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506B1 -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506B1
KR102518506B1 KR1020210153227A KR20210153227A KR102518506B1 KR 102518506 B1 KR102518506 B1 KR 102518506B1 KR 1020210153227 A KR1020210153227 A KR 1020210153227A KR 20210153227 A KR20210153227 A KR 20210153227A KR 102518506 B1 KR102518506 B1 KR 10251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tating
discharge
wall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15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506B1/ko
Priority to PCT/KR2022/015926 priority patent/WO20230856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는 결합연장부가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되며, 제1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작동부재; 상기 회전작동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부재 및 상기 내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승강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토출구 방향으로 밀어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Rotating discharge type 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재의 회전 조작을 회전작동부재를 통해 승강부재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피스톤을 내용기 내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내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누액 없이 원활하게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체를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해 다채로운 양질의 화장용품 및 도구가 하루가 다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들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품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중에서 로션, 크림, 젤, 샴푸, 린스 등과 같이 액상, 겔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화장품을 보관하고 사용하는 데에 종래에는 단순히 개폐 기능을 가지고 있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화장품을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 또는 손가락으로 덜어내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화장품이 공기 중에 완전히 노출되어 산화되고, 사용과정에서 피부에 접촉된 퍼프를 다시 반복적으로 화장품에 접촉시키면서 사용하므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화장품이 오염되며, 이로 인해 피부 트러블을 초래하거나 사용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을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 또는 손가락으로 덜어내 사용하게 되므로, 화장품의 사용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품이 낭비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장품의 사용 과정에서 변질 및 오염을 최소화 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화장품의 사용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8196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의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토출홀을 구비하는 회전베젤과,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베젤과 결합해서 회전베젤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부재와 결합해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서 내용물이 토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편리한 배출 및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피스톤의 중앙으로 회전부재가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테두리가 내부케이스의 내벽에 밀착되는 구조로써, 상기 피스톤이 내부케이스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회전베벨의 회전 조작 시 상기 피스톤이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부재를 축으로 상, 하 이동되지 않아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343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의 스크류 구동방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화장품수납용기; 상기 화장품수납용기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부; 상기 하부케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결속되는 상부케이스부; 상기 화장품수납용기의 상부에 형성되고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화장품배출부 및 상기 화장품배출부를 향해 화장품을 이송시키는 화장품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이송수단은 외력에 의해 회전되고 스크류접속부가 형성된 회전력인가부; 상기 회전력인가부의 스크류접속부에 접속되어 회전되고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스크류 및 상기 화장품수납용기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되면서 화장품을 이동, 토출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품을 밀어올리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스크류가 화장품수납용기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어 서로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화장품수납용기와 승강부재에 각각 승강안내축과 승강안내공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재와 구동스크류 사이 또는 승강안내축과 승강안내공 사이의 틈새로 화장품이 새어나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188196호(2020. 12. 09. 공고) 등록특허 제10-2213437호(2021. 02. 05.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작동부재를 매개로 회전부재와 승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작동부재를 통해 회전부재의 회전 조작을 승강부재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피스톤을 내용기 내에서 일정 구간 이동시킴으로써, 내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누액 없이 원활하게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결합연장부가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되며, 제1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작동부재; 상기 회전작동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부재 및 상기 내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승강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토출구 방향으로 밀어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개방된 일측에는 숄더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연장부는 외용기의 바닥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내주연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연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내용기의 회전을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외주연에는 직선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연에는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중앙에는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과 내용기에는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로부터 노출되고, 내용기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내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회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테두리 부분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토출유도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토출유도돌기는 