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207A -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207A
KR20160100207A KR1020150157733A KR20150157733A KR20160100207A KR 20160100207 A KR20160100207 A KR 20160100207A KR 1020150157733 A KR1020150157733 A KR 1020150157733A KR 20150157733 A KR20150157733 A KR 20150157733A KR 20160100207 A KR20160100207 A KR 2016010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pper plate
base
height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안진형
홍정현
민우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to CN201680010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257640B/zh
Priority to EP16749511.8A priority patent/EP3257400A4/en
Priority to US15/512,947 priority patent/US10499730B2/en
Priority to PCT/KR2016/001477 priority patent/WO2016129971A1/ko
Publication of KR2016010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17/036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with sliding or unfolding parts other than leaves 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최소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 사이에 사전에 결정된 값 이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회사나 학교 등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의자와 함께, 컴퓨터와 책을 놓고 업무 또는 교육을 수행하기에 편리하도록 책상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책상들은 높이가 획일적으로 일정하게 만들어지므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없었다.
상기의 공간에서 근무를 하거나 수업을 받는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생활하므로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거나, 책상에 놓여진 책과 눈과의 거리 초점이 맞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등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쌓인다. 이로 인해, 건강한 정신과 육체의 성장에 좋지 못한 영향이 초래되므로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고려하여, 컴퓨터와 책이 받쳐지는 상판의 저면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지지대를 결합하여, 서있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책상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일을 하기 위해 장 시간 서있는 것은 더욱 피곤하므로 이러한 책상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장시간 앉아있는 것으로부터 규칙적으로 스트레칭, 운동 등의 휴식을 취하는 것은 신체 또는 정신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는 현대인의 상황을 고려할 때 제약이 많다. 따라서, 계속적인 업무가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건강을 고려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인 책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높이 조절 책상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책상 중 일부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책상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 형태를 갖고 있으나, 이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높이 조절 책상의 다른 예로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와 이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것들도 소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수동 조작식 높이 조절 책상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이점이 있다.
다만, 책상을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노출된 링크 기구에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판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도, 손까락 등이 끼일 우려가 없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베이스와;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최소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 사이에 사전에 결정된 값 이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링크에 구비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상판이 최소 위치에서 양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링크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활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리와;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최소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 사이에 사전에 결정된 값 이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를 덮는 측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제한 부재에 의해서 상판의 최소 높이가 사전에 결정된 높이로 제한되므로 상기 최소 높이를 충분히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베이스 및 상판 사이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한 부재를 별도로 두는 것이 아니라 링크의 일부를 변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상판과 베이스를 분리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고정다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과 고정다리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받침대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베이스를 분리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상판이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18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상판이 최저 높이로 하강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상판이 스토퍼에 의해 상승 제한될 때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상판이 스토퍼에 의해 하강 제한될 때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후방측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수평 유지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25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측면도,
도 31은 상기 제1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이고, 도 2는 상판과 베이스를 분리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베이스(120)와, 상판(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0)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하면이 지면 또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20)의 전방에는 후방을 향해 소정거리 함몰되는 함몰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122)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에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상판(110)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판(110)은 함몰홈(122)을 포함한 베이스(1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업무 또는 학습 도구들이 놓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판(110)의 상면에는 모니터, 책, 키보드 등 다양한 도구들이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판(110)의 후방부에는 전방을 향해 함몰되는 배선 수용홈(187)이 형성될 수 있다. 배선 수용홈(187)은 상판(110)의 후방부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판(110)에 구비될 수 있다. 배선 수용홈(187)에는 상판(110)에 놓여지는 업무 도구 중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판(110)에 컴퓨터 모니터가 놓여질 경우, 컴퓨터 모니터로 전력을 제공하는 배선이 배선 수용홈(187)에 수용됨으로써 보다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다.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판(110)과 베이스(120)를 연결하며, 베이스(120)에 대한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상판(110)의 아래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베이스(120)와 상판(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11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시 상판(11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상판(110)을 베이스(12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재(130,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0,140)는 상판(110)과 베이스(120)와 거리가 변화되게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0,140)는 상판(110)과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0, 140)는 상판(110)의 후방 측 저면으로부터 베이스(120)의 전방 측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재(130)와, 상판(110)의 전방 측 저면으로부터 베이스(120)의 후방 측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는 상판(110)과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는 옆에서 볼 때, 대략 'X'자 형태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30)는 일단이 베이스(120)의 전방 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16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판(110)의 후방 측 저면에 구비되는 제 1 이동프레임(165)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이동부(169)와 결합된다. 제 1 결합부(160)와 제 1 이동프레임(165)은 제 1 연결부재(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베이스(120)의 상면 양측과 상판(110)의 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 1 결합부(160)는, 하면이 베이스(120)의 상면에 나사 또는 링크를 통해 결합되는 제 1 수평부(164)와, 제 1 수평부(164)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제 1 연결부재(1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 1 수직부(1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수직부(162)의 측면에 제 1 연결부재(13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제 1 연결부재(130)로부터 제 1 수직부(162)를 관통하는 힌지핀(131)에 의해 제 1 연결부재(13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 1 이동프레임(165)은 상판(110)의 후방 측 하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 1 이동프레임(165)은, 상면이 상판(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 1 상면부(166)와, 제 1 상면부(166)의 일측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측면부(167)와, 제 1 측면부(167)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하면부(168)를 포함한다. 제 1 상면부(166)와 제 1 측면부(167) 와 상기 제 1 하면부(168)에 의해 제 1 이동프레임(165)의 단면 형상은 대략 ㄷ 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제 1 이동프레임(165)의 제 1 상면부(166)와 제 1 측면부(167)와 제 1 하면부(16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 1 이동부(169)의 외면이 접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 1 이동부(169)의 측면에는 제 1 연결부재(13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제 1 이동부(169)가 제 1 이동프레임(165)을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제 1 연결부재(130)의 기울기가 변경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연결부재(130)는 제 1 수직부(162)와의 힌지 결합과 제 1 이동부(169)와의 힌지 결합을 통해, 상판(110) 및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재(130)가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제 1 이동부(169)가 제 1 이동프레임(165)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 1 연결부재(130)가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제 1 이동부(169)가 제 1 이동프레임(165)의 후방에 가깝게 위치한다. 제 1 연결부재(130)의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제 1 연결부재(130)의 일단은 제 1 결합부(160)를 통해 회동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140)는 일단이 상판(110)의 전방 측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145)와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120)의 후방 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 2 이동프레임(170)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이동부(144)에 결합된다. 제 2 결합부(145)와 제 2 이동프레임(170)은 제 2 연결부재(140)의 개수에 대응하여 베이스(120)의 상면 양측과 상판(110)의 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 2 결합부(145)는, 상면이 상판(110)의 하면에 나사 또는 링크를 통해 결합되는 제 2 수평부(146)와, 제 2 수평부(146)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제 2 연결부재(1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 2 수직부(14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수직부(147)의 측면에 제 2 연결부재(14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연결부재(140)로부터 제 2 수직부(147)를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제 2 연결부재(14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2 이동프레임(170)은 베이스(120)의 후방 측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 2 이동프레임(170)은 하면이 베이스(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2 하면부(172)와, 제 2 하면부(172)의 일측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측면부(174)와, 제 2 측면부(174)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상면부(176)를 포함한다. 제 2 하면부(172)와 제 2 측면부(174)와 제 2 상면부(176)에 의해 제 2 이동프레임(165)의 단면 형상은 대략 ㄷ 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제 2 이동프레임(170)에는, 상기 제 2 하면부(172)와 상기 제 2 측면부(174)와 상기 제 2 상면부(17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슬라이딩 이동 하도록 제 2 이동부(144)가 구비된다.
