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523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523B1
KR102037523B1 KR1020180147633A KR20180147633A KR102037523B1 KR 102037523 B1 KR102037523 B1 KR 102037523B1 KR 1020180147633 A KR1020180147633 A KR 1020180147633A KR 20180147633 A KR20180147633 A KR 20180147633A KR 102037523 B1 KR102037523 B1 KR 10203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ap
fixing member
inner cap
ou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이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14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내캡; 및 상기 유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내캡과의 상대 회전으로 상기 내캡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내캡과 상기 외캡의 상대회전 시 꼬이면서 폐쇄되거나, 꼬임이 풀리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캡을 만져서 조작하지 않고도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센스, 로션, 크림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하고, 외부의 해로운 공해나 기온차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에 진정 효과를 부여하므로,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에센스나 로션 등과 같이 점도가 약해 쉽게 흐르는 화장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용기는 화장품이 담겨진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출구에 마련된 뚜껑(캡)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주둥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뚜껑은 주둥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뚜껑을 돌려서 출구를 개방한 뒤 용기 본체를 기울여서 화장품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뚜껑은 나사산 방식 외에도 주둥이에 맞물리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뚜껑으로서의 캡 구조는 사용자가 직접 뚜껑을 조작하여야 하는 즉 직접 돌려서 배출구를 개폐하여야 하는 바와 같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직접 만져서 조작할 필요 없이, 보관 및 사용을 위한 내용물 용기의 들어올림과 같은 1차 적인 과정만으로 배출구의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내캡; 및 상기 유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내캡과의 상대 회전으로 상기 내캡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내캡과 상기 외캡의 상대회전 시 꼬이면서 폐쇄되거나, 꼬임이 풀리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캡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내캡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회오리 형태의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외캡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외캡의 자중에 의해 상기 외캡이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캡에 대하여 상기 외캡이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외캡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내캡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외캡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으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에서 상하 대향되고, 상기 외캡에 상기 내캡이 수용된 제2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캡을 직접 만져서 조작할 필요없이, 내용물 용기를 들어올리거나 뒤집(돌리)는 과정만으로 내용물이 경로하는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고, 내용물 용기를 뒤집기거나 내려놓는 동작만으로 배출구가 폐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동작없이 내용물 용기를 잡아 올리거나 내려놓는 보관 과정만으로 배출구의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내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내캡과 유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외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가 바닥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가 바닥면에 내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가 뒤집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구성을 개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는, 유로부(110), 내캡(120), 외캡(130)을 포함하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20)의 출구가 하부를 향하는 역립형 내용물 용기(100)의 형태를 가지는 구조 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보관/사용 상태에 따라 출구가 상부 및/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보관구조 및 사용형태가 가능하여,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용기본체(20)의 출구가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물 용기(100)를 들어올리는 동작 및 내려놓는 동작만으로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를 이루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역립형 구조의 내용물 용기(100)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사용시에는 출구가 하부를 향하되 보관시에는 출구가 상부를 향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이는 본 실시예의 유로부(110)의 개폐 과정에서 후술하기로 하며, 이러한 과정 즉 내용물 용기(100)의 내려놓음 또는 뒤집기와 같은 단순한 과정만으로 배출구의 폐쇄가 이루어져, 종래의 캡(뚜껑) 조작 과정의 생략으로 사용이 편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캡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캡을 잡아 돌리거나 만질 필요가 없어 한 손으로 배출구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캡(뚜껑)은, 본실시예의 내캡과 외캡과 같이 내용물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20)는,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를 향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펌프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기본체(20)의 측면을 가압하여 용기본체(20)의 내압을 올려서 내용물의 토출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용기본체(20)가 신축 가능한 재질 일례로 내용물의 부피로 인해 팽창된 상태로 이루어져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개방되면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부피가 감소되고 배출구의 폐쇄시 내용물의 배출 및 부피의 감소가 정지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재질/형상/구조를 가질 수 있고, 공지된 용기본체(20)가 적용 가능하다.
유로부(110)는, 용기본체(20)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여 토출되는 배출구를 이룰 수 있으며, 변형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 연질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캡(120)과 외캡(130)의 상대회전 시 꼬이면서 폐쇄되거나, 꼬임(비틀림)이 풀리면서 개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타원형/하트/사각형(비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빨대와 같이 일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꼬임이 용이한 구조(상하 방향으로 트위스트/나선 등의 형태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고, 확장부재(111)가 마련될 수 있다.
