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321A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321A
KR20210037321A KR1020190119832A KR20190119832A KR20210037321A KR 20210037321 A KR20210037321 A KR 20210037321A KR 1020190119832 A KR1020190119832 A KR 1020190119832A KR 20190119832 A KR20190119832 A KR 20190119832A KR 20210037321 A KR20210037321 A KR 2021003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pening
dropper
cap
dro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177B1 (ko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Priority to KR102019011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1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개구부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포이드캡; 상기 스포이드캡의 상부에 결합된 탄성가압부; 및 상기 탄성가압부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로 유입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캡은 상기 스포이드캡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개구부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매끄러운 형태의 외측면인 상하직선이동외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A spuit-typed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편리성과 자원활용성이 증대된 스포드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포이드캡을 회전하여 스포이드관을 바닥에 닿도록 하거나 용기본체를 기울여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 종래기술과 달리, 스포이드캡을 회전없이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되도록 구비시켜 스포이드관이 용기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곧바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본체의 바닥에 닿도록 하여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사용함에 있어서 별도의 회전이나 기울임이 없이도 사용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능성 화장품(예를 들어, 에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방지제 및 주름살방지제 등)은 대개 내용물이 고가(高價)이고, 주로 콤팩트한 사이즈의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단순히 용기본체와 마개로 구성되는 데, 사용할 때에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밀폐되게 결합된 마개를 열어 화장품을 토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피부에 도포(塗布)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토출량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만큼 고가의 화장품이 손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포이드(Spuit)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화장품을 정량 추출하여 원하는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스포이드캡에 결합되어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흡입/토출하는 스포이드관, 이러한 스포이드관 연계된 탄성가압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8343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이드관 외주연에 메쉬(Mesh)구조의 파쇄공이 형성된 회동가능한 파쇄회동편을 갖는 파쇄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캡슐(Capsule) 또 는 비드(Bead) 타입의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시 파쇄하여 원하는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용기본체를 기울려 위쪽으로 유동된 화장료에 스포이드관이 닿게 하거나, 또는 개구부 상에 회전결합된 스포이드캡을 회전시켜 스포이드관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에 닿도록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에 의해 사용자는 용기본체의 바닥에 화장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를 폐기하는 자원낭비가 발생된다.
이에,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성이 증대되고,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하여 자원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포이드캡을 회전하지 않고도 그리고 용기본체를 기울이지 않고도 스포이드관을 곧바로 아래방향으로 내려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자원활용성의 증대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100);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포이드캡(200);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상부에 결합된 탄성가압부(320); 및 상기 탄성가압부(32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로 유입되는 스포이드관(340)를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은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돌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매끄러운 형태의 외측면인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기 개구부(120)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단턱진 형태의 단턱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220)의 수평길이는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의 수평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하단면이 상기 단턱부(110)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벗어난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돌기가이드부(124); 및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회전제한부(1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220)에는 상기 돌기부(220)의 중앙부분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파인 체결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돌출부(12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222)에 상기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220)는 상기 스포이드캡(200) 하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은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타단에서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일단 쪽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에 유입시킨 후 화장료를 흡입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포이드캡의 내측으로 개구부의 외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스포이드관이 곧바로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에 닿을 수 있어, 스포이드캡이 회전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스포이드관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에 닿을 수 있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편리성이 증대되고 나아가 자원활용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포이드캡을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 후 일정한 회전만으로 스포이드캡이 개구부의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돌기부의 체결홈 및 체결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용기본체를 폐쇄하는 스포이드캡의 체결수단이 간단히 구성되어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포이드캡이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 하단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포이드캡이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된 상태에서, 간단한 회전만으로 스포이드캡이 개구부의 외측면에 체결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0), 스포이드캡(200), 탄성가압부(320) 및 스포이드관(34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0)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100)의 상부는 개구부(120)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료가 스포이드관(340)에 흡입된 상태에서 상술한 개구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된다.
개구부(120)는 외측면에 형성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 돌기가이드부(124), 돌기회전제한부(126) 및 체결돌출부(1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개구부(120)의 외측면 및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는 종래기술과 달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다.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하단까지 하강되는 과정 중,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 상에서 회전되면서 하강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스포이드캡(200)이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다.