제 2 이동부(144)의 측면에는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제 2 이동부(144)가 제 2 이동프레임(170) 상을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제 2 연결부재(140)의 기울기가 변경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연결부재(140)는 제 2 수직부(147)와의 힌지 결합과 제 2 이동부(144)와의 힌지 결합을 통해, 상판(110) 및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재(140)가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제 2 이동부(144)가 제 2 이동프레임(170)의 전방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 2 연결부재(130)가 상기 베이스(120)와 이루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제 2 이동부(144)가 제 2 이동프레임(170)의 후방에 가깝게 위치한다.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제 2 연결부재의 일단은 제 2 결합부(145)를 통해 회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 1 결합부(160)와 제 2 결합부(145)는 상판(110)의 하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 1 이동프레임(165)과 제 2 이동프레임(170)은 상판(110)의 하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가 상호 교차하는 영역에는 회전 중심을 형상하는 회동축(150)이 끼워진다. 상세히, 회동축(150)의 양단부는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30, 140)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가 교차하는 영역에는 회동축(150)이 끼워지도록 각각 상호 대응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회동축(150)의 양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회동축(150)을 통해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는 상대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동축(150)은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에 의해 형성되는 'X'자 형상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양측에 각각 복수로 배치되는 제 1 연결부재(130)에는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30)가 평행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 1 연결부재(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 1 연결부재(130)의 내측면에 연결된 결합축(155)이 연결부재 커넥터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양측에 각각 복수로 배치되는 제 2 연결부재(140)에는 복수의 제 2 연결부재(140)가 평행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 2 연결부재(140)를 연결하는 커넥터(14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상판(110)의 높이가 가변되게 설치된 높이조절기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는 가스 스프링과 유압 슬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30)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20)에는 결합축(155)의 양 단부가 끼워진다. 결합축(155)은 후술할 높이조절기구(180)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고, 복수로 구비되는 제 1 연결부재(130)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30)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판(110)의 전방 측 하면에는 높이조절기구(180)의 또 다른 단부가 끼워지는 높이조절기구 결합부(115)가 구비된다. 높이조절기구 결합부(115)는 상기 상판(110)의 하면 중 전단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높이조절기구 결합부(115)는 상판(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몸체(116)와, 결합부 몸체(116)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높이조절기구(180)의 단부가 통과되도록 축이 구비되는 결합부 연장체(117)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 결합부(115)는 각각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이 높이조절기구 결합부(115)에 끼워지고, 타단이 결합축(155)에 끼워지는 높이조절기구(180)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기구(180)은 중공의 튜브 형상의 실린더(181)와, 실린더(181) 안의 중공 부분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182)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린더(18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부(184)에 홀(184a)이 형성되어, 결합축(155)이 홀(184a)을 관통함으로써 높이조절기구(180)의 타단을 고정시킨다. 또한, 피스톤 로드(182)의 상부에는 마찬가지로 결합부 연장체(117)에 구비된 축이 통과하도록 홀(182a)이 형성되며, 결합부 연장체(117)의 축이 홀(182)을 통과함으로써 높이조절기구(180)의 일단을 고정시킨다.
한편, 높이조절기구(180)은 피스톤 로드(182)가 실린더(181)에 대하여 상하 동작됨으로써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실린더(181) 의 내부에는 가스가 주입되고, 가스가 피스톤 로드(182)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피스톤 로드(182)의 위치가 변경된다. 피스톤 로드(182)의 상측에는 내부 가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가스 개폐 핀과 가스 개폐 핀을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가이드가 구비되고, 개폐 가이드에 케이블(189)의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블(189)이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높이조절기구(180) 내의 가스가 이동되고, 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182)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189)이 당겨지는 힘이 해제되면, 피스톤 로드(182)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높이조절기구(180)은 버튼부(195)의 동작을 통해 케이블(189)을 당겨져서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으로써, 가스 또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이라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에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높이조절기구(180)은 가스 스프링 외에도 유체 및 공기의 압력을 통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도 채용 가능하다.
상판(110)의 하부 양측에는 상판(110)의 하면에 결합되며, 케이블(189)의 타단이 끼워지는 버튼부(195)가 배치되도록 조작부(190)가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기구(180)이 두 개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하였으므로, 조작부(190)도 각각 상판(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블(189)은 일단이 피스톤 로드(182)에 끼워지고 타단이 버튼부(195)에 끼워져, 버튼부(195)의 가압력이 케이블(189)을 통해 개폐 가이드에 전달됨으로써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상판(110)의 높이가 가변 된다. 사용 예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다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면에 놓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판(110)이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120)에 가깝게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앉은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상판(110)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로 이동될 경우에는 상판(110)의 눈높이에 맞추어 서있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조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버튼부(195)에 푸쉬가 가해지고, 케이블(189)을 거쳐 높이조절기구(180)에 외력이 전달된다. 즉, 버튼부(195)가 푸쉬된 상태에서는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상태로서 이해된다. 다시 말하면, 버튼부(195)를 푸쉬한 상태에서는 상판(110)이 높이조절기구(180)의 내부에 있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베이스(120)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높이조절기구(180)은 버튼부(195)의 푸쉬로 인해 내부 가스가 압력을 작용하여, 피스톤 로드(182)가 상방으로 올라옴으로써 길이가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0)의 높이를 높일 경우 버튼부(195)를 푸쉬하게 되고, 상판(110)의 높이를 낮출 경우에는 버튼부(195)를 푸쉬한 상태에서 상판(110)을 하방으로 미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높이조절기구(180)의 높낮이는 가변되고, 제 1 이동부(169)와 제 2 이동부(144)가 각각 제 1 이동 프레임(165)과 제 2 이동프레임(17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판(110)은 버튼부(195)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이동 중에도 높이조절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110)의 높이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높이 사이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상판(11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로 들면, 사용자의 하방으로 미는 힘에 의해,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제 2 이동부(144)는 상기 제 2 이동프레임(170) 상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될 것이다. 그리고, 제 1 연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40)는 베이스(120)와 형성하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측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판(110)이 상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버튼부(195) 만을 푸쉬함으로써,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길어지고, 제 2 이동부(144)는 제 2 이동프레임(170) 상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될 것이다. 그리고, 제 1 연결부재(130)와 상기 제 2 연결부재(140)는 베이스(120)와 형성하는 각도가 커지도록 상측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버튼부(195)의 조작을 통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앉아 있는 사용자는 상판(110)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보다 활동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고정다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지지다리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과 고정다리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120)의 하면에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을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다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다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면에 놓여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필요하게 되므로, 고정다리(200)를 통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정다리(200)는 베이스(120)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202)와, 하면에 고정다리(2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레그(210)가 결합되는 레그 결합부(209)와, 베이스 결합부(202)와 상기 레그 결합부(209)를 연결시키는 고정다리 몸체(205)를 포함한다.
베이스 결합부(202)의 단면 형상은 베이스(120)의 저면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20)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결합부(209)의 하면에는 레그(210)가 구비되어 고정다리(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레그(210)는 레그 결합부(209)의 하면 네 모서리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다리 몸체(205)는 베이스 결합부(202)와 레그 결합부(209)를 연결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높이를 형성한다. 고정다리 몸체(205)의 높이는 사용자의 의도와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조절되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하부에 고정다리(200)를 구비함으로써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다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환경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베이스(120)의 하면에는 지지다리(19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99)는 베이스(120)의 하면 중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다리(199)는, 고정다리 하부(199b)가 고정다리 상부(199a)로 대하여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까지의 상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받침대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보조 받침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220)에는, 상판(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보조 받침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받침대(230)는 상면이 제 2 결합부(145) 중 제 2 수직부(147)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세히, 보조 받침대(23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링크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홀(231)은 보조 받침대(230)의 후방에 인접하여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수직부(147)의 하면에는 보조 받침대(230)와 제 2 수직부(147)를 결합시키기 위한 링크부재(148)가 끼워지도록 링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보조 받침대(230)의 결합은, 상판(110)의 하부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는 제 2 수직부(147)의 하면에, 링크홀(231)과 링크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보조 받침대(230)가 맞대어, 링크부재(148)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링크홀(231) 및 링크부재(148)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보조 받침대(230)를 상판(110)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220)에 보조 받침대(23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많은 업무도구가 놓여질 수 있다. 일 예로 상판(110)의 상면에 컴퓨터 모니터가 배치될 경우 보조 받침대(230)의 상면에는 키보드를 구비함으로써, 상판(110)의 상면에 보다 넓은 여유 공간을 갖출 수 있다.
