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36B1 -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 Google Patents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36B1
KR101396236B1 KR1020130031177A KR20130031177A KR101396236B1 KR 101396236 B1 KR101396236 B1 KR 101396236B1 KR 1020130031177 A KR1020130031177 A KR 1020130031177A KR 20130031177 A KR20130031177 A KR 20130031177A KR 101396236 B1 KR101396236 B1 KR 10139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ushion
cylinder member
valve bod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Priority to KR102013003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41Locking; Fixing i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0Enclosure elements, e.g. f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통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벽 과의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320)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상측에 제공되어 밸브핀(410)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하는 가스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스 안내 유로(460)를 갖는 밸브체(4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일측단 헤드부(510)가 기밀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타측단 로드부(520)가 수직상태로 상기 외통체(100)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피스톤로드(500)를 포함하여서 된 가스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헤드부(510)와 상기 밸브체(400) 사이에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강 동작시 가스 쿠션과 동시에 가스 이동로 차단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사점 이동구간을 결정하게 되는 가스 쿠션부(800)를 제공하여서 된다.

Description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a gas spring with a gas cushion}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등 높낮이 조절에 적용되는 가스 스프링에 있어 의자의 좌판부 하강시 하사점 위치에서 쿠션과 함께 가스 이동의 차단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스프링이라 함은, 의자의 좌판부 높낮이 조절구조에 주로 적용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스압을 통해 좌판부를 승하강시키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 가스 스프링은, 가스 실린더라고도 하며 지면에 제공되는 베이스에 수직 설치되는 외통체와, 이 외통체의 내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슬라이드 삽입되며 그 상단이 의자의 좌판부 등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에 결합되어 상향 및 하향으로 전후진 하게 되고 그 노출단부가 상기 외통체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후진 동작시 실린더부재를 승강시키게 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를 가스 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게 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가스 유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밸브핀 및 이 밸브핀의 상측단과 연결되어 전후 이동시 밸브핀을 승강시키게 되는 개폐레버 또는 버튼과 상기 개폐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에는 내측 파이프가 제공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가스가 상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을 중심으로하여 실린더부재의 상하측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스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을 중심으로 상하측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가스 유로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틈새를 통해 가스가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통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로드 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체가 제공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강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댐퍼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조의 가스 스프링은, 공지에 알려진 바와같이 의자에 주로 적용되어 착석자의 조작레버를 통한 조작시 피스톤로드의 지지에 의해 실린더부재가 승하강되면서 좌판부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댐퍼는 실린더부재의 하강시 하사점 위치에서 접촉되어져 실린더부재와 피스톤로드 간의 가스쿠션과 함께 착석자가 받게 되는 부담을 해소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가스 스프링의 경우 의자의 좌판부가 최하점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착석자가 앉게되면 실린더부재의 하강으로 실린더부재가 고무소재의 댐퍼에 접촉되는데 이때 순간 접촉력이 발생되어 타격음 및 반발력이 작용되며 이에따라 주변에 타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고 또한 착석자에게 충격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하강되는 실린더부재를 댐퍼가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댐퍼의 압축구간이 짧아 착석자에게 충격 반발력이 제공되어지고 이에대한 부담을 착석자가 직접적으로 받게되어 불편함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좌판부의 잦은 높낮이 조절로 실린더부재가 지속적으로 댐퍼를 타격함에 따라 댐퍼가 쉽게 훼손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스 스프링을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특허등록 제10-1035016호 "속도 제어용 가스 스프링"(2011년 05월 17일 공고)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의자 등 높낮이 조절에 적용되는 가스 스프링에 있어 의자의 좌판부 하강시 하사점 또는 어느 위치에서도 속도의 감속으로 부딪힘에 따른 타격음 없이 일정구간 완충력이 서서히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통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벽 과의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320)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상측에 제공되어 밸브핀(410)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하는 가스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스 안내 유로(460)를 갖는 밸브체(4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일측단 헤드부(510)가 기밀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타측단 로드부(520)가 수직상태로 상기 외통체(100)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피스톤로드(500)를 포함하여서 된 가스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헤드부(510)와 상기 밸브체(400) 사이에,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강 동작시 가스 이동로(626)를 통해 가스 이동을 제어하여 속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속도 제어용 가이더(600)가 제공되며; 상기 속도 제어용 가이더(600)는,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에서 가스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스 이동로(626)를 형성하며 상하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캡(620)과, 상기 접촉캡(620)의 저면과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헤드부 사이에 위치되어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재(610)로 구성된다.
