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63Y1 -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63Y1
KR200479363Y1 KR2020140001981U KR20140001981U KR200479363Y1 KR 200479363 Y1 KR200479363 Y1 KR 200479363Y1 KR 2020140001981 U KR2020140001981 U KR 2020140001981U KR 20140001981 U KR20140001981 U KR 20140001981U KR 200479363 Y1 KR200479363 Y1 KR 200479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ap
shoul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483U (ko
Inventor
배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202014000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6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저장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관형태의 바디결합부와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바디결합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깨부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를 통해 상기 어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캡과, 상기 캡바닥면부의 내표면에 기립 형성된 개폐기둥과 상기 목부에 연통하고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개폐기둥에 의해 밀폐되도록 상기 용기캡과 상기 어깨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관부를 갖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관부를 통해 흘러나오는 액상화장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치된 퍼프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결합부는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개폐관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플랜지와 상기 개폐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커트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퍼프지지관부와 상기 연결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관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관부의 외표면이 상기 목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수부와 상기 수나사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결합되며; 상기 퍼프는 상기 개폐관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폐관안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둥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둥안내공이 상면과 상기 개폐관안착홈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관안착홈에 상기 개폐관부가 삽입되고 상기 기둥안내공이 상기 개폐기둥에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관부와 상기 퍼프지지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며 액상화장품을 퍼프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Cosmetic Receptacle}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화장품을 바를 때 사용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사용하여 화장할 때 브러시, 펜슬, 퍼프(Puff) 등의 화장도구를 이용하게 되고, 퍼프는 화운데이션 등 액상의 화장품을 바를 때 사용하고 있다.
퍼프를 화장품용기와 분리하여 휴대하는 경우 분실염려, 보관불편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110)와, 용기바디부(110)에 결합되는 어깨부(120)와, 어깨부(120)에 결합되는 용기캡(130) 및 퍼프지지체(170)와, 용기캡(130)과 어깨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개폐작동부(140)와, 퍼프지지체(170)에 설치된 퍼프(150)와, 용기바디부(110)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안내관(161)을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0)는 상면에 연락공(111a)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中空)의 저장공간부(111)와, 연락공(111a)에 연통하도록 저장공간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112)를 갖고 있다.
목부(112)는 외표면에 수나사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120)는 관형태의 바디결합부(121)와, 바디결합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122)를 갖고 있다.
바디결합부(121)는 내표면에 암나사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122)는 외표면에 결합돌기(122a)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120)는 암나사부(121a)와 수나사부(112a)를 통해 목부(112)에 나사결합된다.
용기캡(130)은 캡바닥면부(131)와, 캡바닥면부(13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캡측면부(132)를 갖고 있다.
캡측면부(132)는 내표면에 결합돌기(122a)에 대응하는 결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130)은 결합홈(132a)에 결합돌기(122a)가 진입하도록 캡측면부(132)를 통해 어깨부(120)에 결합된다.
퍼프지지체(170)는 어깨부(120)에 결합된 하부지지체(171)와, 하부지지체(171)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지지체(172)를 갖고 있다.
하부지지체(171)는 중앙영역에 하부지지체통과공(17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지지체(172)는 중앙영역에 하부지지체통과공(171a)에 정렬되도록 상부지지체통과공(172a)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작동부(140)는 캡바닥면부(131)의 내표면에 기립 형성된 개폐기둥(141)과, 용기캡(130)과 어깨부(120) 사이에 배치된 개폐관(142)을 갖고 있다.
개폐관(142)은 상부지지체통과공(172a)의 상부구간과 후술하는 퍼프통과공(150a)에 설치된다.
퍼프(150)는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중앙영역에는 퍼프통과공(150a)이 상부지지체통과공(172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퍼프(150)는 상부지지체(17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퍼프(150)는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퍼프(150)는 용기캡(130)이 어깨부(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개폐관(142)을 통해 흘러나오는 액상화장품을 외표면을 통해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안내관(161)은 하부구간이 상부구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지지턱(161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안내관(161)은 하단 외표면이 목부(112)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상단이 개폐관(142)의 하단에 접촉하고, 지지턱(161a)이 목부(112)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캡(130)은 어깨부(12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용기캡(130)을 어깨부(120)로부터 분리한다.
용기캡(130)이 어깨부(120)로부터 분리되면 개폐관(142)은 개방된다.
다음에 용기바디부(110)를 안내관(161)을 통해 액상화장품이 흘러나오도록 용기바디부(110)를 기울인다. 액상화장품이 안내관(161)으로 진입할 때 안내관(161)의 외표면과 목부(112)의 내표면 사이에 접촉에 의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121a)와 수나사부(1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안내관(161)을 통해 흘러나온 액상화장품은 개폐관(142)을 지나 퍼프(150)의 외표면을 통해 퍼프(150)에 전달된다.
다음에 퍼프(150)를 화장부위에 접촉시켜 화장한다.
화장이 끝나면 용기캡(130)을 어깨부(120)에 다시 결합한다.