한편, 베이스(12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베이스(120)의 상면이 가려지도록 측벽(125)이 구비될 수 있다. 측벽(125)은 베이스(120)의 상면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20)의 측면에 결합된다. 측벽(125)이 결합될 경우,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에 먼지, 이물질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220)의 외관을 보다 세련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높이조절기구의 결합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300)은, 높이조절기구(180)이 베이스(1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세히,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300)은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상판(110)과 하판(120)의 사이에서 상판(110)을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연결부재(130) 및 제 2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연결부재(140)의 일단은 상판(110)의 전방 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145)의 제 2 수직부(147)와 힌지 결합되고,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은 제 2 이동프레임(170) 상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이동부(144)의 일면에 힌지 결합된다.
이 때, 높이조절기구(180)은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에서 제 2 이동부(144)와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피스톤 로드(182)의 단부가 결합된다. 즉, 제 2 연결부재(140) 타단의 일면은 제 2 이동부(144)와 결합되고, 제 2 연결부재(140) 타단의 타면은 피스톤 로드(182)의 단부가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피스톤 로드(182)은 단부에 형성된 홀(182a, 도 4 참조)을 통해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을 관통하여 제 2 이동부(144)에 삽입되는 핀(P)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기구(180)은 피스톤 로드(182)의 단부가 제 2 연결부재(140)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181)의 베이스(12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 피스톤 로드(18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개폐 가이드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케이블(189)은, 상판(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버튼부(195)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300)의 높낮이 조절은 제 1 실시예의 따른 높낮이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버튼부(195)를 푸쉬한 상태에서 상판(110)을 하방으로 밀거나 상방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사시도 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베이스를 분리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하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높이조절기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400)은, 상판(110)이 베이스(120)의 상부에서 제 2 연결부재(140)와 높이조절기구(180)을 통해 지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부재(130)가 제외된다.
상세히, 제 2 연결부재(140)는 일단이 상판(110)의 전방 측 하면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145)와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120)의 후방 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 2 이동프레임(170)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이동부(144)에 결합된다. 그리고, 높이조절기구(180)은 일단이 베이스(120)의 전방 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16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판(110)의 후방 측 저면에 구비되는 제 1 이동프레임(165)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이동부(169)와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따른 제 1 연결부재(130)의 위치에 높이조절기구(180)이 배치되는 것이다.
높이조절기구(180)의 일단은 실린더(181)의 단부에 형성된 홀(184a, 도 4참조)을 관통하는 핀(403)을 통해 제 1 수직부(162)의 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높이조절기구(180)의 타단은 피스톤 로드(182)의 단부에 형성된 홀(182a)을 관통하는 핀(405)을 통해 제 1 이동부(169)의 일면에 결합된다. 핀들(403, 405)을 통한 결합은 힌지 결합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기구(180)가 상판(110)과 베이스(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182)의 상하 이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82)는 실린더(181)의 내부로 삽입되어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판(110)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피스톤 로드(182)는 상기 실린더(181)의 외부로 빠짐으로써 높이조절기구(180)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상판(110)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400)의 조작방법은 버튼부(195)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조작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부재를 높이조절기구(180)로 대체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상판이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18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상판이 최저 높이로 하강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베이스(120)와; 상판(110)과;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11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L)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은 탑 플레이트(111)와, 탑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1)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탑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모니터나 전화기나 각종 서류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복수개가 탑 플레이트(1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상부 프레임(112)는 탑 플레이트(111)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부 프레임(112)는 탑 플레이트(111)의 좌측부 아래에 배치되는 좌측 상부 프레임과, 탑 플레이트(111)의 우측부 아래에 배치되는 우측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를 안내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는 탑 플레이트(111)의 저면에 위치되게 탑 플레이트(111)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탑 플레이트(11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탑 플레이트(111)에 체결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측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은 탑 플레이트(111)와 이격되는 로어 플레이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113)은 탑 플레이트(111)와 높이차를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어 플레이트(113) 상면에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113)은 플레이트 커넥터(114)를 통해 탑 플레이트(111)와 상부 프레임(1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 커넥터(114)는 탑 플레이트(111)와 로어 플레이트(113)가 단차를 갖고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로어 플레이트(113)는 플레이트 커넥터(114)에 매달려서 유지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113)는 플레이트 커넥터(114)의 하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 커넥터(114)는 복수개가 탑 플레이트(1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 커넥터(114)는 탑 플레이트(111)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 커넥터(114)는 탑 플레이트(111)의 좌측부 아래에 배치되는 좌측 플레이트 커넥터와, 탑 플레이트(111)의 우측부 아래에 배치되는 우측 플레이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113)은 좌측 플레이트 커넥터와 우측 플레이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하부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1)은 상판(110)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1)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하부 프레임(121)은 상판(110)의 좌측 아래에 위치하는 좌측 하부 프레임과, 상판(110)의 우측 아래에 위치하는 우측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복수개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커넥터(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프레임 커넥터(1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은 상판(110)의 아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우측 하부 프레임은 상판(110)의 아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 커넥터(123)는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을 잇게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좌측부가 좌측 하부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잇고, 우측부가 우측 하부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 기구(L)는 좌측 하부 프레임과 좌측 상부 프레임을 잇는 좌측 링크 기구와, 우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상부 프레임을 잇는 우측 링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기구(L)는 회동 축(15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링크(L1)(L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링크 기구와 우측 링크 기구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탑 플레이트(111)의 하측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잇다. 좌측 링크 기구와 우측 링크 기구 각각은 회동 축(150)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링크(L1)(L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좌측 링크 기구와 우측 링크 기구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링크 기구(L)로 칭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적어도 하나는 상판(110)의 최대 하강시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하는 제한 부재(130A)(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판(110)이 베이스(120)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까지만 하강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높이의 틈(G)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끼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판(110)이 소정 높이 이하로 하강될 때, 상판(110)과 베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설정 높이를 갖는 별도의 스페이서가 상판(110)과 베이스(120) 중 다른 하나에 접촉되어 상판(110)과 베이스(120)가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10)과 베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한 부재가 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판의 높이가 낮아지게 한 쌍의 링크(L1)(L2)가 접혀질 때,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부가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에 접촉되어 한 쌍의 링크(L1)(L2)가 소정 각도 미만으로 접혀지지 않게 제한할 수 있고, 상판(110)과 베이스(120)는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부는 제한 부재가 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판(110)이 소정 높이 이하로 하강될 때, 상판(110)이 자력에 의해 소정 높이 미만으로 하강되지 않게 제한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는 상판(110)과 베이스(120)에 서로 척력을 작용하는 방향으로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10)과 베이스(120)에 서로 척력을 작용하게 설치된 마그네트는 제한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한 부재는 상판(110)의 최대 하강시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정 높이의 틈을 신뢰성 높게 실현할 수 있는 제한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링크(L1)(L2) 자체가 상판(120)과 베이스(110) 사이에 설정 높이의 틈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링크(L1)(L2)는 적어도 1회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각각은 절곡부(130A)(140A)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게 돌출된 한 쌍의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부는 상판(110)이 최대로 하강되었을 때,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높이 차에 의해 상판(110)은 베이스(120)와 접촉되지 못하고, 상판(110)과 베이스(120)의 사이에는 설정 높이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각각은 절곡북(130A)(140A)와, 절곡북(130A)(140A)와 둔각을 갖고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된 제 1 링크부(130B)(140B)와; 절곡북(130A)(140A)와 둔각을 갖고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다른 하나에 안내되는 이동부(169)(144)가 설치된 제 2 링크부(130C)(14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는 하부 프레임(121)의 대략 전방부에 힌지 핀(130D)으로 힌지 연결된 제 1 링크부(130B)와, 상부 프레임(112)를 따라 안내되는 이동부(169)가 힌지 핀(169A)으로 힌지 연결된 제 2 링크부(130C)와, 제 1 링크부(130B)와 제 2 링크부(130C)를 잇는 절곡북(130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는 상판(110)의 최대 하강시, 제 2 링크부(130B)가 제 1 링크부(130B) 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판(110)은 제 2 링크부(130B)와 제 1 링크부(130B)의 높이 차 만큼 하강되지 못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는 절곡북(130A)와, 제 1 링크부(130B) 및 제 2 링크부(130C)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연결부재(130)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부(130C)에 힌지 핀(169A)으로 힌지 연결된 이동부(169)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이동부(169)로 기능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는 상부 프레임(112)의 대략 전방부에 힌지 핀(140D)으로 힌지 연결된 제 1 링크부(140B)와, 상부 프레임(112)를 따라 안내되는 이동부(144)가 힌지 핀(114A)으로 힌지 연결된 제 2 링크부(140C)와, 제 1 링크부(140B)와 제 2 링크부(140C)를 잇는 절곡북(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는 상판(110)의 최대 하강시, 제 2 링크부(140B)가 제 1 링크부(140B) 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판(110)은 제 2 링크부(140B)와 제 1 링크부(140B)의 높이 차 만큼 하강되지 못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는 절곡북(140A)와, 제 1 링크부(140B) 및 제 2 링크부(140C)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연결부재(140)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부(140C)에 힌지 핀(144A)으로 힌지 연결된 이동부(14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이동부(144)로 기능할 수 있다.
