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75Y1 -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75Y1
KR200435175Y1 KR2020060021847U KR20060021847U KR200435175Y1 KR 200435175 Y1 KR200435175 Y1 KR 200435175Y1 KR 2020060021847 U KR2020060021847 U KR 2020060021847U KR 20060021847 U KR20060021847 U KR 20060021847U KR 200435175 Y1 KR200435175 Y1 KR 200435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ow path
coupled
pump assembly
push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2020060021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Abstract

본 고안은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푸시캡의 일부 부품을 공용화하면서도 제품 이미지를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의 푸시캡(200)에 의하면; 중공피스톤(14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안내유로(210)와; 이 안내유로(21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노즐유로(220)와; 안내유로(210)의 중도에서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태로 일체 성형되어 안내유로(210) 및 노즐유로(220)를 하부에서 감싸는 베이스(230)와; 이 베이스(230)의 개방부를 덮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커버(24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 FOR LIQUID VESSEL WITH PUSH CAP}
도 1은 종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푸시캡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캡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캡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액체용기 100..펌프 어셈블리
110..대캡 120..실린더
140..중공피스톤 200..푸시캡
210..안내유로 220..노즐유로
230..베이스 240..커버
241..탄성 결합부 243..걸림리브
본 고안은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다양하게 제품을 연출할 수 있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액체용기에는 공기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펌프가 부설된다.
종래 액체용기의 펌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용기의 입구(미도시)에 결합되며 액체가 펌핑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11a)이 형성된 펌핑부(10)와, 이 펌핑부(10)의 압력실(11a)에 압력을 가하며 펌핑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21)이 형성된 푸시캡(20)으로 구분된다.
펌핑부(10)는 액체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캡하우징(12)의 내부 중앙에 동축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실(11a)이 형성된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3)과, 이 코일스프링(13)의 상단에서 탄성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14a)이 형성된 중공피스톤(14)과, 이 중공피스톤(1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이의 상단을 폐쇄하는 실린더캡(15)과, 버튼부(20)의 노즐(21)과 중공피스톤(14)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6)과, 실린더(11) 하단의 걸림턱(11b)에 놓이는 강구체의 볼밸브(17)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푸시캡(20)을 누르면, 코일스프링(13)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중공피스톤(14)이 하강하며, 이것에 의해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채워진 액체는 통공(14a) → 중공피스톤(14)의 중공부 → 연결관(16) → 노즐(21)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 때, 볼밸브(17)는 실린더(11) 내부 액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걸림턱(11b)에 맞닿아 압력실(11a)과 액체용기 내부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시캡(2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13)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중공피스톤(14)이 상승하면서 통공(14a)이 폐쇄되어 액체 분사가 차단됨과 동시에 실린더(11)의 압력실(11a)에 진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용기에 저장된 액체는 볼밸브(17)를 상승시키면서 압력실(11a)에 채워진다. 이러한 푸시캡(20)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액체용기내의 액체가 일정하게 분출된다.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의 펌프의 푸시캡(20) 구조는 특정한 펌프 어셈블리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품 사양이 변경될 때마다 이것 역시 바뀌어야 되며, 이로 인해 금형 투자비가 상당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 어셈블리의 푸시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 사양이 바뀌더라도 푸시캡의 일부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푸시캡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도 제품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액체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이 형성된 실린더와; 하단은 상기 실린더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은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중공피스톤과; 상기 중공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며 반복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펌핑되는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푸시캡은 상기 중공피스톤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안내유로와; 상기 안내유로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노즐유로와; 상기 안내유로의 중도에서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태로 일체 성형되어 상기 안내유로 및 노즐유로를 하부에서 감싸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부를 덮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안내유로의 상부 외주에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이 띠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의 중앙부 저면에 상기 안내유로의 상부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에 탄성 결합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탄성 결합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개방부 내측을 따라 안착홈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상기 안착홈에 수용 결합되도록 걸림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노즐유로와 인접하는 상기 걸림리브의 중도에 상기 노즐유로 양측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홈이 이루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품 사양이 바뀌더라도 커버를 제외한 푸시캡의 나머지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커버 형태만을 달리하면 제품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액체용기(30)의 내부에는 액체 내용물(A)이 저장되며,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저장된 액체 내용물(A)를 펌핑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 어셈블리(100)가 장착된다.
