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629B1 -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629B1
KR102106629B1 KR1020200009655A KR20200009655A KR102106629B1 KR 102106629 B1 KR102106629 B1 KR 102106629B1 KR 1020200009655 A KR1020200009655 A KR 1020200009655A KR 20200009655 A KR20200009655 A KR 20200009655A KR 102106629 B1 KR102106629 B1 KR 10210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dule
cover
mesh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랩스
이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랩스, 이경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랩스
Priority to KR102020000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7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 내에 형성된 온도센서수단을 통해 화장품용기 내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동시에 냉각수단을 통해 화장품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피부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피부미용을 하고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남성들도 피부미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피부미용을 위한 화장품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이라 함은 피부를 청정, 보호, 미화시키기 위해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피부에 촉촉한 윤기가 오래도록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촉진, 피부노화방지, 이상세포억제, 혈액순환촉진, 건성피부 조절, 거친피부개선, 피부노폐물제거, 추위피부보호, 제습, 피부곰팡이억제, 기미방지, 피부윤택, 피부영양공급 원활, 피부탄력강화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부미용을 행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강한 햇볕을 방지하여 피부를 곱게 태워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및 자외선을 차단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말한다.
그러나, 날마다 사용하는 화장품과 격일제로 사용되는 화장품을 구분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으며, 아울러 횟수에 제한을 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횟수만큼 사용하였는지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9363호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용기 내에 형성된 온도센서수단을 통해 화장품용기 내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동시에 냉각수단을 통해 화장품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화장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품이 함침되는 복수의 함침부재;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받침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 1 그물망; 상기 제 1 그물망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그물망; 및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은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더 넓어지고,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화장품에 접함으로써, 상기 화장품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부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 2 그물망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에 접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화장료를 흡습하고, 상기 복수의 함침부재 각각은, 제 1 그물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상부 직물층; 제 2 그물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는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초음파 접합에 의해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초음파 접합은,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 각각에 대해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이 상기 가장자리에서 서로 접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 전체가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그물 구조 및 상기 제 2 그물 구조 각각은 복수의 토출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면적의 합 및 상기 토출공의 둘레의 합에 기초하여 토출 레벨이 결정되며, 상기 토출 레벨에 따라 상기 화장료의 유입 및 유출의 양이 결정되고, 상기 완충받침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는 핀 부재;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주면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핀 부재가 삽입되는 원형의 수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핀 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의 내경은 핀 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이 고정되어 완충부재와 브라켓 사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는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핀 부재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핀 부재가 지지판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내덮개 및 상기 내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덮개로 형성되고,상기 외덮개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수단; 상기 외덮개에 형성되는 투명창; 상기 투명창 아래에 형성되며 빛을 발산하는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점등모듈;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냉매를 배출하는 덮개냉각모듈; 상기 온도센서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덮개냉각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를 냉각시키며, 상기 점등모듈을 점등시키는 덮개제어모듈; 및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제어모듈은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덮개냉각모듈은,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저장부; 상기 냉매저장부에 연결되어 냉매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의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는 냉매공급부; 상기 덮개닛제어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기기케이스; 및 상기 덮개제어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덮개냉각모듈의 제어를 위한 발열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냉매공급부는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발열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액상의 냉매를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발열부분에 토출시켜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상기 덮개제어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키고, 상기 냉매공급부와 상기 덮개제어모듈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기화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기케이스에는, 상기 기화영역으로부터 상기 기기케이스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라인을 차폐하여 외부의 미세먼지를 기기케이스 내부와 차단하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매저장부는 상기 기기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교체가능하거나,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충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열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센서의 입력정보, 상기 덮개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사용량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냉매저장부의 액상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시스템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용기; 및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하는 진열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열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진열대로부터 상기 화장품용기 관련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용기의 덮개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수단; 및 상기 온도센서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덮개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하는 진열케이스;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며, 빛을 발산하는 조명모듈; 상기 삽입홈의 내측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모듈; 상기 진열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품용기의 사용횟수 선택, 상기 화장품용기의 무게하한선 선택, 상기 진열대 또는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선택을 위한 정보입력모듈; 상기 덮개제어모듈이 송출하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입력모듈, 상기 무게감지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입력모듈부터 상기 화장품용기의 사용횟수 및 상기 진열대 또는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하고, 상기 무게감지모듈로부터 상기 화장품용기의 내의 화장품의 내재량을 파악함과 동시에 상기 화장품용기가 상기 삽입홈로부터 인출되는 횟수를 파악하며, 상기 정보입력모듈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장품용기의 사용횟수가 설정된 횟수보다 높은 경우, 상기 화장품용기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보다 낮은 경우,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및 상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화장품용기가 수용된 상기 수용홈의 상기 조명모듈을 점등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삽입홈로부터 상기 화장품용기를 인출하면 상기 조명모듈를 소등하며, 상기 진열대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및 상기 진열대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명모듈을 점등키는 컨트롤모듈;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 상기 진열용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진열대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모듈에 전달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진열용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외곽부 상호간을 연결하며 둘러싸는 테두리와,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보스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열대 