절곡북(130A)(140A)에는 회동 축(15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회동 축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절곡북(130A)(140A)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회동 축(150)이 연결되는 회동 축 연결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에 피스톤 로드(182)가 연결된 높이조절기구(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기구(180)은 그 구성 및 기능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높이조절기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높이조절기구(180)는 피스톤 로드(182)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182)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에 연결되는 힌지 축(182b)가 구비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182)는 힌지 축(182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하부에 힌지 축(184b)이 구비될 수 있고, 힌지축(184b)은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축(184b)는 높이조절기구(180)의 실린더에 구비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0)의 실린더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은 결합축(155) 없이, 높이조절기구(180)가 한 쌍의 링크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에는 힌지 축(184b)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 홀(140E)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조작 레버(295)와; 조작 레버(295)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과;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1)(L2) 중 하나(L2)에 연결된 높이조절기구(1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레버(295)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버튼부(195) 대신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레버(295)는 상판(110)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 레버(295)를 잡고 상측으로 회동시킬 때 케이블이 작동되어 높이조절기구(180)을 조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케이블이 적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기구(180)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높이조절기구(180)이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과 높이조절기구(180)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판(110)에는 수평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 회전축 지지부(1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 회전축 지지부(118)는 탑 플레이트(111)와 상부 프레임(112)와 플레이트 커넥터(11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판(110)의 상부 프레임(112)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112A)와,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가 안내되는 가이드부(112B)가 함께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연결부(112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결합부(145)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고, 가이드부(11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이동 프레임(165)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12)은 힌지 연결부(112A)와, 가이드부(112B)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이스(120)의 하부 프레임(121)은 한 쌍의 링크(L1)(L2) 중 어느 하나(L1)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121A)와, 한 쌍의 링크(L1)(L2) 중 다른 하나(L2)가 안내되는 가이드부(121B)가 함께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연결부(121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결합부(160)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고, 가이드부(121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이동 프레임(170)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21)은 힌지 연결부(121A)와, 가이드부(121B)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조작 레버(295)를 손으로 잡고 상측 방향으로 올릴 수 있고, 조작 레버(295)는 수평 회전축 지지부(118)에 지지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 레버(295)의 회전시, 조작 레버(295)에 연결된 케이블은 높이조절기구(180)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0) 내부의 피스톤 로드(182)에는 가스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기구(180)는 피스톤 로드(182)가 상판(11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110)이 들어올려질 때, 제 1 링크(L1)의 이동부(169)는 상부 프레임(112)를 따라 상부 프레임(112)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1 링크(L1)은 하부 프레임(121)의 힌지 연결부(121A)를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점차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판(110)이 들어올려질 때, 제 2 링크(L2)의 이동부(144)는 하부 프레임(121)을 따라 하부 프레임(121)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링크(L2)는 상부 프레임(112)의 힌지 연결부(112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점차 세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링크(L1)과 제 2 링크(L2)의 회전시, 제 1 링크(L1)과 제 2 링크(L2)는 제 1 링크(L1)의 절곡북(130A)와 제 2 링크(L2)의 절곡북(140B)가 회동 축(150)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펼쳐질 수 있고, 상판(110)은 제 1 링크(L1)와 제 2 링크(L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판(110)의 상승시, 제 2 링크(L2)의 제 1 링크부(140B)는 제 1 링크(L1)의 제 1 링크부(130B) 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고, 제 1 링크(L2)의 제 2 링크부(130C)는 제 2 링크(L2)의 제 2 링크부(140C) 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다.
제 2 링크(L2)의 제 1 링크부(140B)와 제 1 링크(L1)의 제 1 링크부(130B)의 사이의 각도가 커질 때, 제 1 링크(L2)의 제 2 링크부(130C)와 제 2 링크(L2)의 제 2 링크부(140C) 사이의 각도는 커질 수 있고, 상판(110)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판(110)이 희망하는 높이에 이르면, 상판(110)을 더 이상 들어올리지 않고, 조작 레버(295)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조작 레버(295)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 레버(295)의 하측 방향 회전시, 케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은 해제되고, 피스톤 로드(182)의 위치는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182)의 위치 고정시, 높이조절기구(180)은 제 1 링크(L1)와 제 2 링크(L2) 중 힌지 연결된 링크(L2)에 지지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182)는 상판(110)을 지탱하여 상판(110)이 임의 하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110)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11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 조작 레버(295)를 손으로 잡고 상측 방향으로 다시 올릴 수 있고, 조작 레버(295)는 수평 회전축 지지부(118)에 지지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 레버(295)의 회전시, 조작 레버(295)에 연결된 케이블은 높이조절기구(180)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0) 내부의 피스톤 로드(182)에는 가스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기구(180)은 피스톤 로드(182)가 상판(110)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조작 레버(295)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판(110)을 내릴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0)의 피스톤 로드(182)는 높이조절기구(180)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110)이 내려질 때, 제 1 링크(L1)의 이동부(169)는 상부 프레임(112)를 따라 상부 프레임(112)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1 링크(L1)은 하부 프레임(121)의 힌지 연결부(121A)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10)이 내려질 때, 제 2 링크(L2)의 이동부(144)는 하부 프레임(121)을 따라 하부 프레임(121)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링크(L2)는 상부 프레임(112)의 힌지 연결부(112A)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링크(L1)과 제 2 링크(L2)의 회전시, 제 1 링크(L1)과 제 2 링크(L2)는 제 1 링크(L1)의 절곡북(130A)와 제 2 링크(L2)의 절곡북(140B)가 회동 축(150)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혀질 수 있고, 상판(110)은 제 1 링크(L1)와 제 2 링크(L2)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판(110)의 하강시, 제 2 링크(L2)의 제 1 링크부(140B)는 제 1 링크(L1)의 제 1 링크부(130B)와 근접하게 하강될 수 있고, 제 1 링크(L2)의 제 2 링크부(130C)는 제 2 링크(L2)의 제 2 링크부(140C)와 근접하게 하강될 수 있다.