회전부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부재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1외벽 및 상기 제1외벽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2외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부재의 제1외벽과 제2외벽 사이로 회전부재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제1외벽에는 각각 다수의 제1끼움돌기와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내용기의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분할된 측벽이 관통홀을 관통하여 내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 내에서 승강되는 피스톤 사이의 밀폐가 작동 시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누액 없이 모두 사용되어 자원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회전부재 및 피스톤을 일정 구간 이동시키는 승강부재가 회전작동부재를 통해 긴밀하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작동 불량 없이 내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정량 토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상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하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을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을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상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하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10)와, 내용기(20)와, 회전부재(30)와, 회전작동부재(40)와, 승강부재(50) 및 피스톤(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용기(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써,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나머지 구성 즉, 내용기(20)와 회전부재(30)와 회전작동부재(40)와 승강부재(50) 및 피스톤(60)이 삽입,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용기(10)의 내측 중앙에는 결합연장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연장부(12)는 외용기(10)의 바닥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관(管, 몸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비어 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형상으로, 중앙에 삽입홀(1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14)로 내용기(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부 외측으로 승강부재(50)가 씌워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14)의 측벽에는 내용기(20)와 걸림 결합되는 제1걸림돌기(1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연장부(12)의 내주연에는 내용기(2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돌기(12a)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승강부재(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돌기(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돌기(12a)는 내용기(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직선가이드돌기(12b)는 승강부재(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제한돌기(12a)와 직선가이드돌기(12b)는 각각 연계된 구성들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결합연장부(12)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용기(10)의 개방된 일측에는 숄더(7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숄더(7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용기(1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숄더(70)는 외용기(10)와 회전부재(30) 사이의 틈새를 막아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외용기(10)의 내측으로 결합된 회전작동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외용기(10)의 내주연에 홈이 형성되고, 숄더(70)의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강제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등 상기 숄더(70)가 외용기(1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10)의 일측에는 회전부재(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용기커버(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80)는 회전부재(30)를 덮으면서 숄더(7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사용 시 숄더(70)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부재(30)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 시 숄더(70)와 결합되어 회전부재(30)를 보호하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커버(80)느 숄더(70)가 아닌 외용기(1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기(20)는 내부에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체로써, 외용기(1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에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외용기(10) 내부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기(20)는 저장부(22)와 상기 저장부(22)의 바닥 중앙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결합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22)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기 위한 일정한 저장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에 피스톤(60)이 위치된다. 상기 저장부(22)의 외주연에는 제1체결돌기(22a)가 형성되어 회전부재(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통홀(22b)이 형성되어 승강부재(50)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는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 중앙으로 삽입,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부(24)의 외주연에는 회전제한홈(24a)이 형성되어 결합연장부(12)의 회전제한돌기(12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회전제한홈(24a)과 인접하게 제2걸림돌기(24b)가 형성되어 결합연장부(12)의 제1걸림돌기(14a)와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0)의 회전 시 상기 내용기(20)가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됨은 물론, 상기 내용기(20)가 외용기(1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내용기(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고, 회전 운동을 회전작동부재(40)로 전달하게 된다. 즉, 도 4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작동부재(40)와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용기(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내용기(20)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내용기(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써, 개방된 부분으로 내용기(20)가 삽입되고, 그 단부가 회전작동부재(40)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의 상면 즉, 개방된 부분의 맞은편에는 내용기(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부재(30)의 중심으로부터 테두리 부분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 형상의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토출구(32)는 회전부재(30)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토출구(32)의 개수 및 인접한 토출구(32)와 이격된 각도 등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 영역 또는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32)를 회전부재(30)의 상면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내용물이 회전부재(30) 상면의 일부 영역으로 