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31B1 - 파운데이션용기 - Google Patents

파운데이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031B1
KR101529031B1 KR1020140035997A KR20140035997A KR101529031B1 KR 101529031 B1 KR101529031 B1 KR 101529031B1 KR 1020140035997 A KR1020140035997 A KR 1020140035997A KR 20140035997 A KR20140035997 A KR 20140035997A KR 101529031 B1 KR101529031 B1 KR 10152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aling member
container
groove
cap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박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박정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102014003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단에 인접하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와, 사용자의 배출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고형파운데이션을 조금씩 배출시키는 연지배출부와,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에 형성된 캡밀폐면부를 가지고 상기 연지배출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되는 용기캡을 갖는 파운데이션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목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는 저면에 밀폐부재안착홈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는 나사홈의 폭이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대응하는 폐루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상기 용기캡을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에 가압접촉시킬 때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용기캡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변형동작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진공상태의 홈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원되는 요형의 진공흡착작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흡착작용홈이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캡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운데이션용기{Receptacle for Cosmetic Foundation}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에 색상을 표현하거나 피부결점을 감추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얼굴에 색상을 표현하거나 피부결점을 감추는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파운데이션 중에는 수분, 휘발성이 강한 성분(오일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있으며, 파운데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화장품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27은 종래 파운데이션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8은 종래 파운데이션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파운데이션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110)와, 용기바디부(110)의 상단 내표면에 결합된 관형태의 안내링(171)과, 안내링(171)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용기캡(140)과, 용기바디부(110)와 용기캡(1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고형파운데이션(161)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형파운데이션(161)을 노출시키도록 동작하는 작동부(120)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0)는 바닥면에는 지지돌부(110a)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용기캡(140)은 관형태의 캡측면부(142)와, 캡측면부(142)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캡측면부(142)에 형성된 캡밀폐면부(141)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140)은 캡측면부(142)를 통해 안내링(171)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고형파운데이션(161)은 후술하는 홀더(130)에 탑재된다.
작동부(120)는 지지돌부(110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관형태의 회전체(122)와, 회전체(12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홀더(130)를 갖고 있다.
홀더(130)는 회전체(122)를 회전시킬 때 용기바디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회전체(122)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파운데이션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캡(140)은 안내링(171)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용기캡(140)을 안내링(171)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용기바디부(110)를 잡고 회전체(122)를 회전시킨다.
회전체(122)가 회전하면 홀더(130)가 용기바디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고형파운데이션(161)는 회전체(122)의 상단을 넘어 노출된다.
다음에 고형파운데이션(161)를 사용하여 화장한다.
고형파운데이션(161)을 바르고 나면 용기바디부(110)를 잡고 회전체(12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체(12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홀더(130)가 용기바디부(110)의 바닥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고형파운데이션(161)는 회전체(122)의 내부에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용기캡(140)을 안내링(171)에 다시 결합시킨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파운데이션용기는 2002년 실용신안등록 294028호(고안의 명칭 : 스틱파운데이션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파운데이션용기에 따르면, 용기캡(1140)이 면접촉형태로 안내링(171)에 결합되기 때문에 용기캡(140)이 안내링(171)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캡(1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용기캡(1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낮아지면 고형파운데이션(161)에 포함된 수분이나 휘발성 성분이 줄어들어 사용감이 무겁고 청량감을 주기 어려우며 화장을 하고 난 다음 화장지속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용기캡(1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낮아지면 고형파운데이션(161)이 변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캡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운데이션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구단에 인접하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와, 사용자의 배출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고형파운데이션을 조금씩 배출시키는 연지배출부와,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에 형성된 캡밀폐면부를 가지고 상기 연지배출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되는 용기캡을 갖는 파운데이션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목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는 저면에 밀폐부재안착홈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는 나사홈의 폭이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대응하는 폐루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상기 용기캡을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에 가압접촉시킬 때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용기캡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변형동작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진공상태의 홈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원되는 요형의 진공흡착작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흡착작용홈이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운데이션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용기캡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은 상기 캡측면부의 저면 내측 모서리 영역에 상기 캡측면부의 반경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폐부재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은 상기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부재를 용이하게 용기캡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캡측면부는 내표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측면바디부와,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측면바디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부재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홈의 폭이 수나사부의 나사산보다 큰 암나사부를 용기캡에 형성하고 캡측면부의 저면에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결합하는 한편 용기캡의 회전조작시 진공상태의 흡입력에 의해 밀폐부재를 수용공간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변형되는 진공흡착작용홈을 밀폐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용기캡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캡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고형파운데이션에 포함된 수분이나 휘발성 성분이 유지되어 사용감이 좋고 청량감을 얻을 수 있으며 화장을 하고 난 다음 화장지속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용기캡의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고형파운데이션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단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분해사시도,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밀폐부재 영역의 상세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수나사부 영역의 상세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용기캡을 좌우로 분할한 상태에서 암나사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4, 도15, 도16, 도17, 도18, 도19, 도20, 도21, 도22 및 도2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용기캡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25 및 도26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 영역의 상세도,
도27는 종래 파운데이션용기의 분해사시도,
도28은 종래 파운데이션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단면도이고,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밀폐부재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수나사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용기캡을 좌우로 분할한 상태에서 암나사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10)와, 용기바디부(10)에 나사결합되는 용기캡(40)과, 용기캡(40)에 고정 설치된 밀폐부재(50)와, 용기캡(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고형파운데이션(61)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형파운데이션(61)을 노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부(20)를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0)는 상면에 연락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中空)의 수용공간부(11)와, 연락공(11a)에 연통하도록 수용공간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12)를 갖고 있다.
