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04A -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04A
KR20200144304A KR1020190072154A KR20190072154A KR20200144304A KR 20200144304 A KR20200144304 A KR 20200144304A KR 1020190072154 A KR1020190072154 A KR 1020190072154A KR 20190072154 A KR20190072154 A KR 20190072154A KR 20200144304 A KR20200144304 A KR 2020014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pplicator
cosmetic
cosmetic containe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경
Original Assignee
(주) 이니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니스프리 filed Critical (주) 이니스프리
Priority to KR102019007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304A/ko
Publication of KR2020014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묻은 화장료의 적어도 일부를 훑을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제공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기초 제품 사용 후 얼굴이나 손톱 등 신체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기초 제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 결점을 보이지 않게 하는 화장품이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화장품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 피부의 문제점을 커버하여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손질하기 위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품과 입술, 눈, 볼이나 손톱 등에 국부적으로 색채를 강조하거나 음영을 주어 입체감을 연출하는 포인트 메이크업용 화장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품의 예로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글로스, 립틴트,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이 있다. 이 중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인 립글로스, 립틴트,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은 대부분 용기 내부에 화장료가 저장되어 있고, 용기에 결합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화장료를 취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솔대와 솔대의 단부에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 팁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장료가 저장되는 용기 본체의 상단에는 솔대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용도의 패킹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솔대가 패킹을 통과함에 따라 패킹의 상측에 솔대에 묻어 있던 화장료가 쌓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되어 지저분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의 이동이나 온도 변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용기 본체의 내측에 양압이 형성되는 경우, 패킹의 외부로 화장료가 오버플로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67695(2017.06.16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및 제조 방법은 용기의 입구에 화장료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더라도 화장료가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묻은 화장료의 적어도 일부를 훑을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제공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는 솔대와, 상기 솔대의 말단에 구비된 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대는 상기 피스톤의 관통홀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솔대의 이동 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솔대의 일부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대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방 이동은 상기 본체의 수용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제한되고,상기 피스톤의 하방 이동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에 의해 제한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보다 크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화장료 상에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부를 차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목부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바디부의 입구에 결합하고, 피스톤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바디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피스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화장료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부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성형하여 마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입구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의 입구에 화장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화장료가 용기의 입구 측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어플리케이터가 피스톤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로서 립 메이크업 용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스카라, 컨실러, 리무버 등과 같은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본체(110)와, 어플리케이터(120), 및 피스톤(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화장료(10)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화장료(10)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S) 및 화장료(1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E)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에 저장되는 화장료(10)는 립틴트, 아이라이너, 컨실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저장되는 화장료(10)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1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색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바디부(111)와 바닥부(11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부(111)는 수용부(111a)와, 연결부(111b)와, 목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1a)는 후술하는 어플리케이터(120)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11a)는 도면 상에서 상하 방향의 중공이 내부에 형성된 원기둥, 사각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공을 통해 화장료(10)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11b)는 수용부(1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1b)를 통해 본체(110)의 외주면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단턱에 의해 수용부(111a)에 저장되는 화장료(10)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목부(111c)는 화장료(1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E)를 형성하는 것으로, 연결부(111b)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목부(111c)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어플리케이터(12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2)는 바디부(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디부(111)의 하부를 차폐할 수 있다. 