제 2 링크(L2)의 제 1 링크부(140B)와 제 1 링크(L1)의 제 1 링크부(130B)의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 때, 제 1 링크(L2)의 제 2 링크부(130C)와 제 2 링크(L2)의 제 2 링크부(140C) 사이의 각도는 작아질 수 있고, 상판(110)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판(110)의 하강시, 제 1 링크(L1)와 제 2 링크(L2)는 제 1 링크부와 절곡북과 제 2 링크부의 절곡 구조에 의해 도 18과 같이 상판(110)과 베이스(120)의 사이에 설정 높이의 틈(G)이 형성되는 위치에 정지될 수 있고, 상판(110)는 베이스(120)와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하는 위치까지만 하강될 수 있다.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설정 높이의 틈(G)이 형성되는 경우,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판(110)과 베이스(12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판(110)이 베이스(120)와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하는 높이로 하강되고, 더 이상 하강되지 않으면, 조작 레버(295)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조작 레버(295)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 레버(295)의 하측 방향 회전시, 케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은 해제되고, 피스톤 로드(182)의 위치는 고정되며, 상판(1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0)와 설정 높이의 틈(G)을 형성하는 높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상판이 스토퍼에 의해 상승 제한될 때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상판이 스토퍼에 의해 하강 제한될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하부 프레임(121)에 한 쌍의 링크(L1)(L2) 중 하나(L2)가 걸리는 스토퍼(50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한 쌍의 링크(L1)(L2) 중 하나의 이동 경로(P1부터 P2까지) 상에 위치 가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토퍼(500)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편의를 위해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제 5 실시예와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토퍼(500)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한 쌍의 링크(L1)(L2) 중 하나의 이동부(144)는 하부 프레임(121)의 이동 경로(P1부터 P2까지)를 따라 전후 안내될 수 있다.
스토퍼(500)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이동부(144)는 전방 방향(F)으로 최대 전진되는 위치인 최전방 위치(P1)와, 후방 방향(R)로 최대 후퇴되는 휘치인 최후방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이동부(144)가 최전방 위치(P1)를 향해 전진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4)가 최전방 위치(P1)로 도달되기 이전에 구속되게 하부 프레임(121)에 설치될 수 있고, 최전방 위치(P1)를 향해 전진되던 이동부(144)는 스토퍼(500)에 전방 방향(F)으로 걸려 더 이상 전방 방향으로 전진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스토퍼(500)는 이동부(144)가 최후방 위치(P2)를 향해 후퇴될 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4)가 최후방 위치(P2)로 도달되기 이전에 구속되게 하부 프레임(121)에 설치될 수 있고, 최후방 위치(P2)를 향해 후퇴되던 이동부(144)는 스토퍼(500)에 후방 방향(R)으로 걸려 더 이상 후방 방향으로 후퇴되지 못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이동부(144)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부(144)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이동부(144)의 실제 이동 경로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동부(144)의 이동 가능 경로는 최전방 위치(P1)와 최후방 위치(P2) 사이인데, 스토퍼(500)가 도 19과 같이, 최전방 위치(P1) 보다 후방인 위치에 이동부(144) 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면, 이동부(144)의 실제 이동 가능 경로는 스토퍼(500)의 후단인 위치(P3)와 최후방 위치(P2)의 사이일 수 있고, 스토퍼(500)가 도 20과 같이, 최후방 위치(P2) 보다 전방인 위치에 이동부(144) 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면, 이동부(144)의 실제 이동 가능 경로는 스토퍼(500)의 선단인 위치(P4)와 최전방 위치(P1)의 사이일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스토퍼(500)에 의해 상판(11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스토퍼(5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보다 낮게 제한할 수 있고, 상판(110)의 최대 하강 높이를 스토퍼(5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보다 높게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500)는 이동부(144)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144)가 하부 프레임(121)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0)과 함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높이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그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120)의 외부에서 손으로 잡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500)는 이동부(144)의 이동 경로(P1부터 P2까지)에 위치되어 이동부(144)와 접촉되고 이동부(144)를 구속하는 이동부 접촉부재(50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일 수 있는 손잡이부재(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504)는 이동부 접촉부재(50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2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게 이동부 접촉부재(502)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손잡이부재(504)와 이동부 접촉부재(50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06)는 손잡이부재(504)와 이동부 접촉부재(502)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장착되거나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손잡이부재(504)와 이동부 접촉부재(502) 중 다른 하나에는 연결부재(506)의 적어도 일부가 내삽되는 연결부재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506)는 연결부재 결합공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나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부재(506)는 손잡이부재(504)와 이동부 접촉부재(502) 중 어느 하나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121)에는 연결부재(506)가 관통될 수 있는 슬릿(121C)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1C)은 하부 프레임(121)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506)는 슬릿(121C)의 선단(121D)과 슬릿(121C)의 후단(121E) 사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수평 유지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베이스(120); 상판(110)과;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11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L)를 포함할 수 있고, 링크 기구(L)는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다른 하나에 안내되어 상판(110)을 승강시키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와, 상판(11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되도록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작되게 연결된 수평유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평유지부(600) 이외의 기타 구성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편의를 위해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와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 각각은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된 연결부재(140)와, 연결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베이스(120)와 상판(110) 중 다른 하나에 안내되는 이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좌측 링크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한 쌍의 제 2 링크(L2) 중 좌측에 위치하는 링크일 수 있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상이한 도면부호인 L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우측 링크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한 쌍의 제 2 링크(L2) 중 우측에 위치하는 링크일 수 있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상이한 도면부호인 L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수평 유지부(600)는 이동부(144)와 커플러(602)로 연결된 평행축(610)을 포함할 수 있다. 평행축(610)은 좌측 링크(L21)와 우측 링크(L2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위치될 수 있다. 평행축(610)은 좌측 링크(L21)의 하단과 우측 링크(L22)의 하단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602)는 평행축(610)의 좌측과 연결되는 좌측 커플러와, 평행축(610)의 우측과 연결되는 우측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평행축(610)은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를 연결하는 이동부 커넥터일 수 있고,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와 함께 회전되면서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빠르게 회전되면서 안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평행축(610)의 좌측단은 좌측 링크(L21)의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커플러와 연결될 수 있고, 평행축(610)의 우측단은 우측 링크(L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우측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좌우 방향으로 좌측 링크(L21)와, 좌측 커플러와, 평행축(610)과, 우측 커플러와, 우측 링크(L22)의 순서일 수 있다.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에는 회전 축(149A)이 돌출될 수 있다.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에 돌출된 회전 축(149A)은 좌측 링크(L21)의 연결부재(140)을 관통하여 좌측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에 돌출된 회전 축(149A)은 우측 링크(L22)의 연결부재(140)을 관통하여 우측 커플러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는 커플러(602) 및 평행축(61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고,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는 동일 속도로 회전되게 유도될 수 있다.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될 경우,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는 전후 방향의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상판(110)은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쏠리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측 링크(L21)의 이동부(144)와 우측 링크(L22)의 이동부(144)가 평행축(610)에 의해 일체로 동일 속도로 회전되면, 상판(110)은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수평유지부(600)는 좌측 링크(L21) 및 우측 링크(L22)에 각각 연결된 링크 커넥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커넥터(142)는 좌측 링크(L21) 및 우측 링크(L22)가 일체로 동작되게 좌측 링크(L21)의 연결부재와 우측 링크(L22)의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수평유지부(600)는 이동부(144)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49B)와, 피니언 기어(149B)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치합된 랙 기어(121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602) 내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저지하는 완충부, 예를 들어 오일 등이 봉입된 완충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 또는 유동을 일정 수준 내에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상판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랙 기어(121F)는 이동부(144)가 안내되는 베이스(120) 또는 상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랙 기어(121F)는 하부 프레임(121)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144)는 하부 프레임(121) 내부에 랙 기어(121F)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위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49B)와 랙 기어(121F)는 이동부(144)의 회전시 이동부(144)가 옆 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동부(144)는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전후 방향으로만 진퇴될 수 있다.
