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773B1 -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773B1
KR102487773B1 KR1020197029263A KR20197029263A KR102487773B1 KR 102487773 B1 KR102487773 B1 KR 102487773B1 KR 1020197029263 A KR1020197029263 A KR 1020197029263A KR 20197029263 A KR20197029263 A KR 20197029263A KR 102487773 B1 KR102487773 B1 KR 10248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ston
dosing
cylinder body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419A (ko
Inventor
파스칼 헨네만
그웨나엘 둘린
죠이 쿠르츠
Original Assignee
프로멍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멍스 에스아 filed Critical 프로멍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9012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05B11/0067Lift valves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the valve element (take preced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4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opened by pressure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1Pump pri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4Pump inlet and outlet valve elements integrally formed of a defor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분배 장치로서, 제품을 함유하는 용기(R)에 연결되는 부재, 연결 부재에 대해 고정 배치되는 피스톤(3), 피스톤 주위에서 가동되며 투여 챔버(100)를 형성하는 실린더 몸체부 및 투여 입구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막이 형성된 유입 역류 방지 밸브(5)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투여 챔버의 입구(35)와 투여 챔버의 출구를 포함하는 투여 챔버의 정점(64)을 포함하며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중 하나는 실린더 몸체부와 밀봉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어 막이 피스톤 상부에 기밀하게 클램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본 발명은 분배될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특히, 미용 용도에 사용되는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이 분배될 제품을 포함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분배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통해, 제품은 용기의 개구부와 분배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분배용 장치의 분배 오리피스를 통해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배용 장치는 투여 챔버의 부피에 대응하여 주어진 양의 분배를 허용하는 투여 챔버를 갖는 펌프를 형성한다.
액체 또는 크림을 함유하는 용기의 목에 장착되는 종래의 분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장치는 펌프를 형성하는 부분, 특히, 용기에 대해 고정된 실린더 몸체부 및 이러한 실린더 몸체부에서 하강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중심 덕트는 변위를 구동하는 피스톤 및 로드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덕트의 단부는 피스톤의 투여 챔버에 연결되며, 다른쪽 단부는 로드 상단부에서 추가 덕트에 연결되어 제품의 분배 오리피스로 연결된다.
펌프가 이미 작동된 경우, 즉, 투여 챔버와 이러한 챔버와 분배 오리피스 사이의 모든 연통 공간이 분배될 제품으로 채워지면, 가압 버튼으로 피스톤을 작동 시켜 실린더 몸체부의 바닥과 피스톤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투여 챔버에 존재하는 제품을 중앙 덕트를 통해 분배 오리피스로 전달한다. 피스톤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음압이 생성되어, 투여 챔버에서 제품의 흡입을 구동한다. 투여 챔버의 입구 및 출구에 역류 방지 밸브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스톤이 하강할 때 제품이 분배 오리피스의 방향으로 정확하게 전달되고, 피스톤이 상승할 때 흡입된다.
이들 장치들 중에서, 분배 장치는 3개의 역류 방지 밸브, 즉, 투여 챔버의 입구에 있는 제1 밸브, 투여 챔버의 출구에 있는 제2 밸브 및 분배 오리피스에 있는 분배 밸브로 지칭되는 제3 번째 밸브로 알려져 있다. 전달하는 동안, 제품에 의해 가해진 힘은 분배 밸브의 개구부를 구동시키고 제품이 분배되도록 한다. 이러한 분배 밸브는 분배 오리피스를 닫고, 제품, 특히, 크림이 박테리아 오염으로부터 또는 두 가지 용도들 사이에서 후자의 건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배 밸브는 약한 압력이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대한 특정한 저항부를 갖는다.
국제공개공보 W02013001193 A1와 같이, 2개의 밸브, 즉, 투여 챔버의 입구에 있는 로우(low) 밸브 및 분배 오리피스에 있는 분배 밸브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가 있다. 따라서, 이들은 투여 배출구에 중간 밸브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 시작시에 연통 공간은 공기로 채워진다. 액체로 채우기 위해서는 공기를 제거해야 한다. 그 후에 피스톤으로 한번 또는 여러 번 앞뒤로 움직여야 한다. 피스톤은 투여 챔버를 개방하기에 압력이 충분할 때까지 이러한 연통 공간을 향하여 투여 챔버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고, 그 내부에서 공기가 압축된다. 그 후에 공기가 분배를 위해 장치에서 배출되며, 공기가 제거되고 분배 밸브가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에 압력이 불충분하면 닫힌다. 그 후, 피스톤은 로우 밸브에 의해 용기 내부에서 특정량의 제품을 흡입하여 상승한다. 필요한 경우, 공기가 완전하게 제거될 때까지 작업이 반복된다. 이러한 제거 작업은 작동에 대응된다.
이러한 장치는 분배량이 비교적 많을 때 잘 작동된다. 실제로 그러한 경우에, 투여 챔버의 부피는 분배 밸브의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연통 공간에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특정 투여량 미만에서는 작동이 지체될 수 있으며, 심지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밸브만을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분배 밸브를 개방하기에는 압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압력이 작동을 수행하기에 투여량이 불충분한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에 근접하는 경우, 밸브를 개방하고 작동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경우, 액체에 다소 큰 크기의 기포가 존재하고 이러한 연통 공간에서 올라온다면 언프라이밍(unprim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3개의 밸브를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언프라이밍은 발생하지 않지만, 투여 챔버의 볼륨이 낮기 때문에, 상부 밸브와 분배 밸브 사이의 압력이 분배 밸브가 열리기에 충분하기 전에 여러 번 펌핑이 이루어져야 한다. 작동이 지체될 것이다. 최악의 경우, 사용자는 분배 장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 장치를 폐기할 수도 있다.
해결책은 분배 밸브의 저항을 낮추는 것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순간적인 분배 및/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연통 공간에 포함된 액체와 접촉할 위험을 증가시키며, 예를 들어, 액체가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는 특정 제품에는 불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특정한 작동 문제가 역류 방지 밸브의 기밀성(tightness) 문제로부터 직접 발생한다는 것을 인식하였고, 특히,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특정 장치에서는 볼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볼 형태의 역류 방지 밸브는 중력과 분배 시스템의 위치에 따라 변위되어 기밀성이 상실될 수 있다.
또한, 프랑스특허공보 FR2848618은 2개의 밸브를 갖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수동 펌프가 반전되는, 즉, 피스톤이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역류 방지 밸브는 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는 실제로 피스톤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부분은 캡을 형성하며, 환형 스커트가 피스톤의 측면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캡의 바닥은 투여 챔버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방식으로 피스톤의 단단한 베이스의 정점에 형성된 니플과 협력하는 중앙 개구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역류 방지 밸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W02013001193 프랑스특허공보 FR284861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특히, 투여 챔버가 적은 부피, 예를 들어, 0.15 내지 0.4ml를 갖는 경우, 분배 장치의 작동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효과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분배될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 분배될 제품을 둘러싸는 용기의 개방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
-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해 고정 배치되는 피스톤,
-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서 투여 챔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실린더 몸체부; 및
- 상기 피스톤 상에 장착되고 오목한 형상을 갖는 유입막을 포함하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
상기 피스톤은 상기 투여 챔버의 입구인 투여 입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상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챔버는 출구인 투여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몸체부는 상기 피스톤을 따라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끼워 맞춤되거나 이중 성형된 밀봉 부재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또는 또는 벽 사이의 밀봉을 강화한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거나 후퇴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유입막이 결합부의 상단에 기밀하게 클램핑되어 상기 투여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부가 전개 위치를 향해 변위하는 동안, 상기 투여 챔버에서 생성된 음압이 가해질 때 상기 유입막의 오목한 형상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투여 입구가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된 피스톤과 이동하는 실린더 몸체부를 채용하여, 실린더 몸체부는 피스톤 상에서 내려가고, 투여 챔버의 상부로부터 바로 투여 챔버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며, 이를 통해, 투여 챔버와 분배 밸브 사이의 연통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역펌프의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에 따른 피스톤 및 밸브의 특정 관계에 의해 향상된다. 피스톤 및 밸브의 이러한 특정 관계에서, 유체가 투여 챔버의 입구를 통해 투여 챔버의 내부를 향하여만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막이 배치되며, 이를 통해, 특히 피스톤에 대해 실린더 몸체부가 후퇴시에, 투여 챔버의 입구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밀성과 압력의 증가는 아래의 구성들 간의 연계 효과로 강화될 수 있다.
- 기밀한 클램핑.
-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된 피스톤을 구현하여, 그 중 하나는 측면 기밀 기능을 가지고 있어, 기밀한 클램핑이 수행됨.
- 피스톤, 특히,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밸브.
기밀한 클램핑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를 사용하여,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피스톤과 유입 역류 방지 밸브 사이에 미리 스트레스가 가해진 밀봉으로 피스톤 상에 고정되어,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을 때, 또는 실린더 몸체부가 후퇴 위치 또는 이동 종료 위치를 향한 변위 동안, 후퇴 위치를 향하는 변위 동안 분배 장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지 상태에서 일정한 기밀한 클램핑을 유지할 수 있다.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피스톤과 관련하여, 역류 방지 밸브와 피스톤의 제2 부분은 기밀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밀봉 부재와 밸브 사이의 기밀한 클램핑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프리스트레스에 비해 더욱 효과적이다.
특히, 밸브 및 밀봉 부재는 강성 재료로 제조된 피스톤의 제1 부분과 비교하여 가요성 재료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밸브의 재료와 밀봉 부재의 재료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연계 효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동안 시스템의 압력 증가가 개선되어, 무용 부피(dead volume)의 존재를 보상할 수 있고, 따라서, 더욱 적은 부피로 투여 챔버를 사용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수동 펌프를 형성할 수 있다.
분배 장치에서, 투여 챔버는 피스톤의 상부와 투여 챔버의 정점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투여 챔버의 정점을 향하는 피스톤에 장착된다.
