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040A -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040A
KR20100035040A KR1020080094337A KR20080094337A KR20100035040A KR 20100035040 A KR20100035040 A KR 20100035040A KR 1020080094337 A KR1020080094337 A KR 1020080094337A KR 20080094337 A KR20080094337 A KR 20080094337A KR 20100035040 A KR20100035040 A KR 20100035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ealing means
cosmetic
protection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765B1 (ko
Inventor
김금례
Original Assignee
김금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례 filed Critical 김금례
Priority to KR102008009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04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with means to lift or draw out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화장품 심에 맞닿아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슬릿이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부와 상부 장착부를 갖는 심보호관과,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 외주면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와,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장착부 내주면에 위치하는 화장품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의 슬릿에 결합 노출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나사산에 결합 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심대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과,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창작부와 상기 심대의 심결합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의 장착부와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을 포함하여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화장품 심의 변질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품, 립스틱, 심, 밀폐, 충전, 승하강, 공회전, 마개

Description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화장품 심에 맞닿아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성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에서 케이스 내부에 심, 붓, 연필 등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종류로는 립스틱(lipstick), 립글로즈(lip-gloss) 등과 같은 입술에 사용하는 심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종류, 아이섀도(eye shadow), 화장솔 등과 같이 입술을 제외한 얼굴의 다른 부위에 사용하는 붓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종류 등이 있다.
상기 화장품 중에서 특히 사용자의 입술에 사용하는 립스틱, 립글로즈 등은 심(립스틱, 립글로즈 등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이 외부공기와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변질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종래의 심이 저장된 화장품 케이스는 사용 중 화장품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여 상기 심과 지속적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심을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는 사용 중뿐만 아니라 보관 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심이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외부공기와 항상 맞닿아 쉽게 변질 되고, 이로 인해 장시간 보관 후에 심이 변질되며, 나아가 딱딱하게 굳어 버려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장품 심을 형성하는 다양한 재료 중에서 천연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화학재료를 많이 사용한 심의 경우에는 외부공기에 노출될 때 변질 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나, 화학재료 특히 천연재료의 변질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의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이로 인해 소비자가 구입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사용 후 남은 심을 폐기할 때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천연재료를 주원료로 형성하는 심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화장품 케이 스 내부에 잔류하는 외부공기에 의해 심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화장품 심이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관 중일 때 상기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화장품 심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보관중에 화장품 심의 변질 및 경화(硬化)를 막을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심을 화장품 케이스에 주입하기 위한 심투입공을 형성하여 제조공정에서부터 외부공기와 화장품 심이 맞닿는 것을 차단하여 제조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장품 심의 변질을 방지하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던 불량률을 낮출수 있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릿이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부와 상부 장착부를 갖는 심보호관과,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 외주면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와,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장착부 내주면에 위치하는 화장품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의 슬릿에 결합 노출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나사산에 결합 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심대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과,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창작부와 상기 심대의 심결합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의 장착부와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을 포함하여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화장품 심의 변질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일체로 결합 된 외피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밀폐수단은 패킹링이고, 상기 심대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링의 결합을 위한 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결합부는 상기 환홈의 상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환홈의 성형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환홈에 의해 심결합부의 두께가 손상되지 않아 심결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상부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폐수단에는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상부캡이 결합될 때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대에는 