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328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328B1
KR102068328B1 KR1020170173285A KR20170173285A KR102068328B1 KR 102068328 B1 KR102068328 B1 KR 102068328B1 KR 1020170173285 A KR1020170173285 A KR 1020170173285A KR 20170173285 A KR20170173285 A KR 20170173285A KR 102068328 B1 KR102068328 B1 KR 10206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ase
guide
connection member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159A (ko
Inventor
민우기
박종윤
강창수
홍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to KR102017017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328B1/ko
Priority to PCT/KR2018/015974 priority patent/WO2019117686A1/ko
Publication of KR2019007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테이블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 기구와,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Height-adjustable table}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히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사무용/학습용 책상, 뿐만아니라 식탁, 양로원용 식탁, 좌식 탁자, 적치대, 작업대 등 이름과 관계없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책상의 높이는 획일적으로 고정되고, 사용자가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책상을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에 책상에 앉아 작업을 하면,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해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거나, 눈이 쉽게 피로해 지는 등 건강상의 문제가 생긴다.
최근에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않아 상판을 승하강 시에 흔들림, 유격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상사점에 고정되더라도, 지지하는 부품이 불완전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흔들림 및 소음을 생성하여, 업무의 집중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식탁도 책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식탁도 획일적으로 높이가 고정되고 이후에 그 높이는 조절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식탁도 사용자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휠체어를 의자 대신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휠체어를 식탁에 넣은 상태에서 식사를 해야하나, 휠체어의 팔꿈치 걸이가 식탁의 상판과 맞닿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분히 상판에 근접할 수 없다. 또한, 체구가 작은 사용자나 체구가 큰 사용자가 사용시에 불편한 상태에서 식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드럽게 높이 조절 가능하고, 높이 조절시에 흔들림 없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 기구와,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일측면은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타측면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벽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 중심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폭이 좁은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슬롯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제1 휠,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제2 휠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제어 부재의 가압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여부가 제어되는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항상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는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는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제어 부재의 가압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여부가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항상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은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은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상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및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은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은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는 마그넷을 가지거나, 일측에 제1 연결 부재나 제2 연결 부재에 삽입되는 지지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는 미사용되는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연결 부재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은 사용자가 부드럽게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은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또는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은 연결 부재의 구동을 고려하여 락 타입 가스 스프링과 프리 타입 가스 스프링을 배치하므로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또는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높이가 조절된 도 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 유닛이 장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가이드 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가이드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가이드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일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 높이 조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높이가 조절된 도 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베이스(10), 상판(20), 제1 연결부재(30), 제2 연결부재(40), 높이 조절 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특정 기능,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책상, 식탁 등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구성을 가지는 장치, 특히 플레이트를 승강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하면이 지면 또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는 가로 질러 배치되는 보강대(1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5 및 도 16과 유사하게 베이스(10)는 도 1과 달리 하부에 지지대(다리)가 없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10)가 식탁이나 책상 등과 같은 다른 테이블 위에 놓여지고, 그 위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사용 할 수 있다.
상판(20)은 베이스(10)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된다. 상판(20)은 도 1과 같이 베이스(10)에 인접한 하사점과, 도 2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상사점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 기구(50)를 조작하여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상판(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는 베이스(10)와 상판(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는 베이스(10)와 상판(2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는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교차되는 부분은 회전축(35)이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일단은 베이스(10) 또는 상판(20)에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타단은 베이스(10) 또는 상판(20)에 회동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된다. 즉, 제1 연결부재(30)는 제1 회동단(31)과 제1 이동단(32)을 구비하고, 제2 연결부재(40)는 제2 회동단(41)과 제2 이동단(42)을 구비한다.