내부 온도를 냉각시키는 진열대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장품용기의 꺼냄 횟수, 화장품의 소모 속도, 상기 조명모듈에 의한 점등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선호도를 집계하며, 이를 통계적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진열대 내부를 구획하며, 구획된 영역별로 온도 설정을 다르게 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컨트롤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모듈은 상기 진열댈 냉각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구획된 영역에 포함된 상기 화장품용기별로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을 둘러싸고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상기 베이스면의 위치보다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면 하부에 하측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하측 공간부와 연통된 센서캡 홀이 형성된 케이스모듈; 상기 케이스모듈의 상기 센서캡 홀에 장착되어 상기 하측 공간부로 돌출되는 센서캡; 상기 센서캡 내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 및 상기 베이스면에 장착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모듈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하측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캡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와, 상기 센서 단자가 일면에 결합된 센서회로기판, 상기 센서회로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면에는 상기 센서 유닛이 장착되는 부분이 주변과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유닛이 장착된 부분에는 접착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센서 단자 및 상기 센서회로기판을 외측에 대해 밀폐시키고, 상기 진열대 냉각장치는,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어 팬을 수용하고, 테두리끼움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팬이 놓인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상측으로부터 결합되며, 상기 테두리끼움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며, 테두리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진열케이스 내부의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내부 공간에 채워진 케이스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지지홈 내측에 보스가 형태의 변형 없이 수납되는 오목한 보스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팬의 블레이드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에어홀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기 테두리끼움홈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차가운 공기를 상기 에어홀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케이스를 통해 에어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일 측에 쿨링타워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냉각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진열케이스의 내부공기와의 열교환과정 중 더워진 냉각수가 다시 쿨링타워로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상부플레이트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이동가이드와,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유압지지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장품용기 내에 형성된 온도센서수단을 통해 화장품용기 내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동시에 냉각수단을 통해 화장품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부재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냉각모듈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 냉각장치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감지모듈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는 상부케이스(110), 덮개부(120), 필터부(130), 함침부재(140), 하부케이스(150) 및 완충받침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상부케이스(110) 내부에 화장품(c)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한 덮개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울이 결합된 외부케이스(a) 내에 착탈 가능하고, 상부케이스(110)만 외부케이스(a)와 별도로 리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c)은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운데이션, 선크림, 파우더, 비비크림, 로션, 크림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폰지와 같은 함침재에 함침된 형태일 수 있고, 별도의 수용 수단 없이 화장품 자체가 담겨진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함침재 이외에 에어리스 펌프와 같은 배출수단내에 수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덮개부(120)는 상부케이스(110)를 개폐한다. 덮개부(120)의 세부 구성은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하는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필터부(130)는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을 필터링한다. 필터부(130)은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c)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화장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부(130)는 제 1 그물망(131), 제 1 그물망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그물망(132) 및 제 1 그물망(131) 및 제 2 그물망(132)을 고정하는 고정구(133)를 포함한다. 필터부(130)는 제 1 그물망(131) 및 제 1 그물망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그물망(132)과 같이 두 개의 그물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그물망(131)은 퍼프(p)와 같은 화장용구가 직접 접촉하는 그물망을 의미하며, 제 2 그물망(132)은 최하단 그물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그물망(131)과 제 2 그물망(132)과 같이 두 개의 그물망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양 그물망 사이에 복수개의 그물망이 추가되어도 무방하다. 제 1 그물망(131)과 제 2 그물망(132)은 퍼프의 가압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탄력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올레핀, 스판사(span fiber) 등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개의 그물망은 동일 재질일 수도 있고, 이종재질일 수 있다. 고정구(133)는 복수의 그물망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구(133)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구(133)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그물망이 위치하고, 고정구(133)가 상호 결합하면서 그물망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구(133)는 제 1 고정구(133-1) 및 제 2 고정구(133-2)로 구성되며, 제 1 고정구(133-1) 내측으로 제 2 고정구(133-2)가 인입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 1 고정구(133-1)와 제 2 고정구(133-2)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그물망 가장자리가 인입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제 1 고정구(133-1) 내측에 걸림부(133-1a)가 형성되고, 제 2 고정구(133-2) 외측에 돌기부(133-2b)가 형성되어, 돌기부(133-2b)가 걸림부(133-1a)에 끼워 맞추어 지면서 그물망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와 돌기부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상호 위치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구(133)는 그물망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고정구 내측 또는 외측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구조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33)는 그물망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링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고정구(133)는 필터부(130)을 상부케이스(110)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필터부(130)는 상부케이스(110) 상단 둘레에 고정구(133)가 안착되면서 고정된다. 이 때, 상부케이스(110) 상단 둘레에 홈이 형성된 경우, 고정구(133) 일부 구성이 홈 사이에 끼워지면서 필터부(13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퍼프(p)로 필터부(130)를 가압할 경우, 고정구(133)가 상부케이스(110) 상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퍼프의 가압에 의해 필터부(130) 자체는 승하강 되지 않으며, 그물망만 신축성에 의해 늘어나면서 화장료에 접할 수 있다. 제 1 그물망(131) 및 제 2 그물망(13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은 그물망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더 넓어진다. 필터부(130)를 가압하는 경우, 제 1 그물망(131) 및 제 2 그물망(132)이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접함으로써, 화장품이 필터부(130)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부(130)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 2 그물망(132)은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접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화장료를 흡습한다. 상기 간격은 그물망의 가장자리(가장자리 간격: h1)에서 중심부(중심부 간격: h2)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그물망(131)의 길이보다 제 2 그물망(132)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그물망(132)의 길이를 제 1 그물망(131)의 길이보다 길게 하거나, 그물망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그물망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게 함으로써, 제 2 그물망(132)이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직접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 2 그물망(132)이 화장료를 흡습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그물망(132)이 화장료를 흡습하고 있는 경우, 제 1 그물망(131)은 퍼프와 같은 화장용구의 반복적인 가압에도 화장료에 의해 오염되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도 늘어지거나 쳐짐 없이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고 본래의 형태와 기능을 손실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p)로 필터부(130)을 가압하는 경우, 고정구(133)는 상부케이스(110)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제 1 그물망(131) 및 제 2 그물망(132)은 퍼프(p)를 따라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접하게 된다. 이 때, 퍼프(p)의 가압에 의해 배출된 화장품(c)은 필터부(13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퍼프(p)에 흡수된다.