전개 위치는 투여 챔버의 정점이 유입 역류 방지 밸브와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후퇴 위치 또는 이동 종료 위치는, 특히, 유입 역류 방지 밸브에 대하여 투여 챔버의 정점이 전개 위치보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에 더욱 가까운 위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택적으로 다음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막의 오목한 형상은 기밀하게 클램핑된 스트레스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피스톤의 상부에 대하여 막의 복귀력을 생성하도록 변형된다.
투여 입구는 용기로부터 나오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연결 부재의 통로 오리피스와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분배 장치는 투여 출구와 특히, 연통 공간을 통해 연통하는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피스톤의 제1 부분은 일측에서 액체와 연통하고, 타측에서 투여 입구와 연통하는 중앙 덕트를 포함한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공기 및 액체에 의한 유체 밀봉을 위해, 유입막의 오목한 형상을 통해 주어진 치수 기밀 프리스트레스를 갖는 피스톤 상에 밀봉 방식으로 조립되며, 치수 기밀 프리스트레스라는 용어는 기밀이 수행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피스톤에 밸브가 설치되면,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을 때, 오목한 형상에 대하여 오목한 형상의 레벨에서 변형을 겪고, 오목한 형상은 프리스트레스가 된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피스톤과의 기밀성을 상실하고, 분배 장치의 외부와 투여 챔버의 내부 사이에 -20mbar 미만의 음압차로 막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따라서, 기밀성이 막의 탄성 변형에 의해 매우 낮은 압력 차이로 인해 깨지고, 이를 통해, 유체가 투여 챔버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막은 에지, 이하, 유입 컵 에지가 오목한 형상의 주변을 한정하는 컵의 형상을 가지며, 오목한 형상은 투여 입구를 향하며, 유입 컵 에지는 투여 입구 주위에 배치되어, 기밀한 클램핑 동안, 즉,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거나 이동 종료 위치로 변위될 때 유입 컵 에지는 탄성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밀봉 부재의 상부에 대해 지지되고, 투여 챔버 내부에 음압이 가해지는 동안, 유입 컵 에지가 피스톤의 상부로부터 멀어 지도록 이동되며, 이러한 형태로 인해, 투여 챔버 내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포함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양호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밀봉 부재는 펼쳐진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그 내부에 투여 입구가 배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확대되는 중앙 개구부를 포함하고,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기밀하게 클램핑되는 동안 유입 컵 에지가 펼쳐진 표면 위에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된 중앙부를 포함하고, 유입막은 중앙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상부는, 그 사이에서 중앙부가 클립핑되는 클립핑 러그를 포함하고, 투여 입구들 중 하나 이상은 클립핑 러그와 중앙부의 클립핑된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핑 러그는 볼록한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볼록한 부분의 볼록부가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은 연결 부재의 관형부에 장착될 수 있다.
피스톤의 스트로크는 밀봉 부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투여 챔버의 정점은 그 내부에 투여 출구가 형성되는 상부벽을 형성하고, 후퇴 위치에서, 투여 출구를 포함하는 상부벽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전체적으로 덮이면서, 이러한 덮음은,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표면 하류, 또는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표면 하류 및 피스톤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및 피스톤은, 투여 출구를 포함하는 상부벽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벽을 향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투여 출구와 연통하는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투여 출구와 분배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된 유출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출 역류 방지 밸브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출구와 분배 오리피스 사이의 통로가 세척될 수 있다.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실린더 몸체부의 외부에서 투여 출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유출막을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 몸체부가 전개 위치로 변위되는 동안, 유출막에 투여 챔버에서 발생된 음압이 가해질 때, 유출막이 실린더 몸체부의 상단에 기밀하게 클램핑되어 투여 배출을 폐쇄하고, 유출막의 오목한 형상이 기밀하게 클램핑된 스트레스를 유지하기 위해 실린더 몸체부의 상부에 대하여 복귀력을 발생시키도록 변형되며,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거나 이동 종료 위치로 변위될 때, 유출막의 오목한 형상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및/또는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30 내지 90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가요성 재료,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또한 TPE라고도 함)로 성형된다. 이를 통해, 제품을 작동시키거나 분배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큰 노력 없이도 실린더 몸체부에 대한 자발적인 행동이 없을 때 양호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복귀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전술한 사항과 조합하여,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및/또는 유출 역류 방지 밸브의 막의 두께는 0.15 내지 0.3mm이고, 이러한 조합은 유체가 통과하기 위해 양호한 폐쇄 기밀성이 가능한 탄성막의 가요성과 압력차가 작은 변형성을 최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는 박막의 두께가 매우 얇고 매우 유연한 재료,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연관성 때문이다.
중앙부를 포함하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및/또는 유출 역류 방지 밸브, 대응하는 역류 방지 밸브의 막 또는 이들 역류 방지 밸브의 막은 이러한 중앙부 주위에 배치되며, 막은 피스톤을 따라 실린더 몸체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입막 및/또는 경우에 따라, 유출막은 횡 방향 원으로 둘러싸여, 각각 투여 입구 및/또는 투여 출구를 우선적으로 덮고, 정점이 상부벽을 형성하는 경우, 특히, 상부벽은 대부분 유입막에 의해 덮이고, 대부분의 상부벽의 커버링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중앙부는 피스톤 내부를 클립핑하여 고정되고, 이는 역류 방지 밸브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피스톤의 상부에 유입막의 기밀 프리스트레스를 쉽고 균일하게 부여한다. 따라서, 유체 기밀성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실제로,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돔 형태는 가요성 막의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고, 피스톤에 일정한 클램핑 스트레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출 역류 방지 밸브의 중앙부는 실린더 몸체부의 정점 내부를 클립핑함으로써 고정되고, 유출막은 실린더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며, 이는 역류 방지 밸브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유출막의 클램핑 프리스트레스를 실린더 몸체부의 상부에 쉽고 균일하게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다. 유체 기밀성이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막의 돔 형태는 가요성 막에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며, 실린더 몸체부에 일정한 클램핑 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다.
유입막은 상부벽을 향한 상부 측면과 피스톤을 향하는 하부 측면을 포함하며, 이들 측면은 에지, 특히, 원형의 에지에 의해 분리되고, 유입막에 오목한 형상을 부여하며, 상부 측면은 볼록하고 하부 측면은 오목하며, 따라서, 유입막의 오목한 형상은 중앙부 주위에 환형 홈의 형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실린더 몸체부가 전개 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유입막의 변형을 더욱 쉽게 허용하고, 이로 인해 투여 챔버 내부와 유입막의 상부 표면에 음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음압은 가요성 막을 변형시킬 수 있고, 역류 방지 밸브의 밀봉을 파괴하여 분배 장치에 장착된 저장소에 포함된 유체가 투여 챔버로 들어갈 수 있다.
유출 밸브는 유입 밸브의 형상 특성 중 하나, 다수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분배 출구에 장착되는 대신에,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분배 오리피스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든 연통 공간의 폐쇄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분배 장치에서 액체와 공기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액체 자체에 방부제 및/또는 항균제가 없는 경우, 박테리아 오염에 민감한 제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따르면,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연속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분배 오리피스의 밀폐부
- 밀폐부에 연결된 탄성 변형 가능한 탱크막
- 선택적으로, 밀폐부의 폐쇄에 요구되는 저압에 적합한 보조 복귀 부재
- 탱크막에 의해 밀폐된 밀폐 탱크.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탱크 외부의 탱크막의 표면이 분배 오리피스와 분배 출구를 연결하는 연통 공간과 유체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한편으로는, 탱크막은 실린더 몸체부를 후퇴 위치로 작동시키는 동안, 분배 오리피스의 밀폐부의 해제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제품에 의해 변형에 의해 응력을 받고, 다른편으로는 탱크막은 투여 챔버에서 음압동안 밀폐부를 분배 오리피스의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반대 방향으로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탱크막은 분배 오리피스의 밀폐부의 해제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실린더 몸체부를 이동 종료 위치로 작동시키는 동안 제품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탱크는, 특히, 저압, 즉, 2bar 미만, 특히, 0.4bar 미만의 압력에서 밸브의 부적절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복귀 부재는 탱크막과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기밀 탱크 내부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이한 특성에 따라 2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테이지를 포함하는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막과 결과적으로는 밀폐부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값의 일정한 복귀력을 유지하며, 제2 스테이지는 탱크의 제1 스테이지와 바닥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스테이지의 복귀력보다 큰 값을 유지하면서, 탱크막이 요청될 때만 작동한다.
제1 스테이지와 제2 스테이지는 중앙 코어에서 연장된다.
제1 스테이지는 외부 에지가 탱크의 내벽에 대하여 지지되는 컵을 형성함으로써, 중심 코어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컵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코어에 관절이 있는 스프링 요소가 있어 밀폐부를 분배 오리피스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스테이지는 외부 에지가 탱크의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는 종(bell)을 형성함으로써, 중심 코어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종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탱크막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에만 변형되어 복귀력을 가할 수있다.
분배 장치는 실린더 몸체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분배 헤드를 포함하고, 벽이 분배 오리피스 및 투여 챔버와 연통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탱크막에 의해 일측에서 밀폐되어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상부 공간은 분배 오리피스 및 개구부를 투여 챔버와 연통하는 오리피스를 갖는다.
분배 장치는 튜브의 하단부가 분배 장치에서 제품의 입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용기의 개구부와 연통하도록 의도된 연결 부재의 통로 오리피스에 장착된 추가 튜브를 포함한다.
튜브는 실린더 몸체부가 전개 위치를 향해 변위할 때, 투여 챔버의 음압이 8 mbar 이상이 되도록 선택된 내부 섹션을 갖는다.
튜브는 통로 오리피스보다 20% 이상으로 더욱 작은 직경을 갖는 내부 섹션을 갖는다.
튜브는 통로 개구부 아래로 연장된다.
