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20Y1 - 모빌 랙 - Google Patents

모빌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20Y1
KR200187220Y1 KR2019990029791U KR19990029791U KR200187220Y1 KR 200187220 Y1 KR200187220 Y1 KR 200187220Y1 KR 2019990029791 U KR2019990029791 U KR 2019990029791U KR 19990029791 U KR19990029791 U KR 19990029791U KR 200187220 Y1 KR200187220 Y1 KR 200187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bile rack
protrusion
partition
rack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광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광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광씨스템
Priority to KR2019990029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조를 사용하기 편리하고 운반, 설치 및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하여 대량의 자료와 정보를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모빌 랙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료를 보관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간에 칸막이(5)와 받침대(6)가 설치되는 이동부(10)와, 상기 이동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콘트롤부(20)와, 설치 조건에 따라 어느 한쪽 끝의 레일(30)위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이동부(10)및 고정부(11)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이동부(1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30)과, 상기 이동부(1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레일(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정지수단(40)과, 상기 레일(30)사이의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마루(50)와, 상기 레일(30)의 측면에 결합되는 날개부(6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빌 랙 {Mobile rack}
본 고안은 모빌 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적인 구조를 사용하기 편리하고 운반, 설치 및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하여 대량의 자료와 정보를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모빌 랙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좁은 공간에서도 대량의 정보와 자료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빌 랙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빌 랙에는 전동식 모빌 랙과 핸들식 모빌 랙 그리고 수압식 모빌 랙이 있으며, 또한 공장이나 창고에서도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화물용 모빌랙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빌 랙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자료 및 서류 등을 보관할 경우 가운데 지지부가 판넬형이 아닌 앵글 형태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좌, 우측 및 후면의 칸막이 기능이 없어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고,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대차 및 레일이 (조립식이 아닌) 일체형 용접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과 설치가 어렵고 또한 해외로 수출할 경우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구조적인 취약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빌랙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밑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단지 바닥에 레일만을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다니기가 불편함은 물론 레일은 현 구조물에 도장을 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도장이 벗겨짐으로 녹이 발생하여 레일이 손상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겸 칸막이 역할을 하는 판넬 형태로 구성하고 이러한 지지대겸 칸막이에 결쇠를 사용하여 착받침대를 설치하고 이동부와 고정부를 지지하는 대차 및 레일의 구조를 일체형 용접구조에서 나사체결 조립구조로 개선하는 한편 레일의 재질을 철 구조물에서 알루미늄 압출 형재로 변경하여 내식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모빌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모빌 랙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의 기둥겸 칸막이의 개략 사시도
도 2(B)내지 (I)는 기둥겸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레일과 주변 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레일과 날개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빌 랙 하단에 결합되는 대차와 대차 연결빔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대차와 대차 연결빔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체인 구동부의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 콘트롤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내지 도 13은 본 고안 레일과 바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레일과 레일사이에 마루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칸막이 10:이동부
11:고정부 20:콘트롤부
30:레일 40:정지수단
50:마루 51:아이들 기어
60:날개부 70:파이프
80:마루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모빌 랙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로, 자료를 보관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간에 칸막이(5)와 받침대(6)가 설치되는 이동부(10)와, 설치 조건에 따라 어느 한쪽 끝의 레일(30)위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상기 이동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콘트롤부(20)와, 상기 이동부(10)및 고정부 (11)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이동부(1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30)과, 상기 이동부(1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레일(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정지수단(40)과, 상기 레일(30)사이의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마루(50)와, 상기 레일(30)의 측면에 결합되는 날개부(60)로 구성된 것이다.