즉, 본 고안이 적용된 펌프 어셈블리(100)는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장착되는 대캡(110)과, 이 대캡(110)내에 설치되며 액체 내용물(A)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121)이 형성된 실린더(120)와, 이 실린더(12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캡(130)과, 이 고정캡(130)을 관통하여 실린더(120)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피스톤(140)과, 이 실린더(120)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피스톤(140)과, 이 중공피스톤(140)의 상부에 장착되며 펌핑되는 액체 내용물(A)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캡(200)과,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중공피스톤(140)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0)와, 중공피스톤(140)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실린더(120) 하단의 흡입유로(122)를 개폐하는 강 구(160)를 갖추고 있다.
대캡(11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대캡(110)의 내부에는 암나사(111)가 가공된다. 그리고 고정캡(130)은 실린더(120)의 상부에 끼워져 견실하게 고정되면서 중공피스톤(140)의 승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12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고정캡(130)을 매개로 상단이 대캡(110)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실린더(120)는 대캡(110) 내부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이의 내부에는 액체 내용물(A)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120)의 하단 개방부에는 흡입밸브 역할을 수행하는 강구(160)가 배치되는데, 이 강구(160)는 흡입유로(122)의 밸브시트(123)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120)의 하단 즉, 흡입유로(122)의 하단에는 액체용기(30) 저부까지 연장된 흡입호스(170)가 끼워진다. 따라서 액체용기(30)내의 액체 내용물(A)은 흡입호스(170)를 통해 실린더(120)의 압력실(121)내로 흡입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24"는 액체 내용물(A)이 압력실(121)내로 흡입될 때 외부공기가 액체용기(30)내로 들어가도록 실린더(120) 벽면에 천공된 부압홀이다.
그리고 중공피스톤(140)은 하단이 실린더(120)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탄성부재(150;코일스프링)를 통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의 상단이 푸시캡(2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중공피스톤(140)의 하단에는 실린더(120) 내벽과 밀착되는 밀착부(141)와, 중공피스톤(140)이 소정높이 이상 올라가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한 걸림턱(142)이 마련된다. 따라서 걸림턱(142)이 고정캡(130)에 접할 때까지 중공피스톤(140)이 올라갈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푸시캡(200)은 중공피스톤(14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된 것으로, 중공피스톤(14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유로(210)와, 이 안내유로(21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노즐유로(220)와, 안내유로(210)의 중도에서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230)와, 이 베이스(230)의 개방부를 덮는 커버(240)로 정의된다.
안내유로(2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공피스톤(140)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액체 내용물(A)의 펌핑 토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부가 폐쇄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안내유로(210)의 최상부 외주에는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211)이 띠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것은 커버(240)를 착탈식으로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노즐유로(220)는 안내유로(21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 즉 90도 굽어지도록 형성되어 실제 액체 내용물(A)이 외부로 토출되는 부위로, 베이스(230)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230)는 안내유로(210)의 중도에서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태로 일체 성형되어 안내유로(210) 및 노즐유로(220)를 하부에서 감싸게 된다. 즉, 반구 형태의 베이스(230)는 안내유로(210)의 중도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체 성형되어 안내유로(210)의 상부 및 노즐유로(220)를 떠받치는 형태로 감싸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230)의 가장자리에는 개방부 내측을 따라 안착홈(231)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커버(240)의 결합시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푸시캡(200)을 이루는 커버(240)는 상부로 볼록한 원형 돔(doom)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230)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커버(240)의 중앙부 저면에는 안내유로(210)의 상부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걸림홈(211)에 탄성 결합되도록 걸림턱(242)이 형성된 탄성 결합부(241)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탄성 결합부(241)를 일부가 절결된 원통 형태로 구성하였고 이의 하단 내주에 걸림턱(242)을 띠 형태로 마련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탄성 결합부(241)을 절결부가 없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커버(240)의 가장자리에는 베이스(230)의 안착홈(231)에 수용 결합되도록 걸림리브(243)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걸림리브(243)가 안착홈(231)에 안착 결합되게 됨으로써, 커버(240)와 베이스(230)와의 틈새 발생이 방지되게 되는데 이는 조립과정에서 상술한다. 그리고 커버(240)의 결합 시 노즐유로(220)와 인접하는 걸림리브(243)의 중도에는 노즐유로(220) 양측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홈(244)이 이루어져 있어서, 커버(240)의 조립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며 커버(240)가 베이스(230)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240)가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푸시캡(200)의 조립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커버(240)의 탄성 결합부(241)를 안내유로(210)의 상부에 가조립하고 걸림리브(243)에 형성된 결합홈(244)을 노즐유로(220) 직상부에 일치시킨다. 이러 한 상태에서 커버(240)를 강하게 내리 누르면, 탄성 결합부(241)가 탄성 변형되면서 안내유로(210)의 최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걸림턱(242)이 걸림홈(211)에 안착된다. 또한, 걸림리브(243)의 결합홈(244)내에 노즐유로(220)가 수용됨으로써, 커버(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커버(240)가 베이스(230)의 개방부를 폐쇄하면서 푸시캡(200)의 상부면을 이룬다. 즉, 커버(240)는 원터치 방식으로 푸시캡(200)의 베이스(230) 상부공간을 여유 있게 덮으며, 이로 인해 푸시캡(200)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려지면서 외관 역시 보다 수려해진다.
