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97U - 화장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97U
KR20190002197U KR2020180000818U KR20180000818U KR20190002197U KR 20190002197 U KR20190002197 U KR 20190002197U KR 2020180000818 U KR2020180000818 U KR 2020180000818U KR 20180000818 U KR20180000818 U KR 20180000818U KR 20190002197 U KR20190002197 U KR 20190002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discharge
connecting rod
lead r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964Y1 (ko
Inventor
최용욱
이구용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0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64Y1/ko
Priority to CN201920193693.9U priority patent/CN209769402U/zh
Publication of KR2019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드링을 구비하는 하체부; 방향키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링과 맞물려 상기 하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 내부가 투시되어, 내부의 화장품 또는 상기 피스톤이 투영되는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 도구{Cosmetic Device}
본 고안은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화장품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 화장품의 색상이나 잔량을 보여줄 수 있는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얼굴 전체를 꾸미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선크림 등이 있고, 눈, 입술과 같이 얼굴 중 일부를 꾸미는 립 제품, 아이 제품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화장은 얼굴 전체와 부분으로 구분되어 사용면적에 의한 사용용량의 차이로 인해 화장품 용기의 사이즈가 달라진다.
또한, 얼굴 전체를 화장하는 경우에는 피부 전체를 빠르게 화장하기 위해 적은 횟수로 화장품을 전달하는 화장법을 이루도록 납작한 원형으로 이루어진 퍼프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눈 화장과 같이 표면이 적은 부위를 표현하는 화장의 경우는 크기가 작은 브러시 등을 이용한다. 이처럼 화장 영역 및 표현에 따라 퍼프, 브러시와 같은 어플리케이터의 형태도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와 어플리케이터를 개별로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즉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화장품과 어플리케이터를 동시에 수납하는 화장 도구가 출시되고 있다. 아울러, 화장품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터에 화장품이 직접 토출되어야 화장품을 묻히는 과정이 생략되어 편리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화장 도구는, 화장품 수용과 어플리케이터 수납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편리하다. 그런데 립글로즈는 튜브 형태의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직접 튜브를 짜내는 형태로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구조를 이루어, 튜브 재질의 복원력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고르게 짜내는 것이 어렵다.
또한, 튜브형 용기는, 부드러운 재질의 튜브와 달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출구로 인해 출구 주변을 가압하기 어려워 화장품 잔량이 많이 남는다. 게다가, 튜브용기의 가압력 조절의 잘못으로 필요 이상으로 화장품이 배출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베이스와 같은 제품은, 피스톤 등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용기에 마련되어 화장품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용기가 불투명하게 마련되면 화장품 잔량 확인이 어렵고, 용기가 투명하게 마련되면 펌프 내부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펌프가 마련된 화장 도구는, 배출구가 마련된 펌프가 눌러져야 하므로, 배출부로부터 화장품이 직접 도포되는 구조를 구비한다면 누름 동작시 사용자 손이 어플리케이터(퍼프)에 닿아 손이 더러워지는 불편이 있어, 별도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이 토출되는 영역에 도포부가 마련되어 이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화장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색상 및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한 화장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드링을 구비하는 하체부; 방향키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링과 맞물려 상기 하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 내부가 투시되어, 내부의 화장품 또는 상기 피스톤이 투영되는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키는, 상기 내용기와 상기 리드링 사이에 조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링은, 내주면의 길이 방향 중 일부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는 기둥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방향키는, 상기 리드링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대를 구속하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체는, 상기 내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내용기를 노출시키는 최대 영역이 상기 피스톤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단턱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상기 배출홀보다 직경이 작은 홀이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기에서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홀에 연통하여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다단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의 다단 구조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와 일렬로 마련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화장품이 도포되는 도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배출홀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받침대에 끼움되거나 이격되어,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 도구는, 도포부로 화장품의 토출이 용이하면서도 화장품 소진으로 인한 제품 내부의 배출 구조 노출이 방지되어 미관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장품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액상 화장품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여, 화장 도구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비하여 피스톤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에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내용기와 방향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내용기와 방향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연결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00)는, 하체부(110), 연결대(120), 피스톤(140), 커버체(150), 내용기(160), 뚜껑(180)을 포함하며, 화장품을 후술되는 도포부(170)를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화장품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다.