함침부재(140)는 필터부(130) 하부에 위치하며, 화장품이 함침된다. 함침부재(140)는 복수개가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50)는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완충받침장치(300)는 하부케이스(15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하부케이스(15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화장료는 후술할 함침부재(200)에 함침되는 형태로 상부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부재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함침부재(200)는 상부 직물층(220), 하부 직물층(230) 및 지지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은 각각 함침부재(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각각 소정의 그물구조를 갖도록 섬유사가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물 구조는, 직물 상에 다수의 토출공(2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토출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함침부재(200)에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해서 그물 구조를 통하여 화장료가 유입될 수 있으며, 화장료의 사용 시에는 마찬가지로 그물 구조를 통하여 함침된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는, 예를 들어,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선크림, 에센스,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자외선차단제, 블러셔, 컨실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등 다양한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는 액상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비-액상(즉, 고형 또는 반고형)일 수도 있다. 함침 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직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가 배출되는 정도, 즉, 토출 레벨은 그물 구조의 토출공(221)의 비중이나 토출공(221)의 내측 표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레벨은 토출공(221)의 둘레의 합에 대한 토출공(221)의 면적의 합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출공(221)의 둘레의 합은 화장료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의미하고, 토출공(221)의 면적의 합은 화장료가 이동하는 통로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레벨이 작을수록 화장료는 쉽게 토출되지 않으며, 반대로 토출 레벨이 클수록 화장료가 쉽게 토출될 수 있다.
지지층(240)은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며, 각 섬유사가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을 연결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지지층(240)은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을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섬유사가 형성하는 탄력 복원성을 통해, 화장료 함침부재(200)에 외력이 인가되어 형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 사이에서 섬유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화장료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층(240)에 함침된 화장료는 함침부재(2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부 직물층(220) 및/또는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지지층(240) 내의 섬유사는 적절한 탄력 복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섬유사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부 집합점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집합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층(240)을 형성하는 복수의 섬유사가 상부 집합점 및 하부 집합점을 연결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각 집합점은 다른 집합점과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집합점 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지지층(240)의 섬유사는 상부 집합점과 하부 집합점을 연결하되, 임의의 집합점에 일 단부가 결합한 복수의 섬유사는 다른 단부가 동일한 다른 집합점에 결합하거나, 및/또는 복수의 상이한 집합점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집합점에 결합한 섬유사는 하부 직물층(230)을 기준으로 20도 내지 160도의 각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상부 집합점과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집합점에 결합한 섬유사 또한 상부 직물층(220)을 기준으로 20도 내지 160도의 각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하부 집합점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층(240)을 이루는 섬유사의 밀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담지 가능한 화장료의 양, 탄성 복원력, 지지력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사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우, 지지층(240) 내의 화장료 충전 공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화장료의 이동 시 섬유사에 의한 마찰이 감소하므로, 작은 외력에도 화장료가 쉽게 유출될 수 있으며, 지지층(240)의 지지력, 탄성 복원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섬유사의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화장료의 이동 시 섬유사에 의한 마찰이 증가하므로, 쉽게 화장료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층(400)의 지지력, 탄성 복원력이 강해질 수 있으나, 지지층(240) 내의 화장료 충전 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은 가장자리(250)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가장자리 접합을 통해 지지층(240)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 구조를 통하지 않으면서, 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지지층(240)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섬유사가 노출되므로, 이를 통해 화장료의 함침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누설될 수 있으며, 특히,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함침부재(200) 내의 화장료 및/또는 함침부재(200)가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의 수용 공간 내의 화장료가 상당 정도 외측으로 누설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접합을 통해 함침부재(200)의 외측에서의 화장료 누설 및 이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오염, 사용자의 불편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 간의 가장자리 접합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 외부에서 열이 인가되는 외열 접합,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내열 접합 또는 외열 접합에 의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부가적인 고정/체결 수단을 채택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화장료 함침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의 접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함침부재(200)는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의 가장자리(250)가 서로 접합하는 대신에, 측면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직물층은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과 마찬가지로 그물 구조를 가지며,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의 가장자리(250)를 연결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측면 직물층의 그물 구조는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 구조에 비해 작은 토출 레벨을 가짐으로써, 화장료가 상대적으로 측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직물층은 함침부재(20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직물층(220)과 하부 직물층(23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상부 직물층(220')의 그물 구조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은 서로 상이한 그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직물층(220')의 그물 구조는,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 구조에 비하여, 각 토출공(221)의 크기를 크도록 하되, 전체 토출공의 면적의 합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는 경우, 하부 직물층(230)의 그물 구조는 상부 직물층(220')의 그물 구조와 비교하여 전체 토출공의 면적의 합은 동일하되, 토출공의 둘레의 합이 증가하므로, 토출 레벨은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하부 직물층(230)에서는 상부 직물층(220')에 비하여 토출공을 통해 화장료가 쉽게 유/출입 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부직물층(220')은 하부 직물층(230)에 비하여 더 큰 토출 레벨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화장료가 유/출입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부 직물층(220')을 통하여 화장료를 주입하여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또한 상부 직물층(220')을 통하여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20')이 상대적으로 큰 토출 레벨을 갖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화장료의 충진 및 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직물층(230)이 상대적으로 토출 레벨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화장료가 하부 직물층(23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장료의 하부 방향 유출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오염이나 화장료의 소실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함침부재(200)는 보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층(미도시)은, 함침부재(200)의 상부 직물층(220) 및/또는 하부 직물층(230)의 외측에 부가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보조층은 상부 직물층(220) 및/또는 하부 직물층(230)에 결합하되, 상부 직물층(220) 및 하부 직물층(230)이 서로 접합되는 가장자리(250)에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250) 접합을 통해 보조층이 직물층(220, 230)에 결합하면서, 직물층(220, 230)의 전면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층은 함침부재(200)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층은 하부 직물층(230)의 하측 표면에 결합하되, 방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층은 상부 