분배 장치는 탱크막과 분배 오리피스 사이에서 이격되어 밀폐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내벽 부분들에 대하여 상부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감압링을 포함하고, 감압기는 그 내부에 밀폐부가 이러한 감소된 통로의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되며, 탱크막은 감소된 통로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막의 표면을 연장시키면서 분배 헤드의 무용 공간이 제한된다.
이러한 장치는, 연결 부재가 피스톤 및 실린더 몸체부를 수용하는 용기를 형성하고, 이러한 용기에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바닥이 있으며, 이러한 바닥은 제품의 통로 오리피스에 의해 통과된다. 또한, 연결 부재는 이러한 통로 오리피스와 연통하는 제1 단부와 피스톤이 장착되는 제2 단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부를 포함하고, 투여 입구는 관형부와 연통된다.
이는 베이스에 피스톤을 장착하는 실시예이다. 이를 통해, 실린더 몸체부가 피스톤상에서 쉽게 하강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관형부 주위로, 특히,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실린더 몸체부, 관형부 및 드럼은 관형부와 드럼 사이의 실린더의 측벽 또는 벽이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안내가 개선된다.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또는 벽은 상부벽과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개방 단부는 외부 표면상에 돌출된 주변 돌출부가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와 상부벽 사이의 실린더 몸체부의 직경은 전개 위치에 접근할 때 돌출부와 드럼의 내면의 상단 사이에 반경 방향의 압력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드럼의 내경에 맞게 조절된다. 이를 통해, 측벽 또는 벽의 단부 외부에서 이동 종료시 기밀성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배 장치는 드럼의 종방향 및 드럼 주위에 배치된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일측에서 용기의 바닥에 대해, 다른측에서 실린더 몸체부와 고정적으로 일체화된 정지부 세트에 대하여 지지된다. 이를 통해, 스프링을 유지하고 스프링의 좌굴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과 드럼은, 드럼이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동안 스프링의 회전을 안내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이를 통해, 실린더 몸체부의 작동 및 전개 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한다.
피스톤은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또는 벽과 접촉하는 상부 주변 립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투여 챔버의 기밀성을 개선할 수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또는 벽과 접촉하는 하부 주변 립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피스톤의 상부와 측벽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액체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스톤은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은 액체와 일측에서 연통하고 타측에서 투여 입구와 연통하는 중심 덕트를 포함하며, 제2 부분은 적어도 제1 부분의 일부 주위에 끼워 맞춤되거나 이중 성형된 밀봉 부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밀봉 부재는 피스톤과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사이의 밀봉을 강화시킨다.
분배 오리피스는 분배 오리피스와 투여 출구 사이의 연통을 포함하는 가압 버튼에 배치되고, 가압 버튼은 실린더 몸체부 상에서, 특히, 연결 부재에 늘려지거나 줄어드는 형태로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배될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조절(conditioning)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이러한 조립체는, 분배될 제품을 둘러싸기 위한 용기, 연결 부재의 통로 오리피스가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방식으로 용기의 개방 단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을 위한 조립체는 채워지거나 채워질 준비가 되고, 사용할 준비가 된다.
본 출원에서, "상부" 및 "하부",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2 내지 도 7 및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배향에 따라 적용된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제품을 분배하는 동안 제품의 순환 방향에 따라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비제한적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 예시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분배 장치에 의한 작동 단계 및 액체의 제1 분배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장치의 실린더 몸체부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장치의 투여 챔버의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장치의 피스톤 일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장치의 피스톤의 다른 부분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장치의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 예시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수직 단면도로서, 분배 장치는 용기에 장착된다.
도 16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대안에 따른 분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피스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 밸브가 피스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대안에 따른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제품(L))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1)를 형성하는 다양한 부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는,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주 조립체를 포함하는 펌프(1)일 수 있으며, 이러한 2개의 주 조립체는 투여부(7)와 투여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분베 헤드(8)이다.
투여부(7)와 분배 헤드(8)는 함께 펌프(1)를 형성한다. 이러한 펌프는 분배 장치(1)에 대응된다.
도 2와 3은 액체(L)로 채워진 컨테이너(R)에 장착된 이러한 펌프를 나타낸다. 이는 화장품 및/또는 케어 제품일 수 있다. 이러한 펌프(1)와 이러한 용기(R)는 제품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체를 형성한다.
투여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목(C)에 장착되어 펌프(1)를 이 용기(R)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10)는 용기(R)의 개방 단부의 벽들 사이에 장착되는 넥 시일(2)로 덮힌 바닥부(19)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부재(10) 및 개방 단부에 대한 기밀성을 제공한다.
투여부(7)는 내부에 피스톤(3)이 장착된 실린더 몸체부(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피스톤(3)은 연결 부재(10)에 고정 장착되며, 실린더 몸체부(6)는 슬라이딩축(A)을 따라 이러한 피스톤(3)을 중심으로 슬라이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축은 분배 장치(1)의 종축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부(7)의 다양한 요소는 아래의 순서로 슬라이딩축(A)을 따라 서로 적층될 수 있다.
- 연결 부재(10)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3)의 제1 부품(30)(이하, 피스톤의 베이스(30))
- 튜브형 밀봉 부재(40)를 형성하고 피스톤의 베이스(30) 주위에 장착되는 피스톤의 제2 부품(40)
- 피스톤(3)으로부터 분리되어 피스톤(3)의 상부에 장착된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 전술한 모든 요소 주위에 배치된 슬라이딩 튜브를 형성하는 측벽(61)을 갖는 원통형 몸체 베이스(몸체부0)
- 전술한 실린더 몸체 베이스(60)와 전술한 실린더 몸체부(6)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밀봉 부재(70)
- 원통형 몸체 베이스(60)와 연결 부재(10), 특히, 그 바닥 (19)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고, 회전부는 슬라이딩 튜브(61)를 둘러싸고 있는 나선형 스프링(4)
- 내부에서 용기를 형성하고, 전술한 다양한 요소들이 수용되는 연결 부재 (10)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요소들(30, 40, 5, 60, 70, 10)은 단일 조각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여부(7)는 다소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헤드(8)는 실린더 몸체부(6)와 일체된 가압 버튼(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 버튼(80)의 상부를 수동으로 가압함으로써 실린더 몸체부(6)를 아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버튼(80)은 분배되는 동안 액체(L)를 배출하는 분배 오리피스(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전면의 일측에 포함된다.
분배 오리피스는 도 1에서 우측에 위치한다. 후방의 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가압 버튼(80)은 개방될 수 있어서 하우징(85)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내부에는 다음의 구성요소들이 아래의 순서와 폐색축(B)를 따라 쌓여질 수 있다.
- 폐색축(B)를 따라 통로가 있는 감압기(83)
- 밀폐부(90)를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 제1 부분과, 이러한 제1 부분의 후방에서, 탱크막(96)을 형성하는 제2 부분
- 밀폐부(90)의 내부 보강부(95)
- 보조 복귀 부재(97)
- 보조 복귀 부재(97)를 수용하는 탱크(86).
캡 (87)은 가압 버튼(80)의 하우징(85)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들 구성 요소가 가압 버튼(8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압 버튼(80) 및 캡(87)은 개별적으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헤드(8)의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이들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세부 사항은 이하에서 정확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특히, 용기(R) 상에 장착된 펌프(1)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모든 부재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액체(L)가 분배 오리피스(81)로 이송되도록 연통 공간들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구성된 펌프의 시운전 이전, 즉, 작동 상태 이전의 펌프(1)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부재(10)는 액체(L)와 접촉되도록 목(C) 아래로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목(C)에 체결되는 부분보다 낮게 배치되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9)는 중앙부에 액체(L)를 향하여 배치된 통로 오리피스(20)를 갖는다. 이러한 통로 오리피스(20)는 펌프(1) 내부의 액체(L)의 입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펌프의 장착은 연결 부재(10)를 목(C)에 클립핑(clipping)하여 수행된다.
연결 부재는 스커트(21)를 포함하므로, 이중벽으로 형성된다.
스커트(21)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하고 목의 클립핑 러그(26)와 협력하는 클립핑 러그(22)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 부재(10)는 목(C)에서 차단된다.
목(C)의 내부 및 베이스에서, 에지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중간 개구부(O)를 형성한다.
넥 밀봉부(2)는 통로 오리피스(20) 주위에 배열되어, 연결 부재(10)의 밑면 및 바닥부를 덮는 돔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넥 밀봉부(2)은 연결 부재(10) 상에 이중성형(overmould)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넥 밀봉부(2)를 형성하는 돔은 하부면 상에서 중간 개구부 (O)의 돌출 에지에 대해 지지되는 원형 립(23)을 가지며, 따라서, 용기(R)의 개방 단부에 제1 기밀 영역을 형성한다.
넥 밀봉부(2)를 형성하는 돔은 넥(C)의 상부 내벽에 대해 밀착 지지 구역(24)을 갖는 상부 에지를 가지며, 따라서, 용기(R)의 개방 단부 상에 제2 기밀 영역을 형성한다.
돔은 넥 밀봉부(2)가 이들 2개의 기밀 영역 사이에서 목(C)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2개의 기밀 영역 사이에 건조 영역이 형성되어, 오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통로 오리피스(20) 주위에는 연결 부재(10)의 바닥부(19)로부터 종방향과 위쪽으로 연장되는 관형 부분(12)이 배치된다. 이러한 관형 부분에는 피스톤(3)이 압입되어 있다. 이러한 피스톤(3)의 주위에는 실린더 몸체부(6)가 장착된다.
실린더 몸체부(6)의 베이스(60)는 상부벽(64)에 의해 상부에 한정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슬라이딩 튜브(61)는 상부벽(64) 및 개방 단부(74)로부터 종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내부 공간은 개방 단부(74)에 의해 바닥부에서 한정되며, 슬라이딩 튜브(61)에 의해 측면에서 한정된다.
도 2에 있어서, 실린더 몸체부(6)는 배열된 위치에서 최대로 장착되어, 상부 벽(64)과 피스톤(3)의 정점 사이에 투여 챔버(100)를 형성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벽(64)은 이러한 투여 챔버(100)의 정점을 형성한다.