제한되면서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토출구(32)를 회전부재(30)의 상면 전체에 고르게 배치하여 내용물이 회전부재(30) 상면의 전체 영역으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토출구(32)가 2개로 형성되고, 서로 90도 각도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의 토출 영역 및 토출량 등에 따라 토출구(32)의 개수 및 이격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의 상면에는 토출공간(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토출공간(33)은 내용기(20)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회전부재(30)의 상부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의 단부 내주연에는 다수의 제1끼움돌기(3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끼움돌기(34)는 회전부재(3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고, 회전부재(3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30)의 내주연에는 제2체결돌기(36)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제1체결돌기(22a)와 회전 가능하게 언더컷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체결돌기(36)는 회전부재(3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32)와 인접하게 토출유도사선면(32a) 및 토출유도돌기(3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도사선면(32a)은 토출구(32)의 양 측벽에 일정 각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출유도돌기(32b)는 어느 한 토출유도사선면(32a)으로부터 회전부재(3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직선 형상의 토출구(32)를 중심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30)의 회전 시 피스톤(60)이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동시에, 토출유도돌기(32b)가 회전되면서 내용물의 상면을 쓸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내용물이 토출구(32)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토출됨은 물론, 내용물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토출유도사선면(32a)에 의해 유도되면서 이동되어 토출구(32)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작동부재(40)는 외용기(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3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된다. 상기 회전작동부재(40)는 회전부재(30)와 승강부재(50)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 조작을 승강부재(6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작동부재(40)에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42)과, 상기 내벽(42)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1외벽(44) 및 상기 제1외벽(44)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2외벽(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42)은 회전작동부재(4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형 원통으로써, 중앙으로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 및 승강부재(50)가 삽입되고, 내주연에는 제1나사산(42a)이 형성되어 승강부재(50)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외벽(44)은 내벽(42)의 외측으로 확장된 원통으로써, 외주연에 다수의 제2끼움돌기(44a)가 형성되어 회전부재(30)의 제1끼움돌기(34)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끼움돌기(44a)는 제1외벽(44)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1끼움돌기(34)와 마찬가지로 회전부재(3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외벽(46)은 제1외벽(44)의 외측으로 확장된 원통으로써, 상기 제1외벽(44)과 제2외벽(46) 사이에는 회전부재(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가 회전작동부재(40)의 제1외벽(44)과 제2외벽(46) 사이로 끼워져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작동부재(4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작동부재(40)의 내벽(42)과 제1외벽(46)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48)가 형성되어 내벽(42)과 제1외벽(44)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48)는 내벽(42)의 외주연으로부터 제1외벽(46)의 내주연까지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개수는 회전작동부재(40)의 내구성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0)는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작동부재(40)와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50)는 회전작동부재(40)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며, 스크류 체결에 의한 구동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성으로써,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 외측을 덮으면서 끼워지는 동시에, 회전작동부재(40)의 내벽(42) 중앙으로 삽입된다.
상기 승강부재(50)의 외주연에는 제2나사산(52)이 형성되어 회전작동부재(40)의 제1나사산(42a)과 나사 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승강부재(50)는 회전되는 회전작동부재(40)를 축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50)의 내주연에는 직선가이드홈(54)이 형성되어 외용기(10)의 직선가이드돌기(12b)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50)가 회전작동부재(40)와 함께 회전되지 않으면서 외용기(10)의 결합연장부(12)를 축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가이드홈(54)은 외용기(10)의 직선가이드돌기(12b)과 마찬가지로 승강부재(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50)의 측벽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어 각각 내용기(20)의 관통홀(22b)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재(50)의 측벽에 슬릿(56)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이 분할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측벽이 관통홀(22b)을 관통하여 내용기(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승강부재(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용기(20) 내부로 위치시켜 피스톤(60)과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내용기(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승강부재(50)의 단부 내주연에는 제1결합돌기(58)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6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50)의 분할된 측벽은 그 폭과 개수 및 위치가 내용기(20)의 관통홀(22b)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피스톤(60)은 내용기(20) 내에 형성되고, 승강부재(50)와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60)은 내용기(20)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내용기(20)에 저장된 내용물을 회전부재(30)의 토출구(32) 방향으로 밀어내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60)의 테두리에는 내용기(2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피스톤날개(6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60)의 하부면 즉, 내용물을 밀어내는 면의 반대편에는 제2결합돌기(68)가 형성되어 승강부재(50)의 제1결합돌기(58)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체결에 의한 구동 방식으로 작동하되, 회전작동부재(40)를 매개로 회전부재(30)와 승강부재(50)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작동부재(40)를 통해 회전부재(30)의 회전 조작을 승강부재(5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피스톤(60)을 내용기 내에서 일정 구간 이동시킴으로써, 내용물이 누액 없이 모두 사용되어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 시 작동 불량 없이 내용기(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정량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작동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을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을 