수용공간부(11)는 내표면 중간영역에 수용공간이탈방지돌부(11d)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부(11)는 바닥면에 지지벽부(11b)가 기립 형성되어 있고, 지지벽부(11b)의 외표면에는 다수의 회전연동리브(11c)가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목부(12)는 외표면에 수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2a)는 2줄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캡(40)은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캡측면부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캡측면부에 형성된 캡밀폐면부(41)를 갖고 있다.
캡측면부는 내표면에 암나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캡측면바디부(42)와, 캡측면바디부(42)에 결합된 부재지지링(43)을 갖고 있다.
캡측면바디부(42)에 형성된 암나사부(41a)는 후술하는 밀폐부재안착홈(43c)의 상측에 배치되고 나사홈의 폭이 수나사부(12a)의 나사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측면바디부(42)는 저면에 링안착홈(42b)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부재지지링(43)은 폐루프형태의 지지링바디부(43a)와, 지지링바디부(43a)의 상면 중앙에 돌출형성된 고정리브(43b)를 갖고 있다.
지지링바디부(43a)는 내측 모서리 영역에 캡측면부의 반경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하는 방법으로 밀폐부재안착홈(43c)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재안착홈(43c)은 캡측면부의 전 둘레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도7의 43d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재지지링(43)은 고정리브(43b)가 링안착홈(42b)에 억지끼움하는 등의 방법으로 캡측면바디부(42)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40)은 작동부(20)를 둘러싸도록 수나사부(12a)와 암나사부(41a)의 결합을 통해 용기바디부(10)에 결합된다.
밀폐부재(50)는 실리콘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밀폐부재안착홈(43c)에 대응하는 폐루프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폐부재(50)는 밀폐부재안착홈(43c)에 안착될 때 캡측면부 즉 부재지지링(43)의 하단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50)는 밀폐부재안착홈(43c)이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대응하여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도7의 50b 참조).
또한 밀폐부재(50)는 밀폐부재안착홈(43c)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용공간부(11)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용기캡(40)을 수용공간부(11)의 상단에 가압접촉시킬 때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되고, 용기캡(40)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변형동작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진공상태의 홈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원되는 요형(凹形)의 진공흡착작용홈(50a)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밀폐부재(50)는 이중사출방식, 본딩 등의 방법으로 부재지지링(43)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50)의 설치는 진공흡착작용홈(50a)이 수용공간부(11)의 상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고형파운데이션(61)은 후술하는 홀더(30)에 탑재된다.
작동부(20)는 수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기립 설치된 관형태의 회전체(22)와, 용기바디부(10)와 용기캡(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보호관(21)과, 보호관(21)과 회전체(2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홀더(30)를 갖고 있다.
회전체(22)는 하부의 확경구간과 상부의 협경구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회전체(22)의 확경구간 외표면에는 회전체이탈방지턱(22d)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22)의 확경구간 내표면에는 회전연동홈(22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2)의 협경구간 외표면에는 3개의 가압접촉리브(22b)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22)의 협경구간 내표면에는 회전체암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체(22)는 회전연동홈(22c)에 회전연동리브(11c)가 진입하고 회전체이탈방지턱(22d)이 수용공간이탈방지돌부(11d)의 하측에 배치되며(억지로 밀어 넣음) 맨위에 있는 가압접촉리브(22b)가 후술하는 이탈방지공(21b)에 진입하도록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체이탈방지턱(22d)이 수용공간이탈방지돌부(11d)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압접촉리브(22b)의 일방이 이탈방지공(21b)에 진입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전체(22)가 직선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연동홈(22c)에 회전연동리브(11c)가 진입하도록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용기바디부(10)가 회전할 때 회전체(2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보호관(21)은 내표면 중간에 이탈방지플랜지(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관(21)은 이탈방지플랜지(21a)의 인접영역에 이탈방지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관(21)은 내표면에 가압접촉리브(22b)가 접촉되고 이탈방지플랜지(21a)의 저면이 회전체(2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보호관(21)의 내표면이 가압접촉리브(22b)에 접촉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보호관(21)을 잡은 상태에서 용기바디부(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홀더(30)는 관형태의 안착관부(31)와, 안착관부(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안착관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결합관부(32)를 갖고 있다.