하체부(110)는, 화장 도구(1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하체부(110)는, 다이얼로서 화장품을 밀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커버체(150)와 내용기(160)에 대하여 상대회전을 이루어 피스톤(14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체부(110)는 내측 둘레면에 나사산(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리드링(111)을 구비한다. 리드링(111)은 하체부(110)와 개별로 제작되어 하체부(110)에 끼움/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리드링(111)이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경우 하체부(110)에는 리드링(111)을 구속하기 위한 돌기(110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101)는, 하체부(110)의 내부 바닥면에서 리드링(111)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되며, 하체부(110)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체부(110)에서의 리드링(111)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하체부(110)와 리드링(111)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둘레면에는 폐곡선(부호 도시하지 않음, 링 형상일 수 있음)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되어, 리드링(111)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하체부(110)가 리드링(111)을 간섭함으로써 리드링(111)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는 리드링(111)과 돌기(1101)가 마주하는 면에 폐곡선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리드링(111)은, 나사산의 맞물림 구조를 통해 연결대(120)의 상승을 가이드/지지하고, 리드링(111)에 의해 상승되는 연결대(120)를 통해 피스톤(140)이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리드링(111)의 나사산은 리드링(111)의 내측 둘레면 전체에 마련될 필요없이 상단부 일부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피스톤(140)이 내용기(160)에서 상단부의 단턱까지 상승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리드링(111)은 하부에서 상부로 다단의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하체부(110) 내부에서 리드링(111)의 외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기(160) 및 방향키(130)가 마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리드링(111)은, 화장 도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이루어 연결대(120)가 상승되는 방향에 대응하되, 내용기(160)와 방향키(130)를 수용하기 위한 다단 구조를 이루면서, 리드링(111)이 하체부(110)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어 하체부(110)의 회전에 따라 리드링(111)이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연결대(120)는 리드링(111)의 회전과 방향키(130)에 연동하여 상승 되는 구조를 이루어, 연결대(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피스톤(14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대(120)는 리드링(111) 내주면의 나사산에 지속적으로 맞물리면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연결대(120)는, 방향키(130) 등과 개별로 제조되는 바와 같이, 단순한 기둥 형태를 이루어, 연결대(120)의 금형 구조를 통한 제작상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어 제품 양산 품질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 조립의 양산성이 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대(120) 등과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는, 나사산이 언더컷을 이루게 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금형을 분리/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물은 회전 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연결대(120)의 나사산은 리드링(111)과의 나사 물림을 위해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루어져야 하므로, 나사산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이와 같이 긴 나사산은 방해가 되어 회전코어를 끝까지 돌려 빼기 어려워, 회전 코어에 구조물이 박히게 되므로 불량륭이 높아진다.
특히 통구조가 아닌 통구조에서 변형된 형태, 일례로 연결대(120)와 방향키(130)가 한 번에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면, 좌우 분리형 금형 구조를 이룰 수 없어, 금형 제조시 회전코어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긴 나사산으로 인해 불량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즉 기둥(연결대에 대응)에서 외측으로 날개(방향키에 대응)가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는, 날개 내부에서 기둥이 금형 내부를 간섭하게 되므로, 상부 금형의 구조가 좌우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나사산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변형된 구조는 회전 코어에 구조물이 박혀 분리가 어렵게 되어, 불량륭이 높아진다.
반면 본 실시예의 연결대(120)는, 날개 등이 부가된 변형 구조가 아닌 단순한 기둥 구조를 이루게 되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형상이 단순하므로 하부 금형(11)을 슬라이딩시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부 금형(21, 22)을 좌우 분리하여 제거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코어로부터 연결대(120)를 돌려 뺄 필요가 없어, 불량률이 낮아질 수 있다.