직물층(220)의 상측 표면에 결합하되, 오간디, 트리코트 등의 신율이 낮은 섬유층으로 구성하여, 특정한 로고나 문양 등을 형성하거나, 화장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기능성 물질이 함침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향균 기능을 위한 키토산, 님나무 추출물, 바질 추출물, 정향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등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코팅층이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코팅층은 보조층에 방수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조층의 일 면에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큐프라, 텐셀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방수 물질 등)을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층의 일 면에 결합한 코팅층은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층의 다른 면은 하부 직물층(230)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어 화장품 용기에 잔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층은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이를 화장료 함침부재(200)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보조층의 형상은, 커버하고자 하는 직물층(220, 2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적어도 가장자리(25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부재 세트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함침부재 세트(260)는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261, 263, 265, 267)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부재 세트(260)에서, 복수의 함침부재(261, 263, 265, 267)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가장자리(269)가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함침부재(200)의 경우, 상부 직물층(220, 220') 및 하부 직물층(230)을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층(240)이 섬유사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섬유사의 길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들의 지지력, 형태 복원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지층(240)을 이루는 섬유사가 소정의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갖도록 해야 하며, 이 경우, 지지층(240)의 전체적인 화장료 충전 공간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함침부재 세트(260)에서는, 각 섬유사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함침부재(261, 263, 265, 267)를 적층함으로써, 전체적인 화장료 충전 공간을 증가시키면서도, 각 지지층이 충분한 지지력, 형태 복원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함침부재 세트(260)를 구성하는 각 함침부재(261, 263, 265, 267) 간의 결합 관계를 견고히 하기 위해, 각 화장료 함침부재(261, 263, 265, 267)의 가장자리(269)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 물질, 외부에서 열이 인가되는 외열 접합,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외열 접합 또는 내열 접합의 경우,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등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부가적인 고정/체결 수단을 채택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화장료 함침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함침부재 세트(260)는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초음파 접합에 의해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초음파 접합은, 각 화장료 함침부재(261, 263, 265, 267) 각각에 대해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이 가장자리(269)에서 서로 접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장자리(269)에서 복수의 함침부재(261, 263, 265, 267) 전체가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받침장치(300)는, 상부케이스(1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20)과, 고정판(320)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판(310)과, 지지판(3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완충부재(330)와, 지지판(310)의 하면 중앙에 고정되어 지지판(310)이 지지면의 상면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 부재(340)와, 하부케이스(150)의 상면에 고정되어 핀 부재(34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브라켓(360)을 포함한다.
고정판(320)은 상부케이스(110)의 하면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32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50)의 상면에는 브라켓(36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결합부재가 형성된다. 즉 지지면의 상면에 고정결합부재(321)를 설치한 다음에 고정결합부재(321)의 상면에 브라켓(360)을 고정시킨 후 고정결합부재(321)가 경화되면 브라켓(360)이 고정결합부재(32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고정결합부재는 본드 등의 접착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360)을 하부케이스(150)의 상면에 직접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라켓(36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으로 중앙에 핀 부재(340)가 수납되는 수납홈(36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납홈(362)의 내경은 핀 부재(34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핀 부재(340)와 수납홈(362)의 내면 사이는 간격을 유지하여 핀 부재(340)가 수납홈(36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측방향 이동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판(320)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350)이 고정되고, 지지판(310)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352)이 고정되어 제1슬라이드판(350)과 제2슬라이드판(352)이 서로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판(350)과 제2슬라이드판(352) 사이에는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추가되어 두 슬라이드판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이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슬라이드판(350)과 제2슬라이드판(352)은 상부케이스(11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미끄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불소 수지판 등 다양한 판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310)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352)이 안착되는 안착홈(312)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312)의 높이는 제2슬라이드판(352)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제2슬라이드판(352)이 지지판(31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310)은 원판이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판(3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완충부재(330) 역시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핀 부재(340)는 강도가 강한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받침장치(300)가 하부케이스(15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핀 부재(340)가 수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향 이동 및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케이스(110)의 상하 진동, 측방향 유동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핀 부재(340)는 완충부재(330)의 중앙을 통과하여 지지판(310)의 하면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즉, 지지판(310)의 하면 중앙에는 나사홈(314)이 형성되고 핀 부재(34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342)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20)는 내덮개(121), 외덮개(122), 온도센서수단(123), 투명창(124), 점등모듈(125), 덮개제어모듈(126), 통신모듈(127) 및 덮개냉각모듈(400)을 포함한다.
내덮개(121)는 복수의 타공(121-1)이 형성된다. 복수의 타공(121-1)은 후술할 덮개냉각모듈(400)의 냉매가 화장품이 수용된 상부케이스(1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타공(121-1)을 통해 덮개냉각모듈(400)의 냉매가 상부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화장품용기(1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덮개(122)는 내덮개(121)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된다. 수용공간에 온도센서수단(123), 점등모듈(125), 덮개제어모듈(126), 통신모듈(127) 및 덮개냉각모듈(400)을 포함한다. 투명창(124)은 외덮개(12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수단(123)은 외덮개(122)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점등모듈(125)은 투명창(124) 아래에 형성되며 빛을 발산하는 OLED 모듈을 포함한다. 점등모듈(125)은 화장품용기(10)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였거나 덮개냉각모듈(400)의 냉매가 소진된 경우 은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문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덮개제어모듈(126)은 상기 온도센서수단(123)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덮개냉각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를 냉각시키며, 점등모듈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제어모듈(126)은 덮개냉각모듈(400)의 냉매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도 점등모듈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제어모듈(126)은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가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모듈(127)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덮개제어모듈(126)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화장품용기(10)의 상태를 알린다.
통신모듈(127)은 덮개제어모듈(126)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모듈(127)과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모듈(127)과 통신하기 위한 어플이 설치될 수도 있다.