결합관부(32)는 외표면에 한 쌍의 절취면(32b)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절취면(32b)에는 스토퍼(3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관부(32)는 외표면의 절취면 사이영역에 홀더수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홀더(30)는 안착관부(31)의 하단이 이탈방지플랜지(21a)의 상단에 접촉되고 홀더수나사부(32a)가 회전체암나사부(22a)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다.
홀더수나사부(32a)가 회전체암나사부(22a)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회전체(22)가 회전할 때 홀더(30)는 수용공간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운데이션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4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캡(40)은 용기바디부(10)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용기캡(40)을 회전조작하여 용기캡(40)을 용기바디부(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보호관(21)을 잡고 용기바디부(10)를 회전시킨다.
용기바디부(10)가 회전하면 홀더(30)가 수용공간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고형파운데이션(61)는 보호관(21)의 상단을 넘어 노출된다. 여기서 홀더(30)의 이동은 스토퍼(32c)에 의해 제한된다.
다음에 고형파운데이션(61)를 사용하여 화장한다.
고형파운데이션(61)을 바르고 나면 보호관(21)을 잡고 용기바디부(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용기바디부(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홀더(30)가 수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고형파운데이션(61)는 보호관(21)의 내부에 들어간다.
다음에 용기캡(40)을 수용공간부(11)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수나사부의 플랭크와 암나사부의 플랭크가 접촉 상태가 됨) 회전조작한다. 여기서 용기캡(40)의 회전조작은 밀폐부재(50)가 수용공간부(11)의 상단에 접촉한 후(도20 및 도21 참조), 용기진공흡착작용홈(50a)의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될 때까지 실시된다(도22 및 도23 참조). 용기진공흡착작용홈(50a)의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될 때 밀폐부재(50)는 목부(12)의 외표면에 접촉된다.
다음에 용기캡(40)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용기캡(40)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밀폐부재(50)는 변형동작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진공흡착작용홈(50a)에는 진공상태의 홈공간이 형성된다. 진공흡착작용홈(50a)의 진공상태에서 밀폐부재(50)를 수용공간부(11)의 상단을 향해 잡아당기는 흡입력에 의해 밀폐부재(50)는 수용공간부(11)의 상단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용기캡(40)의 내부공간과 외부와의 공기이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진공흡착작용홈(50a)의 진공상태에서 밀폐부재(50)와 목부(12)의 접촉상태는 유지된다.
한편 용기캡(40)과 용기바디부(10)가 도18 및 도19와 같이 초기 결합된 경우 용기캡(40)을 수용공간부(11)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수나사부의 플랭크와 암나사부의 플랭크가 접촉 상태가 됨) 회전조작하면 도14와 같은 결합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이후에는 용기캡(40)과 용기바디부(10)이 도14와 같은 초기 결합위치에 배치된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진공흡착작용홈(50a)의 진공상태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암나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캡측면바디부(42)와 밀폐부재안착홈(43c)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지지링(43)로 나누어 캡측면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몸으로 캡측면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대략 0.5턴(Turn) 정도의 수나사부(12a)를 목부(12)에 형성하고 대략 1턴(Turn) 정도의 암나사부(41a)를 용기캡(40)에 형성하고 있으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수나사부(12a)의 턴(Turn) 수를 줄이거나(도25 참조) 늘릴 수 있으며 또한 암나사부(41a)의 턴(Turn) 수 역시 줄이거나(도26 참조) 늘려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나사부(12a)와 암나사부(41a)를 2줄 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1줄 나사, 3줄 나사 등 줄 수가 다르게 수나사부(12a)와 암나사부(41a)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갖도록 작동부(20)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홈의 폭이 수나사부(12a)의 나사산보다 큰 암나사부(41a)를 용기캡(40)에 형성하고 캡측면부의 저면에 탄성재질의 밀폐부재(50)를 결합하는 한편 용기캡(40)의 회전조작시 진공상태의 흡입력에 의해 밀폐부재(50)를 수용공간부(1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변형되는 진공흡착작용홈(50a)을 밀폐부재(50)에 형성함으로써, 용기캡(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캡(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고형파운데이션(61)에 포함된 수분이나 휘발성 성분이 유지되어 사용감이 좋고 청량감을 얻을 수 있으며 화장을 하고 난 다음 화장지속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용기캡(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이 향상되면 고형파운데이션(61)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캡측면부의 저면 내측 모서리 영역에 캡측면부의 반경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하는 방법으로 밀폐부재안착홈(43c)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캡(40) 내부공간의 밀폐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깊게 되도록 밀폐부재안착홈(43c)을 형성함으로써, 밀폐부재(5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표면에 암나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캡측면바디부(42)와 밀폐부재안착홈(43c)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지지링(43)을 포함하도록 캡측면부를 구성함으로써, 밀폐부재(50)를 용이하게 용기캡(4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용기바디부 11 : 수용공간부
12 : 목부 20, 120 : 작동부
21, 121 : 회전체 22 : 보호관
30 : 홀더 40, 140 : 용기캡
41, 141 : 캡밀폐면부 42 : 캡측면바디부
50 : 밀폐부재 142 : 캡측면부

Claims (4)