심투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투입공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된 화장품 케이스 내부로 화장품 심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서부터 화장품 심이 변질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심대의 심결합부에는 화장품 심 노출을 위한 노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심결합부와 심보호관 사이에 화장품 심의 일부가 노출되어 윤활유의 역활을 함과 동시에 상기 심결합부와 화장품 심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보관 중인 상태의 화장품 심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품 심을 화장품 케이스에 충전할 때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공정에서부터 화장품 심이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던 불량률을 낮추어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부캡과 심보호관이 결합 될 때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공 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화장품 심이 공기와 맞닿는 것을 차단하여 보관중인 화장품 심이 변질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화장품 심이 결합되고, 화장품 케이스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심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쪽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하고,
대편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하고,
상기 심이 위치하는 쪽을 내측 또는 내면이라 하고,
대편을 외측 또는 외면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의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는 슬릿(112)이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부(11)와 상부 장착부(12)를 갖는 심보호관(10)과,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 외주 면(1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21)에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20)와,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 내주면(122)에 위치하는 화장품 심결합부(311)와 상기 심결합부(311)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에 형성된 슬릿(112)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20)의 나사산(211)에 결합되는 고정돌기(321)를 포함하는 심대(30)와 상기 심보호관(10)을 덮는 상부캡(40)과 상기 심보호관(10)의 장착부(12)와 상기 심대(30)의 심결합부(311)의 접면(J1)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P1) 및 상기 심보호관(10)의 장착부(12)와 상기 상부캡(40)의 접면(J2)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20) 외주면(22)에는 일체로 결합 된 외피(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심보호관(10)은 상하가 개방된 관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슬릿(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부(11)와 화장품 심(H)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장착부(12)의 외주면(121)에는 한 쌍의 환형돌기(123)가 상하로 형성되는데, 상기 환형돌기(123)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환형돌기(123a)는 상기 가동부재(20)와 결합시 상부로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환형돌 기(123)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환형돌기(123b)는 상기 가동부재(20)와 결합시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환형돌기(123b)가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요홈(213)에 삽입되어 가동부재(20)가 회전할 때 상기 심보호관(10)이 연동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11)에 형성된 슬릿(112)은 상기 심대(30)에 형성된 고정돌기(321)의 형상 및 개수에 상응하는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 장착부(12)를 통해 이동하는 화장품 심(H)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릿(112)의 상단에는 막힌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끝단(11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끝단(112a)은 상기 심대(30)의 고정돌기(321)가 슬릿(112)의 상부 끝단에 도달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과 동시에 사용중 상기 고정돌기(321)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끝단(112a)는 상기 슬릿(112) 각각에 형성되되,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20)의 나사산(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슬릿(112)의 하부에는 상부끝단(112a)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끝단(112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끝단(112b)은 가동부재(20) 또는 외피(50)의 선회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고정돌기(321)가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심대(30)가 하부에 도달한 것을 인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의 외주면(1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고, 내주면(21)에 나사산(211)이 형성되며, 상기 심보호관(10)에 형성된 상부환형돌기(123a)와 맞닿는 걸림턱(212)이 내주면(21)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환형돌기(123b)가 삽입되는 요홈(2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22)에는 상기 상부캡(4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22)에 일체로 결합되는 외피(50)를 위한 막음돌기(2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221) 및 막음돌기(222)는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에 환(環)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가동부재(2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시켜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221) 및 막음돌기(222)는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반구형 돌기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22)에 일체로 결합하는 외피(50)는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20)와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피(50)와 맞닿는 외주면(22)에는 제품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외피(50)와 결합시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가동부재(20)에 대해 외피(5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장홈(2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20)에 상기 심보호관(10)이 결합 될 때, 상부환형돌기(123a)는 걸림턱(212)에 맞닿아 상기 심보호관(10)이 상부로 위치이탈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환형돌기(123b)는 상기 요홈(213)에 삽입되되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상기 가동부재(20)가 심보호관(1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유격을 가진 상태로 결합한다.