도 3에 있어서, 실린더 몸체부(6)는 피스톤(3)에서 완전히 하강하여 이동 종료 위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3)은 개구부(35)가 투여 챔버(100) 내로 도입되는 통로(37)를 통해 직접 도입되는 중앙 덕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투여 챔버(100)에서 액체(L)의 유입구, 이하, 투여 입구(35)를 형성한다.
중앙 덕트(34)는 관형 부분(12) 내로 직접 개방되고, 따라서, 액체(L)와 직접 연통되며, 액체는 투여 입구(35)로 전달될 수 있다.
이들 투여 입구(35)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5)에 의해 폐쇄되며, 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투여 챔버(100) 내로 통과할 수 있지만, 투여 입구(35)에 의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추가로 도시된 유입 역류 방지 밸브(5)는 이들 투여 입구(35)의 하류에 배치되고, 이들을 폐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투여 입구에 대향하는 유입막(50)을 갖는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64)은 상부벽(64)의 중앙 영역(65) 주위에 배열된 환형홈, 이하, 상부홈(66)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홈(66) 주위에는 주변 영역(67)을 형성하는 평평한 부분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 영역(65), 상부홈(66) 및 주변 영역(67)은 슬라이딩축 (A)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홈(66)의 바닥, 즉, 도 2의 투여 챔버의 정점에서, 투여 출구(73)를 형성하는 오리피스가 배치되며, 이를 통해 유체, 작동 후 액체 또는 작동중의 공기가 투여 챔버(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투여 출구(73)만이 존재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입 밸브(5)는 상부벽(6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한다. 제1 대안에 따르면, 이러한 상보성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이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되고 추가로 언급될 제2 대안에서, 상부벽(264)은 밸브(5)의 측면에서만 상보적이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역류 방지 밸브(5)는 표면이 상부벽(64)의 중앙 영역(65)과 동일한 직경의 디스크를 형성하는 중앙 부(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앙부(54) 주위에는 유입막(5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입막(50)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측면(51) 및 하부 측면(52)을 포함하고, 이러한 측면들은 에지(53)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에지(53)는 원형이고, 유입막(50)은 이러한 에지(53)가 슬라이딩축(A)에 수직으로 배열된 원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상부 측면(51)은 볼록하고 하부 측면(52)은 오목하다.
여기에서, 상부 측면(51)의 볼록한 형상은 상부홈과 상보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밸브(5)의 상부 표면은 상부벽(64)의 표면과 상보적일 수 있으며, 특히, 여기에서는 대부분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입막(50)은 이동 종료 위치에서 주변 영역(67)까지만 상부벽을 덮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튜브(61)의 내면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피스톤(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의 상부 주변 에지에 배열된 상부립(41)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의 일부, 여기에서는 상부립(41)이 에지(53) 주위의 모든 부위를 초과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몸체부(6)가 이동 종료 위치에있는 경우, 상부립(41)은 상부벽(64)의 이러한 주변 영역(67)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동 종료 위치 또는 후퇴 위치에서, 유입막(50)은 상부홈(66)의 내부에 수용되며, 그 상부 측면(51)은 이러한 상부홈(66)의 바닥부를 수용한다. 중앙 영역(65)은 정확히 중앙부(54)를 덮는다. 상부립(41)은 주변 영역(67)의 표면을 수용한다. 다음으로, 작동중에는 투여 챔버(100)의 모든 공기가 제거되고, 이는 투여 출구(73)가 상부홈(66)의 바닥에 배치되는 경우에 더욱 용이하다.
따라서, 투여 챔버(100)로부터 출구(73) 이후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펌프(1) 내부의 공기를 더욱 쉽게 제거하기 위해, 작동중에 투여 챔버(100)의 모든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측면(52)으로부터 하부보다 연장되어 스터드(stud)를 형성하는 돌출부(55)는 그 베이스보다 더 넓은 에지를 갖는 헤드를 갖는다. 따라서, 스터드(5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을 클립핑하여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 12에서와 같이, 피스톤 베이스(30)는 관형부(12)에 압입되는 슬리브(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 베이스는 슬리브(31)보다 넓은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 부분은 관형부(12)의 정점에 중첩되는 환형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슬리브(31)에서 이격 대향하면서 주변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스위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체결을 완료하기 위해, 중첩 숄더(33)는 슬리브(31)의 바닥에 배열되고, 관형부(12)의 내벽에 배열된 상보적인 내부 숄더(75) 저면에서 클립핑된다.
이러한 슬리브(31)는 슬리브(31)의 변형에 의해 중첩 숄더(33)가 더 가까이 근접하도록 하는 슬롯(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31)의 개방 단부는 바닥에 배치되고, 관형부(12) 내로 개방되며, 슬리브(31)의 내부는 중앙 덕트(3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서와 같이, 피스톤(3) 베이스의 상부는 스터드가 클립핑되는 클립핑 러그(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37) 및 투여 입구 (35)는 이러한 클립핑 러그(36)와 스터드(55)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클립핑 러그(36)는 유입 밸브(5)의 스터드(55)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지 않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막(50)이 투여 입구(35)를 덮으면서, 유입 밸브(5)는 피스톤(3)의 정점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유입막(50)는 하부 측면(52)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상부 측면(51)의 측면에 음압이 있을 때, 투여 입구(35)를 통해 액체(L)로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상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투여 챔버(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유입 막(50)상의 하류에서 상류로 여기에 가해지는 힘은, 투여 입구(35) 위와 피스톤(3)에 대하여 유입막(50)을 밀게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입구(35)는 폐쇄될 것이다. 따라서, 유입 밸브(5)는 역류 방지 밸브를 형성하여 액체(L)가 투여 챔버(100) 내부를 통과할 수는 있게 하지만, 투여 입구(35)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61)과 피스톤(3)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스톤은 밀봉 부재, 여기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밀봉 부재(40)를 형성하는 제2 부분(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형 밀봉 부재(40)는 피스톤(3)의 상부 주위를 직접 압입한다.
이러한 튜브형 밀봉 부재(40)는 상부립(41) 및 하부립(42)에 의해 각각 형성된 2개의 개방 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립과 하부립은 상부와 바닥 부분을 초과한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 튜브(61)의 내벽에 대해 이중 기밀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립들(41, 42) 사이에서, 밀봉 부재는 환형 돌출부(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최대 직경은 슬라이딩 튜브(61)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환형 돌출부는 실린더 몸체부(6)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립들(41, 42)과 환형 돌출부(44) 사이에서, 튜브형 밀봉 부재(40)는 슬라이딩 튜브(6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립들에 의해 형성된 기밀 영역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립들 사이에 연속적인 액체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용기는 개방 단부(11)와 바닥부(19) 사이에서 연장된다. 용기의 내부는 이동 종료 정지부(18)를 형성하는 숄더를 갖는 측벽(17)에 의해 형성된다.
관형부(12)는 여기서와 같이 통로 오리피스(20)를 한정할 수 있다.
드럼(14)은 관형부(12)와 드럼(14) 사이에 제1 하부홈(13)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관형부(12)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되며, 내부는 이동 종료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튜브(61)를 슬라이딩 시킨다.
드럼(14)의 정점부에서, 드럼(14)의 내벽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15)는 슬라이딩 튜브(61)의 외부와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딩 튜브(61)는 개방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이동 종료 위치에서 돌출부(15)와 접촉하는 팽창부(bulge)(7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실린더 몸체부(6)의 한 쌍의 밀봉 부재(70)는 실린더 몸체부의 베이스(60)의 상부를 형성하는 협력부(69)를 둘러싸는 상부 밀봉 부재(72)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협력부와 분배 헤드(8) 사이의 기밀성이 제공될 수 있다.
실린더 몸체부(6)의 한 쌍의 밀봉 부재(70)는 슬라이딩 튜브(61)의 단부에서 팽창부를 형성하는 환형 팽창부(71)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튜브(61)의 바닥부는 그 외경을 감소시키는 돌출부(62)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환형 팽창부(71)의 수용부(63)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밀봉 부재(70)는 실린더 몸체부의 베이스(60)를 이중 성형함으로써 단일 부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부(69)와 수용부를 연결하기 위해, 실린더 몸체부(6) 내부에 홈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에 형성된 주입선은 상부 밀봉 부재(72)와 환형 팽창부(71)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형 팽창부(71) 위의 슬라이딩 튜브(61)의 직경은 돌출부(15)에 의해 한정된 내경에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이동 종료 위치에서 드럼(14)의 벽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고, 스프링(4)이 실린더 몸체부(6)를 상방으로 복귀시킬 때, 슬라이딩 튜브(61)는 대부분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없이 돌출부(15)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실린더 몸체부의 상향 상승이 촉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몸체부(6)가 전개 위치에 근접할 때, 환형 팽창부(71)는 돌출부(15)와 접촉하고, 돌출부(15)에 바깥쪽으로 점진적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킨다.
여기에서, 환형 팽창부(71)의 재료는 연결 부재의 재료보다 유연하기 때문에, 압축되는 것은 링 팽창부(71)이다. 따라서, 기밀성이 강화된다.
이 때문에, 개방 단부(74)에서 슬라이딩 튜브(61)의 벽의 양측에 전개 위치일 때 이중 기밀성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내부에서는 하부립(42)과 슬라이딩 튜브(6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고, 외부에서는 환형 팽창부(71)와 드럼(14)의 돌출부(15)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이중 기밀성 사이에 공기로 채워진 공간이 생성되며, 이 공간이 제1 하부홈(13)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기밀성을 통과하는 액체는 이러한 제1 하부홈(13)의 바닥으로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액체 필름이 환형 팽창부(71)를 넘어 하부립(42)과 제1 하부홈(13)의 외부 사이에 접합부를 생성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투여 챔버 내부와 외부 챔버 사이의 오염을 방지하는 매우 우수한 기밀성이 제공된다.
