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107B1 - 펌프식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식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107B1
KR102404107B1 KR1020170108576A KR20170108576A KR102404107B1 KR 102404107 B1 KR102404107 B1 KR 102404107B1 KR 1020170108576 A KR1020170108576 A KR 1020170108576A KR 20170108576 A KR20170108576 A KR 20170108576A KR 102404107 B1 KR102404107 B1 KR 10240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opening
lid
annu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201A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애터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터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터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1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펌프식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개구부를 통해 화장품을 토출하는 펌프; 및 펌프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용기의 상부를 덮거나 여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형태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외력에 의한 용기 손상 및 펌프와 용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펌프식 화장품 용기{COSMETICS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펌프식 화장품 용기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화장품 용기는 딥 튜브 타입(Deep-tube type Dispenser)과 에어리스 타입(Airless Dispenser) 등이 있다. 딥 튜브 타입은 용기 안에 스트로우(Straw)가 있어 이를 통해 화장품 내용물이 추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후자는 용기 안이 진공상태로 되어 있고 공기 압력에 의해 화장품 내용물이 토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딥 튜브 타입과 에어리스 타입 등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는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노즐캡을 누르면 노즐을 통해 화장품이 토출되는 작동구조를 갖는다. 노즐캡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쉽게 눌릴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에는 노즐캡을 덮는 뚜껑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에는 펌프식 화장품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용기본체의 개방단에 펌핑수단을 고정시키는 펌프숄더에 대해 캡이 착탈되는 펌프식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캡의 하단 주연부 내측에 돌출된 스냅결합부재를 마련하여, 용기본체에 대해 캡의 착탈시, 스냅결합부재가 펌프숄더 하단 주연부에 대해 체결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착탈시 반복되는 마찰에 의한 스냅체결구조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용기본체로부터 캡의 자연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캡이 펌프숄더 표면에 돌출된 스냅체결구조와 마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펌프숄더 표면에 증착된 표면가공물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에서는 '캡이 펌프숄더 표면에 돌출된 스냅체결구조와 마찰되지 않도록 함'이라고 설명하고는 있으나, 스냅결합부재가 펌프숄더 하단의 주연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과정에서 스냅결합부재와 펌프숄더의 하단부는 구조적으로 마찰력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펌프숄더 하단의 표면박리를 막고자 하는 과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착탈시 반복되는 마찰에 의한 스냅체결구조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기본체와 펌핑수단을 직접 결합하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이루지 않고, 용기본체와 펌핑수단 사이에 별도 사출물인 펌프숄더를 더 조립해야 하므로, 펌프숄더의 제작 및 조립에 의한 생산비 상승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 (등록일: 2012.03.13)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형태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외력에 의한 용기 손상 및 펌프와 용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화장품을 토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거나 여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덮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펌프와 상기 뚜껑의 접촉을 차단하는 환형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뚜껑의 내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환형돌출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뚜껑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밀착되는 환형단턱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펌프의 외면은 상기 환형돌출부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환형돌출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는 상기 펌프의 하부에 위쪽으로 밀착되는 환형벽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환형벽부를 형성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벽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펌프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펌프의 하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의해 가압되어 휨 모멘트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상부에 펌프와 뚜껑의 접촉을 차단하는 환형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형태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가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보호부의 환형벽부가 휨 모멘트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용기 손상 및 펌프와 용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펌프를 용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8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Y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는,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형태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외력에 의한 용기 손상 및 펌프와 용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펌프를 용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8의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A 부분 확대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식 화장품 용기(10)는, 뚜껑(300)의 개폐에 의한 펌프(200)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며, 용기(100), 펌프(200) 및 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은 용기(100)의 상부를 덮거나 여는 구성으로서, 용기(10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펌프(200)의 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뚜껑(300)은 하단에 개구된 원형 컵(cup) 형태로 제작된다. 뚜껑(300)의 하단부 내면에는 끼움홈(H)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수용부(110) 및 보호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용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개구부(111) 및 단턱부(112)를 형성한다. 수용공간(A)은 화장품이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개구부(111)는 펌프(200)가 수용공간(A)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수용부(110)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된다. 개구부(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한다. 개구부(111)는 후술할 연결캡(210)과 나사결합된다. 단턱부(112)는 개구부(111)의 둘레를 따라 낮은 단턱을 형성한다.