상기 심대(30)는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 내주면(122)에 위치하는 화장품 심결합부(311)와, 상기 심결합부(311)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의 슬릿(112)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재(20)의 나사산(211)에 결합되는 고정돌기(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심대(30)의 외주면(322)에는 상기 제1밀폐수단(P1)을 위한 환홈(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결합부(311)는 상기 환홈(323)의 상부에서 시작되는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심대(30)는 상기 심결합부(311)가 형성된 상측(31)과 상기 고정돌기(321) 및 환홈(323)이 형성된 하측(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31)은 상기 심결합부(311)에 결합되는 화장품 심(H)의 두께에 상 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32)은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 외주면(322)에는 환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21)가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는 상기 환홈(323)이 상기 제1밀폐수단(P1)의 직경에 상응하는 깊이로 상기 심대(30)의 상측(31)에 형성될 때, 상기 심결합부(311)의 두께가 얇아 환홈(323)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상기 심결합부(311)에 환홈(323)이 형성될 경우 심결합부(311)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심결합부(311)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심대(30)의 하측(32)에 환홈(323)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심대(30)의 상측(31)에는 심결합부(311)에 결합 된 화장품 심(H)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구멍(도면 중 미도시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장품 심(H)이 심대(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심대(30)가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 윤활유(潤滑油)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화장품 심(H)의 일부가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심결합부(311)에 결합 되어 상기 화장품 심(H)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합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심대(30)에 형성된 고정돌기(321)는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 드부(11)에 형성된 슬릿(112)과 상응하는 형상 및 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112)에 결합 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가동부재(20)의 내주면(21)에 형성된 나사산(211)에 결합되어 가동부재(2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하는 것으로,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에 형성된 슬릿(112)과 상기 고정돌기(321)가 상기 가동부재(20)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릿(112)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고정돌기(321)가 상부 끝단에 도달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줌과 동시에 사용중 상기 고정돌기(321)가 위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끝단(112a)이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끝단(112a)은 상기 나사산(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밀폐수단(P1)은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와 상기 심대(30)의 심결합부(311)의 접면(J1)에 위치하며, 상기 심결합부(311)의 하부에 형성된 환홈(323)에 결합 된 패킹링(P1a)이다.
상기 제1밀폐수단(P1)은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의 내측에서 승하강하는 심대(30)가 마찰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심대(30)에 형성된 환홈(323)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착부(12)의 내주면(122)과 밀착하기 때문에 보다 긴밀한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심보호관(10)을 덮는 상부캡(40)은 화장품 심(H)이 상기 심보호관(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화장품 심(H)의 색상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22)에 형성된 체결돌기(221)와 결합하여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캡(40)과 상기 심보호관(10)과 맞닿는 접면(J2)에 제2밀폐수단(P2)이 구비되는데, 조립의 용이성 및 고정력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제2밀폐수단(P2)은 상기 상부캡(4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캡(40)은 상기 제2밀폐수단(P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상부분체(41) 및 하부분체(4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밀폐수단(P2)은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상기 상부분체(41)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상부분체(41)와 하부분체(42)는 나사결합, 억지끼움 등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부분체(41)를 하부분체(42)에 결합한 후 다시 분리하는 경우가 없는 것을 고려하여 리벳과 같은 결합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캡(4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밀폐수단(P2)은 상부캡(40)의 내주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부캡(40)에 결합되는 심보호관(10)의 상단 및 측면을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밀폐수단(P2)은 공기배출로(A)를 형성하여 상기 심보호관(10)과 상기 상부캡(40)이 결합될 때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공기배출로(A)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공기배출로(A)는 