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46B1 -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46B1
KR102604246B1 KR1020220046966A KR20220046966A KR102604246B1 KR 102604246 B1 KR102604246 B1 KR 102604246B1 KR 1020220046966 A KR1020220046966 A KR 1020220046966A KR 20220046966 A KR20220046966 A KR 20220046966A KR 102604246 B1 KR102604246 B1 KR 10260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outer container
container
push button
lif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7952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2004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4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로 구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결합되고 제1승강나선홈과 제2승강나선홈이 형성된 승강가이드관;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보관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수단;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1승강돌기가 형성된 제1승강부재 및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2승강돌기가 형성된 제2승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multi-elev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부외용기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승강됨에 따라, 용기의 내부를 쉽게 확인 가능하고,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체를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해 다채로운 양질의 화장용품 및 도구가 하루가 다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상기 화장품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화장품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및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원료로 많이 제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장품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방부제 등을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화학원료로 제조된 화장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질의 위험성이 높은 단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품은 사용 시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세균이 침투하거나 공기와의 접촉으로 조성물이 산화됨으로써, 오염 또는 변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중에서 로션, 크림, 젤, 샴푸, 린스 등과 같이 액상 또는 겔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화장료를 보관하고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순 개폐 기능을 갖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화장품을 주걱 또는 손가락으로 덜어내어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토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장품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 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화장품의 토출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펌프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는데, 상기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용기와, 외용기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누름 조작되는 가압식 펌프 및 상기 가압식 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노즐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노즐헤드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가압식 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외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된다.
위와 같은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지 않으며, 내용물이 노즐의 토출구를 통해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아 경제적이고, 외용기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도 누름 작동되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보관 또는 휴대 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가압되면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고, 이로 인해 비교적 고가인 화장품의 낭비를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토출된 내용물에 의해 주위가 오염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67966호로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에어리스 펌프의 작동버튼이 화장품용기의 상부측으로 업, 다운에 의해 출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에 따른 비사용 시에는 작동버튼을 용기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시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용기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즉, 내용물이 저장된 내용기가 외용기의 내측에 보관되어 있고, 회전 작동 시 상기 외용기로부터 작동버튼이 승강되면서 외부로 노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내용기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및 시각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동버튼의 승강 구조를 통한 상기 누름작동의 오작동 방지 구조는 물론, 사용의 편의성과 디자인적 요소 등을 위해 용기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7966호(2013. 05. 2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 조작에 의해 상부외용기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일정 구간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외용기가 하부외용기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용기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누름버튼이 상부외용기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로 구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결합되고 제1승강나선홈과 제2승강나선홈이 형성된 승강가이드관;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보관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수단;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1승강돌기가 형성된 제1승강부재 및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2승강돌기가 형성된 제2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는 승강가이드관을 매개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관에는 제3승강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3승강돌기가 형성된 제3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승강부재는 내용물용기의 바닥 부분을 받친 상태로 외용기 내에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관은 외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비추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수단과 누름버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수단은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는 노즐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결합홈에 토출구가 구비된 노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재는 토출수단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누름버튼을 일정 구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이 외용기의 외부로 인출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재는 상부외용기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외용기를 하부외용기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시킴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가 서로 이격 또는 근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재에는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가이드홈에 제1승강돌기가 삽입되어 제1승강부재가 제2승강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의 서로에 대한 회전 시 상기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상부외용기가 동시에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조작에 의해 상부외용기가 하부외용기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사용자가 용기 내부를 쉽게 확인 가능함은 물론, 시각적으로 외형의 미려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조작에 의해 누름버튼이 상부외용기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이 상부외용기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사용시 외부로 돌출된 누름버튼에 의해 작동이 편리하고, 비사용 시 부주의 등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용기 내부에 결합된 승강가이드관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 누름버튼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상승된 모습을 예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용기 내부에 결합된 승강가이드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10)와, 승강가이드관(20)과 내용물용기(30)와, 토출수단(40)과, 누름버튼(50)과, 제1승강부재(60) 및 제2승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용기(10)는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그 내측 공간에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가 보관되며, 상기 내용물용기(30)를 보호하기 위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10)를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외용기(10)가 위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용기(30)의 개수와 배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용기(10)는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로 분리되어 외용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외용기(12)는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데, 일측 단부는 하부외용기(14)의 개방된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누름버튼(50)이 삽입되거나 노출되는 입구가 된다. 