덮개냉각모듈(400)은 외덮개(122)의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냉매를 배출한다. 덮개냉각모듈(400)은 도 11에서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냉각모듈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냉각모듈(400)은 덮개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저장부(420), 냉매저장부(420)에 연결되어 냉매저장부(420)에 저장된 액상의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는 냉매공급부(421)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매공급부(421)는 액상의 냉매를 화장품용기(10)의 내부 또는 덮개부(120) 내부의 발열부분에 토출시켜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화장품용기(10)의 내부 또는 덮개부(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덮개부(120)의 온도센서수단(123), 점등모듈(125), 덮개제어모듈(126), 통신모듈(127)에 있는 회로기판 등 열이 발생하는 구성에 인접하게 냉매공급부(421)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기적으로 냉매공급부(421)에서 냉매를 토출하게 함으로써, 화장품용기(10)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여름이나 화장품용기(10)가 열을 발산하는 장치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화장품용기(10)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열에 의해 변질될 수 있는 바, 덮개냉각모듈(400)을 통해 화장품용기(10) 내부를 냉각시킴으로써 수용된 화장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상의 냉매를 토출시켜 냉매가 증발될 때 발열원으로부터 많은 기화열을 흡수하고, 반대로 발열원에서는 열을 뺏김으로써 냉각시키는 원리를 취한다. 액상의 냉매가 기상이 될 때는 기화열이 매우 큼에 따라, 큰 잠열을 흡수하게되므로 냉각 효율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냉매는 인체에 무해하고 불가연성의 성질이면 어떠한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단, 냉매가 토출되는 즉시 기화될 수 있도록 미량의 냉매를 공급해주는 것이며, 액상의 냉매를 공급하여야 한다. 덮개냉각모듈(400)은 내덮개(121) 또는 외덮개(122)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덮개냉각모듈(400)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덮개냉각모듈(400)을 내덮개(121) 또는 외덮개(122)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냉매저장부(420)는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수용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냉매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두께가 얇고, 면적은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냉매저장부(420)는 외덮개(122)에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에 안착될 수 있는데, 냉매저장부(420)의 형상 및 치수는 본 발명의 덮개냉각모듈(400)이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냉매저장부(420)의 배치에 따라서 외덮개(122)의 형상 및 치수도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냉매공급부(421)는 냉매저장부(420)와 연결되되, 발열부분에 대향하는 위치 또는 내덮개(121)의 타공(121-1)이 형성된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냉매공급부(421)는 일 측에 냉매가 토출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냉매저장부(420)와 연통한다. 개구는 발열부분 또는 타공(121-1)에 대향하는 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매공급부(421)는 냉매저장부(420)와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를 공유하며 일체로 제조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냉매공급부(421)의 개구는 액상의 냉매가 분사되는 위치에 원추형의 디퓨저를 설치하여 냉매의 확산면적을 넓힐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냉매공급부(421)는 덮개부(120) 또는 화장품용기(1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노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매공급부(421)에는 액상의 냉매를 무화(atomizing)시켜 기화영역(S)에서의 기화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초음파 발진기(421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초음파 발진기(4211)의 발진에 의해 냉매가 미립자화되어 산포되면, 기화영역(S)에서 열과 반응하는 표면적이 증대되어 기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무화된 액상의 냉매는 발열영역의 표면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화열을 공급받거나, 발열영역의 발열원 표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매 입자의 대류작용에 의해 기화열을 공급받음으로써 화장품용기(10)의 내부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액상의 냉매가 토출된 이후에 열과 열교환하여 기화되는 과정에서 냉매 입자의 부피는 팽창하게 되는데, 기화영역(S)은 기화과정에서 팽창된 부피에 의해 기기에 충격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 크기를 갖는 빈(vacancy)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화영역(S)으로부터 화장품용기(10)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라인(P)이 형성되어 기화된 냉매가 즉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기화영역의 배출라인(P)을 제외한 주변부분은 틈새가 없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기화된 냉매는 잔류하지 않고, 후속하여 토출되는 액상의 냉매 및 기상의 냉매에 의해 밀려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라인(P)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라인을 차폐하여 외부의 미세먼지를 기기케이스 내부와 차단하는 차폐막(4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막(4202)은 일종의 필터(filter)의 역할로서, 기화된 냉매 또는 미처 기화되지 못한 액상의 냉매는 외부로 빠져나가되 외부의 미세먼지는 유입되지 않는 구성이다.
냉매저장부(420)는 외덮개(122)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냉매저장부(420)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매가 소모되면 단순히 교체하거나 보충해줌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소모성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불가연성이기만한 냉매이면 족하므로 공급성 측면에서도 불리하지 않다.
덮개냉각모듈(400)은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덮개냉각모듈(400)의 제어를 위한 발열제어모듈(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제어모듈(126)와 발열제어모듈(430)은 상호간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냉각모듈(430)은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무선충전용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수단을 표시하는 의미에서 통신라인 'L'이 도시된다.
온도센서와 발열제어모듈(430)은 덮개냉각모듈(400)에 내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온도센서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덮개제어모듈(126)과 연동하여 덮개냉각모듈(400)을 제어한다. 발열제어모듈(430)은 온도센서의 입력정보, 덮개제어모듈(12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냉매저장부(420)의 액상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열제어모듈(43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온도센서가 전송하는 온도에 대한 신호를 분석하여 덮개제어모듈(126)의 발열량을 산출하는 발열량 산출부(a), 상기 덮개제어모듈(126)가 전송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부하(load) 산출부(b), 산출된 발열량과 부하의 크기에 따라 토출되는 냉매량을 결정하는 냉매량 산출부(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량 산출부(c)는, 수 초를 주기로 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미량의 냉매를 시간적으로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토출하는 등, 냉매 토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토출 타이밍은 냉매의 종류와 성능계수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덮개제어모듈(126)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판매시스템(1000)은 화장품용기(10), 진열대(500), 서버(20) 및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기(10)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화장품용기(10)의 덮개부(120) 내부에 형성되며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수단(123) 및 온도센서수단(123)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덮개제어모듈(126)을 포함한다. 화장품용기(10)는 통신모듈(12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127)은 덮개제어모듈(126)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한다. 덮개제어모듈(126)은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30)가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모듈(127)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덮개제어모듈(126)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30)는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화장품용기(10)의 상태를 알린다. 이를 위해, 통신모듈(127)과 사용자 단말기(30)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는 통신모듈(127)과 통신하기 위한 어플이 설치될 수도 있다. 화장품용기(10)에 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열대(500)는 화장품용기(10)를 수용한다. 진열대(500)는 복수의 화장품용기(1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장품용기(10) 및 서버(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진열대(500)는 화장품용기(10)의 덮개제어모듈(126)이 송출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후술할 조명모듈을 동작시키커나 화장품용기(10)의 내부 온도에 관한 정보를 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는 진열대(5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진열대(500)로부터 화장품용기(10) 관련 정보 및 진열대(500)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화장품용기(10) 관련 정보 및 진열대(500) 관련 정보란 화장품용기(10)의 사용횟수 및 진열대(500) 또는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정보, 화장품용기(10)의 무게정보, 화장품용기(10)가 진열대(500)로부터 인출되는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화장품용기(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화장품용기(10)의 내부 온도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500)는 진열케이스(510), 조명모듈(520), 정보입력모듈(530), 컨트롤모듈(540), 전원공급모듈(550), 무게감지모듈(600), 온도감지장치(700) 및 진열대 냉각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열케이스(510)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511)이 형성되어, 화장품용기(10)를 수용한다.