제1 회동단(31)과 제2 회동단(41)은 일측의 베이스(10)와 상판(20)에 설치되고, 제1 이동단(32)과 제2 이동단(42)은 타측의 베이스(10)와 상판(20)에 설치된다. 도 2를 보면, 제1 회동단(31)은 전방의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제2 회동단(41)은 전방의 상판(20)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이동단(32)은 후방의 상판(20)에 설치되고, 제2 이동단(42)은 후방의 베이스(10)에 설치된다.
제1 연결부재(30)의 제1 이동단(32)과 제2 연결부재(40)의 제2 이동단(42)이 회동하면서 슬라이딩하므로, 상판(20)을 베이스(10)에 대해서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를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20)의 이동 높이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상판(20)이 승강시에 높이 조절 기구(50)의 양단부는 승강하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에 설치되므로, 베이스(10)에 대해서도 상승한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높이 조절 기구의 단부가 베이스나 상판에 연결되는 형태보다 더 높은 상사점을 가질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사용자가 조절부재(도12의 80)를 가력하면 상판(2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을 구비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 유닛(60)이 장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가이드 유닛(60)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60)은 제2 연결부재(40)의 제2 이동단(42)의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 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60)은 또한 제1 연결부재(30)의 제1 이동단(32)이 장착되어, 제1 이동단(3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2 이동단(42)에 장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유닛(60)은 가이드 롤러(61), 가이드 레일(62), 가이드 프레임(63), 회전 샤프트(64), 스토퍼(65)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61)는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61)의 오목한 면이 가이드 레일(62)과 접촉하고, 볼록한 양측이 가이드 프레임(63)과 접촉한다. 가이드 롤러(61)의 접촉면은 가이드 레일(62)과 구름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61)는 회전 샤프트(64) 및 고정 부재(64a)와 결합하여 제2 이동단(42)에 결합한다. 가이드 롤러(61)의 일측면은 제2 이동단(42)과 연결되고, 타측면은 가이드 프레임(63)의 제3 플레이트(63c)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은 가이드 롤러(61)의 오목한 면과 대응되게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표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 롤러(61)와 접촉 면적이 증대되며, 가이드 롤러(61)가 흔들림 없이 가이드 레일(62)상을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은 소정의 길이(L)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의 길이는 상판의 조절 높이 범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2)의 양측 단부는 상판(20)의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서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판(20)은 하사점에 위치한다. 이와 반대로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스토퍼(65)와 접촉하면 상판(20)은 상사점에 위치한다.
가이드 프레임(63)은 가이드 레일(62)이 장착되어 가이드 롤러(61)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이드 프레임(63)은 가이드 레일(62)이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63a), 제1 플레이트(63a)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63b), 제1 플레이트(63a)와 제2 플레이트(63b)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63c)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b를 보면, 제1 플레이트(63a)의 폭(a)은 제2 플레이트(63b)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3a)는 가이드 롤러(61)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가이드 레일(62)이 설치되기 위해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63b)는 가이드 롤러(6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즉, 제2 플레이트(63b)는 가이드 롤러(61)의 일부만 감싸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롤러(61)의 일측면은 제2 이동단(42)과 연결되고, 제2 이동단(42)은 절곡부(42a)를 구비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면 제2 이동단(42)이 회동하여, 절곡부(42a)도 회전 샤프트(6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만약, 제2 플레이트(63b)가 가이드 롤러(61)의 전면을 커버하면 절곡부(42a)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63b)의 폭(b)은 제3 플레이트(63c)에서 가이드 레일(62)의 외측단 사이의 거리(c)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가이드 프레임(63)은 도 3과 같이 베이스(10)나 상판(20)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63)은 베이스(10)나 상판(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65)는 가이드 레일(62)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이드 롤러(6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65)는 상판(20)의 상사점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61)가 스토퍼(65)와 접촉하면 상판(20)은 높이는 제한되어, 상사점으로 설정된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부드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61)와 가이드 레일(62)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 연결부재(30)나 제2 연결부재(40)가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롤러(61)의 측면은 가이드 프레임(63)에 밀착되므로 높이 조절 시에 발생하는 상판(2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도 3의 가이드 유닛(60a)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61)는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63) 중 제3 플레이트(63c)에는 가이드 라인(63d)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라인(63d)은 도 5a와 같이 개방된 슬롯형상을 가질수 있다. 또한 일부가 절개된 그루브(미도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라인(63d)은 회전 샤프트(64)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62)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61)가 이동하더라도 회전 샤프트(64)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므로, 가이드 라인(63d)은 회전 샤프트(64)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면 회전 샤프트(64)도 같이 이동되므로, 가이드 라인(63d)은 가이드 레일(62)과 같은 연장방향을 가진다.