확장부재(111)는, 제1 고정부재(121) 및/또는 제2 고정부재(131)에서의 유로부(110)의 고정력 및/또는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서, 유로부(110)의 외측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유로부(110)의 일단과 타단 각각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확장부재(111)가 제1 고정부재(121)의 상하 양측에 맞닿게 마련되어, 유로부(110)의 일단부가 제1 고정부재(121)의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캡(120)과 외캡(130)의 상대 회전에 따른 유로부(110)의 꼬임이 발생하더라도, 유로부(110)의 일단이 내캡(12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부재(111)는, 제1 고정부재(1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유로부(110)의 일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2 고정부재(131)에는 어느 일면에서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고정부재(131)의 양단에서도 한 쌍으로 마련되어 유로부(110)의 타단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는 확장부재(111)와 제1 고정부재(121)/제2 고정부재(131)의 턱 구조를 통한 간섭을 통해 고정력이 향상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확장부재(111)는, 고정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제1 고정부재(121) 및/또는 제2 고정부재(131)에서 유로부(110)가 꼬여 단면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제1 고정부재(121)의 관통된 홀보다 넓은 면적으로 제1 고정부재(121)를 가로막아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확장부재(111)는 생략되고 접착 등의 방식으로 유로부(110)의 일단 및/또는 타단이 제1 고정부재(121)와 제2 고정부재(131)에 고정될 수 있고, 확장부재(111)와 더불어 접착 등의 방식이 함께 이용될 수 있으며, 유로부(110)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121)/제2 고정부재(131)의 내주면의 마찰력이 높게 이루어져 유로부(110)의 꼬임시에도 유로부(110)가 제1 고정부재(121)/제2 고정부재(131)에 밀착되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내캡(120)은, 용기본체(20)의 출구와 결합될 수 있으며, 유로부(110)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121)와 가이드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캡(120)과 용기본체(20)는, 각각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나사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21)는, 유로부(110)가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로부(110)의 일단이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하로 관통되는 하나의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홀의 직경은 유로부(110)의 직경과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1 고정부재(121)는, 관통되는 홀의 주변으로 턱이 마련되어 확장부재(111)의 주변을 구속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확장부재(111)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고, 이는 제2 고정부재(131)의 구조 역시 동일/유사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고정부재(121)에서 유로부(110)가 분리된 상태일 경우, 제1 고정부재(121)는 관통된 홀 구조를 이루므로 제1 고정부재(121) 자체로부터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부(110)의 꼬임과 꼬임 해제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제1 고정부재(121)는 유로부(11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121)의 단면/형상이 유로부(11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제1 고정부재(121)의 외측으로 내용물이 임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121)에 연결된 유로부(110)가 내캡(12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고정부재(121)로부터 유로부(110)의 일단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유로부(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확장부재(111)가 마련되어 제1 고정부재(121)에서의 고정력/밀폐력이 유지/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 고정부재(121)는, 내캡(120)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캡(12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어 유로부(110)의 꼬임시 유로부(110)의 일단이 제2 고정부재(131)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타단과 멀어져 유로부(110)가 내캡(120)과 외캡(130)의 사이에서 꼬임과 더불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1 고정부재(121)와 후술되는 제2 고정부재(131)는, 외캡(130)이 내캡(120)으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에서 상하 대향되어 유로부(11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외캡(130)에 내캡(120)이 수용된 제2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유로부(110)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22)은, 내캡(120)에 대한 외캡(130)의 상대 회전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외캡(130)의 가이드돌기(132)가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캡(120)을 기준으로 외캡(130)이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내캡(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오리(나선) 형태로 이루어진 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캡(120)의 앞뒤 또는 좌우 양측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캡(130)은, 내캡(120)과 상하 일렬로 마련되되 내캡(120)의 일부와 겹쳐지게 이루어져, 내캡(120)의 외측에서 내캡(120)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여 유로부(110)의 꼬임과 꼬임 해제를 이룰 수 있으며, 제2 고정부재(131), 조립홀(131A), 가이드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세로 줄무늬 형태의 리브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시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외캡(130)은, 내캡(120)을 기준으로 외캡(130)이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캡(1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중에 의해 내캡(12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어, 