바닥부(112)는 바디부(111)와 별도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2)는 바디부(111)와 별도로 제조된 후 바디부(111)의 하측 개구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2)와 바디부(111)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디부(111)와 바닥부(112)를 일체로 성형하여 하나의 성형품으로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플리케이터(120)는 화장료(10)를 취출하여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에 저장된 화장료(10)를 취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터(120)는 개폐 부재(121)와, 솔대(122)와, 팁(123)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121)는 본체(110)의 입구(E)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개폐 부재(12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모양의 홈이 파져 있거나, 고무 등의 그립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 부재(121)의 내주면에는 목부(111c)의 외주면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121)는 목부(111c)와 접촉되는 면, 예를 들어 개폐 부재(121)의 내측 상면에는 패킹(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개폐 부재(121)에 패킹(140)이 구비됨에 따라, 본체(110)와 개폐 부재(121)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화장료(10)가 수용 공간(S)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솔대(122)는 개폐 부재(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S)에 진입할 수 있다. 솔대(122)는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개폐 부재(121)와 일체로 제조되어 하나의 성형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솔대(122)의 제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 부재(121)와 따로 제조된 후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팁(123)은 솔대(12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팁(123)은 화장료(10)를 직접적으로 취출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므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30)은 화장 시 솔대(122)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줄 수 있고, 본체(110)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10)가 입구(E) 측으로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어플리케이터(120)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어플리케이터(120)는 본체(110)의 수용 공간(S)에 진입한 후 피스톤(130)을 통과하여야만 화장료(10)를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20)를 이용한 화장료(10)의 취출시 솔대(122) 주변에 묻은 화장료(10)가 피스톤(130)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화장료(10)가 개폐 부재(121)와, 솔대(122) 및 본체(110)의 입구(E) 등에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스톤(130)은 본체(110)의 내측의 화장료 저장 공간에 형성되는 바, 솔대(122)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기능이 본체(110)의 내측에서 이뤄지므로, 훑어진 일부의 화장료가 피스톤(130)의 상측에 잔존하더라도, 사용자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피스톤(130)과 후술할 가이드 부재(110a)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므로 본체(110)의 입구부가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 부재(110a)에 의해 피스톤(130)의 상측에 묻은 화장료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만족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20) 주변에 묻은 화장료(10)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솔대(122)의 외주면이 피스톤(13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솔대(122) 주변에 묻은 화장료(10)를 훑어주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130)은 화장료(10) 상에 부유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130)의 외주면은 수용 공간(S)의 수평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관통홀(130a)의 내주면은 솔대(122)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피스톤(130)은 수용부(111a)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고, 솔대(122)는 관통홀(130a)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130)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용부(111a)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솔대(122)는 관통홀(130a)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솔대(122)가 피스톤(130)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피스톤(130)의 아래에 위치하는 화장료(10)가 피스톤(130)의 상부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어플리케이터(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피스톤(130)은 어플리케이터(120)의 솔대(122)와의 마찰력 또는 팁(123)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다 본체(110)의 연결부(111b)에 걸리게 되고, 연질의 팁(123)은 압축되며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130)은 수용부(111a)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연결부(111b)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중력에 의해 수용부(111a)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본체(110)에 저장된 화장료(10)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어플리케이터(120)가 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스톤(130)은 어플리케이터(120)의 팁(123) 또는 솔대(122)와의 마찰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다 화장료(10)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화장료(10)의 피스톤(130) 상측 이동이 제한되므로, 피스톤(130)의 하방 이동은 화장료(10)에 의해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피스톤(130)이 화장료(10) 상에 부유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어플리케이터(120)가 본체(110)와 결합됨에 따라, 연질의 팁(123)은 압축되며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을 통과하여 본체(110)의 수용 공간(S)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피스톤(130)은 어플리케이터(1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피스톤(130)의 상방 이동은 본체(110)의 수용부(111a)와 목부(111c)를 연결하는 연결부(111b)에 의해 제한되고, 피스톤(130)의 하방 이동은 본체(110)에 저장된 화장료(1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20)가 본체(110)에 결합되었을 경우, 본체(110)의 수용 공간(S) 상부가 피스톤(130) 및 어플리케이터(120)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화장료(10)가 피스톤(130)의 밖으로(입구 측(E))으로 빠져나가는 것, 즉 오버플로우가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 특히 화장료(10)가 저장되어 있는 피스톤(130)의 아래쪽 공간의 압력이 어플리케이터(120)의 이동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변화되더라도, 피스톤(130)이 본체(11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어 압력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바, 화장료(10)가 본체(110)의 입구측으로 오버플로우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30)에 의해 화장료(10)가 입구(E) 측으로 오버플로우되지 않으므로, 화장료(10)가 본체(110)의 입구(E) 주변에 쌓여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장료(10)가 본체(110)의 입구(E) 주변에 쌓이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화장료(10)를 취출할 때 수용 공간(S)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입구(E) 주변에 쌓여있는 화장료(10)가 입구(E) 밖으로 튀어올라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130)의 