도 2(A)는 칸막이(5)의 상세 구성도로,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칸막이(5)의 좌우측에 세로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5A)(5B)과, 상기 구멍(5A)(5B)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그 위에 받침대(6)를 얹혀 놓을 수 있도록 된 걸쇠(5C)와, 양측에 형성되는 에지부(5D)로 구성된다
도 2(B)내지 (I)는 칸막이(5)의 에지부(5D)의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한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B)와 같은 일자형, (C)와 같은 일자형과 삼각형의 결합형, (D)와 같은 양끝단이 둥근 돌기형, (E)와 같이 일측 끝단은 삼각형이고 타측 끝단은 둥근돌기형, (F)와 같이 양끝단이 둥근 돌기형인 상태에서 기둥부분의 양측이 2겹인 형, (G)와 같이 양측을 둘러싸고 내부가 빈 형태, (H)와 같이 양쪽의 에지부(5D)에 기둥을 끼우고 나사끼우기로 결합한 형태, (I)와 같이 에지부(5D)에 기둥을 스포트로 붙이는 형태 등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레일(30)과 이 레일(30)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정지수단 (40)의 상세 구성도로, 레일(30)의 돌기(1)양측에 홈(2)(3)이 형성되어 바퀴가 이 돌기(1)상단에 접촉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레일(30)의 양끝단에는 원형돌기 (30D)가 형성되어 있어 도 4와 같이 날개부(60)가 이 원형돌기(30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 정지수단(40)은 상기 레일(30)의 홈(2)(3)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삽입돌기(42)및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구멍(43)을 가진 레일스토퍼(41)와, 상기 홈(2)(3)에 끼워져 레일스토퍼(41)의 구멍(43)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되는 너트(44)로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30A는, 다른 레일을 계속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이고, 30B는 상기 레일(30)의 양측 밑 부분에 형성된 구멍(미 도시됨)에 다수 겹쳐끼워 넣어 레일의 수평을 맞추는 수평 조절용 고임쇠이고, 30C는 상기 수평조절용 고임쇠(30B)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부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레일(30)위에 결합되는 대차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양쪽으로 설치되는 2개의 대차(31)(32)사이에 대차연결빔(33)(34)이 결합되며, 상기 대차(31)(32)의 하단에 각각 2개의 대차고정용 브라켓(35)이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30)에 볼트와 너트(44)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고정부(11)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대차(31)의 하단에 2개의 바퀴(36)와 아이들 기어(51)를 삽입 고정하고 다른 한편은 상기 대차(32)의 하단에 2개의 바퀴(37)를 삽입 고정하여 이동부(10)로 구성한 것이다.
대차고정용 브라켓(35)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 브라켓(35)에 바퀴(36)(37)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대차(31)(32)의 상단에는 칸막이 고정용 브라켓(38)(39)이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칸막이 고정용 브라켓(38)(39)에 상술한 도 2와 같은 칸막이(5)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바퀴(36)는 축(36A)양측에 절개부(36B)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파이프(70)의 양측에 설치된 삽입부(도시되지 않음)가 이 절개부(36B)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바퀴(36)의 축(36A) 반대편에는 베아링(36C)과 스프로켓(36D)이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도 4와 도 5에서 대차연결빔(33)의 주변 부품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대차연결빔(33)의 내측으로 도면과 같이 상하로 한쌍의 걸림턱 (33A)이 형성되고, 대차(31)의 끝단부에 다수의 구멍(31A-31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턱(33A)을 해당 구멍에 상하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대차연결빔(33)이 대차(31)의 구멍(31A)(31B)과 구멍(31C)(31D)에 양쪽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이들 구멍(31A-31D)사이에 형성된 홈에는 전도 방지용 브라켓(31H)이 고정된다.
단, 파이프(70)의 양쪽에 삽입부(71)가 형성되어 이러한 삽입부(71)가 바퀴축(36A)의 절개부(36B)에 끼워지는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프로켓(36D)에 체인(5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것으로, 대차(31)에 2개의 대차 스프로켓(36D)이 결합되고 이들 스프로켓(36D)사이에 아이들 기어(51)가 설치되며, 콘트롤부(20)에는 구동기어(54)가 설치되어 콘트롤부 (20)의 축(66A)을 돌릴때 구동기어(54)가 구동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54)의 밑부분에는 텐션 기어(53)가 설치되어 체인(50)에 텐션을 줄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A)는 본 고안 콘트롤부(20)의 분해 사시도, (B)는 조립상태 단면도로, 기둥(61)에 다수의 구멍(63)이 형성된 콘트롤판넬(62)이 고정되고, 콘트롤박스 브라켓(65)에는 콘트롤박스(66)가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67)가 콘트롤판넬(62)의 구멍(6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66)의 핸들축(66A)에는 스토퍼 기어(66B), 구동기어 (66C), 베어링(66D)이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 기어(66B)에는 스토퍼(66E)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박스 브라켓(65)에는 오목한 홈부(65A)가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66D)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내지 도 13은 레일(30)과 바퀴(36)의 실시 가능한 여러 가지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와 같이 레일(30)의 돌기(1)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바퀴의 접촉부분도 직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0은 레일(30)의 돌기(1)부분 상단에 홈(30F)을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원형돌기(36G)를 형성하여 이 원형돌기(36G)가 상기 홈(30F)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1은 