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356B1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356B1
KR102007356B1 KR1020140071503A KR20140071503A KR102007356B1 KR 102007356 B1 KR102007356 B1 KR 102007356B1 KR 1020140071503 A KR1020140071503 A KR 1020140071503A KR 20140071503 A KR20140071503 A KR 20140071503A KR 102007356 B1 KR102007356 B1 KR 10200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tension
passage
strok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907A (ko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7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3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5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using servo control, the servo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flow of damping fluid, e.g. controlling pressure in a chamber downstream of a pilot passag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실린더 내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고 메인유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결합되어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스풀이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스풀가이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챔버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로 유입된 유체압에 의해 배압실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와 통로와 인장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압축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와 통로와 압축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인장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풀의 위치 이동을 통해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 조절하여 바디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밸브바디가 열리는 압력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감쇠력 조절의 용이성을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며,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충격 등을 흡수 및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쇽업소버를 보면,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며 차체 또는 바퀴나 차축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며,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쇽업소버 중에는, 감쇠력을 낮게 설정시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 충격 등을 흡수하여 차체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감쇠력을 높게 설정시 차체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쇼버에는, 배압챔버에 설치된 디스크밸브를 이용해 감쇠력을 가변하는 구조로, 스풀의 유로 가변을 통해 감쇠력 특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스풀의 위치에 따라 유로의 개폐 상태를 가변하여 감쇠력을 가변시킬 수는 있으나, 상부 또는 하부에 루버가 몰딩된 다수의 디스크스프링 등이 적용되므로, 작동시 발생하는 온도에 의해 루버의 탄성력이 변동되어 배압이 변경되거나 작동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2963호(1998년 03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의 위치 이동을 통해 압축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바디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밸브바디가 열리는 압력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감쇠력 조절의 용이성을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실린더 내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고 메인유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결합되어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스풀이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스풀가이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챔버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로 유입된 유체압에 의해 배압실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와 통로와 인장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압축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와 통로와 압축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인장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인장유로는 상기 스풀의 승강 위치 가변에 의해 단면적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유로는, 압축 행정시 상기 통로의 하부를 통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전달되며,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는 압축 행정시 상기 압축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압실로 후퇴되어,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유로는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인장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인장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축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는 인장 행정시 상기 제1인장유로와 상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압실로 후퇴되어, 상기 제2인장유로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의 외주에는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통로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홈 및,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유로와 상기 통로와 상기 제2인장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의 상단에는 압축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통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압축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홈의 상단에는 인장 행정시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제1인장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홈의 하단에는 인장 행정시 상기 제2홈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인장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실 내에는 상기 밸브바디들을 상기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배압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여 완충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들에는 상기 배압실을 연결하기 위한 배압유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압축챔버 방향에 밀착되어, 상기 매인유로를 차단하는 압축측 밸브디스크 및, 상기 몸체의 인장챔버 방향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는 인장측 밸브디스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풀의 위치 이동을 통해 압축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 조절함과 아울러, 배압실 내에 밸브바디의 개폐를 탄성 지지하는 배압스프링을 배치시킴으로써, 바디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량과 배압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여 밸브바디가 오픈되는 압력을 가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서 스풀을 이동시켜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을 가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서 스풀을 이동시켜 압축유로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을 가변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실린더(10)와, 피스톤로드(20)와, 피스톤밸브(30) 및, 솔레노이드(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스풀가이드(100)와, 배압챔버(200)와, 밸브바디(300)와, 압축유로(400)와, 제1인장유로(500) 및, 제2인장유로(5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유체(오일 등)가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내튜브(미도시)와 외튜브(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내튜브의 하부에는 바디밸브(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튜브와 외튜브의 사이에는 상기 바디밸브에 의해 구분되는 저장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단통식 또는 복통식 실린더(1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는 후술 될 피스톤밸브(30)에 의해 압축챔버(11)와 인장챔버(12)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10)의 하단에는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10)의 일단과 피스톤로드(20)의 일단은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할 수 있다.
피스톤로드(20)는, 일단이 후술 될 솔레노이드(4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튜브(12)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된다.
