출량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점도가 다른 화장액을 충진하였을때,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화장액이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어 약물을 주입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니들의 말단을 보다 간편하게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체화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약물을 주입 하고자 하는 부위에 균일하게 약물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복수개의 상기 니들에 균일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동시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균일하게 침투될 수 있는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도록 구비되면서, 그 중심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쿠션부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양측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이드 부와, 링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자극 유도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 패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니들 패널부가 결합되면서, 양 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일측이 평탄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 1 롤러부재와, 평판 형상을 이루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그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제 1 롤러부재의 결합부가 삽입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롤러부재와, 원기둥 형상을 보유하면서 상기 니들 패널부의 중심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롤러 부재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평판형상의 제 5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의 제 1 돌출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화장액의 점성에 따라 상기 유입공의 직경을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화장액의 토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상기와 같은 링 형상을 보유한 니들 패널부의 형성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균일한 화장액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측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장액 침투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장액의 토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쿠션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유입공의 직경을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는 토출부재를 통해, 점성이 서로 다른 화장액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정량 토출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의 롤러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의 롤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용기(100), 쿠션부(200), 가이드부(300), 니들 패널부(400) 및 롤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100)는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용기(100)의 상단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결합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단턱의 형성을 통해, 후술할 쿠션부(200)가 억지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210)의 중심에 상기 용기(100)에 수용된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제 1 관통공(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관통공(220)은 상기 쿠션부(200)의 상방 및 하방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쿠션부(200)는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쿠션부(200)가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용기(100) 내에 수용된 화장액이 펌핑되어 외부를 향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쿠션부(200)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후술할 니들 패널부(400)와 롤러부(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중심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10)가 상기 쿠션부(200)의 제 1 관통공(220)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31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부(300)의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홈(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홈(320)의 형성을 통해, 상기 용기(100)에 수용된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300)의 양측에는 상방을 향해 한 쌍이 연장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를 통해 후술할 롤러부(5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 2 돌출부(31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부(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니들 패널부(400)의 진행 방향이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 패널부(400)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니들 패널부(400)는 링 형상을 보유하면서, 평판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링 형상의 니들 패널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자극 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극 유도면의 끝단이 원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니들 패널부(400)의 내주면에는 롤러부(50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홈의 형성을 통해, 상기 니들 패널부(400)가 상기 롤러부(500)에 보다 견고하게 결속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 패널부(400)가 상기 롤러부(500)의 회전에 따라 모두 균일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부(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니들 패널부(400)가 끼움결합되면서 양 측단은 상기 가이드부(3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에 결속되되, 상기 롤러부(5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에는 토출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부재(600)는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200)의 제 1 돌출부(210)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 토출부재(60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유입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화장액의 점도에 따라 유입공의 직경을 결정하고, 결정된 유입공의 직경을 보유한 토출부재(600)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돌출부(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보유한 토출부재를 통해, 상기 화장액이 보유한 점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상기 화장액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에는 상기 쿠션부(200)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300), 니들 패널부(400) 및 롤러부(5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7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700)이 상기 쿠션부(200)와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700) 내에서 화장액이 일시적으로 체류될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화장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의 롤러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롤러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500)는 제 1 롤러부재(510), 제 2 롤러부재(520), 제 3 롤러부재(530), 제 4 롤러부재 및 제 5 롤러부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롤러부재(510)는 일측이 평탄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러부재(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평판 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심에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롤러부재(520)의 관통공(521)에 상기 제 1 롤러부재(510)의 결합부(511)가 삽입결합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3 롤러부재(5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원기둥 형상을 보유하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510)의 함몰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상기 제 3 롤러부재(530)가 상호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가능하도록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롤러부재는 상기 제 1 롤러부재(510)의 함몰홈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3 롤러부재(530)와 결합되면서, 타측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 1 롤러부재(510)가 상기 가이드부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5 롤러부재(550)는 상기 제 1 롤러부재(510)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롤러부재(530) 및 제 4 롤러부재(540)로부터 상기 제 2 롤러부재(520) 및 상기 니들 패널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 형상을 보유한 니들 패널부의 형성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균일한 화장액이 상기 사용자의 피부측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장액 침투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화장액의 토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쿠션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유입공의 직경을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는 토출부재를 통해, 점성이 서로 다른 화장액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정량 토출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200 : 쿠션부
210 : 제 1 돌출부
220 : 제 1 관통공
300 : 가이드부
310 : 제 2 돌출부
320 : 토출홈
400 : 니들패널부
500 : 롤러부
510 : 제 1 롤러부재
511 : 결합부
520 : 제 2 롤러부재
521 : 관통공
530 : 제 3 롤러부재
540 : 제 4 롤러부재
550 : 제 5 롤러부재
600 : 토출부재
700 : 하우징

Claims (3)

  1.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도록 구비되면서, 그 중심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쿠션부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양측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이드부;
    링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자극 유도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 패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니들 패널부가 결합되면서, 양 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일측이 평탄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형성된 제 1 롤러부재와, 평판 형상을 이루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그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제 1 롤러부재의 결합부가 삽입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롤러부재와, 원기둥 형상을 보유하면서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롤러부재의 함몰홈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3 롤러부재와 결합되면서, 타측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 4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롤러 부재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평판형상의 제 5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중심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의 제 1 돌출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화장액의 점성에 따라 상기 유입공의 직경을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화장액의 토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1020180145351A 2018-11-22 2018-11-22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10213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51A KR102137387B1 (ko) 2018-11-22 2018-11-22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51A KR102137387B1 (ko) 2018-11-22 2018-11-22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58A true KR20200059958A (ko) 2020-05-29
KR102137387B1 KR102137387B1 (ko) 2020-07-24

Family

ID=7091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51A KR102137387B1 (ko) 2018-11-22 2018-11-22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91B1 (ko) * 2021-02-02 2023-06-02 주식회사 제이엘유 롤러타입의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203B1 (ko) * 2013-11-22 2014-04-18 윤니나 피부 자극기
KR200473936Y1 (ko) * 2013-07-16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KR101647836B1 (ko) * 2016-03-29 2016-08-11 윤형 이미용기구
KR2018005604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피코바이오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36Y1 (ko) * 2013-07-16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KR101383203B1 (ko) * 2013-11-22 2014-04-18 윤니나 피부 자극기
KR101647836B1 (ko) * 2016-03-29 2016-08-11 윤형 이미용기구
KR2018005604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피코바이오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387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376B2 (en) Microneedle roller
KR101030752B1 (ko) 유체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유닛
KR101492732B1 (ko) 피부 치료기
US20150352345A1 (en) Microneedle, mould for produc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101494616B1 (ko)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CN109996582B (zh) 皮肤用手动式注射器
KR101200669B1 (ko)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20100064669A (ko)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TWI793708B (zh) 微針組件
KR101897958B1 (ko)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CN106061543A (zh) 药液注入装置
KR102106982B1 (ko) 약액 동시 주입이 가능한 메조 롤러
KR102137387B1 (ko)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20200001073A (ko) 피부약물의 공급장치가 구비된 마이크로 니들 롤러
KR101460499B1 (ko)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102305286B1 (ko) 피부 시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방법
KR101596419B1 (ko) 약물분배체가 구비된 피부시술용 멀티 니들장치
KR102139082B1 (ko) 스탬프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102061000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2021934B1 (ko) 피부 약물 주입장치
KR101491075B1 (ko)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KR101352127B1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1179526B1 (ko) 의료용 침술장치
KR20200077851A (ko) 약물 전달 시스템
KR20160008379A (ko) 약물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