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026B1 -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026B1
KR101215026B1 KR1020100109818A KR20100109818A KR101215026B1 KR 101215026 B1 KR101215026 B1 KR 101215026B1 KR 1020100109818 A KR1020100109818 A KR 1020100109818A KR 20100109818 A KR20100109818 A KR 20100109818A KR 101215026 B1 KR101215026 B1 KR 10121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groove
coupled
piston ro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269A (ko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0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의료용 침대 등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테이블의 완충장치로서,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되되, 밀폐캡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 실린더의 양측에 관통결합되되, 실린더의 내부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 및 피스톤로드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중앙홈, 중앙홈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 및 중앙홈 내부에 수용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의료용 침대 등에 마련되는 테이블의 하강시 전 구간에 걸쳐 테이블이 급속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블에 인가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고 환자, 노약자 등 심신이 미약한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테이블의 승강시에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테이블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고, 침대 및 테이블을 포함한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A SHOCK ABSORBER OF A TABLE}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침대에 부착되는 테이블과 같이 하중을 갖고 승강하는 물체가 다른 물체에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료용 침대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되되, 밀폐캡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관통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중앙홈, 상기 중앙홈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 및 상기 중앙홈 내부에 수용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피스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도어장치 및 접철장치 등에서 하중을 갖고 직선 또는 회전 운동하는 물체가 인접한 고정물체에 충돌할 때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된다. 예를 들어, 의료용 침대에는 환자들이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필요시에만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둘 수 있게 회전식으로 절첩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테이블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 복귀 과정에서 침대 프레임에 부딪히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제품 내구성에 상당히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절첩되는 부분에 손이 끼거나 하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소음은 심신의 안정을 취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완충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압축가스와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장치가 그 중 하나이다.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508785호는 차량 등에 적용되는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완충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장치는 상판과 하판 사이를 "X"형으로 힌지 결합된 지지링크로 연결한 차량용 좌석완충장치로서, 하판의 후방 단부 중앙에는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가스스프링을 축 결합하고, 상판의 전방 단부의 중앙에는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버튼을 구비한 가스실린더를 축 결합하며, 가스스프링 로드의 단부와 가스실린더 로드의 단부를 롤러와 축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장치는 압축가스를 별도로 주입시켜 주어야 하고, 완충장치의 설계를 위해서 스프링 등 추가적인 부품을 요하므로 생산단가가 올라갈 뿐만 아니라, 이들을 따로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상의 효율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실린더형 완충장치(등록특허 제866467호)를 제안한 바 있는데, 상기 실린더형 완충장치는 가스 주입 및 스프링 등 추가부품을 요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충격부위 근처에서만 속도를 제어하므로 테이블 하강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508785호 한국등록특허 제8664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의료용 침대 등에 마련되는 테이블의 하강시 전 구간에 걸쳐 테이블이 급속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블에 인가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고 환자, 노약자 등 심신이 미약한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승강시에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테이블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테이블의 하강에 의해 침대 또는 테이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침대 및 테이블을 포함한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테이블의 완충장치는,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되되, 밀폐캡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관통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중앙홈, 상기 중앙홈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 및 상기 중앙홈 내부에 수용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내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관통홈 중 크기가 작은 관통홈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외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관통홈 중 크기가 큰 관통홈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피스톤로드의 이동시 오일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테이블 승하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피스톤에 형성되는 중앙홈은 플랜지의 관통홈보다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플랜지의 관통홈과 상기 후방 플랜지의 관통홈은 크기가 다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 등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테이블의 완충장치는,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되되, 밀폐캡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관통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중앙홈, 상기 중앙홈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 및 상기 중앙홈 내부에 수용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피스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의료용 침대 등에 마련되는 테이블의 하강시 전 구간에 걸쳐 테이블이 급속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블에 인가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고 환자, 노약자 등 심신이 미약한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이블의 승강시에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테이블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충격 완화효과로 인해 침대 및 테이블을 포함한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정면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피스톤 구성의 상세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힘이 인가될 때의 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힘이 인가될 때의 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장착한 의료용 침대 테이블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정면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피스톤 구성의 상세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힘이 인가될 때의 상태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힘이 인가될 때의 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장착한 의료용 침대 테이블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린더(100), 피스톤로드(200), 및 피스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00)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통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을 갖고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밀폐캡(12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상기 실린더(100)의 수용공간(110)에는 후술할 피스톤로드(200)와 피스톤(300)이 수용되며, 오일(O)이 수용공간(110)에 부분적으로 주입된 후, 밀폐캡(120)에 의해 실린더(100)를 밀폐시킨다. 이 때, 오일(O)은 실린더 수용공간(110)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린더 수용공간(110)의 일부에는 자연압의 공기를 남겨놓은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110)의 7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110)의 약80% 정도로 오일(O)을 채울 수 있다.