회전 샤프트(64)의 단부는 가이드 라인(63d)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64)의 단부가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하므로, 가이드 롤러(61)의 이탈을 방지하고,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61)의 중심축이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되어 높이 조절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과 유격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가이드 유닛(60b)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60b)은 가이드 레일(62a)이 하측에서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62a)은 제1 플레이트(63a)에서 제2 플레이트(63b)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가이드 레일(62a)을 설치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를 절감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16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도 4a와 비교하면, 가이드 유닛(160)은 가이드 롤러(161)와 가이드 레일(162)의 형상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가이드 롤러(161)는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62)은 가이드 롤러(161)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이 오목하게 함몰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이드 롤러(61) 및 가이드 레일(62)과 반대의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162)은 추가적인 부재로 제1 플레이트(63a)에 장착되거나, 도 6과 유사하게 제1 플레이트(63a)에서 제2 플레이트(63b)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61)가 가이드 레일(162)을 따라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부드럽게 상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볼록한 가이드 롤러(161)와 오목한 가이드 레일(16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 연결부재(30)나 제2 연결부재(40)가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롤러(161)의 측면은 가이드 프레임(63)에 밀착되므로 높이 조절 시에 발생하는 상판(2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 유닛(160a)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볼록한 가이드 롤러(161)는 가이드 프레임(63)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64)의 단부는 가이드 라인(63d)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64)의 단부가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하므로, 가이드 롤러(161)의 이탈을 방지하고,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61)의 중심축이 가이드 라인(63d)을 따라 이동되어 높이 조절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과 유격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26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261)는 단차지게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262)은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슬롯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261)는 가이드 레일(262)에 삽입되는 제1 휠(261a)과, 제1 플레이트(63a)와 제2 플레이트(63b)에 지지되는 제2 휠(26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휠(261a)의 직경은 제2 휠(261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휠(261a)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 레일(62)에 삽입된다. 제1 휠(261a)과 제2 휠(261b)의 단차진 부분, 즉 제1 휠(261a)의 측면은 제2 플레이트(63b)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휠(261a)은 하부는 가이드 레일(262)에 지지되고, 상부는 제2 플레이트(63b)에 지지된다.
제2 휠(261b)은 제1 휠(261a)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제3 플레이트(63c)와 마주본다. 제2 휠(261b)의 하부는 제1 플레이트(63a)와 접촉을 하고, 상부는 제2 플레이트(63b)와 접촉한다. 또한, 제2 휠(261b)의 측면은 제3 플레이트(63c)와 밀착된다.
가이드 레일(262)은 제1 플레이트(63a)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62)의 양측 단부는 제1 휠(261a)의 이동가능한 범위를 한정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스토퍼는 불필요하다.