상기한 가스 스프링을 의자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판부의 승강 상태에서 하강 동작을 취하고자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밸브핀(410)이 하강되면서 가스가 가스 안내 유로(460)를 통해 하향 이동되게 된다. 이에따라 좌판부를 고정하고 있는 실린더부재(200)가 도 1의 우측 도면과 같이 하강 동작을 하게 되고 연속해서 실린더부재(200)가 일정구간 하향 이동되면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단이 접촉캡(620)의 상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가스 이동로(626)를 통한 가스의 이동량 제한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속도가 감속되어져 실린더부재(200)가 서서히 하강 하게 된다. 이에따라 좌판부에 착석자가 착석후 하강 동작을 취하게 되어도 하사점 위치에서 충격력 없이 안정되게 좌판부의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실린더부재(200)가 하사점 부분에서 외력 작용시 상하 유동되게 되어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 그리고 좌판부가 위치 고정상태에서도 상하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 좌판이 상하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허등록 제10-1035016호 "속도 제어용 가스 스프링"2011년 05월 17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외통체에 대해 실린더부재가 세워진 상태에서 실린더부재의 하강 동작시 하사점 위치에서 가스 쿠션과 동시에 가스 이동이 차단되어 위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가스 쿠션 위치에 위치결정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실린더부재의 하사점 이동구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가스 유로 변경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어 가스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통체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벽 과의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실린더부재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상측에 제공되어 밸브핀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 이동로를 통하는 가스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스 안내 유로를 갖는 밸브체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서 일측단 헤드부가 기밀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타측단 로드부가 수직상태로 상기 외통체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서 된 가스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헤드부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강 동작시 가스 쿠션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스 쿠션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쿠션부는, 상면이 상기 밸브체의 저면에 접촉시 상기 밸브핀의 개방 동작에도 가스 이동을 차단하게 되는 접촉캡과, 상기 접촉캡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체와의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여 상기 밸브체와 상기 접촉캡의 접촉에 따른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부재와, 상기 접촉캡의 저면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헤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사점 이동 구간을 결정하게 되는 위치결정부재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스프링이 가능하며, 하단부가 상기 접촉캡의 상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완충 가능한 스프링이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접촉캡의 저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상기 쿠션부재 보다 압축 강도가 적어도 강한 것이 적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은,
첫째; 실린더부재의 하강 동작시 하사점 위치에서 쿠션작용과 함께 가스 이동이 차단되어 충격력을 방지하게 되고 더불어 실린더부재의 위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스프링을 의자 등 높낮이 조절에 적용하는 경우 의자의 좌판부 하강시 하사점 위치에서 부딪힘에 따른 타격음 없이 쿠션 작용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위치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연속된 충격력 발생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위치결정부재의 길이를 통해 실린더부재의 하사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외통체의 바닥에 쿠션을 위한 별도의 완충재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스쿠션부의 쿠션부재를 통해 접촉캡이 밸브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가스의 이동을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 스프링의 종단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의 종단면 및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로 하사점에 근접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로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에 있어 승강 또는 하강 되는 실린더부재(300)가 하사점 위치에서 쿠션이 제공됨과 동시에 가스 이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가스 스프링과 가스 쿠션을 제공하는 가스 쿠션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은, 도 3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외통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벽 과의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320)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상측에 제공되어 밸브핀(410)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하는 가스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스 안내 유로(460)를 갖는 밸브체(4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일측단 헤드부(510)가 기밀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타측단 로드부(520)가 수직상태로 상기 외통체(100)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피스톤로드(500) 및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헤드부(510)와 상기 밸브체(400) 사이에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강 동작시 가스 쿠션 및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사점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가스 쿠션부(8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체(100)는, 공지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취하는 것이며, 상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 내측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부재(200)를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코팅면을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이론 코팅면을 대신하여 별도로 인너 부싱 등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200)는, 공지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취하며, 내부에는 가스 이동에 따라 승하강 되는 피스톤로드(500)가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통체(100)의 내벽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상기 피스톤로드(500)를 지지로 하여 상향 또는 하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내측파이프(30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벽과 일정폭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3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한 가스는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상측 및 하측 위치에서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로드(500)의 헤드부(510)를 중심으로 한 상측 및 하측 공간으로 가스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상단에 의자의 좌판부 등이 연결되는 경우 가스압을 통해 상기 좌판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체(400)는,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측에서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상단에 기밀 상태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스 이동로(320)와 연결되어 가스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 하게 된다.