이때, 상기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는 승강가이드관(20)을 매개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외용기(12)의 내주연에는 삽입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a)의 양측에 걸림돌기(1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a)과 걸림돌기(12b)는 상부외용기(12)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번갈아가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외용기(14)의 내측에는 승강가이드관(20)이 끼워지는 끼움돌기(14a)가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돌기(14a)는 하부외용기(14)의 내측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이 외용기(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은 외용기(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은 외용기(10)의 상부외용기(12)로부터 누름버튼(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외용기(10)의 하부외용기(14)로부터 상부외용기(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일부분은 하부외용기(1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부외용기(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에 대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은 외용기(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즉, 관(管, 몸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비어 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은 외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비출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외주연에는 하부외용기(14)와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1)를 중심으로 승강가이드관(20)의 상부와 하부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상부 외벽에는 누름버튼(50)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승강나선홈(22) 및 상부외용기(12)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2승강나선홈(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승강나선홈(22)과 제2승강나선홈(24)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고,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승강나선홈(22, 24)에 의해 누름버튼(50)과 상부외용기(12)가 승강될 때, 상기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승강나선홈(22)은 제2승강나선홈(24)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외용기(12)가 누름버튼(50)의 누름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버튼(50)은 상부외용기(12) 보다 상대적으로 승강 구간의 범위가 길게 즉, 제1승강나선홈(22)이 제2승강나선홈(24) 보다 상대적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하부 외벽에는 내용물용기(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3승강나선홈(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3 승강나선홈(26)은 제1, 2승강나선홈(22, 24)과 같은 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하단에는 끼움홈(28)이 형성되어 하부외용기(14)의 끼움돌기(14a)가 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승강가이드관(20)과 하부외용기(14)가 서로에 대해 헛돌지 않으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4a)와 끼움홈(28)은 승강가이드관(20)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물용기(30)는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체로써, 적어도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외용기(1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보관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내용물용기(30)에는 입구부(32)가 형성되어 내용물이 충전되고 토출수단(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내용물용기(30)에는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색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내용물용기(30)가 3개로 형성되어 외용기(10)의 중심축 둘레에 일정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의 사이즈와 내부 공간의 활용도, 보관의 안정성, 작동의 원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측에는 피스톤(3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4)은 내용물용기(30)에 저장된 내용물이 소진됨에 따라 내용물용기(30) 내에서 토출수단(40)를 향해 밀려 올라가게 되며, 상기 피스톤(34)의 외측은 내용물용기(30)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중앙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피스톤(34)이 내용물용기(30)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었을 때, 토출수단(40)의 하부를 감싸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최소화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용기(30)의 하부에는 제3승강부재(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승강부재(80)는 내용물용기(30)의 바닥 부분을 받치고, 상기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를 외용기(10) 내에서 한꺼번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3승강부재(80)의 외측에는 제3승강돌기(82)가 형성되어 승강가이드관(20)의 제3승강나선홈(26)으로 삽입되고, 내측에는 내용물용기삽입홈(84)이 형성되어 내용물용기(30)의 하부 일부분이 삽입된다. 즉, 상기 상부외용기(12) 또는 하부외용기(14)의 서로에 대한 회전 조작 시 누름버튼(50)과 함께 토출수단(40) 및 내용물용기(30)가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3승강부재(80)의 제3승강돌기(82)가 승강가이드관(20)의 제3승강나선홈(26)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3승강부재(80)가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를 동시에 승강시켜 상기 내용물용기(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토출수단(40)은 각각의 내용물용기(30) 입구부(32) 또는 입구부(3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내용물용기(30)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토출수단(40)은 각각 내용물용기(30)에 설치되어 별도로 작동되는데, 일측은 내용물용기(30)의 입구부(32)를 통해 삽입되고, 타측은 누름버튼(5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수단(4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수단(40)은 내용물용기(30)의 입구부(32)로 삽입되며 하부에 내용물 흡입구(41a)가 형성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용물 흡입구(41a)를 개폐하는 흡입밸브판(42)과, 상기 하우징(41)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밀폐캡(43)과, 상기 밀폐캡(43)을 관통한 상태에서 펌핑 작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스템(44)과, 상기 스템(44)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5)과, 상기 스템(44)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 이동되는 작동토출관(46) 및 상기 작동토출관(46)의 외측에 끼워져 하우징(41)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작동토출링(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50)은 토출수단(40)과 연결되고, 상부외용기(12) 또는 하부외용기(14)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외용기(12)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면서 그 힘(가압력)을 토출수단(4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일측에 노즐결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결합홈(52)에 토출구(54a)가 구비된 노즐(54)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50)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이동되는 토출유로(56)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유로(56)의 일측 단부는 토출수단(40)의 내측 통로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토출구(54a)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내측에는 버튼가이드돌기(58)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가이드돌기(58)는 제1승강부재(60)에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누름버튼(5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가이드돌기(58)는 누름버튼(5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됨이 적절할 것이다.