보호부(120)는 수용부(11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외벽부(120A) 및 뚜껑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벽부(120A)와 뚜껑부(120B)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부(111)를 제외한) 수용부(110)의 외면을 감싸는 용기형태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120A)는 수용부(110)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중공관 형태를 형성한다. 수용부(110)는 개구된 하단을 통해 외벽부(120A)의 내부(이하 '중공부')로 삽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20B)는 수용부(110)의 개구된 하단을 막는 구성으로서, 중공부에 수용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벽부(120A)의 하단에 결합된다.
뚜껑부(120B)의 측면에는 돌기(C1)가 형성되고, 외벽부(120A)의 하단부 내면에는 돌기(C1)가 끼워지는 홈(C2)이 형성된다. 돌기(C1)가 홈(C2)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용부(110)의 단턱부(112)는 후술할 환형벽부(123)에 밀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120A)의 상부에는 환형돌출부(121), 환형단턱부(122) 및 환형벽부(123)가 형성된다.
환형돌출부(121)는 펌프(200)와 뚜껑(300)의 접촉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외벽부(120A)의 상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환형의 벽을 형성한다. 환형돌출부(121)의 바깥쪽 외면에는 끼움돌기(P)가 형성된다. 끼움돌기(P)는 뚜껑(300)의 끼움홈(H)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환형돌출부(121)의 바깥쪽 외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단턱부(122)는 뚜껑(300)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환형돌출부(121)의 바깥쪽에서 뚜껑(300)의 하단부가 밀착되는 환형의 평면을 형성한다.
환형벽부(123)는 용기(100)와 펌프(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환형돌출부(121)와 개구부(111) 사이에 형성된다. 환형벽부(123)는 환형돌출부(121)의 안쪽에서 펌프(200)의 하부와 수용부(110)의 단턱부(112)가 세로방향으로 밀착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펌프(200)는 개구부(111)를 통해 화장품을 토출하는 구성으로서, 용기(100)의 상부에서 개구부(111)를 덮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00)는 연결캡(210), 상부로드(220), 하부로드(230), 볼(240), 스프링(250), 헤드(260), 노즐(270), 보호캡(280) 및 튜브(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210)은 개구부(111)와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한다.
연결캡(210)의 안쪽에는 하부로드(230)가 위쪽으로 걸리는 부분(이하 '걸림부')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캡(210)의 외면에는 세로방향의 홈(이하 '세로홈')이 형성된다.
상부로드(220)와 하부로드(230)는 헤드(260)의 상하이동시 내부공간(S)의 부피변화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노즐(270), 헤드(260) 및 튜브(290)와 함께 수용공간(A)의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210)이 개구부(111)에 나사결합되면, 하부로드(230)는 걸림부와 개구부(111)의 간섭에 의해 유동이 차단된다. 미설명된 부호 G는 개스킷을 나타낸다.
상부로드(220)는 스프링(250)에 의해 하부로드(230)로부터 위쪽으로 가압된다. 화장품 용기(10)의 사용시 사용자가 헤드(260)를 누르면, 상부로드(220)는 헤드(260)와 함께 아래로 이동한다. 상부로드(220)가 아래로 이동하면, 내부공간(S)의 부피가 감소하여 화장품이 노즐(27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사용자가 헤드(260)를 누르는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250)의 탄성 회복에 의해 상부로드(22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며, 내부공간(S)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화장품이 튜브(290)로부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다. 볼(240)은 내부공간(S)의 하단부 통로상에 체크밸브로 구비되어 화장품이 튜브(290)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280)은 헤드(260)와 연결캡(210)을 연결한다. 연결캡(210)의 상단부에는 헤드(260)가 위쪽으로 돌출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헤드(260)의 하단부는 연결캡(210)의 상단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호캡(280)의 내면에는 세로홈이 걸리는 돌기(이하 '걸림돌기')가 복수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210)과 보호캡(280)은 (연결캡(210)이 개구부(111)에 나사결합될 때) 세로홈과 걸림돌기의 간섭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10)의 제조시 작업자는 보호캡(280)의 외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보호캡(280)의 하부는 환형벽부(123)에 아래쪽으로 밀착된다. 환형벽부(123)의 상부에는 보호캡(280)의 하단부 저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환형돌기부(C1)가 형성된다.