물론 기둥 형태의 연결대(120)는, 방향키(130)가 맞닿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나사 물림이 이루어지도록 좌우 측면은 평면을 이루고, 앞뒤 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방향키(130)는 내용기(160)와 리드링(111) 사이에 조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방향키(130)가 리드링(111)의 외측 상단에서 연결대(120)와 맞닿게 마련될 수 있어, 연결대(120)는 리드링(111)과 나사 물림되는 것과 함께 방향키(130)에 의해 의해 좌우 방향 회전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방향키(130)는, 연결대(120)의 좌우 방향 회전을 위해 간섭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하는 내측 양단이(좌우 또는 앞뒤) 직선을 이루는 간섭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키(130)는, 내용기(160)와 연동되도록 내용기(160)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기(160)와 방향키(130)에 대하여, 하체부(110)와 리드링(111)이 상대 회전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키(130)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이격리브(132)가 마련되고, 내용기(160)의 내주면에서 방향키(130)가 마주하는 영역에는 이격리브(132)가 삽입되어 끼움되는 고정리브(16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체부(110)의 회전시, 하체부(110)와 함께 연결대(120)가 회전되는데, 커버체(150), 내용기(160), 방향키(130)는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정지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연결대(120)는 방향키(130)에 의해 좌우 어느 일 방향으로 밀리고 나사 물림에 의해 리드링(111)의 나사산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140)은 연결대(120)에 의해 상승되어,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는 내용기(160)의 내부 공간을 축소 시킴으로써, 내용기(160)로부터 화장품을 밀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140)은 내용기(160)의 수평 절단면에 대응하도록 구조가 이루어져, 내용기(160)의 공간에서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피스톤(140)은 연결대(120)의 상승에 연동하기 위해 연결대(120)에 안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연결대(120)의 상부에 끼움되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대(120)의 상단 일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도록 피스톤(140)은 연결대(120)를 향해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이러한 피스톤(14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연결대(120)의 상단이 끼움되어 피스톤(140)이 연결대(120)에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20)는 리드링(111)의 내측에 마련되므로, 내용기(160)의 직경보다 연결대(120)의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연결대(120)의 외측으로 피스톤이 확장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내용기(160)의 내주면에 피스톤(140)이 맞닿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피스톤(140)이 상승시 좌우 수평이 균일하고, 내용기(160)의 내부 공간을 연결대(120)가 마련되는 공간과 분리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피스톤(140)의 외곽 둘레면은 연결대(120)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높이를 가지는 피스톤(140)은,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160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어, 액상 화장품이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피스톤(140)이 디스플레이부(1601)를 가릴 수 있어, 내부의 연결대(120)와 같은 구성의 노출을 방지하므로, 미관이 수려할 수 있다.
다만 피스톤(140)은, 내용기(160)에 대비하여 작은 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체(150)는 하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화장 도구(100)의 외관 중 중심 영역(중심에서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이룰 수 있으며, 하체부(110)와 부드러운 연결면을 이루어 하체부(110)와 커버체(150) 사이에 걸림이 없어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체(150)는, 하체부(110)와 색상, 질감, 재질 등이 서로 달리 이루어져 가시적으로 커버체(150)와 하체부(110)가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체(150)와 하체부(11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어 결합된 부분에 구획선이 마련되기 때문에 구획선을 통해 사용자가 커버체(150)와 하체부(110)를 구분할 수도 있으므로, 커버체(150)와 하체부(110)의 색상, 질감 등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다만 커버체(150)는, 내용기(16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용기(160)의 외측을 커버하되, 내용기(16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1601)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1601)를 통해 내용기(160) 내부의 화장품 색상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601)는, 내용기(160)를 노출시키는 최대 영역이 피스톤(140)의 길이에 대응하여 커버체(15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601)가 내용기(160)에서 상부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화장품이 점진적으로 소진되어 피스톤(140)이 내용기(160)의 상단부까지 상승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140)이, 내용기(160)의 내부 상단까지 상승된 경우, 즉 화장품이 모두 소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601)는 피스톤(140)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화장품의 소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용기(160)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1601)가 피스톤(140)에 가려진 상태가 되어 연결대(120)의 내부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기구적 미관의 노출 방지를 통해 심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내용기(160) 내부의 화장품 또는 피스톤(140)이 투영될 수 있도록, 내용기(160)는 내부가 투시될 수 있고, 내용기(160)에는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홀(160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내용기(160)는 커버체(150)와 더불어 하체부(110)까지 연장되어 하체부(110) 내측에 마련된 연결대(120)가 내용기(160)의 내부에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내용기(160)와 커버체(150), 하체부(110) 및 방향키(130) 간의 결합이, 일례로 하체부(110)와 리드링(111) 간의 