즉, 상기 밸브체(400)는 상기 밸브체(400)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가스 안내 유로(460)를 개폐시키게 되는 밸브핀(410)과, 상기 밸브핀(410)의 상측단과 연결되어 전후 이동시 밸브핀(410)을 승강시키게 되는 개폐레버 또는 버튼(4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420)의 하강 동작시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상측 공간과 상기 가스 안내 유로(460)를 연통시켜 가스를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부재(200)가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헤드부(510)를 중심으로 승강 및 하강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밸브체(400)는,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내측파이프(300) 및 상기 밸브핀(410)이 접하는 부위에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로드(500)는,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게 되며, 하측 로드부(520)의 단부가 상기 외통체(100)의 바닥에 제공되는 베어링 회전체(700) 및 지지판을 통과하여 와셔 및 클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측 헤드부(510)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승하강 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510)에는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벽이 기밀 유지상태로 슬라이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오링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 쿠션부(800)는,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며 실린더부재(200)가 하사점 위치에서 쿠션이 제공되어 실린더부재(200)의 하사점 이동구간(S)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 쿠션부(800)는, 접촉캡(820)과, 상기 접촉캡(8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쿠션부재(840) 및 상기 접촉캡(820)의 저면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재(860)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캡(8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 중심에 제1고정홈(822)이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홈(822)에 상기 쿠션부재(840)가 세워져 고정된다.
이는,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과 접촉시 쿠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측 원주면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과 밀착되어 상기 밸브핀(410)의 개방 동작에도 가스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재(840)는, 탄성 가능한 완충소재 또는 코일형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접촉캡(820)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캡(820)의 저면 중심에 하향으로 개방된 제2고정홈(824)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홈(824)에는 상기 위치결정부재(860)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860)는, 길이 조절 가능한 소재가 바람직하며, 완충소재 또는 코일형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향 이동시 하사점 위치에서 이동구간(S)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그 하단부가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피스톤(510)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캡(820)이 상기 밸브체(400)에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재(860)가 상기 쿠션부재(840) 보다 압축 강도가 강한 것이 적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밸브체(400)가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피스톤(510)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 1차로 쿠션부재(840)가 쿠션력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캡(820)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에 밀착되어 가스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쿠션부재(840)의 압축으로 상기 접촉캡(820)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에 밀착되면 가스 이동이 차단되게 되고, 동시에 실린더부재(200)가 하강동작을 취하게 되면 상기 위치결정부재(860)가 이를 지지하여 이동구간(S)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가스 스프링을 의자의 좌판에 설치하는 경우, 외통체(100)의 하단이 지면에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 플레이트에 세워져 고정하고 상기 외통체(100)에 결합된 실린더부재(200)의 상단에 의자의 좌판부가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이후, 의자 좌판에 사용자가 착석한 다음 좌판을 최대 폭으로 낮추고자 버튼(420)을 동작시킨다. 그러면 밸브핀(410)이 이동됨과 동시에 가스가 이동하여 실린더부재(200)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실린더부재(200)가 외통체(100)내로 슬라이드 삽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사점 위치에서 밸브체(400)의 저면이 상기 가스 쿠션부(800)를 이루는 쿠션부재(840)에 접촉되게 되면 쿠션부재(840)에 의해 쿠션력이 제공됨과 동시에 접촉캡(820)의 상면 원주면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가스 이동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단과 회전체(700) 사이에는 "S" 만큼의 구간이 남게 된다.