레일(30)의 돌기(1)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도 원형홈부(36H)를 형성하여 원형 돌기(1)부분이 원형홈부(36H)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2는 레일(30)의 돌기(1)부분에 개구부(31F)를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직사각형 돌출부(36F)를 형성하여 이 직사각형 돌출부(36F)가 개구부(31F)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3은 레일(30)의 돌기(1)부분에 개구부(31G)를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삼각형 돌출부(36J)를 형성하여 이 삼각형 돌출부(36J)가 개구부(31G)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레일(30)사이에 마루(80)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로, 마루(80)의 밑면 모서리부분에 고정홈(81)이 형성되어 있어 이 마루(80)의 고정홈 (81)에 레일(30)의 원형돌기(30D)를 간단히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레일(30)위에 이동부(10) 및 고정부(11)가 고정되며, 또한 이동부 (10)가 다수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부(10)의 측면에는 콘트롤부 (20)가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이동부(10)에 다량의 자료 등을 보관한 상태에서 콘트롤부(20)를 콘트롤하여 이동부(10)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필요한 자료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콘트롤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61)에 콘트롤 판넬 (62)이 고정되는데 이러한 콘트롤 판넬(62)에는 다수의 구멍(63)이 형성되어 있어 콘트롤박스 브라켓(65)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67)가 이 구멍(63)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 브라켓(65)에는 콘트롤박스(66)가 고정되는데 이 콘트롤박스(66)의 내부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기어(66B)와 구동기어(66C)및 베어링(66D)이 결합되어 있어 스토퍼(66E)를 회전시키면 스토퍼기어 (66B)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이동부(10)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박스 브라켓(65)에는 상기 베어링(66D) 이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5)가 일체형 판넬 형태로형성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다수의 구멍(5A)(5B)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구멍(5A) (5B)에 걸쇠(5C)를 간단히 끼워 넣어 고정시키면 이 걸쇠(5C)의 양날개부가 칸막이 (5)의 양쪽으로 고정되므로 이 날개부에 받침대(6)를 얹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5)의 에지부(5D)를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도 2(B)와 같이 에지부(5D)를 일직선으로 만들 수 있으며, 또한, (C)와 같이 에지부(5D)의 일측은 삼각형상으로 만들고 타측은 일직선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2의 (D)와 같이, 에지부(5D)를 양쪽 끝단이 둥근 일직선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도 2의 (E)와 같이 에지부(5D)의 일측은 삼각형상이고, 다른 일측은 양끝단이 둥근 일직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도 (F)와 같이 양 끝단이 둥근형인 형태, (G)와 같이 양측을 둘러싸고 내부가 빈 형태, (H)와 같이 양쪽의 에지부(5D)에 기둥을 끼우고 나사끼우기로 결합한 형태, (I)와 같이 에지부(5D)에 기둥을 전기 저항 용접으로 붙이는 형태로 각각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레일(30)이 일 실시예로 도 3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일(30)의 중심부에 돌기(1)가 형성됨과 함께 양측에는 홈(2)(3)이 형성되어 있어 바퀴(36)가 이러한 돌기(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레일(30)의 일측 끝단에는 정지수단(40)이 구비되어 있어 바퀴(36)가 이러한 정지수단(40)의 레일 스토퍼(41)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 스토퍼(41)의 앞쪽에는 한 쌍의 삽입돌기(42)가 형성되어 있어 이 삽입돌기(42)가 상기 홈(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각형상의 너트(44)를 홈(2)(3)의 내측으로 끼우고 구멍(43)을 통하여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각형상의 너트(44)가 홈(2)(3)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홈(2)(3)상단에 형성된 돌기부분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레일(30)의 원형돌기(30D)밑부분에 다수의 구멍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에 다수 겹친 상태에서 수평 조절용 고임쇠(30B)의 돌기부(30C)를 끼워 고정시키는 한편 레일의 수평을 맞출 수 있으며, 레일(30)의 다른 끝단에는 연결부(30A)가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연결부 (30A)를 통하여 다른 레일을 계속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 돌기(30D)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개부(60)의 각도를 0。로 유지하여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레일(30)에 결합된 날개부(60)는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며 지면과 밀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1)(32)의 상면에 칸막이 고정용 브라켓(38)(39)이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브라켓(38)(39)에 칸막이(5)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31)의 하부 내측에는 2개의 바퀴(36)와 아이들 기어(51)가 상기의 다른 대차(32)의 하부 내측에는 2개의 바퀴(37)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이동부(10)의 대차를 형성하고, 설치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대차(31)(32)의 하부 내측의 바퀴가 끼워지는 위치에 대차 고정 브라켓(35)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레일(30)과도 볼트와 너트(44)로 체결하여 레일(30)로부터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된 고정부(11)의 대차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36)의 축(36A)에는 절개부(36B)가 형성되고 타측 축상에는 베아링(36C)과 