결합구조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용기(160)는 투영 가능하기 위한 재질 일례로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재질과 달리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 또는 아크릴 등과 동일/유사한 재질 즉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 배출구조가 내용기(16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내용기(160)는, 상단부에 별도의 배출부(161)가 마련될 수 있고, 배출부(161)는 디스플레이부(1601)와 다른 재질로서 강성이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161)는, 디스플레이부(1601)의 상단에서 내용기(160)의 배출홀(1602) 주변에 하측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배출부(161)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내용기(160)의 상단은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이루어 내용기(160)의 단턱 주변에 배출부(161)가 2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배출부(161)는, 배출홀(1602)이 점차 축소되는 구조 일례로 다단 구조를 이루어 주둥이 형태로 돌출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내용기(160)에 배출부(161)가 마련되는 경우, 배출부(161)의 돌출된 둘레면에 후술되는 받침대(17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160)가 배출부(161)를 별도로 구비하면, 액상 화장품이 최종족으로 토출되는 배출홀(1602)은 배출부(161)를 통해 이루면 되므로, 내용기(160)의 출구 사이즈가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다.
즉 도포부(170)에 적정량이 토출되도록 내용기(160)의 출구가 작게 마련될 필요가 없어, 내용기(160)의 출구 사이즈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용기(160) 내에 액상 화장품을 충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포부(170)는 어플리케이터로서, 배출홀(1602)을 통해 배출된 화장품이 도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품이 머금어질 수 있는 퍼프(스펀지 등), 또는 화장품이 점착될 수 있는 평면, 곡면 등(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화장품의 수용량이 증가될 수도 있음)과 같이 일정한 면을 가지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포부(170)는, 뚜껑(180)의 돌출부(1801)가 관통되어 돌출부(1801)가 배출홀(1602)에 끼움되도록, 배출홀(1602)에 대응하는 관통홀(1701)이 형성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용기(160)에 도포부(170)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도포부(17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1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대(171)는 배출부(161)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
뚜껑(180)은 도포부(170)를 커버하며 내용기(160)의 상단 특히 배출부(161)를 커버하는 구성으로서, 배출홀(1602)을 향해 돌출되어, 배출홀(1602)에 끼움되는 돌출부(180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1801)는, 배출홀(1602)을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배출홀(1602)의 최소 직경에 대응되어 돌출부(1801)의 직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부(161)가 마련되는 경우, 배출부(161)에 형성된 배출홀(1602)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돌출부(1801)의 직경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뚜껑(180)은, 내용기(160)에 결합되어 배출홀(1602)을 커버하여 공기 등으로부터 화장품을 보호하되, 디스플레이부(1601)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60)는 배출부(161)가 장착되기 위한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뚜껑(180)의 외주면 직경이 커버체(150)의 외주면 직경에 동일/유사하게 형성되도록, 즉 내용기(160)의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배출부(161)뿐만 아니라 뚜껑(180)이 안착되도록 단턱의 면적은 배출부(16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180)은 배출부(161)와 함께 받침대(171)에도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때 배출부(161)와 받침대(171)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포부(170)로 화장품의 토출이 용이하면서도 화장품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여 화장 도구(100)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알 수 있어 편리한 것은 물론, 피스톤(140) 상승에 의해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 하부 금형 21, 22: 상부 금형
100 : 화장 도구 110: 하체부
1101: 돌기 111: 리드링
120: 연결대 130: 방향키
131: 간섭홀 132:이격리브
140: 피스톤 150: 커버체
160: 내용기 1601: 디스플레이부
1602: 배출홀 161: 배출부
162: 고정리브 170: 도포부
1701: 관통홀 171: 받침대
180: 뚜껑 1801: 돌출부

Claims (11)

  1.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드링을 구비하는 하체부;
    방향키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링과 맞물려 상기 하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
    내부가 투시되어, 내부의 화장품 또는 상기 피스톤이 투영되는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는,
    상기 내용기와 상기 리드링 사이에 조립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링은, 내주면의 길이 방향 중 일부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는 기둥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방향키는, 상기 리드링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대를 구속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내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내용기를 노출시키는 최대 영역이 상기 피스톤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단턱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상기 배출홀보다 직경이 작은 홀이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기에서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홀에 연통하여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다단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다단 구조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와 일렬로 마련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화장품이 도포되는 도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배출홀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받침대에 끼움되거나 이격되어,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도구.