분배 헤드(8)의 바닥부는 용기에 신축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의 체적 간극이 펌프(1)의 외부와 연통하면서 더욱 효율적이다.
나선형 스프링(4)은 용기 내부 및 드럼(14) 주위에 배열된다. 나선형 스프링(4)은 드럼(14)과 용기의 측벽(16) 사이에 형성된 제2 하부홈(16)의 바닥에서 일측에 지지된다.
실린더 몸체부(60)의 베이스는 슬라이딩 튜브(61)보다 더 넓은 칼라부(76)를 포함한다. 스프링은 이러한 칼라부(76)의 다른쪽에 대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 칼라부는 스프링(4)이 가압되는 것에 대응하여 방사형 리브(68)에 의해 형성된 한 세트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2개의 대안에서, 펌프(1)는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되어야 하는 액체에 적합하다.
이를 위해, 투여 출구(73)는 연통 공간을 통해 분배 오리피스(81)에 연결되고 유출 역류 방지 밸브(9)는 이러한 분배 오리피스(81)를 직접 폐쇄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2개의 대안에 따르면, 이들 연통 공간은 3개의 중간 덕트 및 상부 공간(82)을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공간은 감압기(83)를 통과하는 통로, 탱크막(96) 및 분배 오리피스로 이어지는 가압 버튼(80)의 전방벽의 통로에 의해 한정된다.
여기에서, 감압기(83)는 다른 감압링(83)이라고 불리는 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중간 덕트(84a)는 실린더 몸체부 내에 형성되며, 투여 출구(73)로부터 가압 버튼(80)의 횡벽에 배열된 제2 중간 덕트(84b)로 이어진다.
제2 중간 덕트(84b)는 감압기(83)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 공간(82)으로 개방된 제3 중간 덕트(84c)로 개방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시된 실시예 및 대안에서,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밀폐부(90)의 변위 방향에 따라 적용된다.
여기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2개의 대안에 따르면, 기밀 탱크(86)는 탱크막(96)의 에지가 가압 버튼(80)의 대응하는 내부 숄더와 탱크(86)의 에지 사이에 끼워져 탱크막(96)이 탱크(86)를 밀폐식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가압 버튼(80)의 하우징(85)에 중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막(96)은 여기에서 분배 오리피스(81)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밀폐부(90)와 일체형이다.
밀폐부(90)는 자유 단부에서 분배 오리피스(81)를 밀폐식으로 폐쇄하도록 배열 된 니플(91)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체가 상부 공간(82) 내부로 유입되어 탱크막(96)을 가압할 때, 탱크막은 탱크(86)의 바닥부(89)을 향해 변형되고, 따라서, 축(B) 및 분배 오리피스 (81)의 해제에 따라 폐쇄 장치의 후퇴가 구동된다.
보조 복귀 부재(97)는 탱크막(96)과 일정하게 연결되어 있고, 특히, 상이한 강성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2개의 스테이지(92, 93)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지(92)는 탱크막(96)에 대해, 그리고 결과적으로 밀폐부(90)에 대해 소정값의 일정한 복귀력을 유지한다.
제2 스테이지(93)는 탱크(86)의 제1 스테이지(92)와 바닥부(89) 사이에 삽입되고, 탱크막(96)이 요구될 때만 작용하는 제1 스테이지(92)보다 큰 복귀력을 유지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스테이지(92, 93)는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테이지(92, 93)는 중심 코어(94)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92)는 외부 에지가 탱크(86)의 내벽에, 예를 들어, 내벽의 홈에 또는 내벽의 숄더에 대해 지지되는 컵(98)을 형성함으로써 중심 코어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컵(98)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코어(94)와 외부 에지 사이의 영역은 탄성 관절부를 형성한다.
제2 스테이지(93)는 외부 에지가 탱크(86)의 바닥(89)에 지지되는 벨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중심 코어(94)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벨 (99)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코어(94)와 외부 에지 사이의 영역은 탄성 관절부를 형성한다.
한편, 탱크(86)가 밀폐식으로 폐쇄됨에 따라, 분배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탱크(86)의 압력(P2)은 펌프(1)의 초기 조립시 주변 공기의 압력과 동일하게, 즉, 초기 대기압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액체 용기(R)에는 공기 흡입구가 없으며, 용기는 특히 가변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투여 챔버(100)의 압력(P3)은 펌프(1) 주위 환경의 압력(P1)의 변화를 따른다.
이로 인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제2 대안에서도, 가압 버튼(80)이 상승할 때 또는 예를 들어 비행기 여행 중과 같이 분배 장치(1)가 저압(P1, 초기 대기압보다 작은 P1) 환경에 배치될 때
투여 챔버의 압력(P3)은 감소하고 초기 대기압보다 낮아지며, 불변 상태를 유지하고 초기 대기압과 동등한 탱크의 압력(P2)보다 작아져서, 탱크는 밀폐식으로 폐쇄된다.
투여 챔버의 압력(P3)과 탱크의 압력(P2) 사이의 압력 차이는, 탱크막(96)에 힘을 발생시켜, 분배막(81)을 향하여 변형시키며, 이에 따라, 밀폐부(90)상의 지지를 강화시켜, 기밀성이 구현된다.
보조 복귀 부재(97)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TPE) 또는 열가소성 경화 재료(TPV), 또는 실리콘계, 또는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재료를 단일 블록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탱크막(96) 및 밀폐부(90)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TPE) 또는 열가소성 경화 재료(TPV), 또는 실리콘계, 또는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는 다른 재료를 단일 블록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밀폐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형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여기에 보강부(95)를 보다 단단한 재료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강부(95)는 탱크막(96)으로부터 연장되어, 보조 복귀 부재(97)의 제1 스테이지(9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탱크막(96)을 형성하는 부분 및 그 밀폐부(90) 및 보강부(95)는 이종재료 성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가압 버튼(80), 탱크막(96), 감압기(83), 실린더 몸체부(6),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및 피스톤(3) 베이스(30)를 포함하는 재료는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및 제2 대안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압기(83)는 탱크막(96)과 가압 버튼(80) 하우징(85)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기(83)를 통해, 밀폐부(90) 주위에서 이용 가능한 부피보다 큰 직경으로 탱크막(96)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우징(85)은 탱크막(96)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감압기는 하우징의 벽과 밀폐부(90) 사이에 이용 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 공간(82)에서 상승하는 액체(L)를 구동시키는 가압 버튼을 누름으로써, 탱크막(96)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져, 개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밀폐부(90) 주위의 자유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분배 오리피스(81)로의 연통 공간의 부피도 감소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몸체부(6) 및 그 피스톤(3)의 배치에 연결된 배출 용량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압 버튼(80)은 칼라부(76)를 가압 버튼(80)의 적절한 홈 내부에 클립핑함으로써, 실린더 몸체부(6)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는 두 번째 대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펌프(1)의 작동에 대한 세부 사항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있어서, 가압 버튼(80)은 전개 위치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압 버튼(80)과 일체형인 실린더 몸체부(6)가 도시되어 있고, 상부벽(64)은 피스톤(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투여 챔버(100)는 최대 부피가 된다.
관형부(12), 중앙 덕트(34) 및 통로(37)뿐만 아니라, 투여 챔버(100) 및 다양한 연통 공간(84a, 84b, 84c, 82)은 공기로 채워진다.
그 후에, 작동이 시작되고, 내부에 포함된 공기로부터 이러한 공간에 공기를 채워 배출을 실시한다.
그 후, 도 2의 펌프 방향에 대해 가압 버튼(80)에 하향 압력이 가해진다. 실린더 몸체부(6)는 피스톤(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도 2에 도시된 전개 위치를 도 3에 도시된 이동 종료 위치로 구동된다.
이를 통해, 투여 챔버(100)에서 압력이 증가하여, 투여 입구(35)에 대해 유입 막(50)을 밀어 넣는다.
그 후에, 공기는 *?**?*모든 연통 공간, 특히, 상부 공간(82)에서 압축되어, 탱크막(96)의 후방을 향해 변형을 유도하고, 따라서, 폐색축(B)을 따라 밀폐부(90)를 후방을 향하도록 후퇴시키고, 따라서, 분배 오리피스(81)로부터 니플(91)을 해제한다.
이를 통해, 컵(98)과 오목부(99)는 변형되고, 코어(94)는 분배 오리피스(81)로부터 탱크(86)의 바닥부(89)를 향해 이동하며, 컵(98)과 오목부(99)의 가장자리는 고정된 압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공기는 분배 오리피스(81)에 의해 배출된다.
공기가 제거되면, 컵(98) 및 오목부(99)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하에서 펌프(1)의 외부와 밀폐부를 분배 오리피스(81)로 복귀시키는 상부 공간(82)의 내부 사이에서의 압력이 다시 동일해진다. 밀폐부(90)의 복귀 이동의 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91)은 분배 오리피스(81)를 막는다.
도 4에 있어서, 공기가 배출되었으며 펌프가 완전히 닫혔다.
실린더 몸체부(6)의 이러한 하강 동안, 스프링(4)은 드럼(14)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연결 부재(10)의 바닥부(19)에 대해 압축된다.
가압 버튼(80)이 해제되면, 스프링(4)은 실린더 몸체부를 위로 복귀시키고, 따라서, 가압 버튼 (80)을 위로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유입막(50) 및 상부립(41)과 상보적으로 접촉되는 상부벽(64)은 투여 챔버(100)의 부피를 약간 증가시킴으로써 피스톤으로부터 조금 멀어지게 이동한다. 따라서, 음압이 발생하고, 유입막(50)에 힘이 가해져, 상부벽 에지(53)가 피스톤(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식으로 상부벽(64)을 향해 변형되며, 상부 측면(51)의 오목도와 하부 측면(52)의 볼록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유입 막(50)은 액체(L)로 이어지는 모든 연통으로 공기의 흡인을 유도하는 투여 입구(35)를 해제한다. 따라서, 공기는 관형벽(12)에서 흡입되고, 이어서 중앙 덕트(34)에서 및 통로(37)에서 흡입되고, 주입구(35)를 통과하여, 투여 챔버(100)를 채우기 시작한다.