토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용기(10)으로부터 용기커버(80)를 분리하여 회전부재(3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30)와 연결된 회전작동부재(40)가 함께 회전되는 반면, 내용기(20)와 승강부재(50)는 사용자가 잡고 있는 외용기(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회전작동부재(40)와 나사 결합된 승강부재(50)가 회전작동부재(40)의 회전 구간과 비례하여 상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50)의 일측에 결합된 피스톤(60)이 내용기(20)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토출구(32)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량의 내용물이 토출구(3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후, 상기 회전부재(30)의 토출공간(34)으로 토출된 내용물을 퍼프(미도시)와 같은 화장도구로 찍어 피부에 골고루 바르면서 화장을 한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 용기커버(80)로 회전부재(30)를 감싸면서 숄더(70)와 결합하여 보관 또는 휴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외용기 12: 결합연장부
20: 내용기 22: 저장부
24: 결합부 30: 회전부재
32: 토출구 40: 회전작동부재
42: 내벽 42a: 제1나사산
44: 제1외벽 46: 제2외벽
50: 승강부재 52: 제2나사산
60: 피스톤 70: 숄더
80: 용기커버

Claims (13)

  1. 결합연장부가 형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되며, 제1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작동부재;
    상기 회전작동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부재 및
    상기 내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승강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토출구 방향으로 밀어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개방된 일측에는 숄더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연장부는 외용기의 바닥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내주연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연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내용기의 회전을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외주연에는 직선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연에는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결합연장부의 중앙에는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과 내용기에는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용기로부터 노출되고, 내용기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내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회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테두리 부분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토출유도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토출유도돌기는 회전부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재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1외벽 및 상기 제1외벽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제2외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재의 제1외벽과 제2외벽 사이로 회전부재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제1외벽에는 각각 다수의 제1끼움돌기와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내용기의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분할된 측벽이 관통홀을 관통하여 내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0210153227A 2021-11-09 2021-11-09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51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27A KR102518506B1 (ko) 2021-11-09 2021-11-09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PCT/KR2022/015926 WO2023085634A1 (ko) 2021-11-09 2022-10-19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27A KR102518506B1 (ko) 2021-11-09 2021-11-09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506B1 true KR102518506B1 (ko) 2023-04-05

Family

ID=8588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227A KR102518506B1 (ko) 2021-11-09 2021-11-09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8506B1 (ko)
WO (1) WO202308563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80U (ko) * 2011-08-17 2013-02-27 펌텍코리아 (주)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76045Y1 (ko) * 2013-09-09 2015-01-28 김영호 화장용액 펌핑장치
KR20190002197U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KR102188196B1 (ko) 2019-04-15 2020-12-09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213437B1 (ko) 2020-10-14 2021-02-05 주식회사 시암 스크류 구동방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16B1 (ko) * 2020-03-24 2021-07-21 주식회사 삼화 분쇄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80U (ko) * 2011-08-17 2013-02-27 펌텍코리아 (주)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76045Y1 (ko) * 2013-09-09 2015-01-28 김영호 화장용액 펌핑장치
KR20190002197U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KR102188196B1 (ko) 2019-04-15 2020-12-09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213437B1 (ko) 2020-10-14 2021-02-05 주식회사 시암 스크류 구동방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634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703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959906B1 (ko)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4323157A (en) Bottom-fillable lipstick or the like container
KR101116842B1 (ko) 화장품 용기
EP3047753B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102518506B1 (ko)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20220000243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having inclined elastically deformable teeth
US20210401148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having an integrated collecting member
KR200284551Y1 (ko) 두발 염색제 혼합용구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73460Y1 (ko)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CN118102944A (zh) 旋转排出型化妆品容器
KR20200101592A (ko)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102120247B1 (ko) 밀폐 및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2499659B1 (ko)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11930909B2 (en) Stick container having sea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residue
US20220000245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having an improved sealing between two containers
KR102604246B1 (ko)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456614B1 (ko) 버튼의 승강 구조를 갖는 이중 화장품용기
KR20130001774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