  1. 개구단에 인접하는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향개구의 용기바디부와, 사용자의 배출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고형파운데이션을 조금씩 배출시키는 연지배출부와,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캡측면부와 상기 캡측면부의 일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캡측면부에 형성된 캡밀폐면부를 가지고 상기 연지배출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용기바디부에 결합되는 용기캡을 갖는 파운데이션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디부는 상면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용공간부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목부를 가지고;
    상기 캡측면부는 저면에 밀폐부재안착홈이 전 둘레구간에 걸쳐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는 나사홈의 폭이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대응하는 폐루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캡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상기 용기캡을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에 가압접촉시킬 때 홈공간이 소멸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용기캡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변형동작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진공상태의 홈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원되는 요형의 진공흡착작용홈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흡착작용홈이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운데이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은 상기 캡측면부의 저면 내측 모서리 영역에 상기 캡측면부의 반경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운데이션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은 상기 캡측면부의 외표면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캡측면부의 내표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운데이션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측면부는 내표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측면바디부와, 상기 밀폐부재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측면바디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부재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운데이션용기.

KR1020140035997A 2014-03-27 2014-03-27 파운데이션용기 KR101529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97A KR101529031B1 (ko) 2014-03-27 2014-03-27 파운데이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97A KR101529031B1 (ko) 2014-03-27 2014-03-27 파운데이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031B1 true KR101529031B1 (ko) 2015-06-18

Family

ID=5351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997A KR101529031B1 (ko) 2014-03-27 2014-03-27 파운데이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031Y1 (ko) * 2015-09-03 2015-12-21 (주)명신코스텍 스틱형 파운데이션 용기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53Y1 (ko) * 2002-08-22 2003-03-10 강성일 기밀성 화장품 용기
KR20060132879A (ko) * 2004-02-27 2006-12-22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봉 형상 화장용 재료 조출용기
KR20100035040A (ko) * 2008-09-25 2010-04-02 김금례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20120136154A (ko) * 2011-06-08 2012-12-18 (주) 이루팩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853Y1 (ko) * 2002-08-22 2003-03-10 강성일 기밀성 화장품 용기
KR20060132879A (ko) * 2004-02-27 2006-12-22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봉 형상 화장용 재료 조출용기
KR20100035040A (ko) * 2008-09-25 2010-04-02 김금례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20120136154A (ko) * 2011-06-08 2012-12-18 (주) 이루팩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031Y1 (ko) * 2015-09-03 2015-12-21 (주)명신코스텍 스틱형 파운데이션 용기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CN109588842B (zh) * 2018-11-29 2023-09-05 苏州海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050B1 (ko)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US7270495B1 (en) Annular shaped dispenser of personal care material
JP2017506559A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JP5801596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US20200307864A1 (en) Cosmetic container
WO2014185541A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JP5865781B2 (ja) 吐出容器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0463638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2014069854A (ja) 吐出容器
KR101529031B1 (ko) 파운데이션용기
JP2014193747A (ja) 注出容器
KR102072308B1 (ko)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9848685B2 (en) Tubular case for cosmetics
JP6184900B2 (ja) 泡噴出容器
KR101719427B1 (ko) 화장용 도구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JP6173892B2 (ja) 二重容器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JP6193175B2 (ja) 二重容器
KR101781112B1 (ko) 화장품용기
KR20160124967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JP2014213940A (ja) 吐出容器
CN210118504U (zh) 冷媒容器自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