스프로켓(36D)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절개부(36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70)가 결합되는데 이 파이프(70)의 양측 내측으로 삽입부(7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파이프(70)의 삽입부(71)를 절개부(36B)에 끼우면 축(36A)과 파이프(7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퀴(36)(37)의 구동력을 파이프(70)를 통하여 전달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대차(31)(32)를 연결해 주는 대차연결빔(33)(34)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걸림턱(33A)이 형성되어 있고 대차(31)(32)의 일측 끝단에는 구멍(31A-31D)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걸림턱(33A)을 구멍(31A-31D)에 끼워 고정시키면 대차연결빔(33)(34)이 대차(31)(3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바퀴(36)(37)축상의 스프로켓(36D)에는 도 7과 같은 체인(5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체인(50)은 대차 스프로켓(36D)사이에 설치되는 아이들 기어(51)와 콘틀로부(2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54) 및 텐션 기어(53)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데 이때, 체인(50)이 아이들 기어(51)의 내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4)와 텐션 기어(53)는 콘트롤 브라켓(55)에 고정되어있다.
한편, 본 고안은 레일(30)과 이에 설치되는 바퀴(36)(37)의 형태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9의 경우, 레일(30)의 돌기(1)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바퀴의 접촉부분도 직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며, 도 10의 경우, 레일(30)의 돌기(1)부분 상단에 홈(30F)을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원형돌기(36G)를 형성하여 이 원형돌기(36G)가 상기 홈(30F)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1의 경우, 레일(30)의 돌기(1)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도 원형홈부(36H)를 형성하여 원형 돌기(1)부분이 원형홈부(36H)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한 것이며, 도 12의 경우에는, 레일(30)의 돌기(1)부분에 개구부(31F)를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직사각형 돌출부(36F)를 형성하여 이 직사각형 돌출부(36F)가 개구부(31F)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13의 경우에는, 레일(30)의 돌기(1)부분에 개구부(31G)를 형성하고, 바퀴(36)의 접촉부에 삼각형 돌출부(36J)를 형성하여 이 삼각형 돌출부(36J)가 개구부(31G)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고안은 도 14와 같이, 레일(30)사이에 마루(80)를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마루(80)의 밑면 모서리부분에 고정홈(81)이 형성되어 있어 이 마루(80)의 고정홈 (81)에 레일(30)의 원형돌기(30D)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레일(30)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모빌 랙의 기둥 구조를 지지대겸 칸막이 역할이 가능한 하나의 판넬 형태로 개선하고 지지대겸 칸막이에 걸쇠를 사용하여 책받침부를 설치하여 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대차부와 레일부를 용접 일체형 구조에서 나사 체결형 조립 구조로 개선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부수적으로 물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레일의 재질을 변경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자료를 보관할 수 있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간에 칸막이와 받침대가 설치되는 이동부와,
    중간에 칸막이와 받침대가 설치되어 설치조건에 따라 어느 한쪽 레일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콘트롤부와,
    상기 이동부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이동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과,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레일의 끝단에 설치되는 정지수단과,
    상기 레일사이의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마루와,
    상기 레일의 측면에 결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가,
    판넬 형태로 이루어진 칸막이의 좌우측에 세로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과,
    상기 다수의 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그 위에 받침대를 얹혀 놓을 수 있도록 된 걸쇠와,
    양측에 형성되는 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3. 제 2항에 있어서, 칸막이의 에지부가, 일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4. 제 2항에 있어서, 칸막이의 에지부가, 일자형과 삼각형의 결합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에지부가, 양 끝단이 둥근 돌기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에지부 일측 끝단은 삼각형이고 타측 끝단은 양쪽이 둥근 돌기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에지부가, 양측을 둘러싸고 내부가 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양쪽 에지부사이에 기둥을 끼우고 나사끼우기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양쪽 에지부에 기둥을 전기 저항 용접으로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가, 양 끝단이 둥근 돌기형이며, 기둥부분의 내부가 비고 양측이 2겹인 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돌기부분 상단에 홈을 형성하고, 바퀴의 접촉부에는 원형돌기를 형성하여 이 원형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돌기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바퀴의 접촉부도 원형홈부를 형성하여 원형 돌기 부분이 원형홈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돌기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바퀴의 접촉부에 직사각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직사각형 돌출부가 개구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돌기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바퀴의 접촉부에 삼각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삼각형 돌출부가 개구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가 레일의 외측 원형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이, 상기 레일의 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삽입돌기 및 나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구멍 그리고 경사면을 가진 레일 스토퍼와,