이동부(144)가 랙 기어(121F)를 따라 회전될 때, 피니언 기어(149B)와 랙 기어(121F)는 이동부(144)의 옆 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동부(144)가 보다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판(110)은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다.
수평유지부(600)는 링크 커넥터(142), 피니언 기어(149B) 및 랙 기어(121F) 없이, 평행축(610)가 단독으로 상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유지부(600)는 링크 커넥터(142) 없이, 평행축(610), 피니언 기어(149B) 및 랙 기어(121F)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판(110)은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수평유지부(600)는 평행축(610), 피니언 기어(149B) 및 랙 기어(121F) 없이, 링크 커넥터(142)가 단독으로 상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유지부(600)는 평행축(610) 없이, 링크 커넥터(142), 피니언 기어(149B) 및 랙 기어(121F)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판(110)은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수평유지부(600)는 평행축(610)과, 링크 커넥터(142), 링크 커넥터(142), 피니언 기어(149B) 및 랙 기어(121F)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판(110)은 가장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20); 상판(110)과;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11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L)를 포함하고, 링크 기구(L)는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링크(L3)(L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링크(L3)(L4) 중 하나에 피스톤 로드(182)가 연결된 높이조절기구(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20)의 좌측부와 상판(110)의 좌측부 사이의 좌측 한 쌍의 링크와, 좌측 한 쌍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좌측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20)의 우측부와 상판(110)의 우측부 사이의 우측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우측 한 쌍의 링크 중 어느 하나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우측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와 높이조절기구(180)는 두 셋트가 베이스(120)와 상판(110)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0)는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프레임 커넥터(12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그 각각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하부 프레임과 우측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는 구조이고,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부 프레임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하부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판부(121G)와, 한 쌍의 링크(L3)(L4) 각각이 연결된 로어 연결부(121J)와, 높이조절기구(180)이 힌지 연결된 높이조절기구 연결부(121K)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연결부(121J)는 하판부(121G)의 전방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기구 연결부(121K는 하판부(121G)의 후방부 또는 프레임 커넥터(123)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은 상판(110) 중 탑 플레이트(111) 아래에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은 한 쌍의 링크(L3)(L4) 각각이 연결된 어퍼 연결부(112G)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는 하부가 로어 연결부(121J)에 서로 이격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는 하부가 로어 연결부(121J)에 서로 상이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는 상부가 어퍼 연결부(112G)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는 상부가 어퍼 연결부(112G)에 서로 상이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L3)(L4)는 상판(110)의 승강시 상판(110)을 따라 동일한 기울기로 회전되면서 상판(110)을 안내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하부가 높이조절기구 연결부(121K)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3)(L4) 중 하나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는 상판(110)의 상승시 대략 전방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3)(L4) 중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상판(110)의 하강시 피스톤 로드(182)가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피스톤 로드(182)가 높이조절기구(18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같이, 조작 레버(295)의 조작시 높이조절기구(180)이 작동되면서 상판(1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8 실시예와 링크 기구(L)가 동일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9)이 상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한 쌍의 링크(L3)(L4) 중 하나에 피스톤 로드(182)가 연결되며, 높이조절기구(180)의 연결 대상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8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높이조절기구(180)이 힌지 연결되는 구조가 상판(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판(110)에는 높이조절기구(180)이 힌지 연결되는 높이조절기구 연결부(112K)가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상판(110)의 상승시 대략 후방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3)(L4) 중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상판(110)의 하강시 피스톤 로드(182)가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피스톤 로드(182)가 높이조절기구(18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같이, 조작 레버(295)의 조작시 높이조절기구(180)이 작동되면서 상판(1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8 실시예와 링크 기구(L)가 동일할 수 있고, 높이조절기구(189)이 높이조절기구(180)이 한 쌍의 링크(L3)(L4)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링크(L3)(L4) 중 다른 하나에 피스톤 로드(182)가 연결되며, 높이조절기구(180)의 연결 대상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8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높이조절기구(180)은 한 쌍의 링크(L3)(L4)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3)(L4) 중 다른 하나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상판(110)의 상승시 한 쌍의 링크(L3)(L4)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상승되면서 대략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피스톤 로드(182)가 한 쌍의 링크(L3)(L4)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180)은 상판(110)의 하강시 한 쌍의 링크(L3)(L4)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피스톤 로드(182)가 높이조절기구(18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같이, 조작 레버(295)의 조작시 높이조절기구(180)이 작동되면서 상판(1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베이스(120)을 지지하는 고정다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0)는 고정다리(200) 상측에 올려지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다리(2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를 생략하고 링크 기구가 고정다리에 직접 연결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베이스(120)는 고정다리(2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고정다리(2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다리(200)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 또는 레그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고정 다리(200)가 베이스(120), 상판(110) 및 링크기구(L)와 함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일종의 테이블 책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9 및 20에 개시된 스토퍼 구조를 상기 도 26에 개시된 실시예에 적용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식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상판(110)에 하측에 설치되어 링크 기구(L)의 좌측을 덮는 좌측 안전 커버(710)와 상판(110)의 하측에 링크 기구(L)의 우측을 덮는 우측 안전 커버(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안전 커버(710) 및 우측 안전 커버(720) 각각은 그 상단이 상판(1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안전 커버(710) 및 우측 안전 커버(720) 각각의 높이는 링크기구(L)가 최대로 펼쳐졌을 때의 링크기구(L)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안전 커버(710) 및 우측 안전 커버(720) 각각은 베이스(120)와 고정다리(200)의 경계 옆을 덮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안전 커버(710) 및 우측 안전 커버(720)는 상판(110)의 하강시, 상판(110)과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좌측 안전 커버(710)는 유아 등의 사용자 손이 좌측 안전 커버(710) 좌측에서 한 쌍의 링크 사이로 진입되지 않게 막을 수 있고, 우측 안전 커버(720)는 유아 등의 사용자 손이 우측 안전 커버(720) 우측에서 한 쌍의 링크 사이로 진입되지 않게 막을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의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20), 상판(110), 링크기구(L)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5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100)은 고정 다리(200)와; 고정 다리(200)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120); 베이스(120)와 이격된 상판(110)과; 베이스(120) 및 상판(110)에 연결되어 상판(11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L)를 포함할 수 있고, 상판(110)은 탑 플레이트(111)와; 탑 플레이트(111) 상측에 배치되고 탑 플레이트(111) 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받침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받침대(113')는 복수개의 수직판(113A)과, 복수개의 수직판(113A) 상측에 탑 플레이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판(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받침대(130') 상측에 모니터(M)나 각종 책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사용자는 가장 이상적인 각도, 예를 들면 목이 편안한 각도로 모니터를 바라볼 수 있게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눈(E)부터 모니터(M)의 중앙으로의 하향 경사진 각도는 눈(E) 아래 방향으로 20도 내지 30도 가 적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판(110)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모니터(M)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앉는 의자 높이만을 조절할 때 보다, 눈(E)이 모니터(M)를 주시하는 각도(X)를 보다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제13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111)와 보조 받침대(113')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제13 실시예에서의 탑 플레이트 및 보조 받침대를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으로 대체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된 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 및 보조 받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기 제1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플레이트는 전면측에 오목부(113A)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3A)는 사용자의 배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으로서,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모니터 등이 거치될 수 있는 보조 받침대에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날개부(113B)가 배치된다. 