스포이드캡(2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가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개구부(120)의 외측면에는 이러한 돌기부(220)가 걸리지 않도록 매끄러운 형태의 외측면인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의 수평길이는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의 수평길이보다 길 수 있다.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스포이드캡(200)의 돌기부(220)가 접촉되면서 하강되는 개구부(120)의 외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상술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이라면 스포이드캡(200)이 곧바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면서 하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캡(200)의 상부에 탄성가압부(320)가 결합되고, 이러한 탄성가압부(3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스포이드관(340)이, 스포이드캡(200)이 하강됨에 따라, 용기본체(100)의 바닥까지 아래방향으로 곧바로 직선이동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화장료에 닿는데 있어서 스포이드캡이 회전됨에 따라 하강되는 불편함이나, 또는 용기본체(100)를 기울려 사용해야 불편함이 없이, 곧바로 스포이드관(340)을 용기본체(100)의 바닥까지 하강시켜 화장료를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가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바, 마찬가지로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상술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 또한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의 형성으로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회전없이 돌기부(220)가 상하 직선이동가능한 바, 결국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 상에서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좀 더 상세하게, 용기본체(100)는 개구부(120)의 하단에서 용기본체(100)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단턱진 형태의 단턱부(110)를 더 포함하는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스포이드캡(200)의 하단면이 단턱부(110)에 접촉될 때까지 스포이드캡(200)의 돌기부(220)가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다. 스포이드관(340)의 하단면이 곧바로 용기본체(100)의 바닥까지 닿을 수 있어 용기본체(100)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료를 편리하게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3 참조).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포드이캡(200)의 내측으로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에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추출되지 않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개구부(120)가 스포이드캡(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체결되어야 하는 바, 이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개구부(120)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제외한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되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돌기가이드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가이드부(124)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돌기회전제한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돌기회전제한부(126)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돌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 상에서 상하직선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스포이드캡(200)이 하강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340)의 하단이 용기본체(100)의 내측 바닥에 닿는다.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 상에서 어느 정도 하강된 상태에서회전된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캡(200) 하부 내측면에서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면에 걸리게 되고, 스포이드캡(200)이 더 회전됨에 따라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최종적으로, 스포이드캡(20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220)가 이동되어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접촉됨에 따라, 돌기부(220)가 돌기회전제한부(126)에 걸리면서 더 이상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되지 않는다.
돌기부(220)의 중앙부분에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파인 형태의 체결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돌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220)가 돌기회전제한부(126)에 걸리면서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면서 돌기부(220)가 체결돌출부(128)에 체결된다. 즉,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과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이상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부(220)는 위방향으로는 돌기가이드부(124)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며, 한쪽 측면 방향으로는 상술한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스포이드캡(200)이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해져야 한다.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돌기부(220)의 이동으로 체결돌출부(128)가 체결홈(222)에서 벗어나고, 더 회전되는 경우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에서 벗어나게 된다.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에서 상하직선이동이 가능하다.
돌기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포이드캡(200)의 하부 내측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돌기부(220)가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따라 어느 정도 하강한 후,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어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이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포이드캡(200)의 회전에 의하여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에 따라 이동되는데, 돌기부(2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은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타단에서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일단 쪽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포이드캡(200)의 회전으로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의 타단 아래에 일단 접촉된 상태에서, 더 회전력이 가해지면 이러한 돌기가이드부(124)의 테어퍼진 하단을 따라 돌기부(220)가 이동되면서, 결국 체결돌출부(128)가 형성된 부분까지 이동되어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게 되어 체결된다(도 4 참조).
돌기부(220)가 아래방향으로 테이퍼진 돌기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더욱 하강하면서 측면방향으로 이동된다. 돌기부(220)가 더욱 하강하면서 결국 스포이드캡(200)이 하강하면서 스포이드캡(200)의 상부 내측면에 개구부(120)의 상단면이 더욱 밀착된다. 개구부(120)가 폐쇄되면서 밀폐된다.