피스톤밸브(30)는, 실린더(10)의 내부를 압축챔버(11)와 인장챔버(12)로 구분한 상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피스톤밸브(30)는 몸체(31)와, 압축측 밸브디스크(32) 및, 인장측 밸브디스크(33)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31)는 실린더(10)의 내부를 압축챔버(11) 및 인장챔버(12)로 구분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유로(31a)가 형성된다.
압축측 밸브디스크(32)는, 몸체(31)의 압축챔버(11) 방향에 밀착되어, 매인유로(31a)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인장측 밸브디스크(33)는, 몸체의 인장챔버 방향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압축측 밸브디스크(32)와 인장측 밸브디스크(33)는, 하나 또는 다수가 몸체(31)의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 상태에서, 압축측 밸브디스크(32)와 인장측 밸브디스크(33)는 피스톤로드(20)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메인유로(31a)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면서 메인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40)는, 실린더(10)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로드(20)에 결합된 상태로 후술 될 스풀(41)을 승강시켜 후술 될 압축유로(400)와 제1인장유로(500) 및 제2인장유로(500')의 개폐 상태 또는 개폐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형성시켜 스풀(41)을 승강시키기 위한 코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스풀가이드(100)는, 실린더(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피스톤밸브(30)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40)의 하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풀가이드(100)의 내부에는 스풀(41)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승강시키기 위한 통로(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1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41)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여 완충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700)은, 스풀(41)이 상승할 때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거나, 상기 스풀(41)이 하강할 때 일정 부분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700)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배압챔버(200)는, 피스톤밸브(30)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1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배압챔버(200)의 내부에는 피스톤밸브(30)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Ac)이 형성된다.
상기 배압실(Ac) 내에는, 후술 될 밸브바디(300)들을 피스톤밸브(3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배압스프링(6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스프링(600)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압스프링(600)은 후술 될 밸브바디(300)들의 배후를 지지하게 되므로, 밸브바디(300)들이 개방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바디(300)는, 피스톤밸브(30)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Ao)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압실(Ac, 210)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밸브바디(300)의 내부(Ao)에 형성된 압력이 배압실(Ac, 210)의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밸브바디(300)가 배압실(Ac, 210)의 내부로 후퇴되면서 전면을 개방시키는 작동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300)는 배압스프링(60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하면서 배압실(Ac, 210)의 내부로 후퇴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300)들에는 상기 배압실(Ac, 210)을 연결하기 위한 배압유로(31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압유로(310)는, 배압실(Ac, 210)과 밸브바디(300)의 내부(Ao)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는, 압축 행정시 압축유로(40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압실(Ac, 210)로 후퇴되어, 압축유로(400)와 인장챔버(12)를 연통시킨다.
압축유로(400)는, 스풀가이드(100)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11)와 통로(110)와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연통되어 압축챔버(11)의 유체를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이동시킨다.
이때,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와 피스톤밸브(30)의 밀착면이 개방되므로, 압축유로(400)를 통해 유입된 압축챔버(11)의 유체가 인장챔버(12)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유로(400)는 스풀가이드(100)의 측부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압축 행정시 통로(110)의 하부를 통해 압축챔버(11)의 유체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유로(400)는, 솔레노이드(40)의 구동에 따른 스풀(41)의 승강 위치 따라 개폐 상태가 가변 되거나 단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인장유로는, 피스톤밸브(30)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100)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12)와 통로(110)와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연통되어 인장챔버(12)의 유체를 압축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인장유로는, 솔레노이드(40)의 구동에 따른 스풀(41)의 승강 위치 따라 개폐 상태가 가변 되거나 단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장유로(500, 500')는 제1인장유로(500) 및, 제2인장유로(50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장유로(500)는, 스풀가이드(100)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인장챔버(12)와 스풀가이드(100)의 통로(110)를 연통시킨다.
제2인장유로(500')는, 스풀가이드(100)의 압축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통로(110)와 밸브바디(300)의 내부(Ao)를 연통시킨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는, 인장 행정시 제1인장유로(500)와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압실(Ac, 210)로 후퇴되어, 제2인장유로(500')와 압축챔버(11)를 연통시킨다.