상기 날개부(113B)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공간을 좌우로 확장시키며, 탑 플레이트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간격은 링크 기구 또는 프레임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책상의 최소 높이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대는 평면도 상으로 대략 'ㄷ'자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서, 상기 보조 받침대의 양측 단부(111A)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탑 플레이트와 날개부 사이의 간극을 덮어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조 받침대의 수납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상 제 1 실시예 내지 제 13 실시예의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3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10: 상판 112: 상부 프레임
120: 베이스 121: 하부 프레임
130,140: 연결부재 130A, 140A: 절곡북
130B, 140B: 제 1 링크부 130C,140C: 제 2 링크부
144: 이동부 169: 이동부
180: 높이조절기구 182: 피스톤 로드
295: 조작 레버 500: 스토퍼
L: 링크 기구 L1,L2: 링크

Claims (15)

  1. 베이스와;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최소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 사이에 사전에 결정된 값 이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링크에 구비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상판이 최소 위치에서 양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있도록 변형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링크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0.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리와;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최소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 사이에 사전에 결정된 값 이상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링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상판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를 덮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33A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20160100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10011.5A CN107257640B (zh) 2015-02-13 2016-02-15 高度可调式桌子
EP16749511.8A EP3257400A4 (en) 2015-02-13 2016-02-15 Height-adjustable desk
US15/512,947 US10499730B2 (en) 2015-02-13 2016-02-15 Height-adjustable desk
PCT/KR2016/001477 WO2016129971A1 (ko) 2015-02-13 2016-02-15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700 2015-02-13
KR20150022700 2015-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07A true KR20160100207A (ko) 2016-08-23

Family

ID=56875524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083A KR20160100175A (ko) 2015-02-13 2015-03-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27A KR20160100205A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37A KR101747132B1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33A KR20160100207A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31A KR20160100206A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1174A KR20170124492A (ko) 2015-02-13 2017-10-27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5A KR20170128765A (ko) 2015-02-13 2017-10-30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3A KR101969134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1A KR101969137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4A KR101969135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2A KR101969133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6A KR101969136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90078357A KR20190082702A (ko) 2015-02-13 2019-06-28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083A KR20160100175A (ko) 2015-02-13 2015-03-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27A KR20160100205A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50157737A KR101747132B1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731A KR20160100206A (ko) 2015-02-13 2015-11-1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1174A KR20170124492A (ko) 2015-02-13 2017-10-27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5A KR20170128765A (ko) 2015-02-13 2017-10-30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3A KR101969134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1A KR101969137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4A KR101969135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2A KR101969133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70142576A KR101969136B1 (ko) 2015-02-13 2017-10-30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90078357A KR20190082702A (ko) 2015-02-13 2019-06-28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9730B2 (ko)
EP (1) EP3257400A4 (ko)
KR (13) KR20160100175A (ko)
CN (1) CN107257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861B1 (en) 2015-01-24 2019-04-02 Nathan Mark Poniatowski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WO2017045506A1 (zh) * 2015-09-18 2017-03-23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工作台
USD845037S1 (en) * 2015-10-26 2019-04-09 Samhongsa Co., Ltd Desk
US10300328B2 (en) * 2016-04-19 2019-05-28 Lagree Technologies, Inc. Tilting exercise machine
US10285496B2 (en) 2016-06-03 2019-05-14 Designa Inc.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platform
CN105901923B (zh) 2016-06-03 2017-10-24 佛山市迪赛纳科技有限公司 升降机构及包含升降机构的升降工作台和工作台升降方法
USD845678S1 (en) * 2016-07-08 2019-04-16 Versa Products Inc Height-adjustable desktop
USD841369S1 (en) * 2016-08-01 2019-02-26 Designa Inc. Height adjustment platform
US11019920B2 (en) * 2016-09-23 2021-06-01 Varidesk, Llc Electrically-lifted computer desk and office desk thereof
KR101929233B1 (ko) * 2016-11-11 2018-12-17 주식회사 그린케이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101859917B1 (ko) * 2016-11-22 2018-05-23 솔텍인포넷 주식회사 광섬유 융착기
US10918079B1 (en) * 2016-12-19 2021-02-16 Gabriel A. Mora Pet bowl lift apparatus
TWM549567U (zh) * 2016-12-30 2017-10-01 Kelly Int Corp 薄型升降台
CN207341423U (zh) * 2017-01-06 2018-05-11 革新(厦门)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折叠桌的高度调节结构
CN206338567U (zh) * 2017-01-06 2017-07-18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桌面摆放式升降台
US10188204B2 (en) * 2017-03-14 2019-01-29 Argosy Console, Inc. Desk with stability feature
US10486299B2 (en) * 2017-05-01 2019-11-26 Yun Kuan Enterprise Co., Ltd. Supporter for woodworking table
US10463147B2 (en) * 2017-06-09 2019-11-05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Sit-stand workstation with adjustable keyboard tray
USD864619S1 (en) * 2017-07-05 2019-10-29 Yajun Hu Height adjustable desk with crossed arms
US10893748B1 (en) 2017-07-08 2021-01-19 Office Kick, Inc. Height adjustable desktop
USD843137S1 (en) 2017-08-21 2019-03-19 Designa Inc. Height adjustable workstation
KR102068328B1 (ko) * 2017-12-15 2020-02-11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110325077B (zh) * 2017-12-22 2022-03-08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工作台
KR102045928B1 (ko) 2018-02-09 2019-11-18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CN108388238A (zh) * 2018-04-20 2018-08-10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一种显控台人机工程学测试验证设备
KR20180001618U (ko) 2018-04-26 2018-05-30 금성에이스산업(주) 리프트 테이블용 승강 장치
USD882987S1 (en) * 2018-08-07 2020-05-05 Yajun Hu Ultra-thin pneumatic height adjustable desk
