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377B1 -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 Google Patents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377B1
KR102105377B1 KR1020190130581A KR20190130581A KR102105377B1 KR 102105377 B1 KR102105377 B1 KR 102105377B1 KR 1020190130581 A KR1020190130581 A KR 1020190130581A KR 20190130581 A KR20190130581 A KR 20190130581A KR 102105377 B1 KR102105377 B1 KR 10210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ing
closing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웅
Original Assignee
권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102019013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Y존과 같이 분무기를 정립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곳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하부에 구비된 송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 및 하면으로 노출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출부와 연통된 유입구 및 상기 노즐과 연통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따라 상기 액체를 상기 노즐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INVERTED MIST SPRAYER}
본 발명은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Y존과 같이 분무기를 정립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곳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미스트는 편리한 사용성으로 인해 토너, 바디케어, 각질제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보습 및 수분유지를 시키는 용도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실용신안 제20-0438980호는 미스트 미용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무용 누름버튼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분무용 누름버튼의 조작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수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원수가 자유로이 통과될 수 있게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단 개구에 걸림턱과 지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과 지지턱의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한 디스크필터와 상기 디스크필터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채워져 원수의 성질을 기능성 미용수로 활용할 수 있게 전환하는 은첨가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비타민C, 세라믹볼 중 어느 하나의 충진재로 이루어진 원수활성용 여과체를 포함함으로써, 원수를 은첨가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비타민C, 세라믹볼 등의 충진재를 통과시켜 피부미용에 좋은 약산성수를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제20-0438980호) 및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인체의 Y존(항문 등)과 같은 곳에 사용할 경우 미스트를 정립(노즐을 상측이 향하도록 세운 상태)하여 사용할 때 사람의 신체 구조상 미스트의 사용이 불편하며, 역립(도립)하여 사용할 경우 케이스 내측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튜브에 내용물이 닿지 않아 정상적으로 분무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역립 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인체의 Y존 등과 같은 곳에 사용할 수 있는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역립 상태에서 수용된 액체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는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하부에 구비된 송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 및 하면으로 노출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출부와 연통된 유입구 및 상기 노즐과 연통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따라 상기 액체를 상기 노즐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액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 상기 누름부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수단을 폐쇄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수단을 개방하는 제1개폐수단, 상기 제1이송수단과 연통되고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 및 상기 누름부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2이송수단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수단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관,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관보다 내경이 작은 상부관 및 상기 하부관에 내삽된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된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수단은, 상기 피스톤, 상기 상부관에 내삽 되고 상기 상부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어 승강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관에 접촉되어 상기 상부관을 밀폐하는 탄성날개 및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통공을 막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수단은 일단에 상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제2이송수단에 연결되고, 일 측면에 개폐구(상측 출구)를 갖는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수단은 상기 개폐구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개폐구를 밀폐하는 밀폐돌기를 구비한 탄성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케이스 하부에 구비된 송출부에 연통되는 펌프의 유입구를 포함함으로써, 역립 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인체의 Y존 등과 같은 곳에 사용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송수단, 제1개폐수단, 제2이송수단 및 제2개폐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누름부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인 경우에만 액체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고, 수용된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날개 및 헤드를 포함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누름부의 누름 정도에 따라 피스톤의 통공을 개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돌기를 구비한 탄성게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누름부의 누름 상태 정도 및 제2개폐수단의 개방 여부에 따라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정립형 분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해제 상태의 역립형 분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상태의 역립형 분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이송수단 및 제2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밀폐돌기에 의해 이송관의 개폐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밀폐돌기에 의해 이송관의 개폐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연통)"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연통)"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구성)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 중 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측(상부, 상단)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을 의미할 수 있고, 하측(하부, 하단)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립형 분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정립형 분무기는 정립한 상태(노즐이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케이스에 수용된 액체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기 위해 흡입튜브(T)의 상단(도 1을 기준으로 상단) 흡입구가 케이스의 상단(도 1을 기준으로 상단)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정립형 분무기는 도 1과 같이, 역립하여 사용 할 경우(노즐이 하측을 향하도록 한 경우) 액체는 케이스에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케이스의 액체의 소정양이 분무되어 완전 충진된 상태가 아니라면 흡입튜브(T)의 흡입구가 케이스의 액체에 닿지 않게 되기 때문에 흡입튜브(T)는 액체를 흡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정립형 분무기는 역립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인체의 Y존(항문 등)에 액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기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인체의 Y존 등과 같은 곳에 분무하고자 하는 액체(액상 물질)를 분무할 수 있는 역립형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립형 분무기(S)를 설명의 편의상 '본 분무기'라 칭하기로 한다.