KR2020180000818U 2018-02-22 2018-02-22 화장 도구 KR200489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8U KR200489964Y1 (ko) 2018-02-22 2018-02-22 화장 도구
CN201920193693.9U CN209769402U (zh) 2018-02-22 2019-02-13 化妆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18U KR200489964Y1 (ko) 2018-02-22 2018-02-22 화장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97U true KR20190002197U (ko) 2019-08-30
KR200489964Y1 KR200489964Y1 (ko) 2019-09-02

Family

ID=6776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18U KR200489964Y1 (ko) 2018-02-22 2018-02-22 화장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964Y1 (ko)
CN (1) CN2097694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61B1 (ko) * 2019-10-08 2021-02-15 (주) 이루팩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518506B1 (ko) * 2021-11-09 2023-04-05 펌텍코리아(주)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456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可動皿を備える液体噴出容器
JP2010235132A (ja) * 2009-03-30 2010-10-21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JP2012111527A (ja) * 2010-11-25 2012-06-14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170065714A (ko) *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2017535489A (ja) * 2014-10-14 2017-11-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しるしを有するピストンを有する分配用物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456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可動皿を備える液体噴出容器
JP2010235132A (ja) * 2009-03-30 2010-10-21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JP2012111527A (ja) * 2010-11-25 2012-06-14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101159307B1 (ko) * 2012-01-27 2012-06-22 신기봉 화장품 용기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JP2017535489A (ja) * 2014-10-14 2017-11-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しるしを有するピストンを有する分配用物品
KR20170065714A (ko) *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61B1 (ko) * 2019-10-08 2021-02-15 (주) 이루팩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518506B1 (ko) * 2021-11-09 2023-04-05 펌텍코리아(주)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WO2023085634A1 (ko) * 2021-11-09 2023-05-19 펌텍코리아(주)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964Y1 (ko) 2019-09-02
CN209769402U (zh)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8843B1 (en) Compact for cosmetics having refill case
KR200489964Y1 (ko) 화장 도구
JP3213878U (ja) チューブ式化粧品容器の構造
KR20170049149A (ko) 나사 회전에 의해 립스틱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립스틱 용기
JPWO2004010820A1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容器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310817B1 (ko) 내용물 용기
KR102281200B1 (ko) 리필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180040182A (ko) 휴대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듀얼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170025697A (ko)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20200144304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ITTO20030049U1 (it) Unita' cosmetica contenente due differenti prodotti o applicatori.
KR101592914B1 (ko) 배출판을 구비한 압출식 립스틱 용기
EP3381318A1 (en) Foundation container capable of firmly fixing rubber pad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2332271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105656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립스틱 용기
KR200270332Y1 (ko) 분리형 립스틱승강유니트를 가지는 립스틱케이스
KR102068147B1 (ko) 스틱형 내용물의 충전 기능이 개선된 멀티충전용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80116515A (ko) 스틱형 내용물의 멀티충전용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JPH0513305Y2 (ko)
CN209846382U (zh) 一种可替换式口红
KR102292441B1 (ko) 내용물접시의 하부 결합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