조명모듈(520)은 삽입홈(511)에 형성되며, 빛을 발산한다. 조명모듈(520)은 엘이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트 등을 부가하여 빛을 확산시킴으로써 은은한 빛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무게감지모듈(600)은 삽입홈(511)의 내측하단에 설치되어 화장품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감지모듈(600)은 삽입홈(511)의 내부에 설치토록하며, 화장품용기(10)를 삽입홈(511)에 삽입시에 화장품용기(10)의 무게를 감지하며, 이를 통해 화장품용기(10) 내부의 화장품 잔존량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정보입력모듈(530)은 진열케이스(510)의 측면에 형성되며, 화장품용기(10)의 사용횟수 선택, 화장품용기(10)의 무게하한선 선택, 진열대(500) 또는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컨트롤모듈(540)은 덮개제어모듈(126)이 송출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정보입력모듈(530), 무게감지모듈(600) 및 조명모듈(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컨트롤모듈(540)은 정보입력모듈(530)부터 화장품용기(10)의 사용횟수 및 진열대(500) 또는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상하한선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모듈(540)은 무게감지모듈(600)로부터 화장품용기(10)의 내의 화장품의 내재량을 파악함과 동시에 화장품용기(10)가 삽입홈(511)로부터 인출되는 횟수를 파악하며, 정보입력모듈(530)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화장품용기(10)의 사용횟수가 설정된 횟수보다 높은 경우, 화장품용기(10)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보다 낮은 경우,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및 화장품용기(1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화장품용기(10)가 수용된 수용홈(511)의 조명모듈(520)을 점등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삽입홈(511)로부터 화장품용기(10)를 인출하면 조명모듈(520)을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모듈(540)은 진열대(50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및 진열대(50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조명모듈(520)을 점등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550)는 조명모듈(5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감지장치(700)는 진열용 케이스(510) 내부에 형성되어, 진열대(500)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모듈(530)에 전달할 수 있다.
진열대 냉각장치(800)는 진열용 케이스(510)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다수의 블레이드 외곽부 상호간을 연결하며 둘러싸는 테두리와,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보스로 이루어져 컨트롤모듈(5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열대 내부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잇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화장품용기(10)의 꺼냄 횟수, 화장품의 소모 속도, 조명모듈(520)에 의한 점등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선호도를 집계하며, 이를 통계적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진열대(500) 내부를 구획하며, 구획된 영역별로 온도 설정을 다르게 하는 사용자 입력을 컨트롤모듈(5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컨트롤모듈(530)은 진열대 냉각장치(800)를 제어하여 상기 구획된 영역에 포함된 화장품용기별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장치(700)는 케이스(710)와, 센서캡(740), 센서 유닛(750), 패킹(760)을 포함한다.
케이스모듈(710)는 하부 케이스모듈(720)와 상부 케이스모듈(730)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모듈(730)는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측면들 상단을 따라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내측 하단이 끼워지는 내측으로 단차진 외측 결합부(728)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기(729)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외측 결합부(728)가 끼워지는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측면 내측 하단에는 외측 돌기(729)에 대응하여 내측 돌기(739)가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모듈(730)이 하부 케이스모듈(7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돌기(739)의 상부 방향으로 외측 돌기(729)가 접촉하면서 서로 맞물린다. 즉, 하부 케이스모듈(720)의 외측 결합부(728)에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내측 하단을 끼워 누르면 내측 돌기(739)가 외측 돌기(729)를 타고 넘어 아래로 이동하고 내측 돌기(739)가 외측 돌기(729)의 아래에서 상하 방향으로 맞물려 상부 케이스모듈(7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외측 돌기(729) 및 내측 돌기(739)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모듈(720)에 상부 케이스모듈(730)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크류 등의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상하부 케이스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모듈(710)은 센서 유닛(750)이 장착되는 베이스면(721)과 상기 베이스면(721)을 둘러싸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712)을 구비하는 데, 베이스면(721)은 케이스의 측면(712) 하단면 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하부에는 하측 공간부(711)가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 내부에서 베이스면(721)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칸막이(722)가 돌출되어 칸막이 사이의 공간인 중간부(724)를 주변부(726)와 구획시킨다. 중간부(724)에는 센서회로기판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턱(723)이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중간부(724)에는 센서캡(740)이 삽입되는 센서캡 홀(725)이 형성된다. 센서캡(740)은 센서캡 홀(725)에 삽입되어 하측 공간부(711)로 돌출된다. 센서캡(740)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가능한 금속재질을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의 일측 주변부(726)에는 온도감지장치(70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727)이 형성되며, 케이스모듈(710)의 베이스면(721) 하부의 하측 공간부(711)에는 나사홀과 연통된 중공의 나사관(717)이 연장된다.