본 분무기(역립형 분무기(S))는 예시적으로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역립형 미스트)일 수 있는데, 미스트는 편리한 사용성으로 인해 토너, 바디케어, 각질제거 등 다양하게 사용되며, 피부보습 및 수분유지를 시키는 용도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미스트는 Y존과 같은 곳에 청결제, 제모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해제 상태의 역립형 분무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상태의 역립형 분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분무기(역립형 분무기(S))는 케이스(1), 토출부재(2) 및 펌프(3)를 포함한다.
케이스(1)는 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1)를 포함한다. 액체는 후술하는 노즐(21)을 통해 분무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액체는 보습 및 수분을 유지시키는 용도 등에 사용되는 조성물일 수 있는데, 특히 Y존(항문 등)의 청결, 제모 등을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는 하부에 구비된 송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부(12) 수용부(11)의 하측에 연결되어 수용부(11)에 수용된 액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예시적으로 송출부(12)는 수용부(1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송출홈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 하단 후술하는 하부는 연직 방향의 하측, 하단 및 하부로서 도 2를 기준으로 각각 하측, 하단 및 하부를 의미하며, 상측, 상단 및 상부 또한 연직 방향의 상측, 상단 및 상부로서 도 2를 기준으로 각각 상측, 상단 및 상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인 하측, 하단, 하부, 상측, 상단, 상부는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재(2)는 케이스(1) 하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21)을 포함한다. 상술한 송출부(12)와 노즐(21)은 후술하는 펌프(3)에 의해 연통(연결)된다. 노즐(21)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액체를 본 분무기의 외측으로 분사시키는 미세한 분무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분무기가 미스트(미스트 분무기)로 사용되는 경우 노즐(21)의 분무공은 보다 미세하게 형성되고, 노즐(21)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가 공기와 접촉하여 더욱 분산되기 때문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단히 작은 액체입자가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재(2)는 하면으로 노출된 누름부(22)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사람 등은 본 분무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누름부(22)를 가압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펌프(3)는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고, 송출부(12)와 연통(연결)된 유입구(IL) 및 노즐(21)과 연통(연결)된 배출구(OL)를 포함한다. 펌프(3)는 송출부(12)의 액체를 노즐(21)을 통해 배출하도록 액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케이스(1)의 수용부(11)에 수용된 액체는 수용부(11) 보다 하측에 구비된 송출부(12)로 이동하고, 송출부(12)와 연통된 유입구(IL)를 통해 펌프(3)로 진입한 후 배출구(OL)를 통해 노즐(21)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분무기는 송출부(12)가 하측에 구비되고, 상술한 종래의 분무기(도 1 참조)에서 튜브(T)의 상단과 대응되는 펌프(3)의 유입구(IL)가 송출부(12)에 연통됨으로써, 본 분무기가 역립된 상태(노즐(21)이 하측을 향한 상태, 도 2 및 도 3 참조)에서도 수용부(11)에 수용된 액체를 분무할 수 있으며, 수용부(11)의 액체 잔존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수용부(11)의 액체 잔존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유입구(IL)는 송출부(12)에서 하측과 연통(연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였듯이 펌프(3)는 누름부(22)의 누름에 따라 액체를 노즐(21)로 이동시킨다. 즉, 사람 등이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누름부(22)의 누름 정도에 따라, 유입구(IL)를 통해 펌프(3)로 진입된 액체가 배출구(OL)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구(OL)와 연통(연결)된 노즐(21)로 진입하는 것이다.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2이송수단 및 제2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밀폐돌기에 의해 이송관의 개폐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밀폐돌기에 의해 이송관의 개폐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3)는 유입구(IL)로 유입된 액체를 이동하는 제1이송수단(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이송수단(31)은 파이프 또는 튜브 등 일 수 있다.