실린더(100) 내부에 수용되는 피스톤로드(200)는 실린더(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실린더 내부공간(110)에 수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해 실린더(100) 내부를 왕복 직선이동한다.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일측 말단은 후술할 피스톤(300)과 접속되고, 타측은 테이블이 설치되는 침대 프레임 또는 테이블 다리 프레임의 말단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2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 양측에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는 피스톤(300)이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3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띄며 피스톤(300)의 원주방향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300)은 피스톤로드(200)의 왕복직선운동에 따라 실린더(100) 내부를 왕복이동한다.
이러한 피스톤(3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0)의 중앙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중앙홈(310)이 형성된다. 도 2 에는 중앙홈(310)이 피스톤(300)의 원주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홈(310)은 소정 길이만큼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 복수 개의 중앙홈(310)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홈(310)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는 플랜지(320,330)가 마련된다. 이 때, 전방은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기준으로 테이블 등이 결합되는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의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하며, 후방은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가 의료용 침대 등에 결합되는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해당한다.
즉, 피스톤(300)을 이루는 전방 플랜지(320)와 후방 플랜지(330)는 중앙홈(310)을 기준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방 플랜지(320)와 후방 플랜지(330) 각각에는 관통홈(340,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홈 세트(340,350)는 크기가 상이한 관통홈들로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상 크기가 작은 관통홈을 제1관통홈(340)이라 하고, 보다 크기가 큰 관통홈을 제2관통홈(350)이라 한다. 이 때,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은 실린더(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은 양측 피스톤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피스톤에 형성된 제1관통홈, 제2관통홈은 타측 피스톤의 제1관통홈, 제2관통홈과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에는 상기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이 전방 플랜지(320)와 후방 플랜지(330)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피스톤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홈(310)의 깊이가, 제1관통홈(340) 및 제2관통홈(350)의 직경보다 깊어서 중앙홈이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보다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피스톤(300)에 형성된 중앙홈(310) 내부에는 유량조절부재(360)가 수용된다. 상기 유량조절부재(360)는 오일의 이동에 따라 유동가능한 것이면 족하고, 통상의 오링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원판형 부재 또는 구형 부재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유량조절부재(360)가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 주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에 인접한 중앙홈(310)에 가이드부재(미도시)를 마련하여 유량조절부재(360)를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 근처의 중앙홈(310) 지점에 가두어 둘 수도 있고, 중앙홈(310)을 피스톤(300)의 원주 전체에 걸쳐 형성하지 않고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 주위에만 형성하는 방식으로 유량조절부재(36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의 오링을 유량조절부재(360)로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그 외경은 제2관통홈(350)의 직경보다 크고, 그 내경은 제1관통홈(34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은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힘이 인가될 때, 예를 들어,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10)의 전방에 연결된 테이블(T)이 하강할 때의 상태도이다.