KR101962607B1 (ko) 2018-10-15 2019-07-31 영남강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JP7286944B2 (ja) * 2018-10-25 2023-06-06 コクヨ株式会社 テーブル
US10813448B2 (en) * 2018-12-24 2020-10-27 Qidong Vision Mounts Manufacturing Co., Ltd Hand-operated worm gear height adjustable table
USD913019S1 (en) 2019-03-07 2021-03-16 Key Ovation, Llc Desk
KR102019143B1 (ko) * 2019-04-05 2019-09-06 조혜안 플라스틱 사출물 검사장치
USD901959S1 (en) * 2019-04-18 2020-11-17 EP Family Corp. Desk
KR102297093B1 (ko) * 2019-09-04 2021-09-06 (주)광일체어 소음 방지 및 미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이동형 승강테이블
KR102076298B1 (ko) * 2019-09-04 2020-02-11 (주)광일체어 소음 방지 및 미세 조절 가능한 승강받침대를 갖는 테이블
CN110584320A (zh) * 2019-09-25 2019-12-20 江阴市友邦家居用品有限公司 升降桌
US10918202B1 (en) * 2019-10-25 2021-02-16 Fong-Lung Sie Lifting table
KR102090334B1 (ko) 2019-11-06 2020-03-17 영남강철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 구조물
US11696638B2 (en) 2020-05-13 2023-07-11 Four Board Woodworks, LLC Convertible table
USD951681S1 (en) * 2020-08-25 2022-05-17 Ningbo Tuotuo River Design Company Workstation
CN216602023U (zh) * 2021-03-18 2022-05-27 宁波印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台
CN214855133U (zh) * 2021-06-03 2021-11-26 宁波沱沱河设计有限公司 升降工作台
KR200497301Y1 (ko) * 2021-07-09 2023-09-27 주식회사 가인디자인웍스 높이조절 테이블
CN113367483A (zh) * 2021-07-19 2021-09-10 重庆华亚家私有限公司 一种养老院用餐桌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8447A (fr) * 1963-02-08 1964-04-17 Perfectionnements de tables et plates-formes élévatrices et dispositifs similairesà hauteur réglable
US3282566A (en) * 1964-05-18 1966-11-01 Autoquip Corp Scissors operating linkage
US4295571A (en) * 1979-04-27 1981-10-20 Deflecto Corporation File folder support rack
DE3042656A1 (de) * 1980-11-12 1982-06-16 Walter Dipl.-Ing. Dr. 6078 Neu-Isenburg Hillesheimer Hydraulisch betriebene hebebuehne
JPS59218151A (ja) * 1983-05-27 1984-12-08 富士電機株式会社 流動式ベツドの昇降制御装置
SE450486B (sv) * 1983-08-29 1987-06-29 Edmo Torbjoern Ab Lyftbordskonstruktion
US4544203A (en) * 1984-10-11 1985-10-01 Younger Steven K Foldable head rest
BR8606631A (pt) * 1985-04-16 1987-08-04 Sigmund Elkuch Equipamento de suporte
SE467812B (sv) * 1990-05-22 1992-09-21 Dorotea Specialkonstrukt Stativ
DE9011551U1 (ko) 1990-08-08 1990-10-11 Christopeit Sport Gmbh, 5620 Velbert, De
SE9003607L (sv) * 1990-11-13 1992-05-14 Jeltec Ergonomiteknik Ab Hoejdjusterbart arbetsbord, foeretraedvis en skolbaenk
JP2557131Y2 (ja) 1991-04-12 1997-12-08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棚付き机
US5778799A (en) * 1992-10-05 1998-07-14 Baker Manufacturing Co. Computer work station
US5400720A (en) * 1993-04-07 1995-03-28 Vestil Manufacturing Company Lift and tilt table
JPH07155226A (ja) 1993-12-03 1995-06-20 Okamura Corp 多目的パネル昇降装置
US5460460A (en) * 1994-03-01 1995-10-24 The Serco Corporation Scissors lift dock leveler
JP3524178B2 (ja) * 1994-11-15 2004-05-1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磁気浮上式防振ベッド
JPH09121971A (ja) 1995-10-30 1997-05-13 Tokico Ltd 座位置調節機構付き椅子
US5695173A (en) * 1996-01-11 1997-12-09 Ochoa; Arturo Valencia Scissors lift platform with electronic control
JP3152193B2 (ja) * 1996-12-18 2001-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6758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레이저 용접을 위한 차체패널 지지작업대
JPH10262741A (ja) 1997-03-26 1998-10-06 Okamura Corp 机の天板の高さ調節装置
JP3056114B2 (ja) 1997-03-31 2000-06-26 傑 村上 テーブル
US5927679A (en) * 1997-04-21 1999-07-27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vehicle seat suspension
JPH11103647A (ja) 1997-10-06 1999-04-20 Kubota Corp 作業機の運転部構造
CN2321289Y (zh) * 1997-12-24 1999-06-02 上海旭卡机械电器有限公司 可调式茶几
ITPD980029A1 (it) * 1998-02-12 1999-08-12 Francesco Fiorese Sollevatore da officina per veicoli
JP3060066B2 (ja) 1998-05-08 2000-07-04 大塚化学株式会社 ナイトテーブル
JP3512391B2 (ja) 2001-04-19 2004-03-29 株式会社イトーキ 多用途机
KR200291352Y1 (ko) 2002-07-10 2002-10-09 박철호 책상의 연결구조
US20040065238A1 (en) * 2002-10-07 2004-04-08 Chen Chao Ken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using air pressure rod to lift object
US7070189B2 (en) * 2003-03-11 2006-07-04 Myk Reid Grauss Adjustable-height creeper with angled head piece
JP4317108B2 (ja) * 2004-10-05 2009-08-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テーブル
JP4317170B2 (ja) * 2005-08-05 2009-08-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JP2006296631A (ja) 2005-04-19 2006-11-02 Komura Seisakusho:Kk 昇降テーブル
KR100642118B1 (ko) 2005-04-29 2006-11-10 (주)삼미가구 컴퓨터용 책상
US8469152B2 (en) * 2007-09-25 2013-06-25 Hunter Engineer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capacity vehicle lift system
JP5057387B2 (ja) * 2008-03-04 2012-10-2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Xリンク式昇降機構
US20100012907A1 (en) * 2008-07-17 2010-01-21 K&L Supply Co., Inc. Lifting apparatus
CN201319959Y (zh) * 2008-12-29 2009-10-07 陈倩 桌椅高度调节装置及包括该装置的桌椅
JP2011031018A (ja) 2009-07-10 2011-02-17 Hideyasu Yamanaka 正座椅子
US8065966B1 (en) * 2009-09-24 2011-11-29 Bauer Products, Inc. Odd link work surface lift
KR101216744B1 (ko) 2010-07-21 2012-12-28 김선환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ITTV20110023U1 (it) * 2011-06-27 2012-12-28 Metacom S A S Di Mucelli Angelo & C Attrezzatura perfezionata per il supporto di un piano regolabile in altezza, particolarmente per tavoli ed altri piani da supportare e tavoli o piani cosi' attrezzati.
JP3198070U (ja) * 2012-05-24 2015-06-18 ヴァリデスク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調整自在の卓上作業台
JP2014004673A (ja) * 2012-06-22 2014-01-16 Nakai Mokko:Kk 交叉リンク昇降台
WO2014014911A1 (en) * 2012-07-16 2014-01-23 Siloam Biosciences, Inc. Point of care testing assay system using novel microfluidics
KR101385575B1 (ko) 2012-11-15 2014-04-29 (주)다보스티엔지 가구용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426073B1 (ko) 2012-12-10 2014-08-01 고병기 접이식 이송대차
ITTV20130030U1 (it) * 2013-07-25 2015-01-26 Metacom S A S Di Mucelli Angelo & C Attrezzatura perfezionata per il supporto di un piano regolabile in altezza, particolarmente per tavoli ed altri piani da supportare e tavoli o piani cosi' attrezzati
EP3134550B1 (en) * 2014-04-23 2019-09-0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High-throughput structure determination using nucleic acid calipers
EP3145852B1 (en) * 2014-05-22 2022-06-01 Fiorese, Marta Vehicle lift
WO2017045506A1 (zh) * 2015-09-18 2017-03-23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工作台
TWM528117U (zh) * 2016-05-27 2016-09-11 Kelly Internat Corp 可升降活動的支撐裝置
US10258149B2 (en) * 2016-10-18 2019-04-16 Hangzhou Landa Crafts Co., Ltd. Lifting desktop with a compac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7640A (zh) 2017-10-17
KR101747132B1 (ko) 2017-06-27
KR20170127386A (ko) 2017-11-21
KR20160100206A (ko) 2016-08-23
KR101969134B1 (ko) 2019-04-16
KR20170127387A (ko) 2017-11-21
KR20160100208A (ko) 2016-08-23
EP3257400A4 (en) 2018-06-20
KR20170124492A (ko) 2017-11-10
US10499730B2 (en) 2019-12-10
KR101969136B1 (ko) 2019-04-16
KR20160100175A (ko) 2016-08-23
KR20160100205A (ko) 2016-08-23
CN107257640B (zh) 2020-09-29
KR101969137B1 (ko) 2019-04-16
KR20170127389A (ko) 2017-11-21
KR20170127385A (ko) 2017-11-21
US20180055214A1 (en) 2018-03-01
KR20170128765A (ko) 2017-11-23
KR20190082702A (ko) 2019-07-10
KR101969135B1 (ko) 2019-04-16
KR101969133B1 (ko) 2019-08-13
KR20170127388A (ko) 2017-11-21
EP3257400A1 (en)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36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US1147095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N106793868B (zh) 高度可调节的桌面工作表面
US9113703B2 (en) Adjustable desk platform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US20180008037A1 (en) Motorized, height adjustable desktop system
CA2860970C (en) Adjustable desk platform
AU2013245512A1 (en) Adjustable desk platform
RU61995U1 (ru) Стол регулируемый
KR101902769B1 (ko)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테이블 책상
KR20130079725A (ko) 키보드 일체형 엘씨디 모니터
RU50775U1 (ru) Стол регулируемый
KR20190131173A (ko) 책상 정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