    상기 홈에 끼워져 레일스토퍼의 구멍에 나사 끼우기로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측 밑부분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에 다수 겹쳐 끼워 넣어 레일의 수평을 맞추도록 하는 수평 조절용 고임쇠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측 끝단에 다른 레일을 계속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대차와 이들 대차를 연결시키는 대차 연결빔이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 대차 고정용 브라켓이 고정되어 이 브라켓과 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양 축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파이프의 양 측에도 삽입부가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가 축의 절개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측면과 레일사이에 전도 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에 구동기어와 텐션기어가 설치되고, 대차연결빔에는 복수의 스프로켓과 아이들 기어가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체인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이, 스프로켓의 외측과 아이들 기어의 내측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 끝단 돌기사이에 마루의 홈을 끼워 마루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의 축에 부착된 스토퍼 기어와 스토퍼 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의 콘트롤박스 브라켓에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 브라켓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를 기둥에 고정된 콘트롤판넬의 다수의 구멍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 랙.
KR2019990029791U 1999-12-27 1999-12-27 모빌 랙 KR200187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91U KR200187220Y1 (ko) 1999-12-27 1999-12-27 모빌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91U KR200187220Y1 (ko) 1999-12-27 1999-12-27 모빌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20Y1 true KR200187220Y1 (ko) 2000-07-01

Family

ID=1960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91U KR200187220Y1 (ko) 1999-12-27 1999-12-27 모빌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2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263B1 (ko) * 2003-12-26 2006-10-2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 랙
KR100725619B1 (ko) 2006-05-25 2007-06-07 김용태 모빌랙용 레일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KR101263306B1 (ko) 2011-07-21 2013-05-15 김채수 이동식 보관고의 프레임 조립구조
KR20190072159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76747B1 (ko) * 2019-06-05 2020-02-1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KR102115884B1 (ko) * 2019-06-05 2020-05-2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KR102502133B1 (ko) * 2022-08-10 2023-02-23 (주)하이젠텍 순환 습식 가열 공기를 이용한 강제 대류식 군고구마 생산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263B1 (ko) * 2003-12-26 2006-10-2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 랙
KR100725619B1 (ko) 2006-05-25 2007-06-07 김용태 모빌랙용 레일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KR101263306B1 (ko) 2011-07-21 2013-05-15 김채수 이동식 보관고의 프레임 조립구조
KR20190072159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68328B1 (ko) * 2017-12-15 2020-02-11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76747B1 (ko) * 2019-06-05 2020-02-1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KR102115884B1 (ko) * 2019-06-05 2020-05-2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KR102502133B1 (ko) * 2022-08-10 2023-02-23 (주)하이젠텍 순환 습식 가열 공기를 이용한 강제 대류식 군고구마 생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263B1 (ko) 모빌 랙
KR200187220Y1 (ko) 모빌 랙
US6669036B1 (en) Modular storage assembly
US5415300A (en) Push-back cart storage system
CA1317615C (en) Modular cabinet support
PT1568581E (pt) Carro de limpeza
US6059300A (en) Auxiliary wheel holder for golf carts
KR20240034685A (ko) 섀시 조립체 및 무인 반송 차량
JP3820305B2 (ja) 玄関スロープ
JP3443608B2 (ja) 積み重ね用台車
CN210852540U (zh) 设备转运装置
WO2004085232A2 (fr) Bac pour roue de secours et structure arriere de vehicule comportant ledit bac
JP2002002496A (ja) 運搬用台車
JPH0510677Y2 (ko)
CN218477529U (zh) 一种自助力楼梯车
JPS5815299Y2 (ja) パレツト
JP2564481Y2 (ja) 地下埋設式立体駐車装置
JPH0318409Y2 (ko)
JPH0442243Y2 (ko)
JP2002002491A (ja) 運搬用台車
CN212269232U (zh) 一种弯轨葫芦的行走机构
CN209683705U (zh) 一种运输转向架
JPH0347542Y2 (ko)
SK280724B6 (sk) Kontajnerová podstava
EP0504499B1 (en) Expandable mobile carriage and companion surface mounted track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