일정 하중을 갖는 테이블(T)이 하강하기 시작하면, 그로 인해 피스톤로드(200)에는 실린더(100) 내부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인가되고, 피스톤로드(200)는 실린더(100) 내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 때, 유량조절부재(360)는 피스톤(300)의 제1관통홈(340) 인근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관통홈(340)을 부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즉, 피스톤(300)에 의해 구분되는 수용공간(110)을 각각 제1챔버(110a), 제2챔버(110b), 및 제3챔버(110c)라고 했을 때, 테이블의 하강에 의해 피스톤로드(200)와 피스톤(300)은 실린더(100) 내측으로 직선이동하고, 상기 유량조절부재(360)는 피스톤(300)의 제1관통홈(340)에 밀착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의 제1챔버(110a)로부터 전방의 제2챔버(110b)로 유입되는 오일(O)은 그 이동속도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피스톤로드(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서서히 완화되면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4 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200)가 후방을 향해 힘을 인가받을 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철되어 있던 테이블을 사용하고자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피스톤로드(200)는 실린더(100) 내측으로부터 전방(테이블이 결합되는 측)을 향해 직선이동한다. 이 때, 유량조절부재(360)는 피스톤(300)의 제2관통홈(350) 인근에 위치하여 제2관통홈(350)을 부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 때, 실린더(100)의 제2챔버(110b)의 오일은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챔버(110a)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도 3 의 경우보다 제1관통홈(340)과 제2관통홈(350)을 통과하는 오일량은 증가하고 오일 유속도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의료용 침대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장치(10)의 전방측 피스톤로드(200a)는 힌지결합되는 연결편(400)을 통해 의료용 침대 등에 설치되는 테이블의 다리 프레임(500)에 결합되고, 후방측 피스톤로드(200b)는 테이블이 마련되는 부분의 반대측의 침대 프레임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는 침대 위의 사용자가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테이블이 세워져 있으며, 테이블이 하강함에 따라 그 힘을 인가받은 피스톤로드(200)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즉, 실린더(10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부재(360)가 피스톤(300)의 제1관통홈(340)을 부분적으로 폐쇄하게 되고, 실린더(100) 내부에서 관통홈(340,350)을 통과하는 오일에 의해 테이블이 서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는 의료용 침대 등에 마련되는 테이블의 하강시 전 구간에 걸쳐 테이블이 급속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이블에 인가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고 환자, 노약자 등 심신이 미약한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승강시에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테이블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고, 침대 및 테이블을 포함한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테이블 완충장치
100: 실린더
110: 수용공간
110a: 제1챔버
110b: 제2챔버
110c: 제3챔버
200: 피스톤로드
300: 피스톤
310: 중앙홈
320: 전방 플랜지
330: 후방 플랜지
340: 제1관통홈
350: 제2관통홈
360: 유량조절부재
400: 연결편
500: 다리 프레임
T: 테이블
A: 공기
O: 오일

Claims (4)

  1. 의료용 침대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테이블의 완충장치로서,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에 부착되되, 밀폐캡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관통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직선이동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실린더 내부측 말단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중앙홈, 상기 중앙홈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 및 상기 중앙홈 내부에 수용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내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관통홈 중 크기가 작은 관통홈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외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관통홈 중 크기가 큰 관통홈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피스톤로드의 이동시 오일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테이블 승하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피스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홈은 상기 플랜지의 관통홈보다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완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랜지의 관통홈과 상기 후방 플랜지의 관통홈은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완충장치.
  4. 삭제
KR1020100109818A 2010-11-05 2010-11-05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KR10121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18A KR101215026B1 (ko) 2010-11-05 2010-11-05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18A KR101215026B1 (ko) 2010-11-05 2010-11-05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69A KR20120048269A (ko) 2012-05-15
KR101215026B1 true KR101215026B1 (ko) 2012-12-24

Family

ID=4626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18A KR101215026B1 (ko) 2010-11-05 2010-11-05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171B1 (ko) * 2014-02-27 2015-04-20 김흥섭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69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9407A1 (en) Chair for easy-sitting and easy-rising motions
CN105637252B (zh) 用于控制液压装置中的可变负载的系统
CN101675846B (zh) 高度可调式家具
CN111049009A (zh) 一种电力系统的配电柜
KR100968038B1 (ko) 압력 변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15026B1 (ko)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KR20110001283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CN201791051U (zh) 一种按摩器及装有该按摩器的按摩床
CN106763438A (zh) 液压缓冲器
KR20070117230A (ko) 가스 실린더
CN205824021U (zh) 一种双向双作用减震装置
KR10200735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A2398873A1 (en) Shock absorber through the rod damping adjustment
US9611912B2 (en) Body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KR100979183B1 (ko) 충격 흡수용 가스 실린더
KR20150125297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396236B1 (ko)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KR101140365B1 (ko) 가스 실린더
CN209430660U (zh) 带降噪活塞的气动杆
KR101216438B1 (ko)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쿠션이 가능한 가스 실린더
KR200478363Y1 (ko) 체어형 모노스키의 양방향 유압충격흡수장치
CN207349350U (zh) 一种高可靠性的汽车双筒式减振器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CN211314946U (zh) 一种可自动调节的液压阻尼缓震装置
TWI639528B (zh) Bicycle seat pos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