제1 환형돌기부(C1)의 상단은 뾰족한 첨단을 형성하여 보호캡(280)의 하단부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환형벽부(123)에는 보호캡(280)이 제1 환형돌기부(C1)를 누르는 제1 가압력(F1)이 인가된다.
따라서, 수용공간(A)의 화장품이 개스킷(G)을 통과하여 누출되더라도, 보호캡(280)의 하단부 저면에 제1 환형돌기부(C1)가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화장품의 외부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개구부(111)는 수나사와 암나사의 나사결합력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지며, 결과적으로 단턱부(112)의 상면은 환형벽부(123)에 위쪽으로 밀착된다. 환형벽부(123)의 하부에는 단턱부(11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 환형돌기부(C2)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환형벽부(123)에는 단턱부(112)가 제2 환형돌기부(C2)를 누르는 제2 가압력(F2)이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환형벽부(123)는, 개구부(111)와 펌프(200)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펌프(200)의 하부와 수용부(110)의 상부에 의해 가압되어 휨 모멘트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인 나사결합부위의 나사결합력은 나사산 사이의 마찰력(이하 '제1 결합력')과 나사결합되는 부재 간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하 '제2 결합력')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는, 개구부(111)와 펌프(200)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환형벽부(123)에 제1 가압력(F1)과 제2 가압력(F2)에 의한 휨 모멘트가 형성됨으로써, 환형벽부(123)는 제1 가압력(F1) 및 제2 가압력(F2)이 인가된 부위에 휨 모멘트에 의한 반력(이하 '제3 결합력')을 각각 형성하며, 제3 결합력에 의해 펌프(200)와 개구부(111) 간 상대회전은 물론, 보호부(120)와 펌프(200) 간 상대회전, 그리고 보호부(120)와 수용부(110) 간 상대회전이 견고하게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280)을 돌려 연결캡(210)을 개구부(111)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보호캡(280)의 하단부 외면은 환형돌출부(121)의 내면에 밀착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에서는 '캡이 펌프숄더 표면에 돌출된 스냅체결구조와 마찰되지 않도록 함'이라고 설명하고는 있으나, 스냅결합부재가 펌프숄더 하단의 주연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과정에서 스냅결합부재와 펌프숄더의 하단부는 구조적으로 마찰력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펌프숄더 하단의 표면박리를 막고자 하는 과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9357호는 착탈시 반복되는 마찰에 의한 스냅체결구조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기본체와 펌핑수단을 직접 결합하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이루지 않고, 용기본체와 펌핑수단 사이에 별도 사출물인 펌프숄더를 더 조립해야 하므로, 펌프숄더의 제작 및 조립에 의한 생산비 상승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는 뚜껑(300)을 닫으면, 환형돌출부(121)의 끼움돌기(P)는 뚜껑(300)의 끼움홈(H)에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뚜껑(300)의 하단부 저면은 환형돌출부(121)의 바깥쪽에서 환형단턱부(122)의 상면에 안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P)가 끼움홈(H)에 끼워진 상태에서, 뚜껑(300)의 하단부 내면은 환형돌출부(121)의 외면과 접촉면을 형성한다. 즉, 뚜껑(300)이 닫힌 상태에서 환형돌출부(121)는 뚜껑(300)과 보호캡(280)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는 용기(100)와 펌프(200)가 직접 결합되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형성하면서도, 뚜껑(300)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환형돌출부(121)에 의해 뚜껑(300)과 펌프(200) 간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상부에 펌프와 뚜껑의 접촉을 차단하는 환형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개폐에 의한 펌프 표면의 박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형태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가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보호부의 환형벽부가 휨 모멘트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용기 손상 및 펌프와 용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화장품 용기
100 : 용기 200 : 펌프
110 : 수용부 210 : 연결캡
111 : 개구부 220 : 상부로드
112 : 단턱부 230 : 하부로드
A : 수용공간 240 : 볼
120 : 보호부 250 : 스프링
121 : 환형돌출부 260 : 헤드
P : 끼움돌기 270 : 노즐
122 : 환형단턱부 280 : 보호캡
123 : 환형벽부 290 : 튜브
F1 : 제1 가압력 S : 내부공간
F2 : 제2 가압력 G : 개스킷
120A : 외벽부 300 : 뚜껑
120B : 뚜껑부 H : 끼움홈
C1 : 제1 환형돌기부
C2 : 제2 환형돌기부

Claims (6)