또한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펌프(3)는 제1이송수단(31)을 개방하고, 누름부(22)의 누름 해제 상태(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누름 해제 상태)에서 제1이송수단(31)을 폐쇄하는 제1개폐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누름부(22)의 누름 상태란 사람 등이 누름부(22)를 가압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누름 해제 상태란 누름 상태에서의 누름부(22)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기 설정된 높이란 누름부(22)가 상측으로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펌프(3)는 제1이송수단(31)과 연통되고 액체를 배출구(OL)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이송수단(33)은 제1이송수단(31)과 마찬가지로 파이프 또는 튜브 등 일 수 있다.
즉, 펌프(3)에서 제1이송수단(31) 및 제2이송수단(33)이 상호 연통되되, 제1개폐수단(32)이 누름부(22)의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조건하에서 누름 여부(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 또는 누름 해제 상태)에 따라 제1이송수단(31)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32)이 제1이송수단(31)을 개방하여 액체를 제2이송수단(3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 해제 상태에서 제1이송수단(31)을 폐쇄하여 제1이송수단(31)의 액체가 제2이송수단(33)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제2이송수단(33)의 액체가 제1이송수단(31)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3)는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에서 제2이송수단(33)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고, 누름부(22)의 누름 해제 상태(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에서 누름 해제 상태)에서 제2이송수단(33)을 폐쇄하는 제2개폐수단을(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누름부(22)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제2개폐수단(34)은 폐쇄되어, 제2이송수단(33)에서 노즐(21)로의 물의 이동을 억제시키고,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인 경우, 제1개폐수단(32) 및 제2개폐수단(34)은 각각 폐쇄되어, 역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이때 누름부(22)를 더욱 가압하여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인 경우, 제1개폐수단(32)은 폐쇄되고, 제2개폐수단(34)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되어 배출구(OL)를 통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다. 이후에 누름부(22)가 누름 해제 상태인 경우, 제1개폐수단(32)이 다시 개방되어 액체가 제2이송수단(33)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개폐수단(34)은 폐쇄되어 제2이송수단(33)의 액체가 배출구(OL)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본무기는 제1이송수단(31), 제1개폐수단(32), 제2이송수단(33) 및 제2개폐수단(34)을 포함함으로써, 누름부(22)가 누름 해제 상태인 경우 액체가 배출구(OL)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람 등이 실수 등으로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 놓이는 경우 본 분무기에서 액체가 배출구(OL)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역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이송수단(31)은 일단에 상기 유입구(IL)를 구비하고, 타단은 제2이송수단(33)에 연결(연통)되고, 또한 일 측면에 개폐구(3111)를 갖는 이송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단은 하단을 의미하고 타단은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은 상측 내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측은 펌프(3)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중심선을 향하는 방향이며, 외측은 상기 중심선에서 외측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개폐구(3111)는 이송관(311)에서 유입구(IL) 보다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송관(311)의 유입구(IL)를 통해 유입된 액체는 이송관(311)의 개폐구(3111)를 통해 배출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이송수단(33)은 이송관(311)의 개폐구(3111)와 연통되는 상부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연통)은 다른 소자(구성)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연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전술하였듯이, 상부관(332)은 이송관(311)의 개폐구(3111)와 간접적으로 연결(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펌프(3)는 제1이송수단(31) 및 제2이송수단(33)을 수용하는 하우징(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이송수단(33)은 제1이송수단(3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하우징(36)에서 제1이송수단(31)보다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펌프(3)는 제1이송수단(31) 및 제2이송수단(33)의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 중 하측을 밀폐하되 제2이송수단(33)을 수용하는 밀폐수단(3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펌프(3)는 제1이송수단(31), 제2이송수단(33), 하우징(36), 밀폐수단(37)이 형성하는 공간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관(311)의 개폐구(3111)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공간부(35)를 통해 상부관(332)의 상측입구(3321)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관(332)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관(331), 하부관(331)에 적어도 일부가 내삽된 후술하는 피스톤(341)의 내부에 구비된 통공(33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후술할 피스톤(341)은 통공(333)이 밀폐된 상태에서 하부관(331)을 밀폐하는 것이다.