즉, 상기 밸브바디(300)와 피스톤밸브(30)의 밀착면이 개방되므로, 제2인장유로(500')를 통해 유입된 인장챔버(12)의 유체가 압축챔버(11)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스풀(41)의 외주에는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압축유로(400)와 통로(110)와 압축챔버(11)를 연통시키는 제1홈(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홈(41a)은, 스풀(41)의 외주와 통로(11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홈(41a)의 상단에는,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11)와 통로(11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압축유로(400)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면(4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면(41c)은, 상기 제1홈(41a)의 상단으로부터 통로(110)의 내주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풀(41)의 외주에는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인장유로(500)와 통로(110)와 제2인장유로(500')를 연통시키는 제2홈(41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홈(41b)은, 스풀(41)의 외주와 통로(11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홈(41b)의 상단에는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12)와 제1인장유로(50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면(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면(41d)은, 상기 제2홈(41b)의 상단으로부터 통로(110)의 내주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홈(41b)의 하단에는 인장 행정시 제2홈(41b)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제2인장유로(500')로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면(41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안내면(41e)은, 상기 제2홈(41b)의 하단으로부터 통로(110)의 내주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로드(20)가 압축 행정을 하는 경우, 도 1에서처럼 압축챔버(11)의 유체가 메인유로(31a)를 통해 인장측 밸브디스크(33)를 밀어 열면서 인장챔버(1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압축챔버(11)의 유체가 인장측 밸브디스크(33)를 밀어 열면서 인장챔버(1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메인 감쇠력이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챔버(11)의 유체가 통로(110)의 하부와 제1홈(41a)과 압축유로(400)를 통해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인장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압실(Ac, 210)로 후퇴하며, 상기 인장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가 피스톤밸브(30)로부터 이격되면서 배압실(Ac)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압축유로(400)로 유입된 유체가 인장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를 후퇴시키면서 개방시키므로, 인장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의 내부(Ao)로 유입된 유체 인장챔버(12)로 이동되면서 보조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유로(400)는 도 3에서처럼 스풀(41)의 승강 위치에 따라 개폐되거나 단면적이 조절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감쇠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면, 피스톤로드(20)가 인장 행정을 하는 경우, 도 2에서처럼 인장챔버(12)의 유체가 메인유로(400)를 통해 압축측 밸브디스크(32)를 밀어 열면서 압축챔버(11)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인장챔버(12)의 유체가 압축측 밸브디스크(32)를 밀어 열면서 압축챔버(1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메인 감쇠력이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인장챔버(12)의 유체가 제1인장유로(500)와 제2홈(41b)과 제2인장유로(500')를 통해 압축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의 내부(Ao)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압축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가 내부(Ao)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압실(Ac)로 후퇴한다.
이 순간, 상기 압축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가 피스톤밸브(30)로부터 이격되면서 배압실(Ac)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인장유로(500')로 유입된 유체가 압축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를 개방시키므로, 압축 행정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3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압축챔버(11)로 이동되면서 보조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인장유로(500)와 제2인장유로(500')는 도 3에서처럼 스풀(41)의 승강 위치에 따라 단면적이 가변되므로, 필요에 따라 감쇠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스풀(41)의 위치 이동을 통해 압축 및 인장유로의 단면적 조절함과 아울러, 배압실(210) 내에 밸브바디(300)의 개폐를 탄성 지지하는 배압스프링(600)을 배치시킴으로써, 밸브바디(3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과 배압스프링(600)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여 밸브바디(300)가 오픈되는 압력을 가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감쇠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11: 압축챔버
12: 인장챔버 20: 피스톤로드
30: 피스톤밸브 31: 몸체
31a: 메인유로 32: 압축측 밸브디스크
33: 인장측 밸브디스크 40: 솔레노이드
41: 스풀 41a: 제1홈
41b: 제2홈 41c: 제1안내면
41d: 제2안내면 41e: 제3안내면
100: 스풀가이드 110: 통로
200: 배압챔버 210: 배압실(Ac)
300: 밸브바디 310: 배압유로
400: 압축유로 500, 500': 인장유로
600: 배압스프링 700: 압축스프링

Claims (12)

  1. 실린더 내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고 메인유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결합되어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스풀이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스풀가이드;
    상기 피스톤밸브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로 유입된 유체압에 의해 배압실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바디;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의 통로와 인장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압축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의 통로와 압축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인장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유로는,
    압축 행정시 상기 통로의 하부를 통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전달되며,
    인장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는,
    압축 행정시 상기 압축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압실로 후퇴되어,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인장유로는,
    상기 스풀의 승강 위치 가변에 의해 단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3. 삭제
  4. 실린더 내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고 메인유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결합되어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스풀이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스풀가이드;