제2밀폐수단(P2)을 관통한 공기배출공(Aa) 또는 상기 제2밀폐수단(P2)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공기통로(Ab)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2밀폐수단(P2)은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심보호관(10)이 상부캡(40)의 하단에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공(Aa) 또는 상기 공기통로(Ab)는 서서히 막히면서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심보호관(10)이 상부캡(40)과 완전히 맞닿을 때 상기 공기배출공(Aa) 또는 공기통로(Ab)는 완전히 막힌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공(Aa)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로(A)는 상기 공기배출공(Aa)과 연통 되어 상부캡(40) 및 심보호관(10)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 는 배출공간(Aaa)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밀폐수단(P2)의 하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가압부(P2a)를 더 형성하여 상기 심보호관(10)이 상부캡(40)에 결합될 때 상기 심보호관(10)의 상부 장착부(12)의 외주면(121)을 가압하여 상부캡(40)과 심보호관(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제2밀폐수단(P2)의 공기배출공(Aa), 배출공간(Aaa), 가압부(P2a), 공기통로(Ab)는 실제 제품의 성형이 매우 미세한 정도로 성형되며, 상기 도 5에서는 이를 과장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심대(30)에 심투입공(33)을 형성하고, 상기 심투입공(33)에는 마개(34)가 결합 된 것으로,
화장품 심(H)을 상기 심투입공(33)을 통해 충전할 수 있어 조립이 완료된 화장품 케이스(1)에 화장품 심(H)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화장품 심(H)이 충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연성(軟性)의 화장품 심(H)이 고온에 의해 묽은 점성의 액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심투입공(33)을 통해 일정량을 주입한 후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심투입공(33)에 마개(34)를 결합 하여 폐쇄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화장품 심(H)이 고체화되면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피(50)에도 상기 심투입공(33) 및 마개(34)와 상응하는 형태로 관통공(51) 및 덮개(52)가 구비되어 상기 화장품 심(H)이 충전될 때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는 화장품 심(H)이 화장품 케이스(1)에 충전될 때부터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화장품 심(H)이 외부공기와 맞닿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중 화장품 케이스(1)에 잔류하는 공기가 화장품 심(H)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보존에도 화장품 심(H)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로서, 사용자가 가동부재(20) 또는 상기 가동부재(20)와 일체로 결합 된 외피(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동부재(20)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20)의 내주면(21)에 형성된 나사산(211)에 맞물린 고정돌기(321)가 상기 나사산(211)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돌기(321)는 상기 심보호관(10)의 하부 슬라이드부(11)에 형성된 슬릿(112)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돌기(321)가 형성된 심대(30)를 상부로 상승시켜, 화장품 심(H)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가능한 상태로 대기시킨다.
반대로, 외부로 노출된 화장품 심(H)을 화장품 케이스(1)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가동부재(20) 또는 상기 외피(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321)가 가동부재(20)의 내주면(21)에 형성된 나사산(211)을 타고 하부로 하강하면서 심대(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화장품 심(H)이 화장품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대기하는 것이다.
상술한 회전방향은 상기 가동부재(20)의 내주면(21)에 형성된 나사산(211)의 형성 각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나사산(211)을 2줄 나사 이상의 다줄 나사 형태로 하여 상기 가동부재(20)의 1 회전시 상기 심대(30)의 승하강 이동거리를 보다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1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심대(30A)의 외주면에 제1밀폐수단(P1A)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심대(30A)의 상부 끝단에 절곡부(31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심대(30A)에 일체로 형성된 제1밀폐수단(P1A)은 상기 심대(30A)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고 있어 상기 심보호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때 상기 제1밀폐수단(P1A)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심대(30A)의 상부 끝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13)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313)가 심보호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심대(30A) 하부(32)의 내측은 제품의 중량을 가볍게 하고, 원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공간(314)을 형성할 수 있고,
상술한 마개(34)가 심대(30A)의 하단에 구비될 때 상기 심대(30A)의 하부는 외부와 차단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20)의 나사산(211A)의 폭을 조절하여 가동부재(20)의 1 회전시 심대(30A)의 승,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20)의 외주면에 외피(50)와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외피결합돌기(223)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50)에는 대응결합홈(53)을 형성하여 상기 가동부재(20)와 외피(50)가 일체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의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분해단면도.