용기캡(130)이 어깨부(120)에 다시 결합될 때 개폐관(142)은 개폐기둥(141)에 의해 밀폐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201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4447호(고안의 명칭 : 화장용 퍼프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장품용기에 따르면, 안내관(161)을 통해(안내관의 외표면과 목부의 내표면 사이의 접촉을 통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121a)와 수나사부(1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및 교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안내관(161)을 통해 흘러나온 액상화장품이 개폐관(142)를 지나 퍼프(150)의 외표면을 통해 퍼프(150)에 전달되기 때문에 액상화장품이 퍼프(150)에 충분히 전달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며 액상화장품을 퍼프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저장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관형태의 바디결합부와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바디결합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깨부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를 통해 상기 어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캡과, 상기 캡바닥면부의 내표면에 기립 형성된 개폐기둥과 상기 목부에 연통하고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개폐기둥에 의해 밀폐되도록 상기 용기캡과 상기 어깨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관부를 갖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관부를 통해 흘러나오는 액상화장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치된 퍼프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결합부는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개폐관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플랜지와 상기 개폐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커트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퍼프지지관부와 상기 연결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관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관부의 외표면이 상기 목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결합되며; 상기 퍼프는 상기 개폐관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폐관안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둥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둥안내공이 상면과 상기 개폐관안착홈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관안착홈에 상기 개폐관부가 삽입되고 상기 기둥안내공이 상기 개폐기둥에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관부와 상기 퍼프지지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플랜지는 저면에 상기 어깨부가 상기 목부에 결합될 때 상기 목부의 상단에 가압접촉하도록 밀폐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결합부는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액상화장품이 목부를 통과할 때 밀폐관부에 의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교체작업이 용이해 진다(종래기술과 달리 안내관이라는 부품이 없어짐).
그리고 목부를 통해 흘러나온 액상화장품이 기둥안내공의 내주면을 통해 퍼프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을 퍼프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어깨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8은 종래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어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10)와, 용기바디부(10)에 결합되는 어깨부(20)와, 어깨부(20)에 결합되는 용기캡(30)과, 용기캡(30)과 어깨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개폐작동부(40)와, 어깨부(20)에 설치된 퍼프(50)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0)는 상면에 연락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中空)의 저장공간부(11)와, 연락공(11a)에 연통하도록 저장공간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12)를 갖고 있다.
목부(12)는 외표면에 수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20)는 관형태의 바디결합부(21)와, 바디결합부(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22)와, 바디결합부(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플랜지(23)와, 스커트부(2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퍼프지지관부(24)와, 연결플랜지(23)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관부(25)를 갖고 있다.
바디결합부(21)는 내표면에 암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리브(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22)는 외표면에 결합돌기(22a)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연결플랜지(23)는 후술하는 개폐관부(42)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바디결합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플랜지(23)는 저면에 밀폐리브(23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밀폐리브(23a)는 어깨부(20)가 목부(12)에 결합될 때 목부(12)의 상단에 가압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퍼프지지관부(24)는 개폐관부(42)를 둘러싸도록 스커트부(2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20)는 밀폐관부(25)의 외표면이 목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를 통해 목부(12)에 나사결합된다.
용기캡(30)은 캡바닥면부(31)와, 캡바닥면부(3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캡측면부(32)를 갖고 있다.
캡측면부(32)는 내표면에 결합돌기(22a)에 대응하는 결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30)은 결합홈(32a)에 결합돌기(22a)가 진입하도록 캡측면부(32)를 통해 어깨부(20)에 결합된다.
개폐작동부(40)는 캡바닥면부(31)의 내표면에 기립 형성된 개폐기둥(41)과, 용기캡(30)과 어깨부(20) 사이에 배치된 개폐관부(42)를 갖고 있다.
개폐관부(42)는 목부(12)에 연통하고, 용기캡(30)이 어깨부(20)에 결합될 때 개폐기둥(41)에 의해 밀폐되도록 어깨부(20)로부터 상방향(캡바닥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퍼프(50)는 개폐관부(42)를 수용하기 위한 개폐관안착홈(50b)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퍼프(50)는 개폐기둥(41)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둥안내공(50a)이 상면과 개폐관안착홈(50b)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퍼프(50)는 개폐관안착홈(50b)에 개폐관부(42)가 삽입되고 기둥안내공(50a)이 개폐기둥(41)에 정렬되도록 개폐관부(42)와 퍼프지지관부(24) 사이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퍼프(50)는 용기캡(30)이 어깨부(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기둥안내공(50a)의 내주면을 통해 개폐관부(42)를 통해 흘러나오는 액상화장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퍼프(50)는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캡(30)은 어깨부(2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용기캡(30)을 어깨부(20)로부터 분리한다.
용기캡(30)이 어깨부(20)로부터 분리되면 개폐관부(42)는 개방된다.
다음에 용기바디부(10)를 목부(12)를 통해 액상화장품이 흘러나오도록 용기바디부(10)를 기울인다.