피스톤(341)의 통공(333)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관(332)을 통해 하부관(331)으로 이동한 액체는 통공(333)을 통해 노즐(21)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통공(333)의 하단이 노즐(21)과 연결되는 배출관(OL)일 수 있다.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관(332)의 내경은 하부관(331)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개폐수단(34)은 하부관(331)에 적어도 일부가 내삽된 피스톤(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41)은 상술한 하부관(331) 및 노즐(21)을 연결(연통)시키는 통공(333)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41) 하단이 상기 누름부(22)와 연결되어 누름부(22)가 가압될 시(누름 상태) 상측으로 이동되고, 누름부(22)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누름 해제 상태)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개폐수단(34)은 상부관(33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부관(332)에 적어도 일부가 내삽 되는 승강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342)는 측면에 구비되고 상부관(332)에 접촉되어 상부관(332)을 밀폐하는 탄성날개(3421)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341)의 통공(333)을 막는 헤드(3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342)는 헤드(342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날개(3421)는 예시적으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이고, 탄성날개(3421)의 외경은 상부관(332)의 내경보다 크고 하부관(331)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3422)는 일부가 통공(333)에 삽입되어 통공(333)을 밀폐하도록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개폐수단(34)은 하단이 승강부재(342)의 상부에 결합되고(예시적으로 탄성날개(3421)의 상단), 상단이 승강부재(342)의 상단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관(332)의 단턱에 결합되는 스프링(34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누름부(22)를 가압하지 않아 누름 해제 상태인 경우(도 2 참조), 탄성날개(3421)가 하부관(331)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상부관(332)이 밀폐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관(332)의 액체가 탄성날개(3421)와 상부관(332)의 하단 사이 공간으로 액체가 이동하여 하부관(33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누름 상태(기 설정된 높이 이하)에 놓이는 경우(도 3 참조) 누름부(22)와 연결된 피스톤(341)이 하부관(331)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승강부재(3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탄성날개(3421)가 상부관(332)으로 삽입되어 상부관(332)을 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분무기는 탄성날개(3421)를 포함함으로써, 피스톤(341), 승강부재(342), 상부관(332), 하부관(331)이 형성하는 공간의 부피 및 압력을 누름부(22)에 누름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통공(333)을 개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개폐수단(32)은 개폐구(3111)에 관통 삽입되어 개폐구(3111)를 밀폐하는 밀폐돌기(3211)를 포함하는 탄성게이트(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게이트(321)는 상기 공간부(35)를 형성하는 밀폐수단(37) 상단에 배치되는 몸체(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폐돌기(3211)는 몸체(3212)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일 측면(내측면)이 개구된 개폐구(3111)에 삽입되어 개폐구(3111)를 밀폐할 수 있다. 밀폐돌기(3211)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유압에 따라 개폐구(3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3111)는 상단 내벽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22)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제2이송수단(33)의 부피가 증가하여 압력이 이송관(311)의 압력(액체 및 수용부(11) 내의 기체)에 의한 유압)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밀폐돌기(3211)는 내측으로 탄성변형 되어 개폐구(3111)를 개방한다. 따라서 액체는 개폐구(3111)를 통해 배출되어 공간부(35)를 통해 상부관(332)으로 진입한다. 이때 피스톤(341)이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날개(3421)가 하부관(331)으로 이동하여 탄성날개(3421)와 상부관(332) 하단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하부관(331)으로 액체가 이동한다. 이때 헤드(3422)가 피스톤(341)의 통공(333)을 밀폐하여, 액체가 배출관(OL)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후에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인 경우, 피스톤(341)이 하부관(331)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341)이 승강부재(34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탄성날개(3421)가 상부관(332)으로 삽입되어 상부관(332), 하부관(331), 탄성날개(3421), 피스톤(341), 승강부재(342), 헤드(3422)가 형성하는 공간(이하 제1공간(a))(도 3 참조)의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상부관(332), 탄성날개(3421), 공간부(35)가 형성하는 공간(이하 제2공간(b))의 부피가 감소하여 압력이 이송관(311)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므로 탄성날개(3421)를 다시 외측으로 이동시켜 개폐구(3111)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돌기(3211)는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제2공간(b)의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후에 누름부(22)가 더욱 가압되어 누름부(22)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에 놓이는 경우, 제1공간(a)의 압력이 더욱 증가하여,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외경이 감소하여 일부가 통공(333)에 삽입되어 통공(333)을 밀폐하는 헤드(3422)의 상부를 상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통공(333)을 개방하기 때문에 통공(333)을 통해 제1공간(a)의 액체가 배출된다. 