이 때, 커버(240)의 결합리브(243)는 베이스(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홈(231)에 수용 결합되기 때문에, 커버(240)와 베이스(210)가 보다 견실하게 맞물려 조립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푸시캡(200)을 이루는 커버(240)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결합부(241)를 통해 베이스(23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40)를 원반 형태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커버(240A)는 탄성 결합부(241)를 통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데, 커버(240A)의 디자인을 돔 형태로 국한하지 않고 원반형태 등과 같이 변경하여 적용하면 제품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결국, 푸시캡(200)을 이루는 안내유로(210)와 노즐유로(220) 및 베이스(230) 를 일체로 구성하여 공용화할 수 있으며, 커버(240)(240A) 디자인만을 달리하면 제품 연출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의 푸시캡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에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이의 개방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 어셈블리가 적용된 액체용기의 제품 사양이 바뀌더라도 푸시캡의 일부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푸시캡의 일부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커버 디자인을 달리하면 펌프 어셈블리가 적용된 액체용기 제품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액체용기(30)의 입구(31)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액체가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압력실(121)이 형성된 실린더(120)와; 하단은 상기 실린더(120)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실린더(12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중공피스톤(140)과; 상기 중공피스톤(140)의 상단에 결합되며 반복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펌핑되는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캡(200)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푸시캡(200)은;
    상기 중공피스톤(14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안내유로(210)와;
    상기 안내유로(21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액체 토출을 안내하는 노즐유로(220)와;
    상기 안내유로(210)의 중도에서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태로 일체 성형되어 상기 안내유로(210) 및 노즐유로(220)를 하부에서 감싸는 베이스(230)와;
    상기 베이스(230)의 개방부를 덮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커버(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210)의 상부 외주에는 오목하게 패인 걸림홈(211)이 띠 형태 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240)의 중앙부 저면에는 상기 안내유로(210)의 상부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211)에 탄성 결합되도록 걸림턱(242)이 형성된 탄성 결합부(24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30)의 가장자리에는 개방부 내측을 따라 안착홈(231)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24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홈(231)에 수용 결합되도록 걸림리브(243)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로(220)와 인접하는 상기 걸림리브(243)의 중도에는 상기 노즐유로(220) 양측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홈(244)이 이루어져;
    상기 커버(240)가 상기 베이스(230)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40)가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20060021847U 2006-08-16 2006-08-16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0435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47U KR200435175Y1 (ko) 2006-08-16 2006-08-16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47U KR200435175Y1 (ko) 2006-08-16 2006-08-16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75Y1 true KR200435175Y1 (ko) 2007-01-10

Family

ID=4155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47U KR200435175Y1 (ko) 2006-08-16 2006-08-16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411B1 (ko) 2011-09-26 2012-03-2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411B1 (ko) 2011-09-26 2012-03-2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WO2013047983A1 (ko) * 2011-09-26 2013-04-04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417B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EP3209428B1 (en) Pump dispensers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661581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7621416B2 (en) Cover of a container, especially of a vacuum receptacle for storage of foodstuffs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US20230013434A1 (en) Double container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KR200435175Y1 (ko)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