또한, 이러한 음압은 탱크막(96)의 분배 오리피스(81)를 향한 변형을 유발하므로, 탱크막(96)에서 밀폐부(90)를 더욱 가압한다. 따라서, 작동성이 더욱 강화된다. 이는 유입 밸브(5)의 기밀성이 개선될수록 더욱 효과적이다.
제1 단계에서, 통로 오리피스(20)로부터 투여 입구(35)로 이어지는 덕트에서 상승할 액체(L)의 투여 챔버(100)의 부피와 동등하다.
제1 흡인 이후에, 실린더 몸체부(6)가 전개 위치로 복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챔버(100)는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 것이다.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향 압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향 압력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 몸체부(6)가 피스톤(3)에서 다시 하강하면, 이는 투여 챔버(100) 및 다양한 연통 공간(84a, 84b, 84c, 82)에 남아있는 공기의 압축을 구동하고, 이는 밀폐부(90)의 후퇴에 의해 분배 오리피스(81)의 개구부를 다시 구동시킨다.
공기가 먼저 제거된다. 그 후, 피스톤이 상부벽(64)에 계속 접근하고, 투여 챔버(100)에 존재하는 액체 (L)는 상부벽(64)에 도달하고, 투여 출구(73)를 통해 입구를 통과하여, 중간 덕트(84a, 84b, 84c)를 따라 상승한 다음 폐쇄부 주변의 상부 공간(82)을 채우고 분배 오리피스(81)에 도달한다. 따라서, 공기가 완전히 배출된다.
여기에서 실린더 몸체부(6)에 대한 스트로크가 여전히 남아있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는 실린더 몸체부(6)가 이동 종료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흐르기 시작할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었고, 액체(L)는 분배 오리피스(81)와 분배 출구(73) 사이의 모든 연통 공간(84a, 84b, 84c, 82)뿐만 아니라, 투여 입구로부터 용기(R)로 이어지는 모든 통로를 채운다.
작동이 완료되었다.
이동이 끝났을 때, 액체(L)는 탱크막(96)에서 더 이상 지지되지 않으며, 탱크 막(96)은 보조 복귀 부재(97)에 의해 전방을 향해 전방으로 복귀되어, 다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오리피스(81)의 폐쇄를 구동한다.
가압 버튼(80)에 대한 누름이 멈출 때, 나중에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스프링(4)은 다시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투여 챔버(100)에서 액체(L)의 흡인을 구동하면서 실린더 몸체부(6)를 다시 위로 상승시킨다. 펌프(1)가 작동됨에 따라, 각각의 압력은 투여 챔버(100)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액체(L)의 분배를 구동할 것이다.
따라서, 도 16 내지 도 18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대안과 유사한 제2 대안을 도시한다.
그러므로, 이들 도면 16 내지 도 18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대안의 실시예의 특성은 이후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2 대안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가압 버튼(80), 유입 역류 방지 밸브, 밀폐 탱크(96)를 구비한 밀폐부(90) 및 유입 역류 방지 밸브(5)는, 도 1 내지 도 13의 대안과 도 16 내지 도 18의 대안 사이에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부재 번호가 사용된다.
이러한 2개의 대안들에서, 도 11 및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 203)은 각각 30, 40, 230, 240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튜브형 밀봉 부재(40, 240)는 상부립(41, 241)의 상단에 형성된 펼쳐진 표면 (45, 245)이 형성된 부분을 갖는다. 이를 통해, 이러한 펼쳐진 표면(45, 245)에 대한 컵 에지(53)의 기밀한 클램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피스톤(3, 203)에 대한 유입 밸브(5)의 프리스트레스(pre-stress)로 인한 기밀성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 클램핑은, 특히, 제1 대안의 경우에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제2 대안의 경우에는 도 1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입 밸브(5)의 기밀성 및 이에 따른 작동성은 최적화된다.
또한, 컵에서 유입 밸브(5)를 갖는 이러한 펼쳐진 표면(45, 245)은 클립핑 러그(36, 236) 사이에 형성된 투여 입구(35, 235) 주위에서 보다 기밀한 클램핑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유입 밸브(5)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클립핑 러그(36, 236)에는 원형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볼록한 상부 부분(36a, 236a)이 형성되고, 볼록한 형상은 막(50)의 오목한 형상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특히, 도 2, 3, 16 및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볼록한 형상의 상단은 밸브(5)의 막(50)의 바닥부를 따른다. 이를 통해, 압축시에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투여의 기밀성, 작동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제2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1 대안과 달리, 밀봉 부재(240)의 길이(h2)는 피스톤(203)의 이동 길이(h1)보다 크다. 이로 인해, 실린더 몸체부(206)가 피스톤(203)에 대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즉, 이동 종료 위치에 있을 때, 튜브형 밀봉 부재(240)의 하부립(242)은 상부립(241)의 낮은 위치(L) 아래에 있으며, 다시 말해, 이러한 상부립(241)은 전개 위치에 있다. 사용하는 동안, 제품은 투여된 제품과의 접촉 영역(z1)에 상응하는 낮은 위치(L) 위에서 투여 챔버(300)의 벽의 부분들과만 접촉하게 되고, 하부립(242)은 이 접촉 영역(z1) 내부로 들어오지 않는다. 따라서, 튜브형 밀봉 부재(240)와 슬라이딩 튜브(261)의 벽 사이에 제품의 필름이 형성되는 경우, 필름은 하부립(242)에 의해 아래쪽으로 제거되지 않고, 환형 돌출부(244)와 하부립(242) 사이에 갇히게 된다. 따라서, 특히 제1 하부홈(213)를 향하는 제품 누출에 추가적인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201)의 위생이 향상된다.
연결 부재(210)는 이러한 제2 대안에서 개방 단부(211)를 통해 가압 버튼(80) 및 스프링(4)을 수용하는 용기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 바닥(219)은 제1 대안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실제로, 더 긴 길이(h2)를 갖는 튜브형 밀봉 부재(241)를 수행하기 위해, 관형부(212), 드럼(214) 및 이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하부홈(213)은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전개 위치에서 하부립(242)의 저부 및 제1 하부홈(213)의 저부 사이의 높이(h3)가 실린더 몸체부(206)의 이동 길이(h1)보다 더 크게 된다.
동일한 추가적인 기밀 수단(215, 271)이 제1 하부홈(213)의 상단, 여기서는 슬라이딩 튜브(261)의 바닥의 외부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벽(264)은 단순화 되었다. 상부벽은 원형의 주변부(264')에 배열되는 투여 출구(273)가 장착된 돔의 형상을 갖는다. 이는 막(50)의 오목한 형상의 외부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이러한 외부 측면이 원형의 주변부(264')을 수용하고, 가장 가까운 투여 출구(273)를 폐쇄한다.
또한, 연결 튜브(310)는 연결 부재(210)의 바닥(219)에 위치한 통로 오리피스(220)에 장착된다. 이러한 통로 오리피스는 용기(R)의 중간 개구부(O)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튜브(310)의 하단부는 분배 장치(201)에서 제품의 입구(E')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튜브(310)는 통로 오리피스(220)의 직경보다 적어도 20% 미만인 직경의 내부 섹션(312)을 갖는다.
여기서 튜브는 통로 오리피스(220)를 통해 관형부(212)의 내부 덕트 내에서, 특히, 피스톤(203)의 중심 덕트(234)의 하부 개구부(238) 근처에서 클립핑되는 튜브에 압입된다.
튜브(310)는 통로 오리피스(220) 아래로 연장된다.
펌프는 2개의 밸브(5, 9)만을 갖고, 유출 밸브(9)가 투여 챔버(300)와 직접 연통하기 때문에, 가압 버튼(80)의 상승동안 투여 챔버에서 발생된 음압은 유출 밸브(9)의 폐쇄를 강화하고, 여기서 밀폐부(90)의 니플은 최적의 기밀성을 갖도록 분배 구멍(81) 내로 진입한다.
추가된 튜브(310)가 없으면, 이러한 음압은 최적의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물과 같은 유체 제품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더 작은 섹션(312)의 추가된 튜브(310)를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하중 손실이 제공되고, 유출 밸브(9)의 폐쇄를 강화시킨다.
이것은 유연한 유입 밸브(5)를 유지함으로써, 음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기로 펌프를 더 잘 작동시킬 수 있다.
추가된 튜브(310)의 작동에 대한 비교 연구가 수행되었다.
추가된 튜브(310)의 3mm 섹션은 다음의 투여 챔버에 추가적인 음압을 제공한다.
- 점성 크림과 함께 85mbar
- 유체 크림과 함께 18mbar
- 물과 함께 1.7mbar
추가된 튜브(310)의 1mm 섹션은 다음의 투여 챔버에서 진공을 제공한다.
- 점성 크림과 함께 511mbar
- 유체 크림과 함께 108mbar
- 물과 함께 10mbar
물과 같은 유체 제품의 경우, 추가된 튜브에서 8mbar의 음압으로부터 유출 밸브(9)가 최적으로 폐쇄되어 박테리아 역오염의 위험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추가된 튜브(310)에 적절한 섹션(312)을 선택함으로써, 튜브(300)에서 유입 밸브(5)와 함께 작동하여, 투여 챔버(300)에서 물과 같은 모든 액체와 점성이 매우 높은 제품에 대해 충분한 하중 손실을 발생시키며, 공기에 의한 작동의 문제없이 분배 오리피스(81)의 폐쇄를 최적화할 수 있고, 이는 매우 적은 용량의 펌프와 박테리아로부터 밀봉된 단부의 폐쇄에 중요하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장치(101)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투여부(107)을 포함한다. 그러나, 분배 헤드(108)는 상이하다.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일의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분배 오리피스(181)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투여 챔버(200)의 출구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더욱 단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우선적으로 방부제를 함유하는 액체 또는 크림과 함께 사용될 것이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여부(107)와 분배 헤드(108)는 분배 장치 (101)에 대응하여 펌프(101)를 함께 형성한다.