가이드 프레임(63)의 일측에는 가이드 롤러(261)가 삽입되는 개구(63e)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61)는 개구(632)로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262)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61)의 제1 휠(261a)이 가이드 레일(262)의 개구를 따라 이동하고, 제2 플레이트(63b)에 지지되므로 가이드 롤러(261)의 흔들림과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휠(261b)이 가이드 프레임(63)과 밀착 또는 접촉하므로 가이드 롤러(261)의 흔들림과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36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361)는 중앙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62)은 가이드 롤러(361)와 대응되도록 삼각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61)는 도 4a와 같이 제3 플레이트(63c)에 밀착되어, 이동시에 발생하는 상판(2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361)는 제3 플레이트(63c)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시에 발생하는 상판(2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의 일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서포터(7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서포터(70)는 도 11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의 내측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서포터(7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양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보강 서포터(7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판(20)의 하중 또는 상판(20)에 놓인 물건에 의한 하중으로, 상판(20)의 높이 조절시에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보강 서포터(7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 기구(50)를 구비하고,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을 가질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연결부재(30)과 제2 연결부재(40)에 각각 연결되므로, 상판(20)의 승강 및 하강시에 제1 연결부재(30) 및 제2 연결부재(40)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 기구(50)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가 형성하는 평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는 상판(20)이 승강 또는 하강시에 높이방향으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동시에 회전축(35)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50)의 각 단부가 승강 또는 하강시에 위치가 변하는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에 연결되므로, 상판(20)은 높이 위치의 상사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상판(20)이 상승하면 제1 연결부재(30) 및 제2 연결부재(40)의 이동에 의해서, 높이 조절 기구(50)도 같이 상승 하게 된다. 높이 조절 기구(50)의 길이 증가에 의한 높이 상승에 높이 조절 기구(50)의 높이 증가에 의한 높이 상승이 추가되므로, 높이 조절 기구(50)는 상판(20)의 상사점을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제어 부재(80)의 가압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상판(20)의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며,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여 구동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을 보완하여 상판(20)이 부드럽게 승하강 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대칭되게 설치되므로, 상판(20)이 받는 구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프리 타입(free type)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연결부재(30)의 제1 회동단(31)과 제2 연결부재(40)의 제2 회동단(41)이 회동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에서 제1 회동단(31)과 제2 회동단(41)의 y축 방향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에 반해, 제2 영역은 제1 연결부재(30)의 제1 이동단(32)과 제2 연결부재(40)의 제2 이동단(42)이 회동 및 슬라이딩 하는 영역이다. 제2 영역에서 제1 이동단(32)과 제2 이동단(42)의 y축 방향의 위치는 가변한다. 따라서 높이 조절시에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 보다 상대적으로 상판(20)의 흔들림이 더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1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의 배치에 의해서 상판(20)의 높이 조절 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승강 또는 하강의 구동력을 on/off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프리 타입 가스 스프링 보다 강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2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제1 영역보다 큰 흔들림이 발생하고, 제2 영역에서 이동단의 이동에 의해서 상판(20)의 높이 조절이 개시된다. 강한 구동력을 생성하고 구동력을 크기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제1 높이 조절 유닛이 제2 영역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유격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에 장착된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신속하게 높이 조절을 개시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항상 작용한다. 제1 영역은 높이 조절 기구(50)의 구동 개시에 의해서 회동단이 회동만 하므로,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이 제1 연결부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이동을 쉽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력을 분산 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에는 제2 높이 조절 유닛(52)가 배치되고, 제2 영역에는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이 배치되어 상판(20) 또는 상판(20) 위의 물건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높이 조절시에 하중을 균일하게 분배된 상태에서 상판(50)을 이동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시점에는 제2 영역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여, 제1 영역에서 강한 진동이 발생되고 부품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2 영역에서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력을 보완하는 힘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력과 균형을 이루게 하고,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력을 분산시키켜,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유격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인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은 실린더(131)와, 실린더(131)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32)과, 피스톤(132)이 장착되는 피스톤 로드(133)를 포함한다. 또한,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은 실린더(131)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가스 실링부(136)를 포함하며, 가스 실링부(136)에 의하여 실린더(131) 내부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다.