액상화장품이 목부(12)를 통과할 때 밀폐관부(25)에 의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액상화장품이 목부(12)를 통과할 때 밀폐리브(23a)에 의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보강리브(26)에 의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액상화장품이 목부(12)를 통과할 때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목부(12)를 통해 흘러나온 액상화장품은 개폐관부(42)를 지나 기둥안내공(50a)의 내주면을 통해 퍼프(50)에 전달된다.
다음에 퍼프(50)를 화장부위에 접촉시켜 화장한다.
화장이 끝나면 용기캡(30)을 어깨부(20)에 다시 결합한다.
용기캡(30)이 어깨부(20)에 다시 결합될 때 개폐관부(42)는 개폐기둥(41)에 의해 밀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화장품이 목부(12)를 통과할 때 밀폐관부(25)에 의해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교체작업이 용이해 진다(종래기술과 달리 안내관이라는 부품이 없어짐).
그리고 목부(12)를 통해 흘러나온 액상화장품이 기둥안내공(50a)의 내주면을 통해 퍼프(5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을 퍼프(50)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플랜지(23)의 저면에 밀폐리브(23a)를 형성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결합부(21)의 외표면에 보강리브(26)를 형성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이 암나사부(21a)와 수나사부(12a)의 결합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용기바디부 11, 111 : 저장공간부
12, 112 : 목부 20, 120 : 어깨부
21, 121 : 바디결합부 22, 122 : 스커트부
23 : 연결플랜지 24 : 퍼프지지관부
25 : 밀폐관부 26 : 보강리브
30, 130 : 용기캡 40, 140 : 개폐작동부
41, 141 : 개폐기둥 42 : 개폐관부
50, 150 : 퍼프 142 : 개폐관
161 : 안내관

Claims (3)

  1.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저장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관형태의 바디결합부와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바디결합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깨부와, 캡바닥면부와 상기 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를 통해 상기 어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캡과, 상기 캡바닥면부의 내표면에 기립 형성된 개폐기둥과 상기 목부에 연통하고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개폐기둥에 의해 밀폐되도록 상기 용기캡과 상기 어깨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관부를 갖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용기캡이 상기 어깨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관부를 통해 흘러나오는 액상화장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치된 퍼프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결합부는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개폐관부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상기 바디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플랜지와 상기 개폐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스커트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퍼프지지관부와 상기 연결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폐관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관부의 외표면이 상기 목부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결합되며;
    상기 퍼프는 상기 개폐관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폐관안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둥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둥안내공이 상면과 상기 개폐관안착홈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관안착홈에 상기 개폐관부가 삽입되고 상기 기둥안내공이 상기 개폐기둥에 정렬되도록 상기 개폐관부와 상기 퍼프지지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는 저면에 상기 어깨부가 상기 목부에 결합될 때 상기 목부의 상단에 가압접촉하도록 밀폐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결합부는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KR2020140001981U 2014-03-12 2014-03-12 화장품용기 KR200479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1U KR200479363Y1 (ko) 2014-03-12 2014-03-12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1U KR200479363Y1 (ko) 2014-03-12 2014-03-12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83U KR20150003483U (ko) 2015-09-22
KR200479363Y1 true KR200479363Y1 (ko) 2016-01-20

Family

ID=5434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81U KR200479363Y1 (ko) 2014-03-12 2014-03-12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29B1 (ko) 2020-01-28 2020-05-29 주식회사 데이랩스 화장품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19B1 (ko) 2008-05-14 2009-09-11 김순언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KR200466222Y1 (ko) 2011-12-07 2013-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19B1 (ko) 2008-05-14 2009-09-11 김순언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466222Y1 (ko) 2011-12-07 2013-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29B1 (ko) 2020-01-28 2020-05-29 주식회사 데이랩스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83U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119B1 (ko) 나선 구조를 갖는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US7874461B2 (en) Cosmetic receptacle
US7229229B2 (en) Liquid dispenser
KR200479363Y1 (ko) 화장품용기
JP4753232B2 (ja) 定量塗布容器
JP6385203B2 (ja) 塗布容器
JP6498058B2 (ja) ロールオン容器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042156B1 (ko) 브러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10007785U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JP6154174B2 (ja) 塗布容器
KR100703179B1 (ko) 화장용브러시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KR101529031B1 (ko) 파운데이션용기
CN217390168U (zh) 内置替换瓶式化妆品容器
KR101992530B1 (ko) 유동성 패킹을 이용한 기밀 구조를 갖는 기밀 용기
KR102404107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CN103340747A (zh) 医用液剂瓶的喷液机构与揿手压盖的配合结构
WO2023108850A1 (zh) 一种出液容器
CN209684180U (zh) 一种化妆品滴管瓶
BR112018013056B1 (pt) Distribuidor de produto fluido recarregável e método de montagem do distribuidor
KR101725035B1 (ko) 액상 화장품용기
JP5454938B2 (ja) 注出容器
JP3148725U (ja) 化粧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