센서 유닛(750)은 케이스 베이스면(721)의 중간부(724)에 설치되는 데, 센서캡(740)에 삽입되는 센서 단자(752)와, 센서 단자(752)가 고정된 센서회로기판(754) 및 센서회로기판(754)에 적층되는 터미널 블록(756)을 포함한다. 센서회로기판(754)는 고정턱(723)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터미널 블록(756)은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센서회로기판(754)를 통해 센서 단자(7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 블록(756)은 전선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레버식으로 형성되는데, 레버(757)를 누른 상태에서 전선홀(758)에 전선 끝단이 삽입되고 레버(757)를 놓으면 전선 끝단이 고정된다. 전선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757)를 누르면 전선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식 전선 고정 방식은 종래의 볼트를 이용한 고정방식에 비해 전선의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레버식 터미널 블록(756)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750)의 결합을 살펴보면, 센서캡(740)이 베이스면(721)의 센서캡 홀(7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단자(752)가 구비된 센서회로기판(754) 및 터미널 블록(756)이 중간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센서 단자(752)는 센서캡(740)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터미널 블록(756)은 센서회로기판(754)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750)이 중간부(724)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간부(724)에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물질(759)이 충진되어 센서회로기판(754)를 덮는다. 이로 인해 센서 유닛(750)은 케이스모듈의 베이스면(721)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센서 단자(752), 센서회로기판(754)를 외부로부터 밀페하여, 센서 단자(752)에 습기 등이 영향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모듈(710)은 베이스면(721)과 아래에 하측 공간부(711)를 가지며, 센서캡(740)은 하측 공간부(711)로 돌출된다. 케이스모듈(710)의 측면(712) 하부에는 하측 공간부(71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714)가 형성된다. 개구(714)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714) 사이에는 센서캡(740) 만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측 개구(714)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센서캡(740)을 경유하여 반대편 개구(714)로 빠져나가는 외기 흐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센서캡(740) 내부에 설치된 센서(752)는 외기 온도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스의 측면(712) 하단면에는 요철(715)이 형성된다. 케이스 측면(712) 하단면의 요철(715)은 결합모듈(900) 이용하여 케이스 측면(712) 하단면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온도감지장치(700)의 고정시 유동을 방지하면서 온도감지장치(7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장치(700)는 전선을 케이스모듈(710) 내로 인입하기 위한 패킹(760)을 더 포함한다. 케이스모듈(710)의 주변부(726)에 인접한 일 측면에는 관통홀(727)이 형성되고, 패킹(760)은 관통홀(727)에 설치된다. 터미널 블록(756)에 결합되는 전선은 패킹(760)의 관통하여 케이스모듈(710) 내부로 연장된다. 패킹(760)은 케이스모듈(7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전선을 지지한다.
사각 형상의 케이스모듈(710)에는 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개구(714b)가 형성된다. 높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는 나사관(717) 및 센서캡(740)이 위치하며, 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는 센서캡(740) 만이 위치한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개구(714a) 사이에 센서캡(740) 만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 개구(714a)를 가짐으로 센서켑(740)이 개구를 통한 공기 흐름에 직접 노출되므로, 센서캡(740)을 경유하는 공기흐름이 원활하여 센서캡(740) 내에 위치한 센서 단자(752)는 외기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 냉각장치를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열대 냉각장치(800)는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어 팬(810)을 수용하고, 테두리끼움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820) 및 팬(810)이 놓인 하부플레이트(820)에 상측으로부터 결합되며, 테두리끼움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며, 테두리지지홈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830)를 포함한다.
팬(810)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날개인 다수의 블레이드(811)와, 블레이드(811)의 외측 일단에 접하며 다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테두리(812)와, 블레이드(811)의 내측 일단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블레이드로 전달하며 회전시키는 중심축인 보스(813)로 형성된 통상의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820)는 빠른 시간 내에 진열케이스(510) 내부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가 채워지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로 구성되며, 그 케이스 내부에 약 10~18℃ 정도의 냉각수가 일정량 채워진다. 또한, 하부플레이트(820)는 열교환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부플레이트(820)는 상부플레이트(830)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 형상을 따라 아래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테두리끼움홈(82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하부플레이트(820)의 테두리끼움홈(821) 내측에는 다수개의 에어홀(8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홀(822)을 통해 블레이드(811)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여 빠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홀(822)은 하부플레이트(820)를 완전히 관통하여 대기중의 공기에 의해 자연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대기상태보다 냉각된 차가운 공기를 상기 블레이드(811)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850)가 상기 케이스를 통해 에어홀(822)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 콤프레셔(850)가 연결된 경우 공급되는 공기가 블레이드(811)를 통해 진열케이스(510) 내부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부 에어홀(822)은 하부플레이트(820)를 관통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끼움홈(821)의 내측에 팬(8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팬수납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플레이트(830)는 하부플레이트(820)와 마찬가지로 냉각수가 채워지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로 구성되고, 그 케이스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량 채워진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830)의 저면에는 테두리끼움홈(821)과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돌기(831)가 형성되며, 테두리끼움홈(8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81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보스(813)가 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상적인 팬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부플레이트(830)의 중앙부분에는 돌출된 보스(813)가 형태의 변형없이 수납되는 오목한 보스수납홈(8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 공간에 채워진 냉각수는 한번 채워진 상태로 계속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사출성형 팬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쿨링타워(84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케이스로 유입되는 유입공(823,833)과, 진열케이스의 내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더워진 냉각수가 케이스에서 쿨링타워(840)로 배출되는 유츨공(824, 834)이 상기 케이스 일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과 쿨링타워는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또한, 진열대 냉각장치(800)는 상부플레이트(83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861)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동력으로 상부플레이트(830)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이동가이드(86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83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유압지지봉(863)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플레이트(830)를 팬(810)과 더욱 가까이 밀착시킴으로써 팬(810)으로 가는 차가운 공기를 더욱 증가시켜, 냉각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감지모듈을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무게감지모듈(600)은 하우징부재(610), 변형부재(620), 가이드부재(630), 승강부재(640), 연산부재(650) 및 표시부재(6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게감지모듈(600)은 삽입홈(511)의 내측하단에 설치되어 화장품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6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612)이 형성되고, 변형부재(620)는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승강부재(640)는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며, 연산부재(650)는 변형부재(620)의 변형 신호를 송신 받아 지나가는 차량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제어부재(650)에서 연산된 무게는 표시부재(660)에 의해 표시됨에 따라 차량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재(640)는 일 실시 예로, 회전봉(642)과 링크암(644)으로 구성된다. 회전봉(642)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부재(6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링크암(644)은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에 구비되어 회전봉(642)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킨 후 승강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봉(642)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과 변형부재(620) 사이에 가이드부재(630)가 더 구비되어 승강되는 변형부재(620)를 기울어짐 없이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승강부재(640)는 일 실시 예이며, 유압이나 공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기어가 치합되어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화장품용기