한편, 가스 실링부(136)에 의하여 밀폐된 실린더(131)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오일 챔버(134)와 가스 챔버(135)가 형성되고, 오일 챔버(134)와 가스 챔버(135) 내에 질소와 같은 가스와 오일(oil)이 주입된다. 그리고, 오일 챔버(134)와 가스 챔버(135)는 프리 피스톤(130)에 의해 이동되고, 오일 챔버(134)는 피스톤(132)에 의해 상부 챔버(134a) 및 하부 챔버(134b)로 이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2)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하여 오일 챔버(134)와 가스 챔버(135)의 체적이 변화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 챔버(134)와 가스 챔버(135)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 된다.
또한,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은 피스톤(1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오픈 핀(137)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 핀(137)은 조절부재(137a)와 연결되어, 조절 부재(137a)를 누르거나 위로 올리면 상기 오픈 핀(137)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피스톤(132)의 중심부에는 가스의 출입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핀(139)이 형성되며, 또한 피스톤(132)의 일측 부에는 오일(유체)가 출입하기 위한 오리피스(13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가스 챔버(135)의 내부의 질소 가스는 대기압 보다 압력이 높으므로, 프리 피스톤(130)에 압력을 가한고 있다. 오일 챔버(134)는 가스 챔버(135)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유지된다. 실린더(131)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높으므로 피스톤 로드(133)는 인장되려고 하나, 밸브 핀(139)에 의해 오일의 이동이 억제되어 멈추어져 있다.
사용자가 오픈 핀(137)과 연결된 조절 부재(137a)를 누르면, 오픈 핀(137)이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오픈 핀(137)이 하측으로 가압되면 이와 접촉하고 있는 밸브 핀(139)이 하강하여 개방된다 된다. 그리고, 밸브 핀(139)이 개방되면 피스톤 로드(133)는 인장되고, 상부 챔버(134a)의 오일은 하부 챔버(134b)로 이동되어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 로드(133)에 의해 체적이 감소되므로, 피스톤 로드(133)의 체적 만큼 프리 피스톤(130)이 상승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 부재(8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더 이상 오일의 이동이 진행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 스프링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된다.
도 14을 참조하여,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인 제2 높이 조절 유닛(52)은 실린더(141)와, 실린더(141)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42)과, 피스톤(142)이 장착되는 피스톤 로드(143)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스프링(140)은 실린더(141)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가스 실링부(146)를 포함하며, 가스 실링부(146)에 의하여 실린더(141) 내부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다.
한편, 가스 실링부(146)에 의하여 밀폐된 실린더(141)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가스 챔버(144, 145)가 형성되고, 가스 챔버(144, 145) 내에 질소와 같은 가스가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챔버(144, 145)는 피스톤(142)에 의하여 상부 챔버(144)와 하부 챔버(145)로 이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42)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챔버(144)와 하부 챔버(145)의 체적이 변화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챔버(144)와 하부 챔버(145)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된다.