    상기 피스톤밸브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로 유입된 유체압에 의해 배압실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바디;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의 통로와 인장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압축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의 통로와 압축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인장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유로는,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인장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 행정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2인장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압축 행정 방향에 위치된 밸브바디는,
    인장 행정시 상기 제1인장유로와 상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압실로 후퇴되어, 상기 제2인장유로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주에는,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유로와 상기 통로와 상기 압축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홈 및,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유로와 상기 통로와 상기 제2인장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상단에는,
    압축 행정시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통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압축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의 상단에는,
    인장 행정시 상기 인장챔버와 상기 제1인장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홈의 하단에는,
    인장 행정시 상기 제2홈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인장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9. 실린더 내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고 메인유로가 형성되는 피스톤밸브와,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결합되어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를 관통하는 상태로 솔레노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스풀이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스풀가이드;
    상기 피스톤밸브를 기준으로 스풀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개방된 배압실을 형성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밀착 위치되며, 압축과 인장 행정시 내부로 유입된 유체압에 의해 배압실로 후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바디;
    상기 스풀가이드의 인장 행정방향에 형성되며, 압축 행정시 압축챔버의 통로와 인장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압축유로; 및
    상기 스풀가이드의 압축과 인장 행정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의 통로와 압축 행정측 밸브바디의 내부로 연통되는 인장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압실 내에는,
    상기 밸브바디들을 상기 피스톤밸브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배압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여 완충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들에는,
    상기 배압실을 연결하기 위한 배압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압축챔버 방향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는 압축측 밸브디스크 및,
    상기 몸체의 인장챔버 방향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하는 인장측 밸브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0140071503A 2014-06-12 2014-06-12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00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03A KR102007356B1 (ko) 2014-06-12 2014-06-12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03A KR102007356B1 (ko) 2014-06-12 2014-06-12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07A KR20150142907A (ko) 2015-12-23
KR102007356B1 true KR102007356B1 (ko) 2019-10-21

Family

ID=5508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503A KR102007356B1 (ko) 2014-06-12 2014-06-12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3915A (zh) * 2019-03-26 2021-11-05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阻尼力调节式缓冲器
KR102359062B1 (ko) * 2021-09-08 2022-02-09 김원홍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용 로드 조립체의 제조방법
CN115217883B (zh) * 2022-08-25 2024-02-27 黄震 用于电控减振器的可调控制阀及电控减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566A (ja) * 2001-03-29 2002-10-09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KR100854598B1 (ko) 2007-05-21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4587089B2 (ja) 2000-05-31 2010-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5034074B2 (ja) 2007-03-30 2012-09-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流体圧緩衝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7089B2 (ja) 2000-05-31 2010-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002295566A (ja) * 2001-03-29 2002-10-09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5034074B2 (ja) 2007-03-30 2012-09-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流体圧緩衝器
KR100854598B1 (ko) 2007-05-21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07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77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2471853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6285693B2 (ja) 緩衝装置
KR20110094374A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US9739332B2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JP6188257B1 (ja) 油圧緩衝器
KR20180083725A (ko) 쇽업소버
KR10200735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110089078A (ko) 완충기
KR101162307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204284289U (zh) 一种振幅选择减振器
KR20110001283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JP2014126092A (ja) 緩衝器
JP6305102B2 (ja) 流体圧緩衝器
KR101937470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04154163A (zh) 具有安装在杆导向件的附加阀的阻尼力可变震动吸收装置
JP2013122255A (ja) 緩衝器
KR101760904B1 (ko) 쇽업소버
KR10218304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627181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10822003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20200017856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815594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230549B1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