한편, 상기 토출수단(40)과 누름버튼(50) 사이에는 연결부재(9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0)는 일측이 토출수단(40)과 결합되고, 타측이 누름버튼(50)과 결합되며,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 조작에 의해 일정 구간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다수의 토출수단(40)을 동시에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9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수단(40)과 결합되는 다수의 토출수단결합관(92)과,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버튼(50)과 결합되는 다수의 누름버튼결합관(94) 및 상기 각각의 토출수단결합관(92)과 누름버튼결합관(94)을 연결하는 연결판(9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수단결합관(92)은 토출수단(40)의 스템(44) 내측에 끼워지면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누름버튼결합관(94)은 누름버튼(50)의 토출유로(56)를 감싸면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수단결합관(92) 및 누름버튼결합관(94)은 그 내측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중공을 갖는 원통형 관 형상이며, 상기 연결판(96)은 토출수단결합관(92)과 누름버튼결합관(94)을 연결하는 얇은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승강부재(60)는 외용기(1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부외용기(12) 또는 하부외용기(14)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일정 구간 상, 하 이동되면서 누름버튼(50)을 상부외용기(12)의 외측으로 인출 또는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외측에는 제1승강돌기(62)가 돌출 형성되어 승강가이드관(20)의 제1승강나선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돌기(62)는 제1승강나선홈(22)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승강부재(60)는 물론, 상기 제1승강부재(60)과 연결된 토출수단(40)과 연결부재(90) 및 누름버튼(50)을 일정 구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상부외용기(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보관 또는 휴대 시 부주의 등에 의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내측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링(64)이 형성되어 각각의 토출수단(40)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64)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승강부재(6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상승 이동 시 상기 결합링(64)의 상단이 제2승강부재(70)의 링 부분 하단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결합링(64)과 누름버튼(50)의 내측에 형성된 토출유로(56)와 연결부재(90)의 토출수단결합관(92) 및 누름버튼결합관(94)은 토출수단(40)과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서는 제1승강부재(60)의 결합링(64)과 토출수단(40)이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와 홈에 의한 끼움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외주연에는 버튼가이드홈(68)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가이드홈(68)에 누름버튼(50)의 버튼가이드돌기(5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버튼가이드홈(68)은 누름버튼(5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제1승강부재(60)에 대한 누름버튼(5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 버튼가이드홈(68)은 누름버튼(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측 단부는 폐쇄되어 누름버튼(50)의 버튼가이드돌기(58)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부재(70)는 외용기(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외용기(12)를 하부외용기(14)로부터 상, 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부외용기(12)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상부외용기(1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2승강부재(70)에는 제2승강돌기(72)가 형성되어 승강가이드관(20)의 제2승강나선홈(2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돌기(72)는 제2승강나선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외용기(14)로부터 상부외용기(12)를 일정 구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이를 통해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돌기(72)와 인접한 위치에는 직선가이드홈(74)이 형성되어 제1승강부재(60)의 제1승강돌기(62)가 삽입되는데, 상기 직선가이드홈(74)은 상부외용기(12)의 회전 시 제1승강돌기(62)를 함께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승강돌기(62)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재(70)에는 걸림돌출턱(76)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출턱(76)에 삽입돌기(78)가 형성되어 상부외용기(12)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승강부재(70)를 상부외용기(12)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삽입돌기(78)가 상부외용기(12)의 삽입홈(12a)으로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외용기(12)에 대한 제2승강부재(70)의 회전이 제한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걸림돌출턱(76)이 상부외용기(12)의 걸림돌기(12b)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상부외용기(12)에 