이후, 연속된 동작으로 실린더부재(200)에 상하 외력이 작용되면 접촉캡(820)에 의해 가스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부재(860)가 이동구간 "S"를 유지한 상태에서 완충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하나의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통체
200: 실린더부재
300: 내측파이프
400: 밸브체
410: 밸브핀 420: 버튼
460: 가스 이동로
500: 피스톤로드
510: 피스톤 520: 로드
700: 회전체
800: 가스 쿠션부
820: 접촉캡 822: 제1고정홈
824: 제2고정홈 840: 쿠션부재
860: 위치결정부재

Claims (4)

  1. 외통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내벽 과의 사이에 상하로 가스 이동로(320)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내측파이프(300)와, 상기 실린더부재(2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상측에 제공되어 밸브핀(410)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 이동로(320)를 통하는 가스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스 안내 유로(460)를 갖는 밸브체(400)와, 상기 내측파이프(300)의 내부에서 일측단 헤드부(510)가 기밀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며 타측단 로드부(520)가 수직상태로 상기 외통체(100)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피스톤로드(500)를 포함하여서 된 가스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헤드부(510)와 상기 밸브체(400) 사이에,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강 동작시 가스 쿠션 및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이동구간을 결정하는 가스 쿠션부(800)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쿠션부(800)는,
    상면이 상기 밸브체(400)의 저면에 접촉시 상기 밸브핀(410)의 개방 동작에도 가스 이동을 차단하게 되는 접촉캡(820)과,
    상기 접촉캡(820)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체(400)와의 접촉시 쿠션을 제공하여 상기 밸브체(400)와 상기 접촉캡(820)의 접촉에 따른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부재(840)와,
    상기 접촉캡(820)의 저면과 상기 피스톤로드(500)의 헤드부(5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200)의 하사점 이동구간을 결정하게 되는 위치결정부재(8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840)는 탄성 가능한 완충재 또는 스프링이며, 하단부가 상기 접촉캡(8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822)에 끼워져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860)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 가능한 스프링이며, 상단부가 상기 접촉캡(820)의 저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824)에 끼워져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상기 쿠션부재 보다 압축 강도가 강한 것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KR1020130031177A 2013-03-22 2013-03-22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KR101396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77A KR101396236B1 (ko) 2013-03-22 2013-03-22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77A KR101396236B1 (ko) 2013-03-22 2013-03-22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236B1 true KR101396236B1 (ko) 2014-05-27

Family

ID=5089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77A KR101396236B1 (ko) 2013-03-22 2013-03-22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8209A (zh) * 2018-08-31 2021-04-09 株式会社三弘社 多级调节高度装置
KR102641792B1 (ko) 2023-05-30 2024-02-29 (주)베스툴 가스 쿠션 실린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709A (en) * 1978-07-19 1980-02-07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JPH10506170A (ja) * 1994-05-26 1998-06-16 ステイールケイ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圧式椅子高さ調節機構
JP2004004069A (ja) * 2002-04-12 2004-01-08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力センサ
JP2007263324A (ja) * 2006-03-29 2007-10-11 Showa Corp 油圧緩衝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709A (en) * 1978-07-19 1980-02-07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JPH10506170A (ja) * 1994-05-26 1998-06-16 ステイールケイ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圧式椅子高さ調節機構
JP2004004069A (ja) * 2002-04-12 2004-01-08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力センサ
JP2007263324A (ja) * 2006-03-29 2007-10-11 Showa Corp 油圧緩衝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8209A (zh) * 2018-08-31 2021-04-09 株式会社三弘社 多级调节高度装置
KR102641792B1 (ko) 2023-05-30 2024-02-29 (주)베스툴 가스 쿠션 실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818B1 (ko) 회전 제어 클러치를 갖는 가스실린더
CA2977784C (en) Adjustable seat tube structure and bicycle
US20090008977A1 (en) Vehicle seat with slide valve
KR101599467B1 (ko) 가스 실린더
KR101035016B1 (ko) 속도 제어용 가스 스프링
US9239089B2 (en) Grease shut-off gas cylinder
US8128053B2 (en) Vertically adjustable furniture item
KR101396236B1 (ko) 가스 쿠션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
KR101754596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 가변형 파티션
KR101140365B1 (ko) 가스 실린더
KR20070117230A (ko) 가스 실린더
CN108916290B (zh) 减振器的液压缓冲结构
KR100979183B1 (ko) 충격 흡수용 가스 실린더
KR101516808B1 (ko) 가스 실린더
CN107813886B (zh) 自行车坐垫柱结构
KR200478363Y1 (ko) 체어형 모노스키의 양방향 유압충격흡수장치
CN101886682A (zh) 速度控制用气压弹簧
KR101216438B1 (ko)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쿠션이 가능한 가스 실린더
KR20150128455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20210036554A (ko) 에어 댐퍼
JP2002349129A (ja) 引き戸のエアダンパ
KR101631641B1 (ko) 가스 실린더
KR102571210B1 (ko) 하사점에서 완충 기능을 가진 가스 실린더
KR200448940Y1 (ko) 의자용 등받이의 백풀 작동에 따른 소음방지부재를 갖는가스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