또한, 가스 챔버(144, 145) 내에는 질소 이외에도 오일이 주입되게 되는데, 오일은 피스톤 동작을 함에 있어 윤활 작용을 하지만, 용도에 따라 댐핑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댐핑의 원리는, 오일은 일정 점도를 가지고 있고, 피스톤의 오리피스 홀을 가스가 지나갈 때는 빠르게 작동되지만, 오일이 지나갈 때는 느리게 작동됨에 기인한다. 이때, 댐핑의 효과는 오일의 양, 점도 및 오리피스의 홀 및 피스톤 동작 등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140)은 임의에 지점에서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고, 항시 인장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실린더(141)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가스가 봉입되어 있고, 이 질소 가스가 피스톤 로드(143)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143)는 항상 신장 방향으로 반발력을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의 전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상판이 하사점에 위치시에, 사용자가 제어 부재(80)를 가압하면,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오픈 핀(137)이 가압하여 피스톤(132)가 상승하게 된다. 즉,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제1 연결부재(30)의 제1 이동단(32)과 제2 연결부재(40)의 제2 이동단(42)은 스토퍼(65)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제1 이동단(32)과 제2 이동단(42)에 연결된 가이드 롤러(61)는 가이드 레일(62)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상판(20)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61)는 가이드 프레임(63)에 밀착되어 가이드 롤러(61)와 가이드 프레임(63)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고, 가이드 롤러(61)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이동단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51)의 구동과 동시에 제2 높이 조절 유닛(52)도 전체 길이 가 증가한다.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은 일정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의 잠금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락 타입 가스 스프링의 잠금이 해제되면, 프리 타입 가스 스프링은 락 타입 가스 스프링과 같이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가이드 롤러(61)가 스토퍼(65)에 접촉하면 상판(20)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어 부재(8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락 타입 가스 스프링은 잠금상태가 되고, 프리 타입 가스 스프링의 위치도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사용자가 부드럽게 상판(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61)가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므로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또는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100)은 연결 부재의 구동을 고려하여 락 타입 가스 스프링과 프리 타입 가스 스프링을 배치하므로 높이 조절시에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또는 유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200)은 베이스(210), 상판(220), 제1 연결부재(230), 제2 연결부재(240), 높이 조절 기구(250) 및 가이드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2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부에 추가적인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거나, 다른 테이블 상에 올려질 수 있다.
상판(220)은 제1 플레이트(221)과 제2 플레이트(222)가 다단지도록 배치되어, 책상으로 사용시에 사용자가 다양한 물품을 놓을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30) 및 제2 연결부재(240)는 베이스(210)과 상판(220)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30) 및 제2 연결부재(240)는 설치 위치만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30) 및 제2 연결부재(40)과 상이하다.
높이 조절 기구(250)은 제1 연결부재(230) 및 제2 연결부재(240)를 연결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250)는 제1 높이 조절 유닛(2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25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상기 서술한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52)과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유닛(260’)은 가이드 롤러(261)와 가이드 레일(26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61’) 및 가이드 레일(262’)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의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레일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300)은 베이스(310), 상판(320), 제1 연결부재(330), 제2 연결부재(340), 높이 조절 기구(350), 가이드 유닛(360) 및 장착 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350)은 제1 연결부재(330) 및 제2 연결부재(340)를 연결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350)는 제1 높이 조절 유닛(3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35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상기 서술한 제1 높이 조절 유닛(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52)과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높이 조절 기구(350) 중 어느 하나는 장착 부재(37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351)이나 제2 높이 조절 유닛(352)가 미사용 시에 일 단부를 제1 연결 부재(330) 또는 제2 연결 부재(340)에서 분리하고 장착 부재(370)에 장착 할 수 있다. 특히, 제2 높이 조절 유닛(352)은 프리 타입(free type)가스 스프링이므로, 제2 연결 부재(340)에 연결된 단부를 분리하고, 회전시키면 제1 연결 부재(330)에 설치된 장착 부재(37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부재(370)는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 기구(350)가 미사용시에 저장 및 장착 할 수 있다. 장착 부재(370)는 높이 조절 기구(350)를 지지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부재(370)는 미사용되는 제1 높이 조절 유닛(351)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352)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300a)은 마그넷을 가지는 장착 부재(370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장착 부재(370a)는 높이 조절 기구(350)의 일측에 고정되고, 마그넷에 의해서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 장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 기구(350)를 미사용시에, 높이 조절 기구(350)를 회전하여 장착 부재(370a)를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300b)은 베이스부(310)의 일측에 고정된 장착 부재(37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 기구(350)를 미사용시에, 높이 조절 기구(350)의 양단을 분리하여, 장착 부재(370b)에 높이 조절 기구(35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7a 및 도 17b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300c)은 지지홈(371c)을 구비한 장착 부재(370c)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 부재(370c)는 높이 조절 기구(350)에 고정되고, 미사용시에 높이 조절 기구(350)가 회전하여 지지홈(371c)에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 기구(35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높이 조절 기구(350)의 일단을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서 분리하고, 높이 조절 기구(350)를 회전하여 장착 부재(370c)를 제1 연결 부재(330)나 제2 연결 부재(34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상판