대한 제2승강부재(7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출턱(76)은 제2승강부재(70)의 외주연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78)는 걸림돌출턱(76)의 표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의 서로에 대한 회전 조작 시,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제1승강나선홈(22)과 제1승강부재(60)에 의해 누름버튼(50)이 외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 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제2승강나선홈(24)과 제2승강부재(70)에 의해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거나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3승강나선홈(26)과 제3승강부재(80)에 의해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가 안정적으로 외용기(10) 내에서 일정 구간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상부 외벽에 제1승강나선홈(22)과 제2승강나선홈(24)을 각각 형성하여 누름버튼(50)과 상부외용기(12)를 함께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누름버튼(50)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멀어지면서 그 내측에 결합된 승강가이드관(2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투명한 재질의 승강가이드관(20)을 통해 외용기(1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비춰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용기(1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용기(30)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도 있고, 상기 내용물용기(30) 역시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내용물용기(3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하부 외벽에 제3승강나선홈(26)을 형성하여 누름버튼(50)과 상부외용기(12)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누름버튼(50)과 연결된 토출수단(40) 및 내용물용기(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승강가이드관(20)의 외벽에 각각 승강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승강나선홈(22, 24, 26)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승강나선홈(22, 24, 26)에 제1 내지 제3승강부재(60, 70, 80)를 결합하며, 이와 연결된 각 구성들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1승강나선홈(22)과 제1승강부재(60)를 통해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사용 시 외부로 돌출된 누름버튼(50)에 의해 작동이 편리하고, 비사용 시 부주의 등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승강나선홈(24)과 제2승강부재(70)를 통해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사용자가 용기 내부를 쉽게 확인 가능하고, 시각적으로 외형의 미려함을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 누름버튼을 상승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누름버튼이 동시에 상승된 모습을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용기(10)의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1승강부재(60)에 의해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의 개방된 부분으로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제2승강부재(70)에 의해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상기 하부외용기(14) 내에서 제3승강부재(80)가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를 밀어 올리게 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상부외용기(12)의 내측에 결합된 제2승강부재(70)와 상기 제2승강부재(70)의 내측에 결합된 제1승강부재(60) 및 내용물용기(30)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제3승강부재(80)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제1승강돌기(62)는 제2승강부재(70)의 직선가이드홈(74)에 삽입되고, 상기 제3승강부재(80)는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의 바닥 부분을 받친 상태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승강부재(60)의 제1승강돌기(62)가 승강가이드관(20)의 제1승강나선홈(22)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승강부재(60)와 연결된 토출수단(40)과 연결부재(90) 및 누름버튼(5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50)이 상부외용기(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승강부재(70)의 제2승강돌기(72)가 승강가이드관(20)의 제2승강나선홈(24)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외용기(12)가 하부외용기(1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투명한 재질의 승강가이드관(20) 및 그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용기(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기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제3승강부재(80)의 제3승강돌기(82)가 승강가이드관(20)의 제3승강나선홈(26)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3승강부재(80)가 둘 이상의 내용물용기(30)를 함께 안정적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외용기(12)와 하부외용기(14)가 벌어져 그 내측에 결합된 승강가이드관(20)이 외부로 노출되고, 투명한 재질의 승강가이드관(20)을 통해 외용기(1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비춰지게 된다.