내주면은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팁(123)이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을 통과여 본체(110) 내부로 진입할 때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므로, 피스톤(130)에 어플리케이터(120)를 보다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용기(100)는 본체(110) 입구(E)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10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0a)는 어플리케이터(120)의 사용 시 솔대(122) 및 팁(123)을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스톤(130)의 상측에서 피스톤(130)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10a)는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체(110) 입구(E)의 내벽에 솔대(122) 및 팁(123)을 관통홀(130a)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110a)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 후 어플리케이터(120)를 본체(110)와 결합시킬 때 어플리케이터(120)의 솔대(122)를 관통홀(130a)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0a)는 본체(110)의 목부(111c)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솔대(122) 및 팁(123)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G1)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홀(G1)은 솔대(12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피스톤(130)에 형성된 관통홀(130a) 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홀(G1)의 크기는 솔대(122)의 외주면 및 팁(123)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0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 부재(110a)에 형성된 가이드홀(G1)의 가상의 중심점은 피스톤(130)에 형성된 관통홀(130a)의 가상의 중심점과 일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10a)에는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보다 큰 가이드홀(G1)이 제공됨으로써, 가이드 부재(110a)는 피스톤(130)과 같이 어플리케이터(120) 주변에 묻은 화장료(10)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플리케이터(120)의 이동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0a)는 본체(110)의 입구 측 내벽(목부(111C)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됨으로써, 피스톤(130)의 상부에 묻은 화장료는 가이드 부재(110a)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수용 공간(S)에 압이 차서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는 화장료(10)는 가이드 부재(110a)에 의해 막혀 입구(E) 밖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0a)의 상면은 본체(110)의 입구(E)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되므로, 가이드 부재(110a)의 상면에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0a)의 상면에 형성되는 문양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색을 나타내는 코팅물질을 이용하여 상품의 로고나 별, 달, 꽃 모양 등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어플리케이터가 피스톤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220)는 개폐 부재(121)와, 솔대(122)와, 팁(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솔대(122)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122a)는 솔대(122)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일자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로 구비되어 솔대(12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솔대(122)의 둘레에 홈부(122a)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피스톤(130)과 가이드 부재(110a) 사이에 존재하는 화장료(10)를 보다 용이하게 수용 공간(S)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120)를 피스톤(130)의 관통홀(130a)로 진입시킬 때 피스톤(130)의 상부에 묻는 화장료(10)나, 피스톤(130)에 삽입된 어플리케이터(120)를 분리시킬 때 관통홀(130a)로 유출될 수 있는 화장료(10)를 홈부(122a)를 통해 수용 공간(S)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S100)은 수용 공간 및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S110)와, 어플리케이터를 바디부의 입구에 결합하고, 피스톤을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단계(S120)와,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화장료를 충진하는 단계(S130)와, 바디부의 하부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 및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S110)에서는 내부에 화장료(10)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S) 및 화장료(1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E)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111)를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1)는 어플리케이터(120)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수용부(111a)와, 수용부(111a)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11b)와, 연결부(111b)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11a)와, 연결부(111b), 및 목부(111c)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1)는 수용부(111a)와, 연결부(111b), 및 목부(111c)가 일체로 성형된 하나의 성형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S110)에서는 바디부(111)의 입구(E)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110a)를 바디부(111)와 일체로 성형하여 하나의 몸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0a)는 수용부(111a)와, 연결부(111b), 및 목부(111c)와 함께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10a)의 상면에 특정 모양을 갖는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나, 특성 색을 나타내는 코팅물질을 이용하여 상품의 로고나 별, 달, 꽃 모양 등의 문양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를 바디부의 입구에 결합하고, 피스톤을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단계(S120)에서는 화장료(10)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120)를 바디부(111)의 입구(E)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120)의 솔대(122) 및 팁(123)을 수용부(111a) 내로 진입시킨 후 개폐 부재(121)에 형성된 나사산과 목부(111c)에 형성된 나사산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20)를 바디부(111)의 입구(E) 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터(120)를 바디부(111)의 입구(E)에 결합할 때, 어플리케이터(120)는 목부(111c)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10a)를 통해 안내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어플리케이터(120)와 바디부(111)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130)을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에 삽입시킬 때, 피스톤(130)의 직경을 입구(E)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바디부(111)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피스톤(130)이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으로 삽입되되 입구(E)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20)가 바디부(111)에 결합된 이후에는, 바디부(111)를 뒤집어 바디부(111)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피스톤(130)을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에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1)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는 바디부(111)의 입구(E)와 반대측에 위치한 개구 부위를 의미한다.