도 3 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심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캡 및 제2밀폐수단의 구현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및 마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9 는 도 8의 결합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화장품 케이스 H : 화장품 심
10 : 심보호관
11 : 하부슬라이드부 111 : 외주면 112 : 슬릿
12 : 상부장착부 121 : 외주면 122 : 내주면
123 : 환형돌기
20 : 가동부재
21 : 내주면 211,211A : 나사산 212 : 걸림턱
213 : 요홈
22 : 외주면 221 : 체결돌기 222 : 막음돌기
30,30A : 심대
31 : 상측 311 : 심결합부
32 : 하측 321 : 고정돌기 323 : 환홈
33 : 심투입공 34 : 마개
40 : 상부캡 41 : 상부분체 42 : 하부분체
50 : 외피 51 : 관통공 52 : 덮개
J1,J2 : 접면
P1,P1A : 제1밀폐수단 P1a : 패킹링
P2 : 제2밀폐수단 P2a : 가압부
A : 공기배출로 Aa : 공기배출공 Aaa : 배출공간
Ab : 공기통로

Claims (5)

  1. 슬릿이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부와, 상부 장착부를 갖는 심보호관;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 외주면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장착부 내주면에 위치하는 화장품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보호관의 하부 슬라이드부 슬릿에 결합 노출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심대;
    상기 심보호관을 덮는 상부캡;
    상기 심보호관의 상부 장착부와 상기 심대의 심결합부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1밀폐수단; 및
    상기 심보호관의 장착부와 상기 상부캡의 접면에 위치하는 제2밀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 외주면에는 일체로 결합 된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수단은 패킹링이고,
    상기 심대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링의 결합을 위한 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결합부는 상기 환홈의 상부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수단은 상기 상부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폐수단에는 상기 심보호관과 상기 상부캡이 결합될 때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대에는 심투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투입공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1020080094337A 2008-09-25 2008-09-25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10156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7A KR101564765B1 (ko) 2008-09-25 2008-09-25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7A KR101564765B1 (ko) 2008-09-25 2008-09-25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40A true KR20100035040A (ko) 2010-04-02
KR101564765B1 KR101564765B1 (ko) 2015-11-02

Family

ID=4221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37A KR101564765B1 (ko) 2008-09-25 2008-09-25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31B1 (ko) * 2014-03-27 2015-06-18 주식회사 두코 파운데이션용기
CN107972213A (zh) * 2017-12-22 2018-05-01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唇膏盒内芯模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533B1 (ko) 2017-07-10 2019-01-29 (주)올버튼 일체형 밀폐 용기
KR102143524B1 (ko) * 2019-12-24 2020-08-12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664A (en) * 1994-07-08 1998-05-12 Hidan Co. Cosmetic container having an insert sleeve to improve air tightness and rotational characteristics
KR200393382Y1 (ko) * 2005-06-10 2005-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31B1 (ko) * 2014-03-27 2015-06-18 주식회사 두코 파운데이션용기
CN107972213A (zh) * 2017-12-22 2018-05-01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唇膏盒内芯模具
CN107972213B (zh) * 2017-12-22 2023-12-12 苏州海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唇膏盒内芯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765B1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0868A (ko)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US11523673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KR20100035040A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JP6802913B2 (ja) 内部が二重に密閉されるエアータイト口紅化粧品容器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JPWO2004010820A1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容器
CN110177485A (zh) 唇膏容器
KR102038419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101978867B1 (ko) 방향성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0473973Y1 (ko) 실리콘계열의 마스카라 브러시
JP6802910B2 (ja) 密閉力が向上したエアータイト口紅化粧品容器
KR200462899Y1 (ko) 회전 개폐식 퍼프 일체형 파우더 용기
CA2461589A1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JP7122369B2 (ja)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KR20110013619A (ko)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KR101794508B1 (ko)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CN103997932A (zh) 口红管
KR102038418B1 (ko) 보호관이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20130133719A (ko) 슬라이드형 립스틱 용기
KR102522454B1 (ko) 간섭방지형 립스틱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JP5143478B2 (ja) 繰り出し容器
KR200449457Y1 (ko) 브러쉬 화장품용기
KR102233434B1 (ko) 한 손으로 스틱형 고형 화장품의 출몰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고형 화장품 용기
KR101479109B1 (ko) 밀폐성이 향상된 다용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