  1.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화장품을 토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거나 여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덮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펌프와 상기 뚜껑의 접촉을 차단하는 환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의 외면은 상기 환형돌출부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환형돌출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는 상기 펌프의 하부에 위쪽으로 밀착되는 환형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환형벽부를 형성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벽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펌프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펌프의 하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의해 가압되어 휨 모멘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환형돌출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뚜껑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밀착되는 환형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삭제
KR1020170108576A 2017-08-28 2017-08-28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240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76A KR102404107B1 (ko) 2017-08-28 2017-08-28 펌프식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76A KR102404107B1 (ko) 2017-08-28 2017-08-28 펌프식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01A KR20190023201A (ko) 2019-03-08
KR102404107B1 true KR102404107B1 (ko) 2022-06-02

Family

ID=6580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576A KR102404107B1 (ko) 2017-08-28 2017-08-28 펌프식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315Y1 (ko) 2006-02-18 2006-07-12 강성일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JP2008296940A (ja) * 2007-05-30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二重容器
JP4396888B2 (ja) 2004-03-31 2010-01-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5743869B2 (ja) 2011-11-30 2015-07-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160A (en) 1995-09-14 1998-04-07 Raychem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es comprising arrangement of mechanical switches and PC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888B2 (ja) 2004-03-31 2010-01-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KR200421315Y1 (ko) 2006-02-18 2006-07-12 강성일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JP2008296940A (ja) * 2007-05-30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二重容器
JP5743869B2 (ja) 2011-11-30 2015-07-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20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443B1 (ko) 화장품 용기
EP3209428B1 (en) Pump dispensers
JP6014405B2 (ja) 吐出容器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PL205980B1 (pl) Układ dozowania do dozowania produktu z zasobnika posiadającego otwór
KR200335614Y1 (ko) 솔대 인출구조를 갖는 마스카라 용기
US7293931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US20190329942A1 (en) Discharge container
PL200286B1 (pl) Zamknięcie z wewnętrznym regulatorem przepływu do ciśnieniowo otwieranego zaworu w przedłużalnej /wciąganej dyszy
CN103237739A (zh) 流体产品分配头和包括这类分配头的分配器
US7229229B2 (en) Liquid dispenser
CN101678182A (zh) 用于流体产品分配头的防护罩
WO2023275732A1 (en) Trigger dispensing head with means to prevent leakage of product
KR200462943Y1 (ko) 용기용 펌핑장치
KR102404107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JP6173892B2 (ja) 二重容器
US10850895B2 (en) Closure cap
WO2013017597A1 (en) Packaging device provided with a sealing means
US10549295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KR200496339Y1 (ko) 펌프 용기
US11731147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KR200482298Y1 (ko) 브러쉬와 섹션가이드를 구비한 모발 도포 용기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JP5322807B2 (ja) 吐出容器
KR200435175Y1 (ko)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