내캡(12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고, 이는 내용물 용기(100)를 내려놓음/들어올림 또는 내용물 용기(100)의 뒤집기(턴오보)를 통해 이룰 수 있으며, 외캡(130)을 직접 사용자가 돌릴 필요 없도록 외캡(130)의 자중으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캡(130)은 유로부(110)의 꼬임/접힘으로 인한 방해로 조작이 저지되지 않는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캡(130)은, 자체적으로 무거운 재질/두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게추와 같이 무게를 증가시키는 구성이 외캡(130)의 내외부에 마련되어 무게가 증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외캡(130)은, 내용물 용기(100)가 보관시, 바닥면(F)에 직접 맞닿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2 고정부재(131)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는 유로부(110)가 바닥면(F)에 닿지 않도록 유로부(110)와 제2 고정부재(131)의 주변이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외캡(130)은 내캡(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외캡(130)의 회전 유무를 즉시 판별할 수 있으면서도 외캡(130)의 무게 증가를 위해 내캡(120)에 대비하여 단면적이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서 비원형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131)는, 제1 고정부재(121)와 유사하게 유로부(11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유로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재(131)가 외캡(130)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외캡(13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어, 제1 고정부재(121)와 유사하게 유로부(110)의 꼬임시 유로부(110)의 타단이 제1 고정부재(121)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일단과 멀어져 유로부(110)가 꼬임과 더불어 접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131)는, 제1 고정부재(121)와 유사하게, 관통되는 홀의 주변으로 턱이 마련되어 확장부재(111)의 주변을 구속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부(11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121)와 달리 조립홀(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121)가 내캡(120)에 마련되어 제1 고정부재(121)의 내측 주변으로 내용물이 위치되기 때문에 제1 고정부재(121)의 단면이 유로부(110)와 동일한 단면으로 구비되어 유로부(110)의 외측 주변으로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과 달리, 외캡(130)의 내부 공간으로는 내용물이 직접 수용되지 않고 유로부(110)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만을 이루므로, 유로부(110)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확장부재(111)의 단면에 대응되는 관통구조의 홀인 조립홀(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조립홀(131A)은 유로부(110)의 조립/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조립홀(131A)은 제2 고정부재(131)로부터 연장되어 제2 고정부재(131)와 조립홀(131A)이 하나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조립홀(131A)을 통해 유로부(110)가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립홀(131A)에 연결된 제2 고정부재(131)는 조립홀(131A)과의 연결지점에서 단면이 감소되어 사용자가 유로부(110)를 눌러 단면을 감소시킬 경우 제2 고정부재(131)로부터 조립홀(131A)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2)는, 내캡(120)을 기준으로 외캡(130)이 회전시 가이드홈(122)을 따라 가이드가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122)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이루어져, 가이드홈(122)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돌기(132)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내캡(120)과 외캡(130)의 분리 방지는, 외캡(130)(및/또는 내캡(120))에 마련되는 턱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턱구조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돌기(132)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내캡(120)이 외캡(1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간섭되게 할 수 있고, 공지된 다양한 이탈 방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부(110)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 용기(100)는, 내용물이 배출시 출구가 하부를 향하고 이때 외캡(130)이 자중에 의해 내캡(120)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면서 하부로 이동하여, 유로부(110)의 꼬임 상태가 해제되어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상하 관통되도록 유로부(110)가 펼쳐짐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할 경우, 사용자가 내용물 용기(100)를 바닥면(F)에 내려놓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즉 종래의 내용물 용기와 같이 캡을 돌리거나 캡을 닫는 등의 추가적인 동작없이, 보관을 위한 내려놓기 동작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내용물의 토출 차단은, 아래의 2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일례로, 용기본체(20)의 출구가 하부를 향한 상태로, 사용자가 내용물 용기(100)를 바닥면(F)에 내려놓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캡(130)은 바닥면(F)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내캡(120)이 외캡(130)의 내측 방향으로 점차 내려져 가이드홈(122)을 따라 가이드돌기(132)가 가이드되어 밀리면서 외캡(130)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캡(120)의 일단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일단을 기준으로, 외캡(130)의 타단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타단이 꼬이면서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의 뒤집기 동작만으로 배출구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내용물 용기(100)를 바닥면(F)에 내려놓을 때, 용기본체(20)의 출구가 상부를 향하도록 출구 방향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턴오버 되도록 내용물 용기(100)를 뒤집는 것만으로 이룰 수 있다. 