이후,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50)을 가압하여 토출수단(40)을 작동시킨다. 상기 누름버튼(50)이 가압되면 연결부재(90)에 의해 토출수단(40)의 스템(44) 및 상기 스템(44)의 하부에 결합된 작동토출관(46)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토출링(47)은 하우징(41) 내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토출관(46)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토출관(46)과 작동토출링(47)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내용물의 이동통로가 생긴다. 이후, 계속 누름버튼(50)를 누르면 연결부재(9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던 스템(44)의 하단이 작동토출링(47)을 눌러 상기 작동토출링(47)이 작동토출관(46)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4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4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흡입밸브판(42)이 내용물흡입구(4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하우징(41) 내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작동토출관(46)과 작동토출링(47) 사이로 나와 작동토출관(46)의 중앙에 형성된 통로를 통과한다. 연속적으로, 상기 토출수단(40)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은 연결부재(90)의 내측 통로와 누름버튼(50)의 토출유로(56)를 거져 토출구(54a)로 토출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을 해제하면 토출수단(40)의 스템(44)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5)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스템(44)과 상기 스템(44)에 연결된 연결부재(90) 및 누름버튼(50)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템(44)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토출관(46) 역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토출관(46)의 하부가 작동토출링(47)을 위로 끌어올려 작동토출관(46)과 작동토출링(47) 사이의 틈새가 막히면서 상기 작동토출관(46)과 작동토출링(47)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4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4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판(42)이 들리면서 하우징(41)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흡입구(41a)가 개방되어 내용물용기(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흡입튜브(42)를 통해 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내용물용기(30) 내에 구비된 피스톤(34)이 토출된 내용물의 양만큼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외용기 12: 상부외용기
14: 하부외용기 20: 승강가이드관
22: 제1승강나선홈 24: 제2승강나선홈
26: 제3승강나선홈 30: 내용물용기
32: 입구부 40: 토출수단
50: 누름버튼 54: 노즐
54a: 토출구 56: 토출유로
60: 제1승강부재 62: 제1승강돌기
70: 제2승강부재 72: 제2승강돌기
80: 제3승강부재 82: 제3승강돌기
90: 연결부재

Claims (12)

  1.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로 구성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결합되고 제1승강나선홈과 제2승강나선홈이 형성된 승강가이드관;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보관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수단;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1승강돌기가 형성된 제1승강부재 및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2승강돌기가 형성된 제2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는 승강가이드관을 매개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관에는 제3승강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승강나선홈에 삽입되는 제3승강돌기가 형성된 제3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승강부재는 내용물용기의 바닥 부분을 받친 상태로 외용기 내에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관은 외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비추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과 누름버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는 노즐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결합홈에 토출구가 구비된 노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재는 토출수단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누름버튼을 일정 구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이 외용기의 외부로 인출 또는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재는 상부외용기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외용기를 하부외용기로부터 일정 구간 승강시킴에 따라,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가 서로 이격 또는 근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재에는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가이드홈에 제1승강돌기가 삽입되어 제1승강부재가 제2승강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용기와 하부외용기의 서로에 대한 회전 시 상기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상부외용기가 동시에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220046966A 2022-04-15 2022-04-15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60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66A KR102604246B1 (ko) 2022-04-15 2022-04-15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66A KR102604246B1 (ko) 2022-04-15 2022-04-15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952A KR20230147952A (ko) 2023-10-24
KR102604246B1 true KR102604246B1 (ko) 2023-11-21

Family

ID=8851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66A KR102604246B1 (ko) 2022-04-15 2022-04-15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2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11Y1 (ko)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267966B1 (ko) 2011-05-24 2013-05-27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KR102308121B1 (ko)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액상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971A (ja) * 1997-01-28 1998-08-11 Toyo Seikan Kaisha Ltd 多液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11Y1 (ko) 2003-12-05 2004-04-17 주식회사 태평양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267966B1 (ko) 2011-05-24 2013-05-27 (주)톨리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KR102308121B1 (ko)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액상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952A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717972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101959906B1 (ko)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20120130884A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49070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0459352Y1 (ko) 승강출몰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20067924A1 (en) Airless pump dispensing system with multi-lobe ring seal
KR102487773B1 (ko)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KR102604246B1 (ko) 다중 승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10934077B2 (en) Powder dispensing container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US7878374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KR100814317B1 (ko)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KR102117804B1 (ko)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KR102456614B1 (ko) 버튼의 승강 구조를 갖는 이중 화장품용기
KR102499659B1 (ko)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636711B1 (ko) 가압 토출 용기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KR20160135480A (ko) 파우더 토출 용기
JP3229741U (ja) プッシュ式定量ディスペンサー
KR102636712B1 (ko)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N212165191U (zh) 化妆品包装
KR102607739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