피스톤(130)을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에 삽입시킬 때, 피스톤(130)의 중앙에는 어플리케이터(120)의 솔대(122) 및 팁(123)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3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130)은 바디부(111)의 입구(E) 측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터(120)를 바디부(111)에 먼저 결합한 후 피스톤(130)을 바디부(111)로 삽입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피스톤(130)을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에 삽입시킨 후 어플리케이터(120)를 바디부(111)의 입구(E) 측에 결합할 수도 있다.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화장료를 충진하는 단계(S130)에서는 바디부(111)에 어플리케이터(120) 및 피스톤(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부(111)의 입구(E)와 반대측에 위치한 개구를 통해 수용 공간(S)에 화장료(10)를 충진할 수 있다. 즉, 바디부(111)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화장료(10)가 충진되는 백충진 방법으로 충진될 수 있는데, 바디부(111)의 중공을 어플리케이터(120) 및 피스톤(130)이 차폐하고 있으므로, 화장료(10)는 바디부(111)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바디부의 하부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단계(S140)에서는 바디부(111)의 하부에 바닥부(112)를 결합하여 수용 공간(S)을 차폐할 수 있다. 바닥부(112)는 사출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억지 끼움, 용접, 본딩 등의 방법을 통해 바디부(111)의 수용 공간(S)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묻은 화장료의 적어도 일부를 훑을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는,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는 솔대와, 상기 솔대의 말단에 구비된 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3은, 상기 피스톤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4는, 상기 솔대는 상기 피스톤의 관통홀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솔대의 이동 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솔대의 일부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5는, 상기 솔대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6은,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7은, 상기 피스톤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방 이동은 상기 본체의 수용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방 이동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에 의해 제한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8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9는,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이 제공되고,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보다 크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0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1은, 상기 피스톤은 상기 화장료 상에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2는, 상기 본체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부를 차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목부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3은, 내부에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바디부의 입구에 결합하고, 피스톤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바디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피스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화장료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항목 14는,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부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성형하여 마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항목 15는,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항목 16은,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입구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0a: 가이드 부재
111: 바디부 111a: 수용부
111b: 연결부 111c: 목부
112: 바닥부 120: 어플리케이터
121: 개폐 부재 122: 솔대
123: 팁 130: 피스톤
140: 패킹

Claims (16)

  1.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묻은 화장료의 적어도 일부를 훑을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제공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는 솔대와,
    상기 솔대의 말단에 구비된 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대는 상기 피스톤의 관통홀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솔대의 이동 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솔대의 일부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대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방 이동은 상기 본체의 수용부와 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방 이동은 상기 본체에 저장된 화장료에 의해 제한되는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보다 크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화장료 상에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부를 차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목부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3. 내부에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 및 상기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의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바디부의 입구에 결합하고, 피스톤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폐쇄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바디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피스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화장료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바닥부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부의 입구 측 내벽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성형하여 마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입구의 내부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90072154A 2019-06-18 2019-06-18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4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54A KR20200144304A (ko) 2019-06-18 2019-06-18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54A KR20200144304A (ko) 2019-06-18 2019-06-18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04A true KR20200144304A (ko) 2020-12-29

Family

ID=7409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54A KR20200144304A (ko) 2019-06-18 2019-06-18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78A1 (ko) 2020-11-02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접성이 우수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9222B1 (ko) * 2021-09-28 2022-06-16 임종수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695A (ko) 2017-05-29 2017-06-16 김덕곤 립글로스,립틴트 및 마스카라용 화장품 용기의 청결하고 편리한 브러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695A (ko) 2017-05-29 2017-06-16 김덕곤 립글로스,립틴트 및 마스카라용 화장품 용기의 청결하고 편리한 브러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78A1 (ko) 2020-11-02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리드와 전극탭의 용접성이 우수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9222B1 (ko) * 2021-09-28 2022-06-16 임종수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811B2 (en) Lip product applicator
KR102313212B1 (ko) 화장품 용기
US20090041528A1 (en) Lip product applicator
JP2007021229A (ja) 製品をパッケージ化及び小出しするための多容器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て化粧を塗布する方法
JP2009022765A (ja) 少なくとも1種類の配合物のブロックを支持する補剛材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付き包装器具
US20180184785A1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comprising wiper having corrugated tube formed thereon
KR101906395B1 (ko) 핑거 마스카라
US10646020B2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having eccentrically formed brush rod
US20080131187A1 (en) Lip product applicator
KR20100004468A (ko) 메이크업용 도포구 및 이를 이용한 도포 화장품
CN111655066A (zh) 尖头涂敷器及包含其的化妆品涂敷装置
KR20200144304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9433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립스틱 용기
KR20210030455A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EP3202278A1 (en) Container for storing heterogeneous contents
CN107411314A (zh) 化妆品瓶子及包含该瓶子和化妆品用涂抹器的涂抹器组件
US7229228B2 (en) Applicator dispenser of a paste cosmetic product, typically a mascara
KR102351643B1 (ko) 마스카라
US20170295909A1 (en) Article or cosmetic comprising a reservoir with a collar
KR200475968Y1 (ko) 액상 화장품 용기의 용기패킹 구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102604248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36490Y1 (ko) 마스카라화장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