도 15에 있어서, 이러한 펌프(101)는 액체로 채워지도록 의도된 용기, 여기에서는 용기(R) 상에 장착되어, 이러한 액체를 조절하기 위한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1 실시예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언급될 차이점들 외에,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특성은 이러한 제2 실시예의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투여부(107)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함께 배열된 넥 밀봉부(102), 연결 부재(110), 나선형 스프링(104)을 포함한다.
또한, 투여부(107)는 내부에 피스톤(103)이 장착된 실린더 몸체부(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103)은 연결 부재(110)에 고정 장착되며, 실린더 몸체부(106)는 슬라이딩축(A')에 따라 피스톤(103) 주위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축은 여기서 분배 장치(101)의 길이 방향축에 대응한다.
피스톤(103)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피스톤에 가깝다.
한편,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피스톤 베이스(130)는 연결 부재(110)의 관형부(112)에 끼워지는 슬리브(131)와 슬리브(131)보다 넓은 상부를 포함한다면, 이러한 피스톤 베이스(130)에는 스위프가 생략된다. 또한, 피스톤 베이스(130)의 상부 둘레에는 리브(132)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튜브형 밀봉 부재(140)는 피스톤 베이스(130)의 리브(132)와 협력하는 내면에 리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대안의 하나(40)와 다르다. 이를 통해, 피스톤 베이스(130)에 튜브형 밀봉 부재(140)의 압입을 강화할 수 있다. 이들 리브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대안에 존재한다.
나머지 구성들에 있어서, 튜브형 밀봉 부재(140)의 외부 표면은,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동일한 대응 특성이 여기에 적용된다.
또한, 피스톤 베이스(130)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피스톤(30)과 유사한 형상의 제1 시리즈의 클립핑 러그(136)를 포함하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유입 역류 방지 밸브(105)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입 역류 방지 밸브(5)와 동일한 형태이다.
즉, 용기(R)로부터 유체의 흡입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특히, 이동 종료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피스톤(103) 주위의 실린더 본체(106)의 슬라이딩과, 유입 역류 방지 밸브(105)의 변형에 의해 투여 입구(135)의 개방이 동일하다.
이는 전개 위치로부터 이동 종료 위치로의 이동과 관련하는 유체의 전달의 경우이기도하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 특히, 아래의 것들과 공통된 장점을 찾을 수 있다.
- 피스톤 고정부(103)에 대한 실린더 몸체부(106)의 슬라이딩.
- 튜브형 밀봉 부재(140)의 립들 사이의 이중 기밀성.
- 컵 에지(53)와 펼쳐진 표면(145)의 기밀한 클램핑에서의 연계.
- 한편으로는, 실린더 몸체부(106)의 바닥과 관형부(112) 사이에서 생성된 이중 기밀성, 다른편으로는, 실린더 몸체부(106)의 바닥과 운반 드럼(114) 사이에 생성된 이중 기밀성, 이러한 관형부(112)와 드럼은 연결 부재(110)의 바닥에 의해 운반된다.
한편,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여 챔버(200)의 출구(173)상의 배치는, 도시 된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다.
실제로, 제2 역류 방지 밸브, 이하,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투여 챔버 (200)의 출구, 여기서는 투여 출구(173)의 개방 및 폐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실린더 몸체부(106) 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여 챔버 (200)의 정점(164)은 유입 역류 방지 밸브(105)의 체결을 허용하는 피스톤(103)의 체결부(136)와 유사한 형상의 제2 시리즈의 클립핑 러그(13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정점은 실린더 몸체부(106)의 정점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2 시리즈(139)의 클립핑 러그의 일부 또는 전부 사이에 다수의 투여 출구(173)가 배치된다.
이러한 투여 출구(173)는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에 의해 폐쇄되며, 이는 유체가 투여 챔버(2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들 투여 출구(173)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105)와 유사한 방식으로, 특히, 중앙부 및 이러한 중앙부 주위에 배열된 막, 이하, 유출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밸브(105, 109)는 동일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다. 동일한 역류 방지 밸브를 사용하면, 이러한 부품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와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모양은 동일하지만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들 역류 방지 밸브(105, 109)는 제1 실시예의 유입 역류 방지 밸브(5)와 동일하다. 이들 밸브(105, 109)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105, 109)의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투여 챔버(200)의 하부 측면(52)에 압력이 가해질 때, 유출막(50)은 분배 출구(173)를 통해 액체로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여 위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투여 챔버(200)에서 압력이 음압인 경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막(50)에서 하류로부터 상류로 가해지는 힘은 막을 투여 출구(173)와 실린더 몸체부(106)의 정점에 대해 밀어낼 것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출구(173)는 폐쇄될 것이다.
제2 시리즈의 클립핑 러그(139)의 러그는 투여 챔버(200) 위에 돌출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하부 표면(139')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가능성에 따르면, 이러한 하부 표면(139')은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상부 측면(51)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출 방지 밸브(109)의 막(50)으로 하부 표면(139'), 따라서, 투여 챔버의 정점 부분을 덮을 수 있다. 투여 챔버(200)의 정점에서의 무용 부피(dead volume)가 감소된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부(106)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래의 구성들로 구성된다.
- 실린더 몸체부 베이스(160)
- 드럼(114)과 이동 종료 단부에서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린더 몸체부베이스(160)의 바닥에 장착된 환형 팽창부(171);
- 실린더 몸체부(106)와 가압 버튼(180) 사이의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실린더 몸체부 베이스(160)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밀봉 부재(172).
이러한 환형 팽창부(171) 및 상부 밀봉 부재(172)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있거나 동일한 사출 공정동안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사출 공정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밀봉 부재(172)는, 특히, 경사지게 펼쳐진 표면(172')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는 상류에서 하류로 확대된다. 제2 역류 방지 밸브(109)는 막(50)의 에지(53)가 정지 위치와 연결 부재(110)의 통로 오리피스(120)로부터 유체를 흡인하는 동안에 펼쳐진 표면(172') 위와 이에 대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0)는 중간 개구부(O)가 용기(R) 내부의 한쪽면과 연통되고 통로 오리피스(120)와의 다른면과 연통된 상태에서 용기(R)의 목(C)에 장착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투여 출구(173)와 분배 오리피스(181) 사이에 다른 역류 방지 밸브가 추가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분배 헤드(108)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헤드(108)는 가압 버튼(180)을 포함하고, 스프링(104)을 아래쪽으로 압축하면서 실린더 몸체부(106)를 아래쪽으로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유체의 전달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실린더 몸체부(160)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중첩된다.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104)은 가압 버튼(180)을 위로 복귀시키고, 실린더 몸체부(106)를 복귀시켜, 투여 챔버(200) 내의 유체 흡입을 구동시킨다.
투여 출구(173)는 여기에서와 같이 단일 덕트(184)를 통해 가압 버튼(180)의 분배 오리피스(181)에 연결될 수 있고, 상부 공간(182)으로 개방되어 투여 출구(173)는 개방될 때 바로 개방된다.
무용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공간(182)에 감압기(183)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이들 실시예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및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입 역류 방지 밸브(105) 및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가요성 재료,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TPE)로 성형되며,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 밸브들(5, 105, 109)의 막(50)은 0.15 내지 0.3mm의 두께를 갖는다.