상술한 돌기가이드부(124), 돌기회전제한부(126) 및 체결돌출부(128)는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 또한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는 스포이드캡(220) 하부의 내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 전체 원주 길이에 비해 아주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에서 상하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체결됨에 있어서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어 체결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원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스포이드캡(200)의 상부에 탄성가압부(320)가 결합되고 탄성가압부(320)의 하단에 스포이드관(3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체결되면, 스포이드캡(200)의 상부는 탄성가압부(320)의 결합에 의해 밀폐되고,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과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은 스포이드캡(200)이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인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20)가 개구부(120)의 외측면인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따라 곧바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관(340)의 하단이 곧바로 용기본체(100)의 바닥에 닿을 수 있다.
도 4는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체결된 상태인데, 돌기부(220)가 어느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됨에 따라 돌기부(220)가 돌기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체결홈(222)에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상태이다. 일정한 힘이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지지 않은 이상, 스포이드캡(200)이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단턱부 120: 개구부
122: 상하직선이동외측부
124: 돌기가이드부 126:돌기회전제한부 128: 체결돌출부
200: 스포이드캡
220: 돌기부 222: 체결홈
320: 탄성가압부
340: 스포이드관

Claims (5)

  1. 상부에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100);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포이드캡(200);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상부에 결합된 탄성가압부(320); 및 상기 탄성가압부(32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로 유입되는 스포이드관(340)를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은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돌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 중,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매끄러운 형태의 외측면인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기 개구부(120)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단턱진 형태의 단턱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220)의 수평길이는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의 수평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하단면이 상기 단턱부(110)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상하직선이동외측부(122)를 벗어난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돌기가이드부(124); 및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회전제한부(1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회전이 제한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20)에는 상기 돌기부(220)의 중앙부분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파인 체결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에서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돌출부(12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면이 상기 스포이드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포이드캡(2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220)가 상기 돌기회전제한부(126)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222)에 상기 체결돌출부(128)가 삽입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20)는 상기 스포이드캡(200) 하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하단은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타단에서 상기 돌기가이드부(124)의 측면방향의 일단 쪽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아래방향으로 테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0190119832A 2019-09-27 2019-09-27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26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32A KR102265177B1 (ko) 2019-09-27 2019-09-27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32A KR102265177B1 (ko) 2019-09-27 2019-09-27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321A true KR20210037321A (ko) 2021-04-06
KR102265177B1 KR102265177B1 (ko) 2021-06-14

Family

ID=7547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832A KR102265177B1 (ko) 2019-09-27 2019-09-27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1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614B1 (ko) * 2022-05-25 2022-09-27 정진호 개폐가 용이한 용기 회전식 뚜껑
KR20220166066A (ko) 2021-06-09 2022-12-16 김길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캡 조립장치
USD980065S1 (en) * 2019-12-30 2023-03-07 F.S. Korea Industries Inc. Spuit cap for cosmetic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70Y1 (ko) * 2006-12-13 2007-10-15 (주)연우 스포이트 용기
KR101178596B1 (ko) * 2010-04-28 2012-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101590402B1 (ko) * 2014-09-04 2016-02-01 (주)연우 회전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1918617B1 (ko) * 2017-07-17 2018-11-14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치솔형 마스카라 솔대의 2중 와이핑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70Y1 (ko) * 2006-12-13 2007-10-15 (주)연우 스포이트 용기
KR101178596B1 (ko) * 2010-04-28 2012-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101590402B1 (ko) * 2014-09-04 2016-02-01 (주)연우 회전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1918617B1 (ko) * 2017-07-17 2018-11-14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치솔형 마스카라 솔대의 2중 와이핑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0065S1 (en) * 2019-12-30 2023-03-07 F.S. Korea Industries Inc. Spuit cap for cosmetic container
KR20220166066A (ko) 2021-06-09 2022-12-16 김길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캡 조립장치
KR102448614B1 (ko) * 2022-05-25 2022-09-27 정진호 개폐가 용이한 용기 회전식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177B1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7321A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EP3206527B1 (en)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566803B1 (ko)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1308844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2017512719A (ja) 回転開閉式チューブ容器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US10925374B2 (en) Cosmetic product further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outer surface thereof molten
KR200467356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2001171716A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52942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88290Y1 (ko) 화장품 용기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102140240B1 (ko) 화장품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KR102037523B1 (ko) 내용물 용기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KR10211710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JP6859777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102619824B1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