따라서 기 설정된 높이는 제1공간(a)의 액체가 통공(333)에 삽입된 헤드(342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통공(333)을 개방하는 순간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액체가 통공(333)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제1공간(a)의 압력이 감소하는 동시에, 스프링(3426)에 의해 승강부재(34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다시 헤드(3422)가 통공(333)을 밀폐하게 된다. 즉, 통공(333)이 개방된 순간에서 헤드(3422)가 다시 통공(333)을 밀폐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이 된다.
이후에 누름 해제 상태가 되면, 피스톤(341)은 중력 및 스프링(34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공간(a) 및 제2공간(b)이 다시 부피가 증가하여 제1공간(a) 및 제2공간(b)의 압력이 이송관(311)의 압력보다 작게 되어 밀폐돌기(3211)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구(3111)를 다시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분무기는 밀폐돌기(3211)를 포함함으로써, 헤드(3422)가 통공(333)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하부관(331)에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액체가 상부관(332)의 액체가 이송관(311)으로 역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역립형 분무기: S 케이스: 1
수용부: 11 송출부: 12
토출부재: 2 노즐: 21
누름부: 22 펌프: 3
제1이송수단: 31 유입구: IL
이송관: 311 개폐구: 3111
제1개폐수단: 32 탄성게이트: 321
밀폐돌기: 3211 몸체: 3212
제2이송수단: 33 하부관: 331
상부관: 332 통공: 333
배출구: OL 제2개폐수단: 34
피스톤: 341 승강부재: 342
탄성날개: 3421 헤드: 3422
스프링: 3426 공간부: 35
하우징: 36 밀폐수단: 37
제1공간: a 제2공간: b

Claims (4)

  1. 내부에 구비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하부에 구비된 송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 및 하면으로 노출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송출부와 연통된 유입구 및 상기 노즐과 연통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따라 상기 액체를 상기 노즐로 이동시키는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액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 상기 누름부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수단을 폐쇄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수단을 개방하는 제1개폐수단, 상기 제1이송수단과 연통되고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구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 및 상기 누름부가 기 설정된 높이 초과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제2이송수단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수단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관,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관보다 내경이 작은 상부관 및 상기 하부관에 내삽된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된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수단은, 상기 피스톤, 상기 상부관에 내삽 되고 상기 상부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누름부와 연결되어 승강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관에 접촉되어 상기 상부관을 밀폐하는 탄성날개,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통공을 막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날개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외경이 상기 상부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하부관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일부가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을 밀폐하도록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외경이 감소하고,
    상기 제1이송수단은 일단에 상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제2이송수단에 연결되고, 일 측면에 개폐구를 갖는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수단은 상기 개폐구보다 하측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개폐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개폐구에 삽입되는 밀폐돌기를 구비한 탄성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수단은 상기 개폐구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개폐구를 밀폐하는 밀폐돌기를 구비한 탄성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형 분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30581A 2019-10-21 2019-10-21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KR10210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1A KR102105377B1 (ko) 2019-10-21 2019-10-21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1A KR102105377B1 (ko) 2019-10-21 2019-10-21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377B1 true KR102105377B1 (ko) 2020-04-28