Claims (20)

  1.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L)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 101, 201)로서,
    분배될 제품을 둘러싸는 용기(R)의 개방 단부(E)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10, 110, 210);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해 고정 배치되는 피스톤(3, 103, 203);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서 투여 챔버(100, 200, 30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실린더 몸체부(6, 106, 206); 및
    상기 피스톤 상에 장착되고 오목한 형상을 갖는 유입막(50)을 포함하는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105)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투여 챔버의 입구인 투여 입구(35, 135, 235)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상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챔버는 출구인 투여 출구(73, 173, 273)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몸체부는 상기 피스톤을 따라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은 제1 부분(30, 130, 230)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부 또는 전체 주위에 끼워 맞춤되거나 이중 성형된 밀봉 부재(40, 140, 240)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몸체부의 측벽 또는 벽 사이의 밀봉을 강화하며,
    상기 피스톤과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는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거나 후퇴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유입막이 결합부의 상단에 기밀하게 클램핑되어 상기 투여 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부가 전개 위치를 향해 변위하는 동안, 상기 투여 챔버에서 생성된 음압이 가해질 때 상기 유입막의 오목한 형상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투여 입구가 개방되며,
    상기 유입막(50)은 컵 형상을 갖고, 유입 컵 에지(53)가 상기 투여 입구(35, 135, 235)를 향하는 상기 오목한 형상의 주변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 컵 에지(53)는 상기 투여 입구의 주위에 배치되어,
    기밀하게 클램핑되는 동안에는 상기 유입 컵 에지가 상기 밀봉 부재(40, 140, 240)의 상부에 탄성 스트레스하에 지지되고,
    상기 투여 챔버(100, 200, 300)에서 음압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상기 유입 컵 에지가 상기 피스톤의 상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출구(73, 173, 273)와 연통되는 분배 오리피스(81, 181)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투여 출구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되는 유출 역류 방지 밸브(9, 109)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에서 압력이 증가할 때, 상기 투여 출구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사이의 통로가 세척되며,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9, 109) 및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105)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40, 140, 240)는 펼쳐진 표면(45, 145, 245)에 의해 한정되고 그 내부에 투여 입구(35, 135, 235)가 배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확대되는 중앙 개구부(46)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105)는 기밀하게 클램핑되는 동안 상기 유입 컵 에지(53)가 상기 펼쳐진 표면(45, 145, 245) 위에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105)는 상기 피스톤(3, 103)의 상부에 고정된 중앙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막(50)은 상기 중앙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제1 부분(30, 130, 230)의 상부는, 그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54)가 클립핑되는 클립핑 러그(36, 136, 236)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입구(35, 135, 235)는 상기 클립핑 러그와 상기 중앙부 (54)의 클립핑된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핑 러그(36, 236)는 볼록한 상부 부분(36a, 236a)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한 부분의 볼록부가 상기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 103, 203)은 상기 연결 부재(10, 110, 210)의 관형부(12, 112, 2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3)의 스트로크는 상기 밀봉 부재(24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챔버(100, 300)의 정점은 그 내부에 투여 출구(73, 273)가 형성되는 상부벽(64, 264)을 형성하고,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투여 출구(73, 273)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벽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전체적으로 덮히면서,
    상기 덮힘은,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의 표면 하류(51), 또는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의 표면 하류(51) 및 상기 피스톤 (3, 203)의 하나 이상의 부분(41, 24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상기 유입 역류 방지 밸브(5) 및 상기 피스톤 (3, 203)은, 상기 투여 출구(73, 273)를 포함하는 상부벽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벽(64, 264)을 향하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출구(73, 173, 273)와 연통하는 분배 오리피스(81, 181)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출구(73, 173, 273)와 상기 분배 오리피스(81, 181) 사이에 배치된 유출 역류 방지 밸브(9, 109)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출구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사이의 통로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상기 실린더 몸체부(106)의 외부에서 상기 투여 출구(17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유출막(50)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몸체부(106)가 전개 위치로 변위되는 동안,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유출막에 상기 투여 챔버(200)에서 발생된 음압이 가해질 때,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유출막이 상기 실린더 몸체부의 상단에 기밀하게 클램핑되어 상기 투여 배출을 폐쇄하고,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유출막의 오목한 형상이 기밀하게 클램핑된 스트레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몸체부의 상부에 대하여 복귀력을 발생시키도록 변형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부가 움직이지 않거나 이동 종료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109)의 유출막의 오목한 형상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출구와 연통되는 분배 오리피스(81)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9)는 상기 분배 오리피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분배 오리피스의 밀폐부(90);
    상기 밀폐부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탱크막(96); 및
    상기 탱크막에 의해 밀폐된 기밀 탱크(86)를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유출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탱크 외부의 상기 탱크막의 면이, 상기 분배 오리피스(81)와 상기 투여 출구(73, 273)를 연결하는 연통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실린더 몸체부(6, 206)가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해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품에 의해 상기 탱크막에 변형된 스트레스가 가해져, 상기 분배 오리피스의 상기 밀폐부를 해제 구동하며,
    상기 투여 챔버(100, 300)에서 음압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상기 탱크막에 반대 방향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져, 상기 밀폐부를 상기 분배 오리피스의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O)와 연통하도록 의도된 상기 연결 부재 (210)의 상기 통로 오리피스(220)에 장착된 추가 튜브(310)를 포함하여, 상기 튜브의 하단부가 상기 분배 장치 내에서 제품의 입구(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10)는 상기 통로 오리피스(220)보다 20% 이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 오리피스의 아래로 연장되는 내부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 103, 203)은 상기 실린더 몸체부(6, 106, 206)의 측벽 또는 벽과 접촉하는 하부 주변립(42, 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19. 분배될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분배될 제품(L)을 둘러싸는 용기(R); 및
    상기 용기의 개방 단부(O)에 설치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분배 장치(1, 101, 20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10, 110, 210)의 통로 오리피스(20, 120, 220)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0. 삭제
KR1020197029263A 2017-03-07 2018-03-07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KR102487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1827 2017-03-07
FR1751827A FR3063661B1 (fr) 2017-03-07 2017-03-07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amorcage ameliore
PCT/FR2018/050527 WO2018162850A1 (fr) 2017-03-07 2018-03-07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amorçage amélior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419A KR20190125419A (ko) 2019-11-06
KR102487773B1 true KR102487773B1 (ko) 2023-01-12

Family

ID=5925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263A KR102487773B1 (ko) 2017-03-07 2018-03-07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21456B2 (ko)
EP (1) EP3592470B1 (ko)
JP (1) JP7092804B2 (ko)
KR (1) KR102487773B1 (ko)
CN (1) CN110418678B (ko)
CA (1) CA3054595A1 (ko)
ES (1) ES2938629T3 (ko)
FR (1) FR3063661B1 (ko)
PL (1) PL3592470T3 (ko)
RU (1) RU2759648C2 (ko)
WO (1) WO2018162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8586B1 (fr) * 2020-03-26 2022-06-10 Coradin Sas Bouchon adapte pour contenir un fluide
KR20220029414A (ko) * 2020-09-01 2022-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밀봉 부재, 그 제조 방법, 압력 조정 기구, 액체 토출 헤드, 및 액체 토출 장치
FR3114575B1 (fr) 2020-09-29 2022-09-23 Promen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 clapet anti-retour à point dur
FR3139122A1 (fr) 2022-08-30 2024-03-01 Promen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mportant un soufflet hélicoïd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588A (ja) * 2000-10-31 2002-05-08 Yoshino Kogyosho Co Ltd オール樹脂ポンプ
US20130164156A1 (en) * 2010-06-10 2013-06-27 Xavier Donnette Pump for Delivering a Product, Comprising a Piston Sliding in the Metering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524Y (es) * 1983-07-14 1985-04-16 Monturas Y Fornituras S.A. Pistola proyectora de liquidos
US5152461A (en) * 1990-10-01 1992-10-06 Proctor Rudy R Hand operated sprayer with multiple fluid containers
JP2572951Y2 (ja) * 1992-03-18 1998-05-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ノズル
FR2711554B1 (fr) * 1993-10-22 1995-12-22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à reprise d'air commandée.
FR2765560B1 (fr) * 1997-07-02 1999-08-13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liquide ou pateux comportant des moyens de pompage ameliores
ES2182815T3 (es) * 2001-07-17 2003-03-16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e formacion de espuma.
DE10234417A1 (de) * 2002-07-29 2004-02-12 Alfred Von Schuckmann Spender für pastöse bis fließfähige Massen
FR2848618B1 (fr) * 2002-12-13 2006-06-09 Lablabo Pompe doseuse a actionnement manuel
DE102007027889A1 (de) * 2007-06-18 2008-12-24 Megaplast Gmbh & Co. Kg Spender für flüssige bis pastöse Massen
FR2943324B1 (fr) * 2009-03-18 2011-05-27 Promen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a pateux par pompe de dosage a faible volume mort
WO2011038225A1 (en) * 2009-09-24 2011-03-31 Pwristine, Inc. Miniature dispenser for liquids or powders with separable body and reservoir for the liquid or powder
FR2961192B1 (fr) * 2010-06-10 2012-07-27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mprenant une pompe et un embout de distribution
FR2976981B1 (fr) 2011-06-27 2013-07-05 Promens Sa Systeme de fermeture d'un dispositif de distribution a basse pression d'un produit liquide a pateux
FR2987609B1 (fr) * 2012-03-05 2015-07-24 Lindal France Sas Moyens antiaffaissement
EP2921427B1 (en) * 2012-11-16 2020-08-26 Daizo Corporation Dischar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container
FR3008629B1 (fr) * 2013-07-18 2018-03-09 Promens Sa Dispositif de prelev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visqueux, sans reprise d'air
FR3013614B1 (fr) * 2013-11-26 2018-03-23 Nemera La Verpilliere Pompe avec reprise d'air
US10357790B1 (en) * 2018-10-11 2019-07-23 Promens Sa Device for withdrawing and dispensing a viscous product, without taking in 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588A (ja) * 2000-10-31 2002-05-08 Yoshino Kogyosho Co Ltd オール樹脂ポンプ
US20130164156A1 (en) * 2010-06-10 2013-06-27 Xavier Donnette Pump for Delivering a Product, Comprising a Piston Sliding in the Metering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419A (ko) 2019-11-06
EP3592470A1 (fr) 2020-01-15
EP3592470B1 (fr) 2023-01-18
CN110418678A (zh) 2019-11-05
CN110418678B (zh) 2021-10-08
PL3592470T3 (pl) 2023-03-20
FR3063661A1 (fr) 2018-09-14
CA3054595A1 (fr) 2018-09-13
RU2019131146A3 (ko) 2021-04-21
JP7092804B2 (ja) 2022-06-28
US20200047202A1 (en) 2020-02-13
WO2018162850A1 (fr) 2018-09-13
RU2759648C2 (ru) 2021-11-16
US10821456B2 (en) 2020-11-03
FR3063661B1 (fr) 2021-05-21
ES2938629T3 (es) 2023-04-13
RU2019131146A (ru) 2021-04-07
JP2020512246A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773B1 (ko)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KR100603503B1 (ko) 유동체저장용기
US6729501B2 (en) Dose dispensing pump for dispensing two or more materials
US4892231A (en) Pump chamber dispenser
US5617976A (en) Dispenser of liquid or pasty product which can be used especially in cosmetics
US6371333B2 (en) Dispensing pump, dispenser and dispenser unit-assembly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36315B1 (ko) 기밀한 분출구를 갖는 디스펜서
CZ153199A3 (cs) Čerpací dávkovač
JPH03696A (ja) ディスペンサー
EP0307127A1 (en) Collapsible chamber metering valve
RU26643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к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дукта с дозировочной насадкой
US996198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ling pipette
JP2023036891A (ja) 計量装置用の計量ポンプおよび計量装置
US7367478B2 (en) Dosing device for at least one medium
US10518946B2 (en) Head for dispensing a product coming from a container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US20070138209A1 (en) Dispenser pump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JP2007515285A (ja) 流体ディスペンサ部材
US6978913B2 (en) Membrane pump and container equipped therewih
US11185877B2 (en) Dispenser for dispensing liquid or pasty materials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CN112272641A (zh) 用于各种柔性包装的施加器尖端的无进气分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