30: 제1 연결부재
40: 제2 연결부재
50: 높이 조절 기구
60: 가이드 유닛

Claims (1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 기구;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상기 제1 이동단과 상기 제2 이동단 사이에 설치되며, 제어 부재의 가압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여부가 제어되며,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인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과 대칭되게 설치되고, 항상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며,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인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일측면은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타측면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 중심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폭이 좁은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9.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 기구;
    상기 제1 이동단 및 상기 제2 이동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 라인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 중심에 회전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라인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 중심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보강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3.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가변되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제어 부재의 가압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여부가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높이 조절 유닛;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항상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미사용되는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연결부재나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고정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은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은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상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및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은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은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7. 삭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마그넷을 가지거나, 일측에 제1 연결 부재나 제2 연결 부재에 삽입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19. 삭제
KR1020170173285A 2017-12-15 2017-12-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6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85A KR102068328B1 (ko) 2017-12-15 2017-12-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PCT/KR2018/015974 WO2019117686A1 (ko) 2017-12-15 2018-12-1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85A KR102068328B1 (ko) 2017-12-15 2017-12-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159A KR20190072159A (ko) 2019-06-25
KR102068328B1 true KR102068328B1 (ko) 2020-02-11

Family

ID=6682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285A KR102068328B1 (ko) 2017-12-15 2017-12-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8328B1 (ko)
WO (1) WO201911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662A (ko) * 2022-10-07 2024-04-16 주식회사 세라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20Y1 (ko) * 1999-12-27 2000-07-01 주식회사삼광씨스템 모빌 랙
KR100802663B1 (ko) * 2006-11-13 2008-02-12 김명신 접철식 높이조절장치
KR101767574B1 (ko) * 2016-05-11 2017-08-24 주식회사 에이앤비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 테이블용 승하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09Y1 (ko) * 1997-03-28 1999-09-01 박병기 가구용 선반의 조립구조
KR2016010017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551337B1 (ko) * 2015-04-22 2015-09-18 이상진 높낮이조절 책상
JP3212022U (ja) * 2017-06-05 2017-08-17 玉山展業有限公司Esun Tools Mfg. Ltd. 木製テーブル脚の改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20Y1 (ko) * 1999-12-27 2000-07-01 주식회사삼광씨스템 모빌 랙
KR100802663B1 (ko) * 2006-11-13 2008-02-12 김명신 접철식 높이조절장치
KR101767574B1 (ko) * 2016-05-11 2017-08-24 주식회사 에이앤비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 테이블용 승하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159A (ko) 2019-06-25
WO2019117686A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11864654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4381714A (en) Continuously adjustable computer console table
KR100845863B1 (ko) 모니터 스탠드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06309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KR930004680B1 (ko) 무슬라이딩 고진공 게이트 밸브
KR10206832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US20050121565A1 (en) Adjust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US3370556A (en) Mechanical counterbalance system
CN104822297A (zh) 可调节床垫基座
KR930002580A (ko) 미싱 테이블
KR20220098929A (ko)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CA2531821A1 (en) Bed surface with improved structure
JP2016145102A (ja) 昇降機構及び家具
CN110448865A (zh) 一种坐立运动多功能保健康复椅
CN220824333U (zh) 一种机芯升降机构
KR100715780B1 (ko) 탄성 가변형 침대 매트리스
CN220403535U (zh) 一种办公座椅
CN115350067A (zh) 一种多功能按摩床
CN215779724U (zh) 分区调节式腿脚按摩装置及按摩椅
CN220119098U (zh) 一种双屏悬臂及显示器支架
KR102532508B1 (ko) 매뉴얼 치료와 냉온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재활 시스템
KR101215026B1 (ko)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