110: 상부케이스
120: 덮개부
130: 필터부
150: 하부케이스
200: 함침부재
300: 완충받침장치

Claims (2)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화장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품이 함침되는 복수의 함침부재;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받침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 1 그물망; 상기 제 1 그물망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그물망; 및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은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더 넓어지고,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 1 그물망 및 상기 제 2 그물망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화장품에 접함으로써, 상기 화장품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부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 2 그물망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에 접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화장료를 흡습하고,
    상기 복수의 함침부재 각각은,
    제 1 그물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상부 직물층; 제 2 그물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는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초음파 접합에 의해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초음파 접합은,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 각각에 대해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이 상기 가장자리에서 서로 접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 전체가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그물 구조 및 상기 제 2 그물 구조 각각은 복수의 토출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면적의 합 및 상기 토출공의 둘레의 합에 기초하여 토출 레벨이 결정되며, 상기 토출 레벨에 따라 상기 화장료의 유입 및 유출의 양이 결정되고,
    상기 완충받침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완충부재를 통과하는 핀 부재;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주면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핀 부재가 삽입되는 원형의 수납홈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핀 부재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의 내경은 핀 부재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하면에는 제1슬라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슬라이드판이 고정되어 완충부재와 브라켓 사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는 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핀 부재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핀 부재가 지지판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내덮개 및 상기 내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외덮개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화장품용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수단; 상기 외덮개에 형성되는 투명창; 상기 투명창 아래에 형성되며 빛을 발산하는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점등모듈;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냉매를 배출하는 덮개냉각모듈; 상기 온도센서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덮개냉각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를 냉각시키며, 상기 점등모듈을 점등시키는 덮개제어모듈; 및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제어모듈은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알람이나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덮개냉각모듈은,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저장부; 상기 냉매저장부에 연결되어 냉매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의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는 냉매공급부; 상기 덮개제어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기기케이스; 및 상기 덮개제어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덮개냉각모듈의 제어를 위한 발열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냉매공급부는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발열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액상의 냉매를 상기 덮개제어모듈의 발열부분에 토출시켜 냉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상기 덮개제어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키고,
    상기 냉매공급부와 상기 덮개제어모듈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기화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기케이스에는, 상기 기화영역으로부터 기기케이스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라인을 차폐하여 외부의 미세먼지를 기기케이스 내부와 차단하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매저장부는 상기 기기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교체가능하거나, 내부에 액상의 냉매를 충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열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센서의 입력정보, 상기 덮개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사용량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냉매저장부의 액상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화장품용기.
  2. 삭제
KR1020200009655A 2020-01-28 2020-01-28 화장품용기 KR10210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55A KR102106629B1 (ko) 2020-01-28 2020-01-28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55A KR102106629B1 (ko) 2020-01-28 2020-01-28 화장품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85A Division KR102143647B1 (ko) 2020-01-28 2020-01-28 화장품 판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629B1 true KR102106629B1 (ko) 2020-05-29

Family

ID=7091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55A KR102106629B1 (ko) 2020-01-28 2020-01-28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6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268A (ko) * 2005-12-23 2007-06-28 김덕근 화장품 용기
KR101510130B1 (ko) * 2013-11-13 2015-04-13 이재성 종합 화장품 용기
KR20150059387A (ko) * 2013-11-22 2015-06-01 김자유 기후 조건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을 안내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9363Y1 (ko) 2014-03-12 2016-01-20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70108538A (ko) * 2016-03-18 2017-09-27 이용식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모듈방식으로 냉온(Cold and Warmth)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냉온(Cold and Warmth)마사지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268A (ko) * 2005-12-23 2007-06-28 김덕근 화장품 용기
KR101510130B1 (ko) * 2013-11-13 2015-04-13 이재성 종합 화장품 용기
KR20150059387A (ko) * 2013-11-22 2015-06-01 김자유 기후 조건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을 안내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9363Y1 (ko) 2014-03-12 2016-01-20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70108538A (ko) * 2016-03-18 2017-09-27 이용식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모듈방식으로 냉온(Cold and Warmth)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냉온(Cold and Warmth)마사지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4888B (zh) 具有可调整的扩散装置的挥发性物质分配系统
US7644589B2 (en) Cooling device for a product and a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for a corresponding product
US5837167A (en) Compact portable misting fan
US6676321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EP1882494B1 (en) Skin care appliance
CN107087588A (zh) 可穿戴化学品分配器
KR102046089B1 (ko) 휴대용 미스트 장치
JP2007093198A (ja) 冷却デバイスならびにこの冷却デバイスを備えたアセンブリ
KR102106629B1 (ko) 화장품용기
EP2377421A1 (en) Functional beauty applicator using cold steam
CN108814945A (zh) 一种香氛旋转蒸脸器
BR112019012455A2 (pt) dispositivo para estilizar cabelos
KR102143647B1 (ko) 화장품 판매시스템
CN207342931U (zh) 一种具有旋转喷嘴的蒸脸器
KR200474468Y1 (ko) 피부 맛사지 장치
KR101850543B1 (ko) 토출부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BR112012005094B1 (pt) dispositivo de acondicionamento e de distribuição com bomba elétrica miniatura
KR101994533B1 (ko)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KR101900025B1 (ko) 압축 토출장치
JP5732099B2 (ja) 美顔器
KR101276911B1 (ko) 안면 수분 공급 장치
JP3104574B2 (ja) 加湿器
CN2565447Y (zh) 离子蒸汽美容器
CN220695668U (zh) 护眼仪
CN217599078U (zh) 液体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