이때 외캡(130)은 내용물 용기(100)의 뒤집기를 통해 자중으로 하부를 향하게 되어 내캡(120)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동작과 동일/유사하게 가이드홈(122)을 따라 가이드돌기(132)가 가이드되면서 외캡(130)이 회전을 하게 되어, 내캡(120)의 일단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일단을 기준으로, 외캡(130)의 타단에 고정된 유로부(110)의 타단이 꼬이면서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부(110)의 배출구 개방은, 출구가 다시 하방을 향하도록 내용물 용기(100)를 뒤집는(돌리는) 과정을 통해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유로부(110)의 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121)와 제2 고정부재(131)가 대향되고, 유로부(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121)와 제2 고정부재(131)가 편심된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유로부(110)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유로부(110)의 폐쇄시에는 꼬임과 더불어 접힘이 이루어지되, 내캡(120)/외캡(130)의 중심부에서 유로부(110)가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유로부(110)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캡(내캡/외캡)을 직접 만져서 조작할 필요없이, 내용물 용기(100)를 들어올리거나 뒤집(돌리)는 과정만으로 내용물이 경로하는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고, 내용물 용기(100)를 뒤집기거나 내려놓는 동작만으로 유로부(110)의 배출구가 폐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동작없이 내용물 용기(100)를 잡아 올리거나 내려놓는 보관 과정만으로 유로부(110)의 배출구의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내용물 용기 20: 용기본체
110: 유로부 111: 확장부재
120: 내캡 121: 제1 고정부재
122: 가이드홈 130: 외캡
131: 제2 고정부재 131A: 조립홀
132: 가이드돌기

Claims (5)

  1.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내캡; 및
    상기 유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내캡과의 상대 회전으로 상기 내캡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내캡과 상기 외캡의 상대회전 시 꼬이면서 폐쇄되거나, 꼬임이 풀리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내캡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회오리 형태의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외캡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외캡의 자중에 의해 상기 외캡이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내캡에 대하여 상기 외캡이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외캡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내캡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외캡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으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에서 상하 대향되고,
    상기 외캡에 상기 내캡이 수용된 제2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KR1020180147633A 2018-11-26 2018-11-26 내용물 용기 KR10203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33A KR102037523B1 (ko) 2018-11-26 2018-11-26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33A KR102037523B1 (ko) 2018-11-26 2018-11-26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523B1 true KR102037523B1 (ko) 2019-10-28

Family

ID=6842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33A KR102037523B1 (ko) 2018-11-26 2018-11-26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0A (ko) * 2020-02-05 2021-08-13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117A (en) * 1986-10-14 1989-02-14 The Coca-Cola Company Disposable syrup package having integral disposable valve assembly
KR940000980Y1 (ko) * 1991-08-08 1994-02-25 주식회사 전우방제 방충장치
JP2003267417A (ja) * 2002-03-18 2003-09-25 Tombow Pencil Co Ltd 接着液容器
KR101239769B1 (ko) * 2011-03-11 2013-03-11 여태수 자동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117A (en) * 1986-10-14 1989-02-14 The Coca-Cola Company Disposable syrup package having integral disposable valve assembly
KR940000980Y1 (ko) * 1991-08-08 1994-02-25 주식회사 전우방제 방충장치
JP2003267417A (ja) * 2002-03-18 2003-09-25 Tombow Pencil Co Ltd 接着液容器
KR101239769B1 (ko) * 2011-03-11 2013-03-11 여태수 자동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0A (ko) * 2020-02-05 2021-08-13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KR102322690B1 (ko) 2020-02-05 2021-11-04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543B1 (ko)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EP2617317B1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with rotary open and shut-type brush
KR101363349B1 (ko)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30002125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2019535402A (ja) 回転開閉型化粧品容器
KR102037523B1 (ko) 내용물 용기
KR101530580B1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20070020026A1 (en) Airtight applicator dispenser for a product in powder form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55654B1 (ko) 와이드 노즐이 구비된 튜브용기
KR2004683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0461518Y1 (ko) 볼타입 마사지 유닛을 갖는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5155Y1 (ko) 용기
KR101915293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JP6859777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140085847A (ko) 눌러서 여는 뚜껑의 돌려서 짜내는 잔량 확인가능 연고 용기
CN212424108U (zh) 包装瓶
KR20130001774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10011979U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