Family

ID=7045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81A KR102105377B1 (ko) 2019-10-21 2019-10-21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83B1 (ko) * 2020-12-14 2021-07-08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KR102302726B1 (ko) * 2021-06-25 2021-09-14 조정호 정역립 상태에서 분사가 가능한 미스트 분무기
WO2022131385A1 (ko) * 2020-12-14 2022-06-23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KR102589576B1 (ko) 2023-05-24 2023-10-16 김정엽 역립형 에어리스 펌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449A (en) * 1979-03-19 1985-07-23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spraying device
KR200295501Y1 (ko) * 2002-07-23 2002-11-18 주식회사 종우실업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JP2005288210A (ja) * 2004-03-31 2005-10-20 Mitani Valve Co Ltd ポンプ式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JP5674150B2 (ja) * 2011-05-31 2015-02-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ユニット並びに正倒立両用噴霧装置
KR101702172B1 (ko) * 2010-09-09 2017-02-02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 및 이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0449A (en) * 1979-03-19 1985-07-23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spraying device
KR200295501Y1 (ko) * 2002-07-23 2002-11-18 주식회사 종우실업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JP2005288210A (ja) * 2004-03-31 2005-10-20 Mitani Valve Co Ltd ポンプ式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101702172B1 (ko) * 2010-09-09 2017-02-02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 및 이 액츄에이터 도립 정량 분사기구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JP5674150B2 (ja) * 2011-05-31 2015-02-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ユニット並びに正倒立両用噴霧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83B1 (ko) * 2020-12-14 2021-07-08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WO2022131385A1 (ko) * 2020-12-14 2022-06-23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KR102302726B1 (ko) * 2021-06-25 2021-09-14 조정호 정역립 상태에서 분사가 가능한 미스트 분무기
KR102589576B1 (ko) 2023-05-24 2023-10-16 김정엽 역립형 에어리스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377B1 (ko)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EP0020840B1 (en)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spraying liquid
KR200476949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보관,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JPS63501548A (ja) スプレ−容器に使用するスプレ−手段
US3545682A (en) Dispensing device
US20170273437A1 (en) Pump-type compact container
RU2013109379A (ru)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ы смеш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концентратов напитков
KR101826634B1 (ko)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JPS6251150B2 (ko)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CZ2003104A3 (cs) Vypouštěcí hlavice s proměnlivým průtokem pro stlačitelné vypouštěcí zařízení
RU2256473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распылителя,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принципе сжимания емкости
JPH0814155A (ja) 液体のスプレー用の手動式予圧縮ポンプ
JP2008207873A (ja) 定量バルブ機構および、この定量バルブ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03520663A5 (ko)
WO2021018142A1 (zh) 一种干粉喷雾器
US6913169B2 (en) Low profile, fine mist, finger-operated, precompression-type spray pump
US3341130A (en) Spray head for flexible containers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0923767B1 (ko) 누액차단이 가능한 디스펜서 펌프 버튼
CN209221210U (zh) 一种气泵式美容喷雾仪
CN110436059A (zh) 一种按压式干粉喷雾器
KR102446308B1 (ko) 편의성이 향상된 미스트 분무기
JPH0299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